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0년 이후 중.고등학교 시설의 건축 특성 연구 -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우수시설학교' 수상작을 중심으로 -

        성은영,양상현,Seong, Eun-Young,Yang, Sang-Hyun 한국교육시설학회 2012 敎育施設 Vol.19 No.1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school are changing according to various future-oriented education models such as open-ended learning cycle, community learning center, re-schooling, network system and de-schooling, which reflect recent social demands related to discussions on sustainability, low birth rate and ageing. what changes to our school buildings have been there? This study is aimed that shows the architectural change of school buildings and environments in 2000's. It reveals the architectural tendancy through some school buildings, 'the excellent facility school award' winner which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ve chosen annually since 1998. In the past decade, it is outstanding change that mass composition, window patterns and exterior wall materials are diversified greatly. The most of them have a opened main hall and multi-purpose spaces which give effective educational environment to students. Although visual changes are outstanding, we still need qualitative educational space program and improved school building design according to future-educational demands.

      • KCI등재

        메이커교육이 협동학습 및 폐기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예비유아교사의 가치지향성에 따른 차이 분석

        성은영(Sung, Eun Young),최승연(Choi, Seung Y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메이커교육을 운영한 후 협동학습 및 폐기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예비유아교사의 가치지향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총 36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메이커교육을 적용하였고, 협동학습과 폐기학습역량에 대한 전 ·후검사 t-test를 통해 그 영향을 검증하였다. 사전검사 시 가치지향성 검사를 함께 실시하였고, 개인의 가치지향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의 영향을 통제하고 사후검사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메이커교육은 협동학습역량 전체와 모든 하위요인 및 폐기학습역량 모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가치지향성에 따라 협동학습역량 전체와 하위요인인 안정감, 폐기학습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메이커교육은 시대가 요구하는 역량을 지닌 인재 양성에 효과적인 교육적 대안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메이커교육 적용 시 학습자의 가치지향성을 고려할 때, 교육적 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s of maker education on cooperative learning and unlearning competencies and the effect on the value orient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this end, the maker education was applied on 3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ts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pre and post t-tests on cooperative learning and unlearning competencies. Value-orientation tests were performed pretest.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individual"s value orientation, covariate analysis (ANCOVA) was conducted to control the effect of pretest score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posttest. As a result, first, maker educ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ll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ies, all sub-factors, and unlearning competencies. Second, according to the value orient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sub-factor stability, and unlearning competency. Through thes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maker education has the value of establishing itself as an effective educational alternative to foster talents with the capabilities required in this times period. In addition, considering the value orientation of learners when applying maker education, this study implicates that educational effects can be improv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제품의 시각적 제시방법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성은영(Sung, Eun Young),윤성아(Yoon, Song Oh)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5

        본 연구는 제품의 시각적 제시방법이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색상(color)에 중점을 두어, 광고에서의 흑백/컬러 이미지 사용이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제품에 대한 고정관념(stereotype)에 의거한 평가를 강화 또는 약화시킬지를 알아본다. 소비자들은 브랜드를 평가할 때 자신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인 브랜드 이미지에 의해 평가를 하기도 하고, 마케터들이 제시한 구체적인 제품정보를 사용해 평가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해석수준이론(Construal Level Theory)에 기반하여 흑백 이미지는 소비자로 하여금 추상적인 정보처리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이는 추상적인 브랜드 이미지에 의존한 평가를 강화시킴을 예측한다. 이에 반해, 컬러이미지는 소비자로 하여금 구체적 정보처리 모드를 활성화시켜, 구체적인 제품정보에 의존한 평가를 강화시킴을 예측한다. 본 연구의 실험은 가설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가설과 마찬가지로, 제품정보의 영향력은 이미지의 색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색상은 소비자의 정보처리 모드와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색상에 의한 제품평가의 차이가 단순히 광고에 대한 태도나 소비자의 주의력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In this research we examine the effect of visual presentation on brand evaluation. Particularly, we investigate whether and how the presentation of products using color versus black and white will affect consumer’s reliance on well-established brand stereotype in brand evaluation. In many product evaluation consumers rely both on brand stereotype one possesses prior to the evaluation or more specific and diagnostic product information provided on the spot (e.g., advertisement. We show that the degree to which consumer relies on brand stereotype versus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depends on the color presentation of the product. Specifically, the product image in Black and White versus color will trigger an abstract construal mode, causing consumers rely heavily on abstract brand image (i.e., brand stereotype). On the contrary, when the product image is presented in colors it will promote a concrete construal mode, leading to heavier reliance on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We test these hypotheses through a lab study and we show results consistent with our hypothesis. Furthermore, the results reveal that that these effects are not attributed to different liking of, or attention toward the image.

