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5,6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분석 연구 -학급 내 발표 상황에서 생성된 담화를 중심으로-

        서현석 ( Hyun Seok Seo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의 경험적 내러티브 담화를 분석하고, 양적·질적인 면에서 해석함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연구자는 경험적 내러티브가 지니는 초등교육, 국어 교육, 인성 교육적 측면에서의 의의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서울, 경기, 대구 등 세 개 지역의 5,6학년이 생성한 내러티브 담화를 수집하였다. 최종 선정된 104개의 담화를 분석한 결과, 학급 내 발표 상황에서 5·6학년 학습자의 경험적 내러티브 평균 발화 시간은 36.87(초)이 었으며, 내러티브 당 에피소드는 평균 1.9개, 평균 2.34개의 문장과 4.26개의 C-unit을 포함하였다. 경험적 내러티브 구조의 발달 수준은 평균 3.84(SD=1.791)로 분석되었다. 5·6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담화를 서현석 외(2013)에서 분석한 1·2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담화와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6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에서 좀 더 많은 부가 관계의 말하기 양상이 포착되었다. 이는 인과관계를 효과적으로 구사하여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능숙한 화자의 말하기로 볼 수 없는 것이다. 둘째, 5·6학년 학습자의 경험적 내러티브의 구조 발달 수준은 1·2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구조의 발달 수준(평균 5.39 /SD=1.743)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차 늘어나는 학습량을 일정한 수업 시간 내에 다루어야 하기에 좀 더 교사 중심적인 수업이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즉, 5·6학년 학생들은 진정한 자기표현이 기회 대신에 자신의 경험과 멀어지는 추상적인 학습 내용에 집중하게 되어 오히려 1·2학 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구조 발달 수준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personal narrative discourse of elementary fifth and sixth graders and seeking educative implication by interpre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ide. To achiev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er considers personal narrative’s meaning on aspect of elementary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Researcher also analyzes 104 narrative discourses generated from elementary fifth and sixth graders of Seoul, Gyeonggi, Daegu. The analysis shows that at presenting context in class, the average speaking time of the learner’s personal narrative is 36.87 seconds and the average number of the stories per one narrative is 1.9. It also includes 2.34 sentences and 4.26 C-units on average. And the level of development of personal narrative structure is 3.84(SD = 1.791) on average. Researcher compares the fifth and sixth grader’s personal narrative discourse with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analyzed by Seo, Hyun-Seok et al(2013). First of all, in the fifth and sixth grader’s personal narrative, more modes of telling with additive relation are detected. This is rather far from telling of skillful narrator that constructs narrative by expressing causal relation efficiently. Secondly, the fifth and sixth learner’s level of development of personal narrative structure is analyzed lower than the first and second learner’s(5.39 on average /SD=1.743). This result shows that the higher grade students move, the more teacher-centered class is. Because more quantity of learning must be treated in fixed class hour. In other words, the fifth and sixth students concentrate abstract learning contents instead of true self-expression. This rather influences the result that the fifth and sixth learner’s level of personal narrative fulfillment is lower than the first and second learner``s.

      • KCI등재후보

        Hexabromobenzens 농후 배양에 따른 해면(Axinella sp.) 공생 미생물의 군집구조 변화

        서현석,양성현,배승섭,이정현,권개경,Seo, Hyun-Seok,Yang, Sung-Hyun,Bae, Seung Seob,Lee, Jung-Hyun,Kwon, Kae Kyoung 한국해양바이오학회 2014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Vol.6 No.2

