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유전 가열장치에서 전극의 각도 배열 -온도 분포의 특성 및 임상 적용-

        성진실,추성실,김귀언,노준규,양성화,Seong, Jin-Sil,Chu, Sung-Sil,Kim, Gwi-Eon,John, Juhn-Kyu,Yang, Sung-Wha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8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7 No.2

        고주파유전가열 장치는 심부까지도 효과적인 가온이 가능하여 각족 심부암의 치료에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한쌍의 전극을 평행으로 대칭 배열하는 현재의 방법은 신체의 일측으로 편재되어 있는 병소에는 배열 자체가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노출된 동측 피부표면이 과열되며 종양의 가온 양상도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아서 임상 적응에 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저자들은 상기와 같은 병소를 보다 안전하고_도 효과적으로 가온하기 위하여 두 전극간에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새로운 전극 배열을 시도하였다. 즉, 임상 적용 가능성을 고려한 $60^[\circ},\;90^{\circ}\;및\;120^{\circ}$로 전극을 배열하고 모형 (phantom)에서 가온 실험을 행하여 이같은 각도 배열에서의 온도 분포의 특성을 평가할 수 있었고, 일측에 편재된 병소를 가진 3예의 환자에게 각도 배열로 온열치료를 시행한 결과 환자의 수용성, 부작용 및 온도분포에 있어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저자들이 시도한 전극의 각도배열은 일측에 편재된 병소를 유전 가열 장치로 가온 할 때 평행 배열이라는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서 매우 고무적으로 생각된다. In capacitive heating device, which considered efficient for deep heating, parallel arrangement of the electrodes is a serious limiting factor in heating for eccentrically located lesions because it causes overheating of the exposed ipsilateral skin surface, the heating pattern is also frequently inappropriate, and the arrangement tends to be unstable due to the patient's gravity. Therefore we attempted an angular arrangement of the electordes to achieve more homogenous and efficient heating for such lesions. In phantom study, both the thermal profile and thermogram established the heating pattern in this unusual angular arrangement of the electrodes at $60^{\circ},\;90^{\circ}\; and\;120^{\circ}$ angles, respectively. An angular arrangement was also clinically applied to 3 patients. The patients' tolerance was good without significant complication and the thermal distribution was satisfactory. In conclusion, this unusual arrangement of electrodes appears to be promising in the clinical application to the eccentrically located lesions.

      • SCOPUSKCI등재

        Adaptive Response to ionizing Radiation Induced by Low Doses of Gamma Rays in Human Lymphoblastoid Cell Lines

        성진실,서창옥,김귀언,Seong, Jin-Sil,Suh, Chang-Ok,Kim, Gwi-Eo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2 No.1