      • KCI등재

        만 1세 신입영아교사의 어려움 탐색

        성은영 ( Eun Young Sung ),최승연 ( Seung Yeon Choi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만 1세 신입영아교사들이 겪는 실제적 경험의 사례들을 통하여 어떠한 어려움의 요소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영아교사에게 직전교육이나 현장에서 어떠한 지원전략들이 마련되어야 할지를 고찰해 보고자하였다. 만 1세를 담당하고 있는 신입영아교사 3인을 대상으로 4개월간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범주화 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영아교사는 영아의 요구를 이해하는 것에서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러한 어려움은 영아의 표현 언어의 한계와 월령에 따른 급격한 행동변화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입영아교사는 영아의 발달특성과 월령에 따른 편차, 그리고 다양한 딜레마 상황에서 영아지도의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입영아교사는 동료 경력교사와 소통 및 철학의 불합치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입영아교사는 부모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observes through actual cases what factors of difficulty are experienced by beginning infant teachers who teach 1 year olds and through analysis processes, examines what supportive strategies must be provided to infant teachers in preservice education and in the field. In pursuit of these study objectives, the following key question is explored, ‘What factors of difficulty are experienced by beginning infant teachers who teach 1 year olds?’. After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over a period of 4 months on three infant teachers who teach 1 year olds, then categorizing, and analyzing the data,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irst, there were difficulties for beginning infant teachers in understanding the infants’ demands and such difficulties arose from limitations in the expressive language of infants and rapid changes in behavior according to monthly age. Second, beginning infant teachers were having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deviations according to monthly age, and infant guidance in various dilemmas. Third, beginning infant teachers had difficulties due to discordance in philosophies or communication with experienced colleagues. Fourth, beginning infant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parent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 특성 및 교수수행 과정에서의 어려움 탐색

        성은영(Sung Eun-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실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유아교시의 교육신념 특성과 교수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을 분석하여 직전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실습지도교사의 수업과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기초로 저널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교사의 역할, 학습 제시 방법 상호작용형태에서 상호작용주의 교육신념 특성을 나타내었고 교수 수행에서는 유아 주도와 교사 조도의 통합, 유아의 능동성 인정과 실습지도교사의 교육신념 및 실제 등에 영향을 받는 것이 원인이 되어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직전교육에서는 보다 많은 현장 사례를 활용하여 신념과 관련한 정확하고 체계적인 교육을 실행하고 반성적 저널쓰기 및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시에 실습지도교사와의 협의 및 재교육들을 병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beliefs and difficulties in the teaching of pre-service teachers and to provide guidelines on pre-service. Six pre-service teachers who agre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selected, During practice teaching, each pre-service teacher wrote in a reflective journal after visiting a model teacher's lesson and taking part in an all-day less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flective journals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included interactions in their presentation methods of study, forms of interaction, and methods of study. Pre-service teachers were influenced by the model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had two difficulties, which were found to be a lack of experience and multiple perspectives. Based on the information accumulated, the study suggests that pre-service teachers must make full use of available cases, study in connection with their educational beliefs, and receive feedback in pre-service educa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 대상 메이커 교육 모형 적용에 따른 변화 탐색

