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효능감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선곡유화(Seongok, Yuhoa),민기연(Min, Kiyeon),이영선(Lee, Young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다문화 효능감(multicultural efficacy)에 관련된 국내 전문 학술지에 수록된 문헌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먼저 동향연구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을 토대로 분석 준거를 개발하였다. 주요 분석 영역은 발행처 및 연도, 연구 유형, 연구 방법이며, 각 영역별로 세부 분석지표를 설정하였다. 동향분석을 위해서 2007년도부터 2015년 12월 현재까지 국내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 효능감과 관련된 논문 88편 중 연구목적에 부적절한 논문 21편을 제외하고 총 67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타당성을 제고하기 위해 논문을 코딩한 후 공동 연구자의 독립적 분석 결과를 토대로 평가자 간 신뢰도를 구하였는데 94.06%로 높았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 효능감 관련 논문은 최근 5년(2010-2015)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유아교육분야의 논문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31.34%). 둘째, 연구유형은 1편의 질적 연구를 제외하고 모든 연구가 양적 연구였으며 다문화 효능감과의 인과관계 검증(49.25%)이 절반이었다. 셋째, 연구 방법에서 연구 대상자는 교사 및 예비교사의 연구가 79.49%를 차지하였고, 전체 분석 논문의 14.92%가 구체적으로 표집방법을 명시하였다. 신뢰도는 89.55%가 제시하였고 모두 Cronbach s α로 분석되었으며, 타당도는 37.31%만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와 다른 다문화 선진 국가 간의 다문화 효능감 연구동향의 비교분석이 필요하고, 경험적 실증자료를 활용하여 지속적 메타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literatures containing domestic professional journals related to multicultural efficacy(ME).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criterion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alysis on the trends research. The main analysis areas are: 1) Publisher and the year of literatures, 2) study type, research topics, and 3) research methods. Moreover, detailed indicators were set for each area. To analyze research trend, a total of 67 were selected for ME relevant papers intervening in domestic peer-reviewed journals from 2007 to December 2015. The selected papers a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eveloped criteria. To obtain the cross-confidence, the independent evaluation process of the results were accomplished between each co-researchers. Confidence of the results was 94.06%. As the results, ME relevant papers has increased consistently over recent five years (2010-2015), publishers relating to the childhood education area are the highest as 31.34%. In study type, except for one qualitative research study, all studies were conducted using the quantitative method. More than 49.25% of study subjects was about the evaluation of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E. In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subjects related on teachers and/or pre-service teachers were over 79.49% and sampling method has been presented only 14.92% of the total. Confidence was 89.55%, and it had been stated by Cronbach s(ɑ). Validity had suggested only 37.31%.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y and practice were suggested based on these results, including necessity of comparative studies on ME, meta-analysis, and so on.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교육 경험, 부모지지 및 자기주도 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

        선곡유화 ( Seongok¸ Yuhoa ),서우석 ( Seo¸ Wooseok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이 연구 목적은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이하 CDC)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CDC Model을 초등학생에 적용하여 모델 적합도를 판정하고, 둘째, 초등학생 CDC Model 내의 관련 변인 간의 직접적인 영향 관계를 검증하며, 셋째, CDC Model 내에서 나타나 는 초등학생 자기주도 학습의 매개효과를 확증하는 데 두었다. 분석 자료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8년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의 초등학교 6학년 8,59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CDC와 관련 변인의 측정도구의 신뢰도(Cronbach’s α .791~.931)는 각각 영호한 수준이었다. 자료 분석은 Windows SPSS 25.0과 AMOS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구조모형에 대한 관계 구명을 위한 구조방정식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초등학생 CDC Model의 적합도 지수는 제시한 판정기준을 모두 만족시켜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가 검증되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CDC Model 내에서 관련 변인 간의 영향 관계는 모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다. 셋째, 초등학생의 CDC Model 내에서 진로교육 경험과 부모지지는 자기주도 학습을 매개로 CDC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증되었다. 결론적으로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CDC Model은 진로발달 특성에 차이가 있는 초등학생에게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 실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중심으로 초등학생의 CDC 함양을 효과적으로 조력하기 위한 진로교육 경험, 부모지지, 자기주도 학습 간의 관계에 대한 함의를 논하고 이 연구의 제한점을 토대로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career education experience, parent support, self-directed learning of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was set and analyzed, and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within the model were identified. The analysis data was us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Current Status Survey of Secondary Career Education of the KRIVET. Finally, the latest data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2018’s n=8,597) was mainly used. The statistics programs used for analysis are SPSS & AMOS version 25.0.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among career education experience, parent support,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econd, career education experience and parent support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has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Third, career education experience, parent support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선곡유화 ( Seongok Yuhoa ),서우석 ( Seo Wooseo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6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장벽과 관련 변인으로 입증된 사회적 지지, 자존감, 자기효능감 및 대처효능감의 구조모델을 설정하고 모델의 적합도를 판정하고, 관련 변인 간의 직·간접적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청소년이었으며, 표본은 지역적 대표성 확보를 위해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소재한 21개 중·고등학교에서 유의표본 추출법으로 표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 212부 가운데 200부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적으로 설정된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장벽모델 적합도는 이 연구의 판정기준을 충족시켰다. 