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COVID-19로 인한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현황 및 만족도

        성지현(Ji Hyun Sung) 고신대학교 전인간호과학연구소 2020 전인간호과학학술지 Vol.13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at a college of nursing to prepare and redesign nursing curriculum and pedagogical approach for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under COVID-19. Methods: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286 students at a college of nursing. Th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evaluation online survey for the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under COVID-19. The evaluation survey of the untact education consisted of three parts: 1) environmental status of untact education; 2) satisfaction of untact education; 3) demands on untact education. Results: The mean score on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untact educationa were 3.03±0.72. The highest rated items were achievement of learning objectives. However, intention of retaking classes online was low relatively. Moreover, the low rated items were policy of attendance, learner to learner interaction, and flow in learning.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imely important to redesign and prepare untact education under COVID-19. We need to try various strategies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o successful adjust college life for nursing students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by redesigning a curriculum and renovating online educational platforms based on social change and student needs.

      • KCI등재

        判断表現「-と見る」と「-고 보다」に関する日·韓対照研究 ― 判断主体に注目して ―

        成知炫 ( Sung Ji-hyun ) 한국일어교육학회 2022 일본어교육연구 Vol.- No.59

        本稿では、日本語の判断表現「-と見る」とその韓国語に当たる「-고 보다」について、誰の判断を表すかという判断主体に注目して、「-と見る」文と「-고 보다」文の主語の人称を比較し、それぞれの語彙的特徴を明らかにした。 「-と見る」の判断主体については、富坂(1999)に新聞テキストにおいて組織や組織の一員が多いという指摘があったが、実際にどのようなものが現れているか明らかでなかった。本稿では、新聞と文学というテキストの違いを考慮しながら実証的に調査した。その結果、「-と見る」は三人称主語の文に極めて多く現れ(95.3%)、「-고 보다」は一人称に最も多く現れている(62.2%)ことを指摘した。 また、三人称主語において、「-と見る」と「-고 보다」ともに組織、組織の一員、専門家、多数の人の例が共通して現れ、多くを占めている。しかし、「-と見る」の新聞テキストでは、組織の例が一番多く(55.2%)、捜査機関の例が多いことに比べ、「-고 보다」の新聞テキストの場合、新聞全体で組織の占める割合が高くない(19.2%)ことと、非捜査機関の例が多いことを違いとして指摘した。文学テキストでも、「-と見る」は歴史小説に多く現れ、歴史的な人物の判断が「-と見る」で示されていることが多いが、「-고 보다」では一個人の例が多いことを明らかにした。 一人称主語においては、「-と見る」の場合、全体の例が少なく、文学テキストでの一個人の例も2例にとどまっている。一方、「-고 보다」の場合、一人称主語の用例が最も多い。新聞テキストでは、社説、コラム、オピニオンに多く、文学テキストでは一個人の例が一番多い。二人称主語においては、「-と見る」の場合、用例がほとんどなく、まともな二人称主語の文ではないことに比べ、「-고 보다」の場合、新聞のインタビューや対談の会話文に現れ、まともな二人称主語の文であることを指摘した。 In this paper, the judgment expressions ‘to-miru’ and ‘ko-poda’ were considered, focusing on the subject of judgment. First, by examining whether the subject of judgment is the speaker (author), the listener (reader), or the third person, ‘to-miru’ appears frequently in the sentences of the third person subject(95.3%), and ‘ko-poda’ is the most common in the first person subject(62.2%). Second,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xts of newspapers and literature, this paper pointed out the lexic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at appear frequently in each person. In the third person subject, both ‘to-miru’ and ‘ko-poda’ have common examples of organizations, members of organizations, experts, and many people, and occupy most of them. In the text of newspaper of ‘to-miru’, the number of organizations is the largest(55.2%), and among them, there are many investigative agencies. On the other hand, ‘ko-poda’ does not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newspaper text(19.2%), and among them, there are many examples of non-investigative agencies as a difference. Even in literary texts, ‘to-miru’ often appears in historical novels, and the judgment of historical figures is often indicated by ‘to-miru’, but in ‘ko-poda’ there are many examples of one individual. Also, in the first person subject, ‘to-miru’ has few examples as a whole, and in literature one individual’s examples are only two. But ‘ko-poda’ has the most examples, especially in editorials, colums, and opinions of newspaper. In literary texts, there are many examples of one individual. In the second person subject, ‘to-miru’ has few examples and is not decent sentence, whereas ‘ko-poda’ appears in newspaper interviews and dialogues, and is decent.