        미량의 변이 유발소에 노출된 세포는 그 다음에 투여되는 다량의 변이 유발소에 대하여 내성을 갖게 된다. 이같은 적응 반응(adaptive response)은 대장균에서 처음으로 밝혀진 이후 주로 인체 말초 혈액 임파구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적응 반응이 세포 종류를 막론하고 존재하는 일반적인 현상인지에 대하여, 또한 세포의 고유한 방사선 감수성과의 관계나 그 기전 등에 대하여도 규명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같은 의문에 보다 접근하기 위하여 방사선에 매우 민감한 ataxia telangiectasia hemozygote, ataxia telangiectasia heterozygote, 그리고 정상인에서 유래한 인체 임파양세포주를 대상으로 1 cGy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다시 50 cGy의 감마선을 조사하여, 감마선에 의해 유도되는 염색체 손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cGy 전처치시 그 다음 50 cGy에 의한 염색체 손상이 50 cGy 단독 대조군에 비하여 의의 있게 감소하여 적응 반응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세가지 세포주의 방사선 감수성이 각기 달랐으나 적응 반응의 표현 양상은 이와 무관하게 유사하였다. 또한 염색체 손상의 복구에 필수적인 poly(ADP-ribose) polymerase를 억제하는 3-aminobenzamide를 50 cGy 직후에 투여한 실험에서는 적응 반응이 완전히 소실됨을 관찰하여 적응 반응이 어떤 종류의 방사선 손상의 복구 기전과 관계 있음을 추측케하였다. 따라서 임파양세포에서도 적응 반응이 존재함을 본 연구를 통하여 최초로 알 수 있었다. 이는 세포의 방사선 감수성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기전에 있어서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손상 복구 기전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반림프절 비대가 국소치유율, 무병생존율,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었고 이들 세가지 인자와 전산화단층촬영상의 대동맥림프절 비대가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었다. 조사선량이 많았으나 치료실패율이 현저하게 높았다. 따라서 이들 환자들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하여 단순히 치료선량을 증가시키는 것보다 다른 보조적치료, 즉 약물치료와의 병용치료 등이 절실히 요구되며, 또한 국소재발의 억제가 원격전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한 방법일 수 있다. 따라서 자궁경부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외부조사와 강내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나 강내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군에 대해서는 적극적 수술방법의 도입을 고려해야하겠다. 합병증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는 점으로 보아 본 연구를 계속 진행함으로써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기 혈색소 수치 (p<0.0001), 강내 조사(p<0.0004)였고, 조직학적 소견(p<0.29), 유도 화학요법과의 병행치료(p<0.87)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0093{\pm}0.0047)\;D^2+(13.31{\pm}7.309$) 였었다. 감마선에 대한 중성자선의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비 (RBE)는 y=aD+$bD^2$+c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변형시켜 계산하였다. $$\frac{[-a{pm}\sqrt{a^2-4b\;(c-y}}]}{2{\times}6}$$ 미세핵 발생빈도가 세포당 0.05와 0.8사이에서의 중성자선의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비는 $2.37{\pm}0.17$ 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선량에 따른 미세핵 발생빈도는 기존의 방사선 감수성 test의 결과와 대동소이하여, 앞으로 방사선 감수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When cells are exposed to low doses of a mutagenic or clastogenic agents. they often become less sensitive to the effects of a higher dose administered subsequently. Such adaptive responses were first described in Escherichia coli and mammalian cells to low doses of an alkylating agent. Since most of the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with human lymphocytes, it is urgently necessary to study this effect in different cellular systems. Its relation with inherent cellular radiosensitivity and underlying mechanism also remain to be answered. In this study, adaptive response by 1 cGy of gamma rays was investigated in three human lymphoblastoid cell lines which were derived from ataxia telangiectasia homozygote, ataxia telangiectasia heterozygote, and normal individu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delivering 1 cGy followed by 50 cGy of gamma radiation and chromatid breaks were scored as an endpoint. The results indicate that prior exposure to 1 cGy of gamma rays reduces the number of chromatid breaks induced by subsequent higher dose (50 cGy), The expression of this adaptive response was similar among three cell lines despite of their different radiosensitivity. When 3-aminobenzamide, an inhibitor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was added after 50 cGy, adaptive responses were abolished in all the tested cell lin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adaptive response can be observed in human lymphoblastoid cell lines, which was first documented through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adaptive response was similar among the cell lines regardless of their radiosensitivity. The elimination of the adaptive response by 3-aminobenzamide is consistent with the proposal that this adaptive response is the result of the induction of a certain chromosomal repair mechanism.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Combined Radiotherapy and Hyperthermia for No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성진실(Jin Sil Seong),노준규(John Juhn Kyu Loh),서창옥(Chong Ok Suh)김귀언(Gwi Eon Kim),한광협(Kwong Hyub Han),이상인(Song In Lee),노재경(Joe Kyung Roh),김병수( Byung Soo Kim),최흥재(Heung Jai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7 No.2