둘째, 진로장벽과 관련 변인 간의 직접적 영향 관계가 모두 유의한 것이 입증되었다. 셋째,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모델 내에서 자존감, 자기효능감 및 대처효능감의 개별 매개효과와 연속 다중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장벽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간의 관계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으며, 끝으로 이 연구에서 검증된 진로장벽모델을 보다 다양한 특성을 가진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barriers(CB), social support(SS), self-esteem(SE), self-efficacy(SEF) and coping efficacy(CE) of the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a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was set and investigated, and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within the model were identified. To collect data,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level of their perception of CB, SS, SE, SEF and CE using tools for measuring CB and related variables. The final 200 multicultural adolescents'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among SS, SE, SEF, CE and CB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econd, it was proved that all the direct influence relationships among CB and related variables were significant within the CB Model. Third, the SE, SEF and C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partially mediated between SS and CB. Based on the results found in this study,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교육 경험, 부모지지 및 자기주도 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

        선곡유화 ( Seongok Yuhoa ),서우석 ( Seo Wooseo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이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CDC: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과 진로교육 경험, 부모지지 및 자기주도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검증된 CDC Model을 경험적 근거로 하였으며, 분석 자료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2018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의 중학교 3학년 9,122명의 데이터를 활용하고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중학생의 CDC Model은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예측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둘째, CDC Model 내에서 중학생의 진로교육 경험과 부모지지는 자기주도 학습과 진로개발역량에 그리고 자기주도학습은 진로개발역량에 직접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졌다. 셋째, CDC Model 내에서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은 관련 변인을 매개하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특히, 진로교육 경험과 부모지지가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직접효과보다 자기주도 학습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더 높게 나타나 자기주도 학습은 진로개발역량 관련 변인 간의 주요매개변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증진을 위한 진로교육경험, 부모지지, 자기주도 학습 간의 구조관계에 대한 함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CDC), career education experience(CEE), parent support(PS), self-directed learning(SDL) of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was set and tested, and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within the model were identified. The analysis data was us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urrent status survey of secondary career education(2017‘s n=9,386)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Finally, the latest data of middle school` students(2018’s n=9,122) was mainly used. The statistics programs used for analysis are SPSS & AMOS version 25.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among CEE, PS, SDL and CDC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econd, CEE and PS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SDL and CDC, and SDL has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CDC.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DL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confirmed in the CDC Model. In particular, SDL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mediator between CDC-related variables, as the indirect effect mediated by self-directed learning was higher than the direct effect of career education experience and parent support on CDC.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교육 경험, 부모지지 및 자기주도 학습의 구조적 관계

        선곡유화(Seongok, Yuhoa),임현정(Lim Hyun Jung),서우석(Seo, Wooseok)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첫째, 진로개발역량과 관련변인 간의 가설적 연구모델을 설정하여 적합도를 판정하고, 둘째, 진로개발역량과 관련 변인 간의 영향관계를 구명하며, 셋째, 진로개발역량의 구조모델 내에서 나타나는 자기주도 학습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세부 목표를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석 자료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KRIVET)의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2016/2017/2018)의 고등학생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최종적으로 최신 데이터(2018년 n=9,546)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진로개발역량모델은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적합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검증된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모델 내에서 진로교육 경험과 부모지지는 고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및 진로개발역량에 각각 직접적 정적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고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은 진로개발역량에 직접적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개발된 진로개발역량모델 내에서 고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은 진로교육 경험과 부모지지 및 진로개발역량 간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교육 경험, 부모지지 및 자기주도 학습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CDC), career education experience(CEE), parent support(PS), self-directed learning(SDL) of th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was set and analyzed, and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within the model were identified. The analysis data was used by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urrent status survey of primary and secondary career education(2016/2017/2018)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KRIVET). Finally, the latest data of high school’ students(2018’s n=9,546) was mainly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among CEE, PS, SDL and CDC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CEE and PS was verified within the validated CDC Model. And CEE and PS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SDL and CDC, and SDL has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CDC. Third, SDL within the CDC model had the partial mediation between CEE, PS and CDC.