      • KCI등재후보

        건강성인에서 MDR1의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심바스타틴의 대사의 차이

        성지현 ( Ji Hyun Sung ),한선숙 ( Seon Sook Han ),이미은 ( Mi Eun Lee ),하권수 ( Kwon Soo Ha ),김우진 ( Woo Jin Kim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7 No.2

        Background/Aims: Simvastatin has dramatically reduced cardiovascular disease due to elevated cholesterol. The human multidrug resistance 1 gene (MDR1) encodes a 170-kDa transmembrane glycoprotein (P-glycoprotein),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the absorption, distribution, and excretion of simvastatin. To clarify the effects of the MDR1 gene polymorphism on simvastatin pharmacokinetics, we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n association between genotype and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for simvastatin. Methods: Thirty-one healthy unrelated Korean volunteers were genotyped for MDR1. Genomic DNA from blood was analyzed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Following an overnight fast, all of the subjects took a single 60-mg oral dose of simvastatin. Venous blood samples were taken for 12 hours after the oral drug intake.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MDR1 genotype and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simvastatin was performed. Results: The mean Tmax of the 1236TT geno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T and CC (p=0.02). The mean AUC0-12h of 3435TT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CT and CC (p=0.0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MDR1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for G2677A/T and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lymorphic MDR1 genes are important in the inter-individual variation of the disposition of simvastatin in humans. (Korean J 77:211-217, 2009)

      • KCI등재

        의도를 나타내는 보조동사「~てやる」의 한·일대조연구

        성지현 ( Sung Ji Hyu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8 日語日文學硏究 Vol.106 No.1

        본 연구는 「~てやる」가 은혜, 불이익, 강한 의지라는 의지용법으로 쓰일 때, 각각에 대응하는 한국어 형식을 고찰한 것이다.종래의 연구에서는「~てやる」가 은혜 및 불이익의 용법에서는 「~てやる」가 「-어주다」에 대응하고, 강한 의지의 용법에서는 대응하지 않는다는 지적에 머물러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은혜, 불이익, 강한 의지 각각이 실제로 어떠한 형식에 대응하는 지에 대하여, 「~てやる」가 회화문에서 쓰일 때와 내적발화 및 혼잣말로 쓰일 때를 구분하여 고찰한 결과 아래와 같은 내용이 밝혀졌다.은혜 용법에 대응하는 한국어는「-어주지」가 가장 많았으며, 「-어주지」및「-어줄테니」「-어줄게」「-어주마」가 은혜 용법의 절반 정도(46.3%)를 차지하고 있었다. 「-어주다」에 대응하지 않는 형식으로는「-겠-」이 가장 많이 나타나 있었다.불이익 용법에 대응하는 한국어는「-어주겠다」가 가장 많았으며, 「-어주지」「-어줄테니」「-어주마」등이 나타나 있었다. 그러나, 은혜의 용법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했던 「-어줄게」는 나타나 있지 않았다. 이에 대해 「-ㄹ게」가 청자에게 이로운 사실을 약속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임을 설명하였다. 「-어주다」에 대응하지 않는 형식으로는 「-ㄹ것이다」가 가장 많았다.강한 의지 용법에 대응하는 한국어는「-ㄹ거야」「-겠-」등이 나타나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연구에서는 강한 의지용법의 경우 「~てやる」가 「-어주다」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지적 되어왔으나, 독백이나 혼잣말에서 사용되는 「~てやる」중에서「-어주다」에 대응하는 예(「-어주지」「-어주겠다」)가 있음을 실제 용례를 통해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 form corresponding to “te-yaru,” which appears in the sentences implying the speaker’s offering, warning, or strong intention. Previous researches have focused only on whether or not “te-yaru” corresponds to “eo-juda.” In this study, by analyzing extensive corpus from novels, essays, and dramas and by separating the usage in monologue from that in dialogue, we extend the previous researches and show the followings.First, we show that in the sentence implying the speaker’s offering “te-yaru” corresponds to “eo-juji,” “eo-julteni,” “eo-julge,” “eo-juma,” in half of the cases we analyzed. The sentences in which “te-yaru” corresponds to “eo-juji” appeared most frequently.Second, we show that in the sentence implying the speaker’s warning “te-yaru” is not translated to “eo-julge,” which appears frequently in the sentences implying the speaker’s offering. In such sentences, “eo-jugetta” and “eul-ge” are chosen for “te-yaru.”Last,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e-yaru” does not correspond to “eo-juda,” when it means strong will. However, we show that several counterexamples when “te-yaru” is used in monologues.