        할로겐화 또는 탈할로겐화에 관여하는 미생물을 특정하고자 해양의 주된 할로겐화합물 생산자인 해면 공생미생물의 군집구조에 미치는 HBB (hexabromobenzene)의 영향을 밝히고자 했다. 혐기 marine broth 2216에서 100ppm HBB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검출된 균주들은 산호나 해면에서 유래한 클론들과 높은 유사도를 보였으며 그 중 Deltaproteobacteria에 속하는 Desulfovibrio marinisediminis와 99% 유사도를 보이는 클론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lostridia계통의 Fusibacter paucivorans와 유사도가 높은 클론과 Lentisphaerae에 속하는 균주들은 HBB에 의해 감소하는 반면 Clostridia계통의 Vallitalea guaymasensis와 유사도가 높은 균주들은 HBB가 있는 경우에만 검출되었다. 알려진 균주들과의 비교 결과로 볼 때 D. marinisediminis 및 V. guaymasensis 계통의 균주들이 할로겐화 및 탈할로겐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Bacteria associated with marine sponges seemed to be concerned in halogenation/dehalogenation process of natural compounds.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hexabromobenzene (HBB)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bacteria associated with a marine sponge Axinella sp. from Chuuk State under anaerobic condition was investigated. Regardless of 100 ppm HBB, most of detected microorganisms displayed high similarity with clones reported from coral or sponges. Amongst, Desulfovibrio marinisediminis like clones were dominant. Clones affiliated with Lentisphaerae and Fusibacter paucivorans (Clostridia) were detected at the conditions without HBB but clones affiliated with Vallitalea guaymasensis (Clostridia) increased its proportion with HBB. From these results and previous reports clones affiliated with D. marinisediminis and V. guaymasensis seemed to be concerned in halogenation/dehalogenation process.

      • KCI등재

        MOCVD로 제작한 ZnO의 성장온도에 따른 특성 변화

        서현석,정의혁,조중열,최연익,서오권,Seo Hyun-Seok,Jeong Eui-Hyuk,Jo Jung-Yol,Choi Yearn-Ik,Seo O-Gweon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05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4 No.4

        Characteristics of ZnO films grown on $Si-SiO_2$ substrates at temperatures of $200\sim400^{\circ}C$ by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were investigated. The growth rates and mobilities of ZnO films were dependent on growth temperatures. The field-effect mobilities measured in thin-film transistor structure were $15cm^2/Vsec$.

      • KCI등재

        청소년의 말 문화 개선을 위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서현석 ( Hyun Seok Seo ) 한국화법학회 2013 화법연구 Vol.0 No.22

        이 연구는 최근 사회적 관심을 불러 온 학교폭력의 문제와 관련하여 가정 내 가족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청소년의 언어문화 실태를 살 펴본 후, 자녀의 말 문화를 이해하고, 부모와 자녀 사이의 의사소통을 좀 더 바람직하게 이끌어 갈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 말 문화의 특성으로는 무관심한 반응과 유행어, 비속어, 폭력적 언어 표현 사용의 증가 경향을 논의하였다. 또한 가정 내 가족의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부모들이 자녀들에게 무심코 행하는 협박이나 무시하는 말 등 가정 내 언어폭력은 자녀뿐 아니라 부모의 삶의 질까지도 떨어뜨리며 자칫 민감한 청소년기 자녀의 공격성을 자극하고 학교 폭력을 초래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청소년의 말 문화를 개선하기 위하여 학부모의 협력을 촉구하고 구체적인 실행을 독려하는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은 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구성 방안으로 첫째, 가족 의사소통의 점검 및 중요성 인식 제고, 둘째, 올바른 의사소통 방법의 내면화할 수 있는 장기적인 프로그램 구성, 셋째, 가정에서의 실천을 유도하는 체제 및 방안 마련, 넷째, 부모와 자녀가 함께 활동할 수 있는 가족공유시간 확보 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말 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학부모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그 구체적인 실행 방안으로써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방안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사회와 정부의 관심을 촉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directions of the parental education program. This program concerns the verbal culture of our youth, which has received great care and interest these days. There are trends within the youth verbal culture, concerning a lack of responsiveness and an over-usage of buzzwords, slang and verbal abuse. Domestic verbal abuse stimulates the aggressiveness of young people, which causes school violence and hinders the quality of family life. In order to improve adolescent verbal culture, we need to make the best use of the parents' education system. The following principles will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first realizing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n the family, second internalizing of the right way to communicate, third putting the idea into practice, fourth forming the program to develope parent-child interac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emphasize the need for parental engagement and a concrete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the verbal culture of Adolescent.

