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산 자두 주요 품종의 일반성분 및 이화학적 성분 특성

        성윤정,김영찬,김미연,이주백,정신교,Sung, Youn-Jung,Kim, Young-Chan,Kim, Mi-Yeon,Lee, Joo-Baek,Chung, Shin-Kyo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2 한국농화학회지 Vol.45 No.3

        자두 후무사(포마사)와 대석조생 품종의 일반성분 및 이화학적 성분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으로 후무사와 대석조생의 조지방과 가용성무질소물은 약간의 차이가 있었고 수분, 조단백, 조섬유와 조회분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식이섬유의 함량은 품종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가용성과 불용성 식이섬유의 비율이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두의 무기질 총 함량은 후무사가 30 mg%, 대석조생이 17.99 mg%로 후무사가 조금 많았고, 주된 무기질은 황(5), 칼륨(K), 마그네슘(Mg) 순이었다. 유리당 중 후무사는 fructose의 함량이 높았고, 대석조생이 sucr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유기산의 총함량은 대석조생이 높았으며, 과육에 있어서 주된 유기산은 malic acid였고, 과피에 있어서는 후무사는 citric acid, 대석조생종은 malic acid가 주된 유기산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두 품종 모두, glutamic acid, alanine, ${\gamma}-aminoisobutyric$ acid, serine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두 품종이 비슷하였다. Approximate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2 cultivars of plum (P. salicina), Humoosa and Daeseok, were examined. The contents of crude fat and N-free extract were different between 2 cultivars. Total mineral contents of Humoosa and Daeseok were 30.00 and 17.99% respectively, and S, K and Mg were major minerals in both cultivars. Humoosa has higher contents of fructose whereas Daeseok has higher contents of sucrose. Major organic acid in flesh was malic acid. While citric acid was major organic acid in the peel of Humoosa, malic acid was major in the peel of Daeseok. Glutamic acid, alanine and ${\gamma}-aminoisobutyric$ acid were major free amino acid in both cultivars and their total contents were about the same.

      • KCI등재

        공감척도를 활용한 공감 디자인 개념 연구

        성윤정(주저자) ( Yun Jung Sung ),김희(교신저자) ( Hee Kim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2 No.-

        본 연구는 공감 디자인의 개념 정립을 위한 기초작업으로 예술창작행위에 수반되는 정서적 교감의 소통성을 디자인 사고의 관점에서 규명한다. 이를 위해본 연구는 심리학의 공감척도(Empathy Scale)를 활용하여 정서적 교감의 관계성을 예술창작행위의 소통 기능에 대비시켜 디자인적 사고로 활용 가능한 공감 개념을 도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Carl R. Rogers와 Irving &Dickson의 견해를 확대발전시킨 Mark H. Davis의 공감척도를 활용하여 진행된다. 이 점에서 필자는 디자인 개념으로 활용 가능한 공감의 내용을 도출하기 위해 공감척도 항목을 4단계로 나누고 디자인적 사고에 해당하는 감성적 내용을 도출하기 위해 항목에 대한 수정 및 보완 작업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감성적 공감의 내용은 크게 인지적 측면과 감성적 측면 2가지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인지적측면에 해당하는 내용은 집중과 몰입, 평온, 가상, 동화, 동정, 연민의 감정이입이고, 정서적 측면에 해당하는 내용은 신뢰, 진실, 관용, 관점, 화합, 사용자의 관심을 유발하는 친근함, 상대방의 마음읽기, 고통, 불안, 두려움, 소외, 자제심이다. 더욱이 이와 같은 공감의 내용을 정서적 교감의소통에서 본다면 공감 디자인에서 감정이입(동일시)과 마음읽기는 공감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 groundwork for establishing an idea of empathy design, and tries to investigate emotional communion involved with artistic creation in terms of a perspective of design conception. Availing of empathy scale in psychology, this paper seeks to draw the conception of empathy applicable to creative thinking in design through contrasting relations of emotional communion with communicative functions of artistic creation Such a process to derive a conclusion runs with Mark H. Davis’ empathy scale developed from Carl R. Rogers’ and Irving & Dickson’s idea. In this respect, I categorize contents of empathy scale as 4 stages to reason out substance of empathy, which is possible to be applied to design concept, and also conduct modification as well as supplementation of the contents in order to derive sentimental contents corresponding to thinking in design. As a result, the contents of emotional empathy divides into a cognitive dimension, and sentimental dimension. The former includes concentration, tranquility, imagination, assimilation, and empathy of pity. The later represents trust, truth, tolerance, perspective, harmony, familiarity intriguing a user’s interest, readings of a user, pain, anxiety, fear, alienation, and self-control.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empathy in a communicational view of emotional communion, empathy and readings of one’s mind are critical elements for increasing a degree of empathy in empathy design.

