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영편(晝永編)』 연구 -지식의 형성 배경과 서술 태도에 관하여-

        서한석 ( Seo Han-seok )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6

        『晝永編』은 조선 후기의 학자 鄭東愈의 저술이다.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저자는 이 책을 “긴 여름날의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썼다고 하고 또 “짜임새나 순서가 없어 심심풀이로 보기에도 부족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내용을 면밀히 살펴보면 이는 스스로의 겸사일 뿐 실상과는 다르다. 상하 2책 총202칙에 이르는 이 책은 규모는 작지만 역사, 학술, 언어, 역법으로부터 풍속, 지리, 명물 호칭 등 다양한 방면에 걸친 흥미로운 기사들이 실려 있다. 18~19세기 조선은 類書나 차기체 필기류가 유행하던 시기이다. 『주영편』은 이러한 문학사적 배경에서 저술되었고 두 가지 특징을 겸하고 있다. 그러나 결정적으로 각각의 항목들이 체계적으로 분류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유서보다는 차기체 필기로서의 면모가 도드라진다고 본다. 이에 본고에서는 차기체 필기의 관점에 입각하여 『주영편』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주영편』은 정동유의 만년의 저술로 저자의 폭넓은 독서와 노년의 학예적 성취에 기반한 학술적인 성격이 강하게 드러난다. 정동유는 家乘과 師承을 통해 폭넓고 다양한 지식을 축적하고 기존의 통념과 속설의 모순점을 합리적인 의심을 통해서 부정하였으며, 명확한 실증적 근거를 통해 결론을 도출함으로써 새로운 지식을 산출해내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주영편』은 『芝峰類說』로부터 받은 영향도 뚜렷하게 드러난다. 『지봉유설』에서 비롯된 名物考證學의 전통이 『星湖僿說』과 『松南雜識』, 『五洲衍文長箋散稿』 등으로 이어지고 있는데, 『주영편』 또한 이러한 시대 배경과 문학사적 연속선 상에서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Jooyoungpyon is the work of Jung Dong-yu who were scholars in 18th century in Joseon. He said about the reason of writing this book, it was to break the monotony of long summer days. However we found his comment on his work was just modest expression. This book in two volumes consists of 202 contets, it was about a wide variety of history, knowledge, language, customs, geography, calendar, etc. The chagi style of writing of Encyclopedia were popular in the 18~19th centuries Choseon. And Jooyoungpyon also combines these characteristics, especially it is more of chagi style. So this paper examined Jooyoungpyon as a chagi style writing.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한자학(韓國漢字學)의 미학적(美學的) 접근(接近)(3) 16세기 후반 비지류(碑誌類) 문장(文章)의 미의식(美意識) 분화에 관한 고찰(考察)

        서한석 ( Han Seok Seo ) 동방한문학회 2012 東方漢文學 Vol.0 No.50

        There were lots of changes in 16th century, we can find the changes in the classical literature of Josen in the period. The major cause of the changes were the an introduction to reversionism thought from Ming(明). The literary world of Josen in 16th century was influenced by the reversionism thought. This paper was intend to consider the detailed chages of aesthetic aspects of prose since the introduction to reversionism thought. This paper focused on Epitaphs(碑誌類), it is texts honoring a deceased perso, of Yun Geunsu(尹根壽)?I Hangbok(李恒福)?Yu Seongryong(柳成龍)?Yu Geun(柳根). Epitaphs(碑誌類) was understood it was related to the old text revival movement. epitaphs(碑誌類) showed big changes during the 16th century. And The writing of these four literary men was evaluated the statesmanship`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about reversionism thought. This paper examined the distinct difference of these four literary men.

      • KCI등재

        현대 신학의 방향 모색 : 카치아리(M. Cacciari)의 ‘Inventio Veritatis’ 문제의식과 몰트만(J. Moltmann)의 생태학적 창조론

        서한석(Han-Seok Seo)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20 가톨릭신학 Vol.0 No.37