      • 디지털 미디어에서 메타적 사고를 통한 인터페이스의 경험 확장 : 증강된 사물, 미디어 아트 사례를 중심으로

        서현석(Hyun-seok Seo),송상민(Sang-min Song),한기은(Ki-eun Han)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메타적(meta的) 사고는 어떤 범위나 경계를 넘어서는 사고를 통해서 대상을 바라보고 그 본질 이상의 의미로 확장하여 바라보는 것을 말한다. 이는 대상과의 소통에 있어서 새로운 것을 접할 때 경험하게 된다. 디지털 미디어에서 컴퓨터 스크린을 통한 경험은 사용자의 사고를 계속 변화하게 하고 사고의 확장을 돕는다. 컴퓨터 스크린의 해상도 발달은 인간을 스크린 안의 디지털 가상환경(virtual environment)으로 몰입시키며 실재와 착각 할 만큼 확장된 경험을 제공하였다. 이 같이 실재와 같은 경험을 느끼도록 하여 스크린으로 몰입(immersion)을 유도하는 가상현실에 관한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컴퓨터 스크린으로의 몰입과 촉각적 상호작용의 연구는 가상현실에 한 걸음 다가가고 있으며, 디지털 가상공간에서 인간의 경험이 투명(transparency)하고자 하는 노력과 연구는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컴퓨터 스크린에서 얻는 경험은 아직 시각적 수용에 의존하는 가상의 체험이기에 현실의 것과는 차이가 있으며 표현에 있어서 그 한계가 있다. 최근 가상현실(VR)에 관한 디지털 기술 발달과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서 얻는 경험에 관한 고찰이 분명 화제이긴 하지만 이것은 스크린을 통한 시각에 의존한 경험이다. 디지털 미디어에서 투명하고자 하는 경험은 실존하는 것이 아님으로 가상의 경험보다는 실재 사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경험의 확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시례는 미디어아트를 통해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수용자에게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 상호작용과정에서 얻는 놀라움(delight)과 유희로 새로운 의미를 알게 된다. 디지털 미디어에서 시각 표현은 기술로 재현된 이미지의 과잉(excess)으로 인한 단순한 볼거리로만 제공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시각적으로 표현된 인터페이스는 기능의 의미만을 찾는 것이 아니라 고정된 사고의 틀을 벗어나야만 한다.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디자이너는 본질의 의미를 넘어 메타적 사고로 접근하고 인간의 욕구를 찾아내어 경험을 가시화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Meta-thinking is a kind of thinking beyond certain scope or border, which sees objects as an expanded definition exceeding its essence. It can be experienced when people come into contact with new things. As for digital media, experience acquired from computer screen makes users' thinking be changed continuously and help their thinking to be expanded. Today, studies on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regarding virtual reality (VR) and experience obtained from digital media become a topic of conversation, however, this experience depends on the sense of sight through screen. Actually, transparent experiences in digital media are not the same with those in real worl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experience expansion through interaction with real things which are much closer to daily lives than virtual experiences. It can be found in media art which induces positive participation of audiences and shows them a new meaning through delight and amusement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Visual expression in digital media should be more than spectacular which is only full of excessive images. In addition, interface should not be remained as an expression from technological attempts, instead, it is necessary to find humans aspiration with meta-thinking which accepts things expansively and visualize their experiences.

      • KCI등재

        국어 표준 화법의 현황과 개선 방안 ; 표준 화법 개선을 위한 인사말 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