        성은영(Eun Young Sung),최승연(Seung Yeon Choi) 한국보육지원학회 2020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6 No.2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maker-education for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explore changes and for the results to be used as a basic data to study the utilization of maker-education. Methods: To that end, 36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attending nursery school applied to the maker-education program and to the curriculum of children s literature and play. The collected interview materials and student journal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started with mixed expectations and but then actively participated in worries classes with interest and had fun. Also, in the stage of sharing, they changed from having difficulty communicating with colleagues to developing an attitude of cooperation and unity through communication.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from feeling the difficulties of planning, planning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directly related to their development and that they are quickly and wisely dealt with. Conclusion/Implications: It is recognized that there is a need for a follow-up study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as meaningful implications are derived from the effects of positively accepting feedback, planning to attempt a step-by-step approach, and active attitude toward communication between colleague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발문 개선을 위한 수업 전사의 활용 방향 탐색

        성은영(Sung Eun-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6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의 발문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에서 수업 전사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과 3학년에 재학 중인 17명의 예비 유아교사로 하여금 2007년 4월 9일부터 5월 4일까지 수업에서 자신이 수행한 발문을 전사 및 수정하고 저널을 작성하도록 한 후, 이 과정에서 얻게 되는 경험과 나타나는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수업전사를 통해 사전 발문교육 내용을 근거로 유아와의 언어 상호작용 및 수업 흐름에서 나타나는 발문의 문제점을 인식하는 동시에 문제점에 대한 나름대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였고 담임교사의 평가와는 다른 측면에서 나타나는 발문에서의 부족한점을 스스로 알아낼 수 있었다. 그러나 잘못된 수업 계획이 원인이 되어 발문과 언어 상호작용에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 수업 전사 자료를 통해 그 정확한 원인을 찾아내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에는 한계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직전교육에서 수업 전사를 활용하여 발문교육을 할 때에는 발문 이론교육이 선행되어야 함은 물론이거니와 수업계획 단계에서 구체적인 수업 목표를 세우고 그에 알맞은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을 선택하는 것에 대한 사전 교육이 체계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directions for pre-service teachers to effectively use teaching transcripts in pre-service questioning education. For this purpose, seventeen pre-service teachers transcribed their questions, revised their teaching transcripts, and wrote journals. The results of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teaching transcripts, teaching transcript reform and journals were as follows: 1)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problems in their questioning and found various solutions for problems by focusing on the knowledge of questioning and the student's responses, and were able to judge their questioning problems in teaching without relying on model teachers’ judgment. 2) Pre-service teachers found various solutions for problems by focusing on children’s responses, but were not able to discover exact causes or solutions in the cases of questioning problems with teaching plans.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study suggests that pre-service teachers must 1) learn the knowledge of questioning; 2) receive training in organizing a logical plan of instruction and be taught that when using transcripts, they must check their teaching plans prior to teaching; 3) receive a questioning program step-by step over several semesters.

      • KCI등재

        개정 누리과정 교사교육 방향 모색을 위한 보육교사의 어려움 탐색 - 공공형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성은영(Sung, Eun-Young)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공공형 어린이집 교사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을 탐색한 후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개정 누리과정의 효과적 실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사교육 내용이나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공공형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집단 면담과 개인 컨설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놀이 인식과 실행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였고 놀이 실행에서는 시-공간의 제약과 학부모의 요구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개정누리과정 교육에서는 교사의 역할 수행과 관련된 놀이 실행에서 지침과 함께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고 놀이이해를 위해 소수의 아이들에 대한 관찰 사례나 공간의 재구성 방법 등 교실 안에서 다양한 에피소드가 동시에 발생할 수 있음을 감안한 사례들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기관의 협소한 공간 문제 해결 방안과 다양한 교수전략을 포함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eachers’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that can help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after exploring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who are implementing the revised Nuri curriculum. To this purpose,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consulting were conducted with 10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public type of childcare cent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play recognition and execution and were affected by time-space constraints and parental demands. Based on this, in the revised Nuri Curriculum education, specific examples are presented along with guidelines for play execution related to the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in addition to the play cases presented for understanding play, various episodes in the classroom such as observation cases of a small number of children and methods of reorganizing the space are presented. It is necessary to present cases that consider that they may occur simultaneously.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including various teaching strategies and a solution to the narrow space problem of the institution we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