        현대 신학의 방향을 모색하면서 세상에 그리스도교 신앙에 대한 믿을만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는 우선, 카치아리(M. Cacciari)의 ‘Inventio Veritatis’ 개념이 제시하는 현대 세상에 대한 신학의 특별한 기획을 고찰한 후, 몰트만(J. Moltmann)의 사상 안에서 수렴되는 실천 신학의 방향을 설정한다. 카치아리의 ‘Inventio Veritatis’ 방법론은 신학으로 하여금 인간의 구체적 삶의 현장 안에서 계시된 진리를 향하여 항구히 묻고 탐구하며 고찰하도록 기획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고 기후 변화를 비롯한 환경문제들에 대한 상황신학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특별히 몰트만은 현재의 역사 안에서 질적인 그리스도의 미래(Zukunft)를 선취하는 희망의 역사관을 통하여 ‘Inventio Veritatis’ 기획의 원동력을 제공한다. 몰트만의 새로운 그리스도교적 인간학은 현대신학으로 하여금 종말론적 물음으로 정향된 ‘인간과 온 창조계의 그리스도와의 통교-사귐 신학’을 통하여 생태학적 창조론을 일으키도록 인도할 것이다. 이제 현대의 실천 신학은 생태학적 창조론을 통하여 삼위일체 하느님과 자연과의 공동의 삶 안에서 인간의 통합적이고 전체적인 실현을 희망한다. 현대신학은 창조계를 바라봄에 있어서 인간의 이기심에 신음하고 있는 창조계 안에서 고난 가운데에 있는 ‘하느님의 거하심’을 알아보고 미래의 인간과 자연의 평화와 공존을 선취하며 이러한 선취적 희망에 대한 절실함을 세상에 외쳐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provide the world with a credibility for Christian faith while seeking the direction of modern theology,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special project of theology suggested by ‘Inventio Veritatis’ Methodology of M. Cacciari, this study sets the direction of contemporary theology that converges within the ideas of J. Moltmann. Specially Cacciari’s ‘Inventio Veritiatis’ envisions a constant questioning, exploration, and consideration of revealed truth within the field of human concrete life. And the necessity of contextual theology on the issues of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is emerging in preparation for Post-Covid 19 Era and in particular, Moltmann provides the driving force of the ‘Inventio Veritatis’ project through a visions of history in hope that preempts the qualitative ‘future(Zukunft)’ of Christ in the present history. Moltmann’s Christian anthropology will lead modern theology to arouse ecological doctrine of creation through a theology of communion between man and Christ in all creation, which is directed to eschatological questions. The ecological theology hopes for the integral and holistic realization of man in the common life of the Trinity God and nature. Modern theology must now recognize the God who suffers together in the world of creation groaning for human selfishness. Theology should seek the peace and coexistence of humans and nature in the creation world, recognizing God’s dwelling in the midst of suffering, and proclaim to the world the urgent need for this hop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李恒福 漢詩의 詩史的 性格에 關한 小考

        徐漢錫(Seo Han-seok) 대동한문학회 2006 大東漢文學 Vol.24 No.-

          白沙 李恒福(1556∼1618)은 1580년 이후, 근 40년 동안 조정에 있었다. 젊어서부터 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임진왜란 이후 국가 체제의 정비와 문물의 부흥을 위해 노력하였다. 때문에 그의 문학작품에는 나라의 중요한 사건이나 국가적 사업에 관련된 글들이 많다.<BR>  『백사집』의 문헌적 가치에 대해 임형택 교수는 경세문장적 의미와 기록적 산문의 성과로 평가하였다. 이는 백사의 산문에 주목하여 평가를 한 것이다. 그런데『백사집』소재 한시들에서도 그러한 특징이 드러난다.<BR>  백사의 시는 눈앞의 현실과 거기에서 비롯된 감정 또는 느낌을 꾸밈없이 直敍하는 경향이 강하다. 직면한 현실과 거기에서 촉발된 감정을 꾸밈없이 담담하게 읊은 그의 시에서 당면한 민족의 슬픔과 고난, 또 고위관리로서 시대를 고민하고 아파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다시말해 백사의 시도 산문처럼 "據實直敍"의 성격이 두드러진다.<BR>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백사의 한시를 고찰하였다. 17세기 전환기의 시대상과 현실을 잘 드러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백사의 시가 社會詩的 성격, 보다 넓은 의미로는 杜甫에게서 시작된 ‘詩史’로서의 특징을 지니게 되는 원인이라 하겠다.   This paper is a study about particular thing of Lee Hangbok"s poetry. He held important official positions. He contributed to Chosun dynasty"s reconstitution and nation"s order after ImJin-War. Therefore there are a lot of literary work about national enterprise and historical things.<BR>  Prof. Lim Hyungtaek evaluated『Baeksa-Jip』 as an epic prise which related to administration. The mention focused on his prose. But I think his poems also have got the distinction.<BR>  Baeksa"s poetry has a tendency to express his plain feelings. The poems were written about his troubled times. He wrote about the effect of the times in which he lived on himself. Accordingly Baeksa"s poetry also characterized by a historical descriptions.<BR>  When we read Baeksa"s poem, we could see actuality of Chosun dyanaty in 17c. So you could say Baksa"s poetry have got features of historical poems, which have been originated by DuFu(杜甫) who has been called "poet-historian(詩史)"