        절제 불가능한 원발성 간암은 여러 가지 다양한 치료법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그 예후는 극히 불량하다. 이에 본 저자들은 온열요법에 대한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1988년 4월부터 7월까지 본과에 내원한 30명의 절제 불가능한 원발성간암 환자들에 대하여 온열 및 방사선 병용요법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일일 조사량 180 cGy 씩 3.5주에 3060 cGy를 조사하였고 온열요법은 8MHz 유전형온열치료기(Thermotron RF-8, Cancermia)를 사용하여 주 2회씩 총 6회 시행하되 순서는 방사선 치료를 먼저 한 후 30분 이내에 온열요법이 30~60분간 시행되었다. 그 결과 부분반응이 12예에서 관찰되었고(40%), 증상의 호전이 28예중 22예에서 관찰되었다(78.6%). 종양의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서는 형태학적 유형이 가장 유의하게 나타났다(single massive: 10/14, 71.4%; diffuse infiltrative: 2/10, 20%; multinodular: 0/6, 0%; p<0.005). 치료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1년 생존율은 34%였고 정중앙 생존기간은 6.5개월이었다. 부분반응을 보인 환자군의 생존율 및 정중앙 생존 기간은 각각 50%, 11개월로서 반응을 보이지 않은 환자군의 22%, 5개월과 비교해 볼 때 정중앙 생존기간의 차이가 통계족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온열 및 방사선 병용요법은 절제 불가능한 원발성 간암의 증상호전 및 국소적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생존율 및 부작용등에 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rty patients with no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HOC) due to either locally advanced lesion of association with liver cirrhosis, treated with combined radiotherapy and hyperthermia between April 1988 and July 1988, at Dep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were analysed. External radiotherapy of a total dose of 3060 cGy/3.5 wks was given, Hyperthermia was given twice a week with a total of 6 treatment sessions using 8 MHz radiofrequency capacitive type heating device, i.e., Thermotron RF-8 and Cancermia. ln all cases hyperthermia was given within 30 minutes after radiotherapy for 30~60 min. Temperature was measured by inserting thermocouple into the tumor mass under the ultrasonographic guidance only for those who had not bleeding tendency. As a result, partial response (PR) was achieved in 12 patients (40%), and symptomatic improvement was observed in 22 patients (78.6%) among 28 patients who had suffered from abdominal pain.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tumor response rate was the type or tumor (single massive: 10/14, 71.4%; diffuse infiltrative: 2/10, 20%: multinodular: 0/6, 0%; p<0.005). There were not any significant side effects relating to combined treatment. The overall 1 year survival rate was 34%, with 50% in the PR group and 22% in the no response group (NR), respectively. Median survival was 6.5 months and longer for those of PR than of NA (11 mos. vs 5, p<0.05). In conclusion, combined radiotherapy and hyperthermia appeared to be effective in local control and symptomatic palliation of HCC. Further study including a larger number of the patients to confirm its effect in survival and detrimental side effect should be urged.

      • KCI등재후보

        방사선에 의한 Apoptosis에서 Fas의 역할

        김성희,성진실,성제경,Kim, Sung-Hee,Seong, Jin-Sil,Seong, Je-Kyu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3