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청소년의 다문화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선곡유화 ( Seongok Yuhoa ),이영선 ( Lee Youngsun ),서우석 ( Seo Wooseo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6

        이 연구는 청소년의 다문화 자기효능감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선행연구와 기존 관련 척도를 고찰하여 청소년의 다문화 자기효능감 개념을 정립하고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다문화 교육학, 특수교육, 교육철학, 진로교육의 전문가 총 9명을 대상으로 문항내용과 표현의 적절성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다음에 10명의 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문항 적합도 검증 절차를 거쳐서 문항을 수정하여 총 20문항으로 구성된 예비 조사도구를 확정하였다. 확정된 예비문항을 토대로 청소년 41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유효자료 383부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반영하여 총 19문항으로 구성된 본 조사 도구를 완성하였다. 본 조사는 예비 조사 참여 집단과 다른 청소년 8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에 적합한 754부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2요인의 총 16문항 다문화 자기효능감 척도를 개발하였다. 요인1은 `다문화에 대한 자신감(8문항)`, 요인2는 `다문화에 대한 자기 조절 효능감(8문항)`으로 명명하였다. 척도의 전체 신뢰도 α=.947, 하위요인 자신감 α=.929, 자기 조절 효능감 α=.911로 나타났다. 그리고 요인분석, 측정모형 평가, 상관분석, 개념 신뢰도, 평균분산추출 등을 통해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끝으로 청소년의 다문화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의 의의와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SES. First, 20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oretical literatures and other existing scales after verification of experts. The preliminary scale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410 students. Then, after revising the preliminary items based on item-score correlation and factor extraction, the revised scale consisting of 19 items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840 students. The MSES was developed and it was consists of 2 factors and 16 items. The first factor(8 items) was self-confidence and the second factor(8 items) one with self-regulated efficac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otal scale was α=.95. The EFA and CFA were performed in order to assess the construct validity. The 2 factor model proved good fit to the data and all items had a significant effect to each construct from which it can be concluded that convergent validity is supported for all of the items. The relationships among subfactors were examined and no strong relationship was found, supporting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is scale. The construct reliability index and AVE index indicated good reliability of the this scale. Finally, limitation of the stud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다문화 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선곡유화(Seongok, Yuhoa),서우석(Seo, Woos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용 다문화 행동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청소년의 다문화 행동의 개념을 정립하고이 개념에 적합한 초기 문항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다문화 교육 관련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 받아 총 18문항의 예비조사 도구를 확정하였다. 먼저 410명의 청소 년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유효자료 365부(89%)를 이용하여 신뢰 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총 18문항의 본 조사용 청소년의 다문화 행동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조사에는 예비조사와 다른 집단 600명의 청소년을 표집 하여 유효자료 568부(94.7%)를 대상으로 EFA와 CFA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3요인, 총 12문항의 청소년용 다문화 행동 척도를 개발하였다. 청소년용 다문화 행동 척도의 요인 1은 상호문화 소통 행동(4문항), 요인 2는 다문화 원조행동(5문항), 요인 3은 다문화 공존행동(3문항)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 Cronbach s α=.907로 나타났다. 그리고 CFA 결과 다문화 행동 척도 모델의 적합도 지수는 모두 판정기준을 지지하였으며,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개념신뢰도 및 AVE 등을 통해 신뢰도 및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끝으로 개발된 청소년 다문화 행동 척도의 의의와 이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BS. Based on theoretical literatures and other existing scales, 18 preliminary items were selected and reviewed by experts. The preliminary scale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410 students and item-score correlation and factor extraction were implemented. The revised scale consisting of 18 items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another 600 students. And then, the MBS was finally developed, which consists of 3 factors and 12 items, including such factors as cross cultural communication behavior, multicultural aid behavior and multicultural coexistence behavior. The EFA and CFA were performed in order to assess the construct validity. The 3 factor model was proved good fit to the data and all items had a significant effect to each construct from which it can be concluded that convergent validity is supported for all of the items. The relationships among sub-factors were examined and no strong relationship among them was found, supporting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is scale. The construct reliability index and average variance extracted index indicated good reliability of the this scale.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and practices were provided.