        서현석 ( Hyun Seok Seo ) 한국화법학회 2009 화법연구 Vol.0 No.15

        이 연구에서는 `인사말` 사용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10~20대 180명을 대상으로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 대상자들은 일상생활에서 가족과 같이 가까운 관계의 사람들에게 인사말을 자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안에서 부부 간의 인사말 사용이 미미하다는 지적이 있는데, 이것은 다음 세대의 인사말 사용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젊은 세대들이 자신의 일 외에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을 보이지 않는 개인주의적 경향과 맞물려 올바른 인사말을 사용했느냐를 따지기 전에 인사말 사용자체의 무재를 초래하고 있다. 연구 대상인 젊은 세대들의 `인사말` 표현에서 다음과 같은 사용 양상이 드러났다. 첫째, 인사말의 격식체보다는 비격식의 두루높임(해요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명령형의 인사말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외국어나 전자 통신 언어의 사용에서 비롯된 인사말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대화상에서 진행되는 구두 언어 표현으로서 `인사말`은 `시작하는 말, 받는 말, 비언어적 행동`의 세 가지 모두가 포함된 형식으로 제시되어야 실제 국어생활에 좀 더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한편에서는 오프라인의 대면 상황에서의 인사말뿐 아니라, 온라인 상황, 전화, 편지글 등 매체에 따라 달리 사용되는 인사말도 각각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듬어 나가야 하겠다. 앞으로 `인사말`의 표준을 정하는 작업에는 각계각층의 충분한 사회적인 합의와 심도있는 학문적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며, `인사말`의 표준을 정하고 언중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서는 학계와 언론계, 그리고 정부 차원의 협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 and propose the improvement of standardized of greeting expressions of the Korean spoken language. In order to get the actual condition of greeting expressions of the Korean spoken language, a questionnaire was asked to the younger generation about their daily expressions of greeting. In addition I researched preceding studies were carried out. This study revealed some interesting results of Korea`s younger generation greeting expression. Most of all the notable finding was that they didn`t often use greeting expressions in their daily life. They prefer informal to formal expressions of greeting. They prefer the imperative expression when they said `hello`. And they frequently used greeting expressions from the English language or the internet communications language. The standardization of greeting expressions of Korean spoken language should be included all three organic expressions, `Initiate`, `Response`, these ate verbal language, and `Nonverbal language`. And we should refined the standardization of greeting expressions on-line as well as off-line. Furthermore, the other greeting expressions of types of conversations should be studi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수업 전문성은 어떻게 길러지는가? :교사교육자의 관점에서 본 교육대학 교과교육과정과 심화교육과정의 실태

        서현석 ( Seo Hyun Seo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1

        교육대학의 교과교육과정과 심화교육과정은 예비교사에게 수업전문성 신장의 시작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교사는 매일 교과 수업을 통해 학생들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주된 교육 활동을 진행한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 요소 중 하나인 수업 전문성은 중등학교 교사의 수업 전문성과는 구별되는 것으로, 좀 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생각에 터하여, 본 연구는 각 교과의 수업 현상을 매개로 초등학교 교사 양성을 담당하는 교사교육자의 관점에서 교과교육과정과 심화교육과정의 실태와 문제점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전국의 12개 초등학교 교원 양성 대학의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여 교과교육과정과 심화교육과정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과교육학 관련 강의를 담당하는 교수들을 대상으로 면담과 이메일을 통한 질의·응답의 결과를 정리하고 해석함으로써 교과교육을 담당하는 교사교육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였다. Regarding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subject-curriculum and advanced curriculum is important because it is the first starting point of instructional expertise that is important for prospective teachers. Instructional experti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distinguished from tha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Teachers interact with students through their subject classes and perform main educational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subject-curriculum and advanced curriculum from the point of view of teacher educators in char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curriculum were examin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of 12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iscourses gathered as a result of question-and-answer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e-mails to professors in charge of curriculum education, to grasp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eacher educators.

      • 얼굴 표정 인식을 위한 Densely Backward Attention 기반 컨볼루션 네트워크

        서현석 ( Hyun-seok Seo ),( Cam-hao Hua ),이승룡 ( Sung-young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2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의 등장으로 얼굴 표현 인식 연구는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기존의 CNN 접근법은 미리 학습된 훈련모델에서 Multiple-level 의 의미적 맥락을 포함하지 않는 Attention-embedded 문제가 발생한다. 사람의 얼굴 감정은 다양한 근육의 움직임과 결합에 기초하여 관찰되며, CNN 에서 딥 레이어의 산출물로 나온 특징들의 결합은 많은 서브샘플링 단계를 통해서 class 구별와 같은 의미 정보의 손실이 일어나기 때문에 전이 학습을 통한 올바른 훈련 모델 생성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Backbone 네트워크의 Multi-level 특성에서 Channel-wise Attention 통합 및 의미 정보를 포함하여 높은 인식 성능을 달성하는 Densely Backwarnd Attention(DBA) CNN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High-level 기능에서 채널 간 시멘틱 정보를 활용하여 세분화된 시멘틱 정보를 Low-level 버전에서 다시 재조정한다. 그런 다음, 중요한 얼굴 표정의 묘사를 분명하게 포함시키기 위해서 multi-level 데이터를 통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행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접근방법이 정확도 79.37%를 달성 하여 제안 기술이 효율성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