        목적 : 전리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의 apoptosis에서 Fas:Fas ligand 상호 작용의 역할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Fas 변이를 보이는 Ipr 마우스를 이용하여 in vivo에서 Fas의 발현이 전리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sis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Fas의 변이를 보이는 $MRL/Mpj-Fas^{Ipr}$ 마우스와 이의 대조군으로서 MRL/Mpj 마우스를 대상으로 하였다. 마우스는 8주령 웅성으로서 이들에게 전신 방사선을 조사하고 일정 시간 후 비장을 적출하였다. 조직을 hematoxylin-eosin 염색하여 apoptosis 유도 수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apoptosis의 조절 물질인 p53, Bcl-2, Bax, $Bcl-X_L,\;Bcl-X_S$에 대하여 Western blotting을 시행하고 발현수준을 densitometry로 분석하여 관련된 기전을 연구하였다. 결과 : 25 Gy 방사선 조사 후 MRL/Mpj 마우스는 8시간째에 apoptosis가 최대로 많이 일어났고 24시간째에 거의 정상 수준에 가깝게 회복이 되었다. 반면 $MRL/Mpj-Fas^{Ipr}$ 마우스에서는 4시간째에 apoptosis가 최대로 많이 일어났고 8시간째부터 회복되기 시작하였다. MRL/Mpj 마우스의 경우 apoptosis의 최대 유도 수준은 25 Gy 조사 후 8시간째에 $52.3{\pm}7.8%$이었으나, $MRL/Mpj-Fas^{Ipr}$ 마우스는 같은 시간대에 $8.0{\pm}8.6\%$로서 $MRL/Mpj-Fas^{Ipr}$ 마우스에서 apoptosis의 유도 수준이 유의하게 대조군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유전물질의 발현에서 25 Gy 방사선 조사후 MRL/Mpj 마우스에서는 p53은 1시간부터 증가를 보여 8시간째에 최대치인 3배를 보였으며, $Bcl-A_L$과 $Bcl-X_S$은 1시간부터 증가를 보여 12시간째에 각각 최대치인 3.3배, 3배를 보였다. 그러나 Bcl-2와 Bax는 뚜렷한 증감을 보이지 않았다. MRL/Mpj 마우스에서 p53, $Bcl-X_L$ 및 $Bcl-X_S$ 등의 발현이 방사선에 의하여 유의하게 증가한 데 반하여 $MRL/Mpj-Fas^{Ipr}$ 마우스에서는 p53, Bcl-2, $Bcl-X_L,\;Bcl-X_S$ 및 Bax 등 분석한 유전자 산물 어느 것도 뚜렷한 증감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 Fas의 변이가 있는 Ipr 마우스에서 방사선에 의한 apoptosis가 대조군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고 이는 방사선에 의한 p53의 유도가 미약한 것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 Fas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Purpose : It has been recognized that interaction of the Fas : Fas lig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radiation-induced apopt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Fas mutation in radiation-induced apoptosis in vivo. Materials and Method : Mice with mutations in Fas, $MRL/Mpj-Fas^{Ipr}$, and its normal control, MRL/Mpj, were used in this study. Eight-week old male mice were given whole body radiation. After irradiation, the mice were killed and their spleens were collected at different time intervals. Tissue sample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 and the numbers of apoptotic cells were scored. Regulating molecules of apoptosis including p53, Bcl-2, Bax, $Bcl-X_L,\;and\;Bcl-X_S$ were also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 At 25 Gy irradiation, the level of apoptosis reached the peak value at 8 hr after radiation and recovered to the normal value at 24 hr after radiation in MRL/Mpj mice. In contrast, the peak apoptosis level appeared at 4 hr after radiation in $MRL/Mpj-Fas^{Ipr}$. At 8 hr after radiation, the levels of apoptosis in MRL/Mpj mice and $MRL/Mpj-Fas^{Ipr}$ mice were $52.3{\pm}7.8\%\;and\;8.0{\pm}8.6\%$, respectively (p<0.05). The expression of apoptosis regulating molecules, p53, $Bcl-X_L\;and\;Bcl-X_S$, increased in MRL/Mpj mice in response to radiation; p53 with a peak level of 3-fold at 8 h, $Bcl-X_L$ with a peak level of 3.3-fold at 12 h, and $Bcl-X_S$ with a peak level of 3-fold at 12 h after 25 Gy radiation. Bcl-2 and Bax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 in MRL/Mpj mice. However in $MRL/Mpj-Fas^{Ipr}$ mice, the expression levels of p53, Bcl-2, Bax, $BCl-X_L\;and\;BCl-X_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Conclusion : The level of radiation-induced apoptosis was lower in Fas mutated mice, Ipr, than in control mice. This seemed to be related to the lack of radiation-induced p53 activation in the Ipr mice. This result suggests that Fas plays an important role in radiation-induced apoptosis in vivo.

