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헌법상 영장신청권과 인권과의 무관계성에 대한 고찰

        성문규(Sung Moon-gyu)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62

        이 연구는 헌법상 영장신청권이 표면적으로는 인권옹호를 언급하고 있으나, 영장관련 입법경위들의 추이와 당시 실무례를 살펴봄으로써 사실은 수사지휘권의 확립을 위하여 도입되었으며, 궁극적으로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입법의 근거가 되어 인권과의 무관계성을 밝히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먼저, 영장주의의 본질을 탐구하기 위하여 각국의 비교 헌법례를 살펴보았으며, 미군정법령 제176호, 제180호 이래로 이 땅에 도입된 영장주의에 따른 사법경찰관의 영장청구관행을 살피기 위하여 당시 관련 문헌들에 대한 탐색과 함께 영장관련 조항들의 입법 경위를 살펴보았고, 관련 조항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례를 살펴보는 방식으로 연구의 방향을 설계하였다. 이 연구의 주된 계기는 헌법상 영장신청권의 도입 경위에 대하여 제정형사소송법이 경찰의 법원에 대한 직접청구를 허용하는 태도를 취하였고, 그로 인하여 경찰의 직접청구로 영장의 남청남발(濫請濫發)이 일어났으며 그에 따라 영장기각율이 70퍼센트까지 치솟은 역사적 경험이 반영된 조항이라는 설명이 학계에서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는데 이에 대한 사실 확인을 하면서 그와 다른 사실들을 발견하게 된 것이었다. 그러한 설명은 “검찰의 다른 수사기관에 대한 수사지휘권을 확립시켜 종래 빈번히 야기 되었던 다른 수사기관의 무분별한 영장신청을 막아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할 가능성을 줄이고자 함”이라는 헌재 1997.3.27. 96헌바28 결정례에 많은 영향을 받은 견해로 보인다. 그러나, 제정형사소송법의 병렬적 청구가 가능하였던 문언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사법경찰관리 집무규정에 근거한 영장청구실무는 검사를 경유하여 법원에 영장을 신청을 하는 방식이었고, 검사 경유시 실질적인 검사의 영장심사가 이루어졌으며, 실제로 영장의 검사기각도 있었다. 그런 면에서 위 헌재 결정례와 이에 기초한 견해들은 당시 실무 규범 및 실무 관행과 차이가 있는 견해들로 보인다. 그렇다면, 헌법상 영장 신청권의 취지는 검사의 불분명한 영장기각의 근거를 명확히 하여 수사지휘권을 확립하려는 것에 무게를 두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수사지휘권의 확립을 위해 헌법에 도입되었던 영장신청권은 1972년 4공 헌법을 거치면서 질적인 변화를 겪게 되었다. 기존의 영장신청권이 영장요구권으로 바뀌면서 그 발부에 있어 법원의 재량을 축소한 것이다. 그러면서 형사소송법은 영장 관련 규정에 대한 후속 개정을 하게 된다. 즉, 구속적부심사를 폐지하고 보석결정, 구속집행정지, 구속취소 결정에 대하여 집행정지 효력을 가진 검사의 즉시항고를 허용한 것이다. 이러한 입법례의 문제점은 영장에 관하여 검사의 판단을 법원의 판단에 앞세우고, 국민의 신체의 자유를 부당하게 축소하여 결국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을 맞게 되었다. 요컨대, 사법경찰관에 대한 수사지휘권을 헌법상 확립하려는 의도로 도입된 헌법상 영장신청권은 4공 헌법을 거쳐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입법례를 가져왔다. 이것은 영장주의에 있어 비본질적 사항인 검사의 신청을 무리하게 헌법에 도입하여 인과적(因果的)으로 일어난 일들이다. 이러한 개정들은 모두 국가의 비상적인 혼란기에서 정상적인 국회의 입법이 아닌 비상 입법기구들을 통해 이루어졌고, 영장에 관하여 검사와 경찰, 법원의 관계를 헌법상에 정립한 시도였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fact that even though the constitutional authority to apply for a warrant claims to advocate human rights on the surface, as found when examining the history of legislative acts and the practical cases at that time, it was actually introduced in order to establish jurisdiction over investigation, and ultimately it serves as the basis of legislation that violates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and is therefore irrelevant with human rights. First, we examined the comparative constitutional cases of each countr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ssence of the warrant requirement principle. In order to examine the judicial police officers’ practice of warrant request according to the warrant requirement principle introduced in this land since the US Military Regulations No.176, No.180, we explored the literature and examined the legislative history of the warrant-related provisions. Then, we designed the direction of the study by examining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which was the final transitional process of the related provisions. The main reason for this study is that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the constitutional authority to apply for a warrant, the explanation that it is a provision that reflects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when the enacted Criminal Procedure Act took the attitude of allowing the police to make direct claims to the court, causing over-claim and overissue of warrants, resulting in a warrant rejection rate of 70 percent is accepted as orthodoxy in academia, but inconsistent facts were found in the confirmation process. This view seems to have been much influenced by the precedent of 96헌바28, which wer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infringing on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by blocking the indiscriminate application of warrants by other investigation agencies”. However, in spite of the wording that the parallel claim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was possible, in the warrant request cases based on the provisions of the judicial police official regulations at that time the warrant was requested to the court via the prosecutor, actual examination of the warrant was made, and there was an actual dismissal of the warrant by the prosecutor. In that sense, the constitutional precedents and the opinions based on them mentioned above appear to be rooted in misinformation. Then, the purpose of the legislation of the constitutional authority to apply for a warrant would be to clarify the grounds for unclear rejection of a warrant, and therefore establish jurisdiction over investigation. The authority to apply for a warrant, which was introduced in the Constitution to establish jurisdiction over investigation, underwent qualitative changes going through the Fourth Republic Constitution. As the existing application for a warrant became a warrant request, it reduced the discretion of the court in its issuance. Meanwhile, the Criminal Procedure Act made subsequent amendments to warrant-related regulations. In other words, the review on legality of confinement was abolished and the immediate appeal of a prosecutor, which had the effect of suspension of execution on decisions of bail, suspension of restraint, and cancellation of restraint, was allowed. The problem with this legislation was that it allowed the judgment of the prosecutor to overrule the judgment of the court, and the people’s personal liberty was reduced unfairly, so eventually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it to be unconstitutional. Likewise, the constitutional authority to apply for a warranty, which was introduced as an intention to establish jurisdiction over investigation brought on precedents of legislation that violated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while going through the Yushin Constitution. This is an inevitable consequence of introducing the application of the prosecutor, which is a non-essential element in the warrant requirement principle, to the Constitution 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