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아밀로오스전분의 섭취가 흰쥐의 지방대사 및 면역능력에 미치는 영향

        설소미(So Mi Seol),방명희(Myung Hee Bang),최옥숙(Ok Suk Choi),김우경(Woo Kyo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SD계 흰쥐를 대상으로 전분을 식이 무게의 50%로 주면서 일반 옥수수전분을 고아밀로오스 옥수수전분으로 대치시켜 RS양을 증가시켰을 때, 지방대사와 면역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식이섭취량이나 식이효율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최종 체중은 대조군에 비해 HA100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맹장무게와 하루 변배설량은 식이 내 HAS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맹장내용물의 pH는 식이 내 HAS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장 내 총 지방,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량은 HAS섭취가 증가하면 감소하였으나 HDL-콜레스테롤량과 간 내 총 지방, 중성지방, 콜레스테롤량은 HAS섭취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변을 통한 총 콜레스테롤의 배설량은 HA50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면역기관인 흉선과 비장의 무게와 혈장의 Ig G와 C₃농도는 식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비장세포의 증식 능력을 보았을 때 PHA에 의한 자극에는 식이의 영향이 없었으나 저용량의 Con A로 자극하였을 때 HA25, HA50에서 증식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배양액 내 PGE₂의 생산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종합해보면, HAS의 섭취는 체중감소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맹장의 무게를 증가시키고, 맹장 내 pH를 낮추고, 혈액내 지방성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igh amylose corn starch consumption on plasma, liver and feces lipid profiles and immune responses in male Sprague-Dawley rats. Experimental animals were fed on diets containing the high amylose starch (HAS, 0, 125, 250, 500 g/㎏ diet) for 4 weeks. HAS intake did not affect on food intakes and food efficiency ratio. Final body weights were lowered in HA100 group than in control group. HAS intakes dose dependently increased the weights of cecum and excretion of feces per day, and decreased the pH of cecum contents. And HAS intake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lasma total lipid,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total lipid,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liver. The absolute and relative weights of thymus and spleen, plasma Ig G and C₃ concentrations were unaffected by experimental diets. The splenocyte proliferations with low dose Con A (0.1 ㎍/10 μL) as lower in HA25 group and HA50 group than in control group.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high amylose corn starch intakes significantly improve lipid profiles in plasma.

      • KCI등재
      • KCI등재
      • 골육종에서 세포 사멸 관련 유전자 survivin, bcl-2, bax의 발현과 임상적 의의

        강현귀,김한수,이미라,설소미,오주한,이상훈,강경훈,Kang, Hyun-Guy,Kim, Han-Soo,Lee, Mi-Ra,Seol, So-Mi,Oh, Joo-Han,Lee, Sang-Hoon,Kang, Gyeong-Ho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1 No.2

        목적: 골육종에서 세포 사멸과 관련된 survivin, bcl-2, bax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여 임상적 결과와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항암 약물 치료 전 절개 생검으로 얻은 50예의 골육종 조직을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통하여 survivin, bcl-2, bax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임상적으로 항암 약물 치료에 대한 반응율, 국소재발, 원격전이, 종양학적 결과 등을 연구하여 surviving, bcl-2, bax 유전자 각각의 발현 또는 이들의 복합적인 발현과의 연관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검사한 survivin 유전자의 발현은 26예(52%)에서 관찰되었고, bcl-2는 23예 (46%), bax는 21예 (42%)에서 관찰되었다. Survivin과 bcl-2의 공동발현은 19예(38%), survivin과 bax의 공동 발현은 13예(26%), bcl-2와 bax의 공동 발현은 8예 (16%), 그리고 이들 3가지 모두의 발현은 총 8예 (16%)에서 관찰되었다. 검사한 3가지 세포 사멸 관련 유전자의 발현과 여러 임상적 변수와의 상관 관계를 조사 하였을 때 조직학적 분류, 나이, 성별, 국소 재발 등과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항암 약물 반응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인 인자는 bcl-2 (P=0.04), 그리고 survivin과 bcl-2가 동시 발현된 경우 (P=0.044)였으며 나쁜 항암 약물 반응율을 나타냈다. 종양학적 결과 중 질병으로 인한 사망과의 연관성을 보인 인자 역시 bcl-2 (P=0.001), 그리고 survivin과 bcl-2가 동시발현된 경우 (P=0.027)였으며, 이들의 발현은 나쁜 종양학적 결과를 나타냈다. Kaplan-Meier 생존율 분석에서 bcl-2 (P=0.0012)의 발현과 survivin, bcl-2의 동시 발현 (P=0.0075)은 생존율과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골육종에서 세포 사멸 관련 유전자의 발현은 비교적 높게 보였으며, bcl-2의 발현은 항암 약물치료에 대한 불량한 반응과 낮은 생존율에 의미 있는 연관성을 보이며, survivin은 bcl-2와 동시에 발현되는 경우에만 이러한 종양학적 결과와 의미 있는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세포 사멸 관련 유전자들의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통한 관찰이 골육종의 예후 판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genes, such as survivin, bcl-2, and bax has been examined in the human osteosarcoma and then evaluated the correlation with clinical data of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ifty human osteosarcoma specimens were established from incisional biopsy and examination of survivin, bcl-2, and bax by immunohistochemical study was performed.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of survivin, bcl-2, bax and their two or three combined expressions with clinical data including the response of chemotherapy, local recurrence, distance metastasis, and oncologic outcome. Results: Survivin was showed in 26 cases (52%), bcl-2 in 23 cases (46%), and bax in 21 cases (42%) osteosarcoma. And coexpression of survivin and bcl-2 was showed in 19 cases (38%), survivin and bax in 13 cases (26%), bcl-2 and bax in 8 cases (16%), and all three expression was showed in 8 cases (16%).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ir apoptosis related gene and histologic difference, the presence of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Whereas neoadjuvant chemotherapy response correlated with bcl-2 expression (P=0.04), and survivin and bcl-2 coexpression (P=0.044) with poor chemoresponse. The rate of died of disease was correlated with bcl-2 (P=0.001), survivin and bcl-2 coexpression (P=0.027) with bad outcome. Survival curves of bcl-2 (P=0.0075), survivin and bcl-2 (P=0.0012) wa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 the Kaplan-Meier method. Conclusion: The apoptosis related gene expression was relatively high in osteosarcoma, bcl-2 expression was correlated with poor chemotherapy response and poor survival rate, but survivin was correlated with this oncologic outcome only in the bcl-2 coexpression. The examination of immunohistochemical stain of apoptosis related gene in osteosarcoma could be helpful in the judgment of osteosarcoma progn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