      • KCI등재후보

        폐암환자 증상관리를 위한 전화상담 가이드라인 개발 예비 조사

        성지현(Sung, Ji Hyun),김민영(Kim, Min Young),황옥희(Hwang, Ok Hee),유한진(Yoo, Han Jin),이은자 대한종양간호학회 2010 Asian Oncology Nursing Vol.10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telecommunication guideline that was possible to make the immediate,logical decisions an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the use by verifying it from the specialists’ group. Methods: Telecommunication guideline was designed with selected six symptoms which were pain, dyspnea, nausea/vomiting, diarrhea,fever, and cough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sults: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tients understood well about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examination, and education. Also, 85% of them fulfilled the guidelines of the adjustment and more of them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shown to all of them compared to the previous telecommunication. And 95%of them replied that the information from the telecommunication was more useful than any other information sources related to the information of cancer and self management that were used previously. Conclusion: The telecommunication was considered to complement the weakness during the time the cancer patients spent at home after the treatments. Also,it was expected to be a role as an immediate and comprehensive method of decision making and a passage for information supply which was considered the specialty of individual patient related to an inquiry of the self management. 본 연구는 폐암 환자가 경험하는 증상 중 전화 상담 문의가많은 증상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즉각적, 논리적 의사결정이 가능한 증상관리 전화상담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예비 조사연구다. 예비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이를 전문가 그룹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그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문헌고찰 및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호흡곤란, 오심/구토, 설사, 발열, 기침의 5가지 증상을 추출하여 이에 대하여 예비 폐암환자 증상관리를 위한 전화상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고, 이후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 및 수정 보완 과정을 거쳐 최종 전화상담 가이드라인을 확정하여, 3월 1일부터 15일까지 15일간 환자에게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1)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를 받는 폐암환자의 전화 다문의 증상은 통증(83.3%), 발열(75.0%), 호흡곤란(70.8%), 오심/구토(70.8%), 설사(62.5%), 기침(50.0%) 순이었다. 2) 다문의 증상 중 관리지침이 개발되어 있는 통증을 제외한5개 증상에 대하여 Telephone Nursing Practice and Symptom Management Guidelines6) 및 Telephone Triage6)를 기초로 예비 전화상담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고, 이후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거쳐 수정 보완하여 각 증상별로 정의, 사정(일반적 정보, 증상정보), 지침적용(A: 즉시 응급실 방문, B: 빠른 외래 방문, C: 예정일 방문), 교육내용으로 분류하여 최종 전화상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최종 전화상담 가이드라인은 호흡곤란은 사정 11항목, 지침적용 6항목, 교육내용 11항목으로 하였으며, 오심/구토는 사정13항목, 지침적용 11항목, 교육내용 8항목으로 하였고, 설사는사정 16항목, 지침적용 12항목, 교육내용 9항목으로 하였고, 발열은 사정 12항목, 지침적용 9항목, 교육내용 7항목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침은 사정 10항목, 지침적용 9항목, 교육내용4항목으로 구성하였다. 3) 전화상담 가이드라인 평가는 6개 항목, 즉 이해정도, 원하는 정보 획득 여부, 제공된 정보의 정확도/신뢰도, 전반적 만족정도, 재이용 의사, 기존 정보와 비교 시 전화상담의 도움 정도로 분석하였으며 평가 항목 중 가장 높은 평균 평점을 보인 항목은‘전반적 만족정도’와‘재이용 의사’로 각 평점 평균은 4.80±.40이었다. 4) 전화 상담 가이드라인 적용 대상자는 20명이었고, 증상별로 보면 오심/구토 7명, 발열 6명, 호흡곤란 4명, 기침 3명, 설사 0명이었다. 권고를 받은 지침에서‘원하는 정보획득 여부’에 따라 이행정도에 차이가 있었으며(t=4.400, p<.001), 또한‘제공된 정보의 정확도/신뢰도’에 따라 이행정도(t=-2.400,p<.05)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전화 상담결과‘즉시 응급실 방문’이 요구되었던 대상자는 4명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권고를 받은 지침을 이행하여 응급실을 방문하였고, 이 중 3명은 입원 지시되었으며, 1명은 특수 영상검사가 필요하여 이를 시행하고 관련 약제 처방 후 귀가조치 되었다. 결론적으로 전화상담 가이드라인은 암환자가 치료 후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 동안의 취약함을 보완해 줄 뿐 아니라 증상관리 문의와 관련하여 개별 환자의 특수성이 고려된 즉각적이고이해하기 쉬운 의사결정도구와 정보제공 통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성평등의식, 진로정체감, 의사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지현(Ji Hyun Su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6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평등의식, 진로정체감, 의사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19년 9월 20일- 10월 14까지 B시 소재 간호대학생 15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검정, ANOVA 및 Scheffé test, Pearson s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종교 유무, 입학 동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진로정체감(r=.643, p<.001), 의사소통능력(r=.605, p<.001)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능력 (β=.482, p<.001), 진로정체감(β=.410, p<.001)으로 나타났다. 이 변인들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총 설명력은 56.7%였으며 의사소통능력이 가장 주된 영향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위해 간호교육과정에 의사소통능력 및 진로정체감 증진을 위한 교과 또는 비교과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노력 및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gender equality, vocational identity, and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GICC)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with 151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using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uring September to October,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College life adjustment level of the participant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religion, reasons for applying in nursing school.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vocational identity, GICC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were GICC and vocational identity. These variables explained 56.7% of the variance in college life adjustment. The findings show tha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or extracurricular programs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and vocational identity are crucial for improving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Moreover, it is need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se program in further study.