      • KCI등재후보

        절제 불가능한 췌장암의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

        김용배,성진실,송시영,박승우,서창옥,Kim, Yong-Bae,Seong, Jin-Sil,Song, Si-Young,Park, Seung-Woo,Suh, Chang-O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4

        목적 : 절제 불가능한 췌장암은 예후가 불량하여 효과적인 치료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emcitabine 또는 Paclitaxel과 5-Fluorouracil (5-FU)을 이용한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하여 치료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상적으로 혹은 개복수술 소견 상 절제 불가능한 췌장암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Gemcitabine 또는 Paclitaxel과 5-FU을 이용한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원발병소와 주위 림프절을 포함하여 5주 동안 45 Gy를 조사하였다. 이 기간동안 Gemcitabine $1,000\;mg/m^2$ 또는 Paclitaxel $50\;mg/m^2$의 매주 1회 주사 및 5-FU의 매일 경구 투여를 시행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6개월에서 36개월이었으며, 생존율은 Kaplan-Meier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1999년 1월부터 2001년 11월까지 본 치료법이 시행된 경우는 54예였으며, 이중 계획된 치료를 종료한 42예를 분석하였다. 남녀 비는 30 : 12였고 중앙 연령은 60세였다. 총 54예 중 치료 중 원격전이나 암종증(carcinomatosis) 등으로의 진행 6명$(50\%)$, 시작시 불량한 전신수행 상태 4명$(33.3\%)$, 병변과 무관한 병발질환 1명$(8.3\%)$, 치료 거부 1명$(8.3\%)$ 등으로 총 12예에서 치료가 중단되었다. 42명의 환자 중 40예에서 반응 평가가 가능하였으며 완전 관해 1예, 부분 관해 24예로 관해율은 $59\%$로 나타났다. 중앙 생존값은 12개월, 1년 생존율은 $46.7\%$, 2년 생존율은 $17.0\%$였다. Grade III 이상의 치료독성으로는 혈액학적 독성이 8예$(19\%)$, 오심, 구토 등의 비혈액학적 독성이 9예$(20\%)$이었다. 이중 2명은 치료독성에 의한 상부 소화기 출혈로 사망하였다. 결론 : 절제 불가능한 췌장암에서 Gemcitabine 또는 Paclitaxel를 이용한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은 관해율과 생존율에 있어서 효과적인 치료로 생각된다. 그러나 독성감소를 위한 연구가 또한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analyze the treatment results of concurrent chemoradiation with oral 5-FU plus Gemcitabine or Paclitaxel for unresectable pancreatic cancer. Materials & Methods :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by imaging modalities or by explo-laparotomy, were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ation. Radiotherapy was delivered to primary tumor and regional lymph nodes, and the total dose was 45 Gy. Patients received Gemcitabine $1,000\;mg/m^2$ or Paclitaxel $50\;mg/m^2$ weekly and oral 5-FU daily The total number of cycles of chemotherapy ranged from 1 to 39 (median, 11 cycles). The follow-up period ranged from 6 to 36 months, Survival was analyz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Results : Fifty-four patients between Jan. 1999 to Nov. 2001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orty-two patients who completed the planned treatment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The patients' age ranged from 37 to 73 years (median, 50 years)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30:12. Treatment was interrupted for 12 patients due to: disease progression for 6 $(50\%)$, poor performance status for 4 $(33.3\%)$, intercurrent disease for 1 $(8.3\%)$, and refusal for 1 $(8.3\%)$. Response evaluation was possible for 40 patients. One patient gained complete remission and 24 patients gained partial remission, hence the response rate was $59\%$. The survival rates were $46.7\%\;and\;17.0\%$ at 1 year and 2 years, respectively with a median survival time of 12 months. Patients treated with Paclitaxel showed superior outcomes compared to those patients treated with Gemcitabine, in terms of both response rate and survival rate although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Grade III or IV hematologic toxicity was shown in 8 patients $(19\%)$, while grade III or IV non-hematologic toxicity was shown in 5 patients $(12\%)$. Conclusion : Concurrent chemoradiation with oral 5-FU and Gemcitabine or Paclitaxel improves both the response rate and survival rate in patients with unresectable pancreatic cancer. A prospective study should be investigated in order to improve both the patient selection and the treatment outcome as well as to reduce the toxicity.