      • KCI등재

        청소년 다문화 태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선곡유화(Seongok, Yuhoa),이영선(Lee, Youngsun),서우석(Seo, Woos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용 다문화 태도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Fishbein & Ajzen(1975)의 단일차원모델 이론에 입각하여 청소년의 다문화 태도 개념을 정립하고 이 개념에 적합한 34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다문화 교육, 교육철학, 특수교육, 진로교육 전문가 총 8명을 대상으로 문항내용과 표현의 적절성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다음에 10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문항 적합도 검증 절차를 거쳐서 문항을 수정하여 총 29문항으로 구성된 예비조사 도구를 확정하였다. 확정된 예비문항을 토대로 청소년 41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반영하여 총 19문항으로 구성된 다문화 타도 본 조사 도구를 완성하였다. 본 조사는 예비 조사 참여 집단과 다른 청소년으로부터 수집된 자료(502부)를 토대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한 뒤 최종적으로 3요인, 총 16문항의 청소년용 다문화태도 척도를 개발하였다. 요인1은 다문화 개방성(6문항), 요인2는 다문화 수용성(5문 항), 요인3은 다문화 공존성(5문항)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 신뢰도 α=.95였다. 한편 CFA를 통한 척도 모형 적합도 평가지수는 모두 양호하게 부합되었으며 척도의 타당성도 검증되었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청소년 다문화 태도 척도의 의의와 이 연구의 제한점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First, 29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oretical literatures and other existing scales after verification of experts. The preliminary scale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366 students. Then, after revising the preliminary items based on item-score correlation and factor extraction, the revised scale consisting of 19 items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560 students. Th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was developed and it was consists of 3 factors and 16 items. The first factor(6 items) was multicultural openness, the second factor(5 items) one with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he third factor(5 items) with multicultural coexistenc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otal scale was ⍺=.95 and Cronbach s ⍺ of 3 subfactors ranged between .86 and .92.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assess the construct validity. The 3 factor model proved good fit to the data and all items had a significant effect to each construct from which it can be concluded that convergent validity is supported for all of the items. The relationships among subfactors were examined and no strong relationship was found, supporting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is scale. The construct reliability index and average variance extracted index indicated good reliability of the this scale. Finally, limitation of the stud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대처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선곡유화(Seongok, Yuhoa),서우석(Seo, Woos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대처효능감 척도(CES, coping efficacy scale)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대처효능감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 개념 하에 적합한 총 74문항을 추출하고 초등교육 전문가와 척도 개발연구 전문가 간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예비도구를 선정하였다. 예비도구를 활용하여 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문항이해도검사를 통해 총 27문항의 본 조사 도구를 완성하였다. 본 조사는 초등 고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분석은 236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우선 EFA 결과, 5개의 잠재 하위요인이 추출되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토하고 각각 문제해결 대처, 지원추구 대처, 긍정적 전환 대처, 회피적 대처, 감정표출 대처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CFA를 통해 최종적으로 총 23문항의 5요 인으로 구성된 CES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CES의 모델적합도 지수는 판정기준을 지지하였고 하위요인 간의 상관분석, 개념신뢰도, 평균분상추출 및 공인타당도 등을 검토한 결과, 모두 판정기준을 충족시켜 CES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증되었다. 끝으로 타당화 된 CES의 의의와 이 연구의 제한점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ES. Based on theoretical literatures and other existing scales, 74 preliminary items were selected and reviewed by experts. The preliminary scale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1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tem-score correlation and factor extraction were implemented. The revised scale consisting of 27 items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another 25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n, the CES was finally developed, which consists of 5 factors and 23 items, including such factors as problem-solving coping, social support-seeking coping, positive conversion coping, avoidance coping, emotional expression coping. The EFA and CFA were performed in order to assess the construct