      • KCI등재

        만 65세 이상 노인의 인지기능과 키오스크(KIOSK) 사용능력의 상관관계

        성윤정(Sung, Yoon-Jeong),이원우(Lee, Won-Woo),서가현(Seo, Ga-Hyeon),임진서(Lim, Jin-Seo),전성원(Jeon, Seong-Won),양영애(Yang, Yeong-Ae)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19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1 No.2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의 키오스크 사용능력을 알아보고, 노년층의 전반적인 인지기능과 키오스크 사용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J복지관을 이용 중인 만 65세 이상의 노인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인지기능평가는 전반적인 인지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CERAD-K를 사용하였고, 키오스크 사용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키오스크의 대체앱인 맥딜리버리 앱을 사용하여 수행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 CERAD-K의 9가지 항목 중 언어지연회상항목과 삽화기억능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키오스크 사용능력이 높았다. 또한, 간이 정신상태 검사 항목에서 요구되는 종합인지능력과, 지남력, 집중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키오스크 사용능력이 높았다. 결론 : 인지기능의 여러 영역 중에서 종합인지능력, 지남력, 집중력, 언어적 지연 회상 능력, 삽화기억능력이 만 65세 이상 노인의 키오스크 사용 능력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s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kiosk skills of elderly and to help the participate in society smoothly.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who are currently attend at J Welfare Center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CERAD-K was used to evaluate cognitive functions and McDelivery application was used to evaluate performance of Kiosk usage. The SPSS ver. 25.0 were used for analysis the data. Results : Those who have higher ability to recall and semantic memory skills performs better in usage of kioks. Also, for those with higher comprehensive cognitive skills such as orientation and attention performs better in usage of kioks. Conclusion : The comprehensive cognitive function such as orientation and attention, ability to recall, and sementic memory skills influenced the performance of kiosk usage of elderly.

      • KCI등재

        인지 증진을 위한 보드게임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성윤정(Sung Yoon-Jeong),곽대원(Gwak Dae-Won),이대균(Lee Dae-Gyun),김민주(Kim Min-Ju),신선미(Shin Seon-Mi),양영애(Yang Yeong-Ae)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보드게임을 직접 개발하여 보드게임이 인지기능 중 기억력과 우울감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0년 10월 까지 기초조사와 자료 분석을 통해 보드게임을 개발하여 제주시의 65세 이상의 노인 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단일대상연구 설계 중 AB 디자인을 통해 기초선 3회와 중재 10회, 총 13회를 실시하였으며, 평가는 전반적인 인지기능과 우울감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ㆍ사후에 MoCA-K와 GDS-K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 교수 및 임상가의 자문을 구해 ADL 요소 40가지를 선택하고 보드게임의 규칙을 만들었다. 개발한 보드게임을 시행한 결과, 대상자 A, B 모두 기초선 3회기의 평균 ±2 표준편차 밴드보다 중재기의 결과값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MoCA-K의 결과값이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점수가 증가하였고 GDS-K의 결과값은 점수가 하락하여 인지 기능의 증가와 우울감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보드게임을 통해 기억력의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인지기능과 우울감의 감소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대상자의 수가 적어 일반화하기 어렵고 보드게임의 방법 및 구성품의 수정이 필요하다. 추후 연구를 통해 문제점들을 보완한 보드게임이 계속 개발되어 노인의 인지기능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oard game for the elderly to find out the effects of board games on the reduction of memory and depression among cognitive functions. Methods : This study developed a board game through basic survey and data analysis until October 2020, targeting two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in Jeju-si. After a total of 13 times, MoCA-K and GDS-K were used before and after evaluation to feel overall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Results : Through consultation with occupational therapy professors and clinicians, 40 ADL elements were selected and the rules of the board game were created. In both subjects A and B, the results of the intervention period were higher than the mean ±2 standard deviation band of the 3 baseline sessions after they played the developed board game. In addition, the score of MoCA-K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before the intervention, and the score of GDS-K decreased, leading to an increase in cognitive function and decrease in depression. Conclusion : Through the board game, a positive change in memory appeared. It was also confirmed that it has an effect on cognitive function and reduction of depress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due to the small number of targets, and the method and components of the board game need to be modified. It is hoped that through further study, board games that complement the problems will continue to be developed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 KCI등재

        노인들의 안전인식 향상을 위한 보드도구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

        성윤정(Sung, Yoon-Jeong),서혜린(Seo, Hye-Lin),설주은(Seol, Ju-Eun),신상원(Shin, Sang-Won),양영애(Yang, Yeong-Ae)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2 No.2