      • SCOPUSKCI등재

        에스자결장암에서 근치적 절졔술 후 방사선 치료의 역할

        박원,성진실,금기창,서창옥,이상욱,임지훈,민진식,노재경,김주항,정현철,이강규,김귀언,Park, Won,Seong, Jin-Sil,Keum, Ki-Chang,Suh, Chang-Ok,Lee, Sang-Wook,Lim, Ji-Hoon,Min, Jin-Sik,Roh, Jae-Kyung,Kim, Joo-Hang,Chung, Hyun-Cheol,Lee, Kang-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5 No.4

        목적 : 에스자결장암으로 진단 받고 근치적 절제술이 시행된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후 보조 요법으로서 방사선 치료의 역할을 평가하고자 하며, 방사선 치료를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의 재발 양상과 생존율을 비교하고, 방사선 치료를 추가함으로써 국소 제어율이나 생존율의 향상을 기대 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 1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연세 의료원에서 에스자결장암이라고 진단 받고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93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근치적 수술후 방사선 추가 여부에 따라 두 군으로 분류하였다. 에스자결장암으로 근치적 수술만 시행된 43례는 수술 단독군이라 하였고 수술후 보조 요법으로 방사선 치료가 추가된 50례는 방사선 치료군으로 분류하였다. 방사선 치료군에서 방사선 치료는 수술 후 1-2개월후부터 시작하였는데 원발 병소가 있었던 부위에 적어도 5cm의 여유를 두고 4 MV나 10 MV 선형 가속기를 이용하여 하루에 1.8Gy씩 50.4Gy-61Gy까지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은 5-Fluorouracil을 이용하여 32례에서 시행하였는데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예가 두 군간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과 : 5년 국소 제어율과 무병 생존율이 각각 $85.1\%,\;68.5\%$였다. 수술 단독군과 방사선 치료군의 국소 제어율은 각각 $75.2\%$와 $91.7\%$였다. MAC Stage C3에서 방사선 치료군이 수술 단독군보다 국소 제어율과 무병 생존율이 높았다(P=0.01, p=0.06). MAC Stage B3에서 방사선 치료군이 수술 단독군보다 국소 제어율이 더 높았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특히, 조직학적으로 원발 병소가 결장 주위를 넘어 다른 조직에 침윤이 있는 경우(Stage T4), 수술 단독군보다 방사선 치료군의 국소 제어율이 더 높았다. 결론 : 에스자결장암에서 근치적 절제술후 MAC Stgae B3, C3 -특히, 주위 조직에 조직학적으로 침윤이 있는 경우-에서 방사선 치료를 추가함으로써 국소 제어율을 높이고, 생존율의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겠다. 그리고 에스자결장암에서 근치적 수술후 방사선 치료의 역할을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향후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role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after curative resection of sigmoid colon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From 1988 to 1993, a total of 93 Patients with curative resectable sigmoid colon cancer of modified Astler-Coiler (MAC) stage B2, B3, C2, C3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n the basis of those who received radiation treatment and those who did not. Forty-three patients who treated by surgery alone were classified as postop RT (-) group The remaining 50 patients who underwent postoperative radiotherapy were classified as postop RT (+) group. In all patients in Postop RT (+) group. radiation therapy was delivered using 4 or 10 MV linear accelerators to treat the tumor bed with approximately 5cm margin to a total dose 50.4-61Gy(median 54Gy) in 1.8Gy per fraction. Thirty-two patients were treated. with 5-Fluorouracil based adjuvant chemotherapy at least 3 cycles. but thes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reatment failure Pattern, 5-year local failure-free survival rates (LFFS), and 5-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s (DF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sult : Five year LFFS and DFS were $85.1\%,\;68.5\%$, respectively, In Postop RT (-) group, LFFS was $76.2\%$ compared with $91.7\%$ in Postop RT (+) group. Improved LFFS and DFS were seen for patients with stage C3 sigmoid colon carcinoma with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compared with postop RT (-) group (P=0.01, p=0.06 respectively), in stage B3, LFFS washigher in postop RT (+) group than that in Postop RT (-) group. although itwas not significant. Especially, local control was higher in stage 74 inpostop RT (+) group than that in postop RT (-) group, Conclusion : This studv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LFFS and DFS in MAC Stage C3 and improved tendency of LFFS and DFS in MAC Stage B3 disease. Large scale prospective study is required to verify the role of adjuvant radiation therapy in resectable sigmoid colon cancer.