validity. The 5 factor model was proved good fit to the data and all items had a significant effect to each construct from which it can be concluded that convergent validity is supported for all of the items. The relationships among sub-factors were examined and no strong relationship among them was found, supporting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is scale. The construct reliability index and average variance extracted index indicated good reliability of the this scale. Based on the results, some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and practic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진로장벽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선곡유화(Yuhoa Seongok),서우석(Wooseok 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초등학교 고학년의 진로장벽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방법 사회인지진로이론(Lent et al, 1994/2000)의 선택모델 내에서 취급된 일원론의 진로장벽에 입각하여 잠재적으로 도출된 하위요인에 부합한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고 피험자의 사전 문항 이해도 조사를 실시하여 초기 27문항의 예비 측정도구를 완성하였다. 예비 조사는 전국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 중 136부가 탐색적 요인분석(EFA)에 활용되었다. 본 조사는 예비 조사와 다른 집단을 전국에서 표집하였고 회수된 자료 중 236부(94.4%)가 확인적 요인분석(CFA)에 활용되었고 이를 통해 초등학생용 진로장벽 측정도구(Career Barriers Inventory, CBI)가 개발되고 체계적 타당화 절차가 수행되었다. 결과 첫째, 예비 조사 자료를 활용한 EFA를 통해 4가지 요인이 타당하게 추출되고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둘째, 본 조사 자료를 활용한 CFA 결과, 표준화된 회귀계수(ß)의 평가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3개의 문항이 발견되어 수렴타당도 확보를 위해 모두 제거하고 수정된 24문항의 측정모델 적합도 지수를 검토한 결과 판정기준을 모두 만족시켜서 최종 24문항의 초등학생용 CBI가 개발되었다. 셋째, 하위요인 간의 평균분산추출 값과 개념 신뢰도 값을 검토한 결과, 모든 평가기준을 지지하여 구성타당도가 검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CBI의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자존감,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지지 변인을 준거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가 모두 부적으로 유의미하여 CBI의 공인타당도 역시 검증되었다고 할 수 있었다. 결론 사회인지진로인론에서 주장한 일원론의 진로장벽에 입각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진로장벽 개념과 하위요인을 밝혔으며, 체계적인 절차를 수행하여 초등학생 고학년용 CBI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develop a Career Barrier Inventory(CBI) for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verify its validity. Methods The concept of the career barriers were defined and sub-factors of the career barriers were derived based on the monistic view limited to contextual barriers(Lent et al., 1994/2000) and related previous studies.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a preliminary scale of 27 items was developed through the expert’s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and the subjects’ understanding of the prior item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nationwide, and 136 of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main survey sampled a different group from the preliminary survey across the country, and 236 (94.4%) of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in CFA, through which the optimal CBI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and a systematic validation procedure was performed. Result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rough EFA using preliminary survey data, four latent factor were validly extracted and reliability was secured. Second, as a result of CFA using the main survey data, three items with a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β) of .50 or less were removed and the goodness of fit index for the final CBI measurement model (24 items) were reviewed, and all were good. Third,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AVE and C.R., of each sub-factor, all of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satisfied and the construct validity was verified. Fourth,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based on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elf-efficacy measure-ment tools to verify criterion validity, the correlations among sub-factors of each variable were all significant. And the overall the reliability (Cronbach’s α) of the final CBI, was found to be .912, and the reliability of each sub-factor was also confirmed to be good. Conclusions Based on the monistic career barriers advocated i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the concept and sub-factors of career barriers for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identified and a CBI for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s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through systematic procedure was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