      • KCI등재

        유아의 연령과 놀이 영역에 따른 유아-보육교사 상호작용과 유아 언어 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성지현 ( Ji Hyun S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유아의 연령과 놀이 영역에 따른 유아-보육교사 상호작용과 유아 언어발달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언어영역과 쌓기영역에서 만 2세 영아 23명과 만 3세 유아 22명이 담당교사와 상호작용 하는 것을 약 20분 동안 비디오로 녹화하고 실시간 코딩방법으로 이들의 상호작용을 코딩하였다. 유아의 언어발달 수준은 아동발달검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반복측정식 M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유아의 연령 및 놀이 영역에 따라 유아와 보육교사의 상호작용 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놀이영역에 따라 유아의 상호작용과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은 서로 다른 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유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언어표현과 언어이해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언어표현 발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언어 이해에는 유아의 상호작용이 교사의 상호작용보다 상대적으로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toddler-child care provider interactions on toddlers` languag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age of the toddler and the play area in which the interactions occur. During free activity time in both the language area and in the building block area, interactions of about 20 minutes duration between 45 toddlers (23 two year olds and 22 three year olds) and their teachers were video recorded and coded using second-by second coding. Toddlers` language development was measured by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Developmental Inventory (Kim, & Shin, 2006).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repeated MANOVAs, correlation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reve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ddler-child care provider interactive behaviors depending on toddlers` age and play areas. The associations between toddlers` and child care providers` interactive behaviors in the different play areas were different. Lastly, the regression results reveal that the interactive behaviors on the part of the toddlers` was more influential on their language understanding development than were the interactive behaviors of the teachers. However, with regard to the expression of the toddlers` language, the regression model revealed no significant influences.

      • SCOPUSKCI등재

        폐암 세포주에서 광역학 치료에 의한 유전자 발현 분석

        성지현 ( Ji Hyun Sung ),이미은 ( Mi Eun Lee ),한선숙 ( Seon Sook Han ),이승준 ( Seung Joon Lee ),하권수 ( Kwon Soo Ha ),김우진 ( Woo Jin Kim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3 No.1

        연구배경: 광역학 치료는 폐암 치료에 실질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많은 연구들에서 폐암 세포에서 세포사멸을 일으킨다는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세포사멸의 기전은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이에 암세포의 전사에서 초기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방법: 광과민성 물질인 DH-I-180-3으로 A549 세포에 처리를 하고 광역학 치료를 한 후 관찰하였다. 광역학 치료 후 DEG kit를 이용하여 폐암 세포주에서의 유전자 발현을 보았으며,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세포 사멸을 측정하였다. 광역학 치료 후 의미있는 변화를 보인 유전자는 염기서열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유세포분석 결과 폐암세포주는 대부분 세포괴사에 의하여 사멸되었다.광역학 치료 후, 9개의 유전자에서 명확한 변화가 있음을 발견했으며 이 중 8개의 유전자를 밝혀내었다. 3-phosphoglycerate dehydrogenase와 리보솜 단백질 S29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어 있었으며, carbonic anhydrase XII, clusterin, MRP3s1 protein, complement 3, membrane cofactor protein, β-1 integrin의 유전자 발현은 감소되어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광과민성 물질인 DH-I-180-3을 이용한 광역학 치료에서 폐암 세포의 세포사멸의 주된 기전이 세포괴사에 의해 이루어 진 것임을 밝혀냈으며, 이와 관련된 유전자들 대부분이 막단백의 변화를 통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Photodynamic therapy is a viable option for lung cancer treatment, and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it is capable of inducing cell death in lung cancer cells. However, the precise mechanism of this cell death has not been fully elucidated. To investigate the early changes in cancer cell transcription, we treated A549 cells with the photosensitizer DH-I-180-3 and then we illuminated the cells. Methods: We investigated the gene expression profiles of the the A549 lung cancer cell line, using a DEG kit, following photodynamic therapy and we evaluated the cell viability by performing flow cytometry. We identified the genes that were significantly changed following photodynamic therapy by performing DNA sequencing. Results: The FACS data showed that the cell death of the lung cancer cells was mainly caused by necrosis. We found nine genes that were significantly changed and we identified eight of these genes. We evaluated the expression of two genes, 3-phosphoglycerate dehydrogenase and ribosomal protein S29. The expressed level of carbonic anhydrase XII, clusterin, MRP3s1 protein, complement 3, membrane cofactor protein and integrin beta 1 were decreased. Conclusion: Many of the gene products are membrane-associated proteins. The main mechanism of photodynamic therapy with using the photosensitizing agent DH-I-180-3 appears to be necrosis and this may be associated with the altered production of membrane proteins. (Tuberc Respir Dis 2007; 63: 52-58)