        연구목적 : 노인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노인안전사고 발생률도 높아지고 있다.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교육이 필수적이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안전교육은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현재 코로나19사태로 인하여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 속에서 노인들의 안전 인식 향상을 위한 반복적인 학습을 포함한 보드도구를 비대면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20년 3월부터 10월까지 임상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작업치료사 1명과 작업치료학과 교수 1명의 의견을 취합하여 노인들의 안전인식 향상을 위한 보드도구 및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 노인 안전교육 애플리케이션은 노인과 관련성이 높고, 교육 필요도가 높은 5가지 범주(가정안전, 교통안전, 응급처치안전, 화재안전, 낙상안전)에 대해 문제를 풀면서 안전의식을 제고하고 몰랐던 부분에 대해 학습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게임 모드는 난이도 상, 중, 하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제는 노인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사진을 이용하였다. 정답과 해설은 문제를 다 푼 후에 제공되며,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즉각적인 피드백으로 반복학습을 통해 안전인식 향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하지만 혼자 게임을 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 간의 교류가 가능하도록 연동이 된다면 흥미를 더 고취시킬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As the number of senior citizens increases rapidly, the incidence of safety accidents among senior citizens is also increasing. Education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s essential, but safety education for the elderly is insufficient. In addition, the board tools, including repetitive learning to improve the safety awareness of the elderly, will be developed as an application for non-face-to-face development in the social distance situation caused by the current COVID-19. Methods : This study collected the opinions of one occupational therapist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and one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from March to October 2020 and developed board tools and ap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afety awareness of the elderly. Results : The elderly safety education application is to solve problems in five categories (home safety, traffic safety, first aid safety, fire safety, fall safety) that are highly relevant to the elderly and require education, while repeatedly enhancing safety awareness and learning about areas that they did not know. The game mode consists of difficulty level, middle level, and low level, and the problem is that photography is us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Answer and commentaries are provided after solving the problem and are configured for immediate feedback. Conclusion : In this study, an application was developed to improve safety awareness through repetitive learning with immediate feedback. However, if they are linked to enable users to interact instead of playing games alone, they will be more interested.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디자인의 특성을 고려한 거주자지향케어 체크리스트

        성윤정 ( Yun Jung Sung ),안지영(교신저자) ( Ji Young An ),김석태 ( Suk Tae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2

        거주자지향케어는 노인요양시설의 환경을 새롭게 조성해야 한다는 철학적 신념을 바탕으로 한 문화변화 패러다임에서 시작되었다. 거주자지향케어는 인간적인 배려와 지속적이고 세심한 돌봄에서부터 그 개념이 형성되어 노인의 특성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개체성을 존중하지 않음으로써 나타나는 기존의 비인간적 노인요양시설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노인의 자립과 자기 결정 능력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에 대한 인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의료·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노인요양시설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항목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통해 시설 거주자의 건강성과 향상과 노인요양시설디자인의 철학적 가치 및 신념을 확산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국외 노인요양시설의 대표적인 사례들을 선별한 후, 이들이 추구하는 가치 및 신념을 참고하여 노인요양시설디자인의 개념적 모델을 설정하였다. 국내 사례로는 평가우수기관으로 선정된 노인요양시설들로부터 거주자지향케어를 위한 지원적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디자인의 특성을 개념적(개체성, 쾌적성, 치유성, 거주성), 기능적(충족성·효율성, 수용성, 접근성, 안전성), 사회적(건강지원 프로그램, 활동지원, 교육 및 예방지침, 옹호 및 운영)으로 정리하고, 이러한 특성에 따른 거주자지향케어 노인요양시설디자인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제시하였다. The concept of person-directed care (PDC) is based on the paradigm of culture change, which should help the elderly live as independently as possible by providing a supportive environment of long-term care (LTC) facilities. In addition, this concept emphasizes Humanism, respect for individuality, and continuous petty ca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individual’s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checklist for PDC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TC facilities.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improve health outcomes of the elderly living in LTC facilities and spread philosophical values and beliefs of LTC facility design. For this study, the values, principles, and visions of foreign prime examples, which caused culture change for LTC faciliti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to build a conceptual model of LTC facility design. Domestic examples, which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s of LTC facilities, were also reviewed to extract supportive factors and their elements for PDC. As a result, this study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LTC facility design as conceptual, functional, and social aspects.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d a checklist for LTC facility design and supportive elements for PDC. Its conceptual characteristics include individuality, comfort, healing, and living elements.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clude supportability·efficiency, adaptability, accessibility, and safety. Finally, the social characteristics include activity support through physical, cognitive, and mental health programs, education and prevention guidelines, and advocacy and management.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