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 13주 제왕절개 반흔임신의 성공적 자궁동맥색전치료

        석준민 ( Jun Min Seok ),문명진 ( Myoung Jin Moon ),장성운 ( Sung Woon Chang ),이유미 ( Yu Mi Lee ),장지현 ( Ji Hyon Jang ),백민정 ( Min Jung Bae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10

        Cesarean scar pregnancy, in which the pregnancy is implanted at the previous cesarean scar, is a very rare form of ectopic pregnancy. A delay in diagnosis can lead to uterine rupture, massive hemorrhage, and serious maternal morbidity. However, the optimal treatment is unknown. We experienced a case of viable cesarean scar pregnancy diagnosed at 13 weeks of gestation treated with uterine artery embolization and report with a brief of literatures.

      • KCI등재

        임신 중기 쌍둥이임신에서 태아 소실률과 원인

        이유미 ( Yu Mi Lee ),신중식 ( Joong Sik Shin ),석준민 ( Jun Min Seok ),장지현 ( Ji Hyon Jang ),강진희 ( Jin Hee K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4

        목적: 본 연구는 임신 중기 쌍둥이임신에서 태아 소실의 원인과 그 비율을 비교 평가해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본원 산부인과에서 산전관리를 받은 쌍둥이임신 2,467예 중에서 모체 혹은 태아측적응증으로 치료를 위해 임신 중기 (12~24주)에 임신을 종결한 146예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군은 융모막성에 따라 단일융모막군과 두융모막군으로, 임신 방법에 따라 자연임신군과 보조생식술군으로 구분하였다. 융모막성은 임신 초기에 초음파로 구분하였으며, 임신 종결 후 태반을 병리조직검사하여 최종 확인하였다. 융모막성에 따르면 총 2,467예의 쌍둥이임신 중 392예가 단일융모막, 2,058예가 두융모막, 융모막성을 알 수 없었던 경우는 17예였다. 임신 방법에 따른 분류를 살펴보면 736예의 자연임신, 1,590예의 보조생식술을 통한 임신, 그리고 기록의 불충분으로 임신 방법을 알 수 없었던 경우가 23예가 있었다. 의무기록을 토대로 각 군 간의 임신 소실의 원인과 비율을 비교 및 평가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이었던 146예를 융모막성으로 구분하면 단일융모막군은 43예, 두융모막군은 86예, 융모막성을 알 수 없는 경우가 17예가 있었고, 자연임신군은 45예, 보조생식술군은 78예, 임신 방법을 알 수 없었던 군이 23예로 나타났다. 임신 중기의총 쌍둥이임신 소실률은 5.9% (146/2,467)였고, 융모막성에 따라 단일융모막군이 11% (43/392), 두융모막군이 4.2% (86/2,058)였으며, 같은 방법으로 자연임신군에서는 6.5% (45/736), 보조생식술군은 4.8% (78/1590)였다. 단일융모막군에서 중기 임신소실의 가장 큰 원인은 자궁 내 태아 사망 22예 (51.2%)였고, 두융모막군에서는 조기 양막 파수 40예 (46.5%)와 조기 진통 37예 (43.0%)였다. 자연임신군의 경우 자궁 내 태아 사망 20예 (44.5%)로 가장 많은 원인이었으며, 보조생식술군에서는 조기 진통이 35예 (44.9%)로 가장 많은 원인이었다. 결론: 임신 중기의 쌍둥이임신 소실률은 단일융모막군이 두융모막군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자궁 내 태아 사망은 단일 융모막군에서 뿐만 아니라 자연임신군에서도 가장 높은 원인으로 나타났고, 두융모막군에서는 조기 진통, 조기 양막 파수가 흔한 이유로 나타났다. 쌍둥이임신에 있어서 산전 진찰은 태아 손실의 예방 및 태아의 안녕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세심한 관찰이 요구된다. Objective: To evaluate and compare the rate and etiologies of second trimester pregnancy loss in monochorionic (MC) or dichorionic (DC) twins, and natural or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twins. Methods: Between January 1997 and December 2008, there were 146 cases of second trimester twin pregnancy losses (between 12 and 24 weeks gestation) from 2,467 twin pregnancies.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chorionicity and fertilization. Chorionicity was established by ultrasound at early gestation and confirmed by histologic examination after delivery. From a total of 2,467 twin deliveries, 392 MC, 2058 DC, and 17 unknown chorionicity were observed. Fertilization methods were classified as 736 natural, 1,590 ART, and 141 unknown conceptions. The pregnancy loss rate and possible mechanisms were compared in each group.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there were 43 MC, 86 DC, and 17 unknown chorionicities and 45 natural, 78 ART, and 23 unknown fertilizations. Total twin pregnancy loss rate was 5.9% (146/2,467), with 11.0% (43/392) and 4.2% (86/2,058) for MC twin group and DC twin group, respectively. Likewise, it was 6.1% (45/736) and 4.9% (78/1,590) for natural twin group and ART twin group. The most common cause was intrauterine fetal death (IUFD) in 22 (51.2%) in MC twin group and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PROM) in 40 (46.5%) in DC twin group, followed by preterm labor (PTL) in 37 (43%). In natural pregnancy, IUFD was the most common etiology in 20 (44.5%) and for ART twin group, it was PTL in 35 (44.9%). Conclusion: Twin pregnancy loss rate was higher in MC twin group compared with DC twin group in the second trimester. MC twin group had a higher incidence of IUFD as a cause of second trimester pregnancy loss. The etiologies in DC twin group were PPROM and PTL. It is suggested that antenatal care in twin pregnancy should be explored for preventing fetal loss and promoting neonatal well-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