      • KCI등재

        판단표현 「と思う」와「と見る」에 관하여 -출현장르에 따른 문법적 특징을 중심으로-

        성지현 ( Sung Ji-hyu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1 日語日文學硏究 Vol.119 No.-

        본고에서는 신문, 잡지, 문학작품 등 다양한 장르에서 수집한 실제 용례를 바탕으로 「と思う」와「と見る」의 차이점을 밝혔다. 첫째, 「と思う」는 문학에 가장 많이 나타나 있는 데 비해, 「と見る」는 신문의 예가 가장 많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と見る」가 객관적인 판단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출현 장르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둘째, 「と見る」는 제삼자의 판단을 나타내는 3인칭 주어가 압도적으로 많았다(전체의 92.5%). 구체적으로는, 신문의 경우 조직 및 조직의 일원의 예가 92.2%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반면, 잡지와 문학의 경우, 조직 및 조직의 일원의 예는 30.4%(잡지), 10.6%(문학)에 그쳤고, 판단주체가 일반인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는 사실(잡지의 47.8%, 문학의 48.0%)을 새롭게 지적하였다. 이는 「と見る」가 조직 및 조직의 일원으로서 내리는 객관적 판단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상식에 근거한 객관적 판단을 나타내는 경우를 밝힌 것으로 큰 의의가 있다. 이에 비해「と思う」는 화자의 주관적인 판단을 나타내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70.6%), 3인칭 주어의 경우도 판단주체로 쓰인 명사는 순수한 개인으로, 작가의 시점에서 제삼자의 판단을 기술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と思う」의 인용절에는 「~たいと思う」「~しようと思う」「~しろと思う」등 과같이 희망, 의지, 명령 등 주관적인 내용이 올 수 있으나, 「と見る」에는 그러한 내용이 오지 못한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또한, 「と見る」의 경우 「と見ていい」「と見ていいだろう」「と見て正しい」「と見て差支えない」「と見ることができる」「と見るべきだ」「と見ることができる」등 허가표현, 가능표현, 당위표현이 이어져 판단내용을 일반적인 견해로 제시하는 경우가 다수 나타나 있었다. 반면에 「と思う」에는 그러한 표현이 나타나 있지 않았으며, 「と思って、~した」「と思う。」와 같이「と思う」가 개인적인 의견임을 명시하는 것에 그쳤다. In this paper, we clarified the difference between "to-omou" and "to-miru" based on examples collected from various genres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and literary works. First, we found that "to-omou" has the most examples of literature, while "to-miru" has the most examples of newspapers. This is significant as proof through the appearance genre that "to-miru" expresses an objective judgment. Second, regarding the subject of judgment of "to-miru", in the case of newspapers, organizations and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ccount for 92.2%. In the case of magazines and literature, the subject of judgment is the general public and often does not appear as the subject (magazines 47.8%, literature 48.0%). On the other hand, "to-omou" most often expressed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speaker, and in the case of the third person subject, the noun used as the judgment subject, where the noun was used to portray a pure individual, and it often described the judgment of a third person from the writer's point of view. Third, in the quoted clause of "to-omou", subjective contents such as hope, will, command may be included, but, this content does not appear in "to-miru". In addition, in the case of "to-miru", it is followed by permission, possible, and purposeful expressions, and many of them present the content of judgment as a general opinion. On the other hand, "to-omou" does not continue to have such expressions, and many of them are stated as individual opin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