      • SCOPUSKCI등재

        국소적으로 진행된 담낭암에서 방사선치료의 역할

        신현수,성진실,Shin, Hyun-Soo,Seong, Jin-Sil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4

        목적 : 1990년부터 1996년 사이에 담낭암으로 진단받은 7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각 치료방법에 따른 생존율 및 예후인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 환자는 치료방법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는데, 1군은 고식적 수술 단독으로 치료한 27명의 환자가 포함되었고 2군은 고식적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 11명, 3군은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하여 조직검사나 우회수술(bypass surgery)만 시행한 환자 18명, 4군은 3군과 같은 수술 시행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던 환자 16명을 포함하였다. 대상환자의 연령은 35~80세(평균 63세)이었고 병기는 TNM 병기 및 Nevin 병기체계에 따라 분류하였는데, 대부분 병기 111 이상으로 진행된 병기임을 알 수 있었다. 고식적 수술이 시행되었던 38명중 11명에서 추가적인 방사선치료가 시행되었으며 수술이 시행되지 않은 34명중 16명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10 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종양 및 주변 림프절에 45$\~$61.2 Gy를 조사하였다. 항암약물치료는 5-FU를 근간으로 한 복합약제를 사용하여 25명의 환자에서 시행하였다. 결과 : 중앙 생존기간은 10.3개월이었으며 3년 생존율은 8.3$\%$ 이었다 치료방법에 따른 생존율을 살펴보면 고식적 수술 단독의 경우 3년 생존율은 2.5$\%$인 반면에 고식적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에는 45.5$\%$이었다. 치료를 시행하지 않았던 환자의 3년 생존율은 8.3$\%$이었고 방사선치료 시행한 환자에서는 13.1$\%$이었다. 각 군간의 생존율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09, p=0.022). 치료방법 이외에 의미있는 예후인자로서 단변량분석에서는 종양의 형태 및 TNM 병기이었고 다변량분석에서는 종양의 형태 및 황달 유무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방사선치료는 국소적으로 진행되어 근치적 수술이 불가능한 담낭암에서 생존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A retrospective review of 72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gallbladder carcinoma, between January 1990 and December 1996, was peformed. Survival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are analyzed for the patients treated with a various modalities. Materials and Methods :We patients were classified by treatment modality: group 1 included to 27 patients treated with palliative surgery alone, and group 2 for 11 patient treated with palliative surgery and radiotherapy; group 3 for 18 patients not treated by any treatment modality, and group 4 for 16 patients treated with radiotherapy alone. Age distribution ranged from 35 to 80 years with mean of 63 years. The stage was classified by TNM and Nevin's staging system; all patients had an advanced stage more than III. Palliative surgery was done in .: patients and adiuvant radiation therapy (RT) was followed in 11. For 34 patients, in whom no resection was tried, definitive RT was done in 16. Radiation delivered to tumor site and draining nodes up to 45~61.2 Gy using 10 MV linear accelerator. Chemotherapy was given to 25 patients with 5-FU based regimens. Results :Modian suwival time was 10.3 months and 3-year survival rates (3-YSR) were 13.0$\%$ in all patients. Survival rates according to the treatment modalities were as followed; in palliative surgery alone, 3-YSR was 2.5$\%$; in palliative surgery and adjuvant RT, 3-YSR was 45.5$\%$, in no treatment group, 3-VSR were 8.3$\%$; and definitive RT was 13.1$\%$. It was better survival in additional RT after palliative surgery group than palliative surgery alone (p=0.0009). It was better survival in definitive RT group than no treatment group (p=0.002).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univariate analysis were treatment moonlities, the type of tumor and TNM stag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multivariate analysis were treatment modalities, the type of tumor and the presence of jaundice. Conclusion : It is suggested that RT could be potentially of effective as adjuvant treatment modalities after palliative surgery or primary treatment for locally advanced and unresectable gallbladder carcino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