      • KCI등재

        조선비전(朝鮮秘傳) 간우환(干牛丸)을 통해본 조일의학(朝日醫學)교류의 일면

        서한석 ( Han Seok Seo ) 우리한문학회 2011 漢文學報 Vol.24 No.-

        본고는 조선 의원이 일본 의원에게 알려준 干牛丸이라는 약을 통해서, 전통시대 조선과 일본 사이에 있었던 의학교류의 구체적인 한 측면을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쓴 것이다. 간우환에 대한 단서는 1811년 통신사로 일본에 갔던 金善臣의 「干牛丸贊 幷序」를 통해 얻을 수 있었다. 조선은 건국 이후 의학발전을 위해 중국 의학 이론을 받아들이고 조선의 약재를 연구하는 등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조선후기에는 『동의보감』이 청에서 간행되고 청과 일본이 의원 파견을 요청할 만큼의 수준에 도달하게 되었다. 간우환은 이러한 흐름 속에 조선 의원이 일본에 파견되면서 전해지게 되었다. 대마도의 의원에게 전해진 간우환은 이후 일본사람들 사이에서 점차 인기를 얻어 널리 애용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므로 이 약의 전래와 유포과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朝·日양국간의 의학교류 그리고 조선 의학이 일본 의학에 끼친 영향의 구체적인 일면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exchange of medical information between Joseon and Japan via Ganuhwan(干牛丸), this medicine was invented by Joseon`s doctor. This paper exmanied Ganuhwanchan Byeongseo(干牛丸贊 幷序) written by Kim Seonsin in 1811, he mentioned the relationship of Joseon and Japan via the medicine, Ganuhwan(干牛丸). In 17th century, Joseon built up independent cure means and Eastern medical science(東醫) in Asia, the level was very high. For example Dong-uibogam(東醫寶鑑) was really famous, China and Japan requsted the book. The request of Japan was not only the book also doctors. Ham Deuk-il was one of the doctors who was sent Tsushima(對馬島), he treated the patients and educated Japanese doctors. And he initiated a Japanese doctor into the medicie, Ganuhwan. As a result, Ganuhwan was popular as folk Medicine for all sorts of cures. This paper identified the medical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 As the result we know the medical exchange influenced on the medical science of Japan.

      • KCI등재

        의궤 번역의 현황과 번역 방안 연구

        서한석(Seo, Han-seok) 한국고전번역원 2013 民族文化 Vol.42 No.-

        조선왕조 의궤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최근 프랑스 외규장각 의궤의 귀환과 일본 궁내청 소장 도서의 반환을 계기로 더욱 높아졌다. 이러한 시점에 문화재청은 국민적 관심과 여러 학계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고자, 의궤를 필두로 한 ‘중요기록유산 국역 사업’을 시작하였다. 본고는 이 중요기록유산 국역사업의 대상 중 하나인 조선왕조 의궤에 한정하여, 현재까지의 번역 현황과 번역을 통한 기대효과, 그리고 의궤를 번역의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해보려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의궤 번역과 관련 연구의 추이를 살펴볼 때, 국민적 관심을 충족시키고 각종 연구의 기본 자료로써 의궤의 활용성을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번역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개별 기관이나 연구자가 각각의 필요에 의해 번역이 진행되었다. 물론 다양한 내용의 의궤가 번역되는 것도 학계에는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본격적인 의궤 번역이 시작된 현 시점에서는 학계 및 여러 관련기관의 의견을 수렴하여 번역할 가치가 높은 의궤를 선별하여 이를 먼저 번역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한편 실제 번역에 있어서도 효율적인 번역을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본고의 마지막 장에서는 의궤 번역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방안을 살펴보았다. The public interests in Uigwe(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儀軌) have been higher after the return of the Oegyujanggak(外奎章閣) Uigwe from France and large volumes of ancient Korean books stored in Japa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文化財廳) started the translation important documentary Heritage such as Uigwe. This paper examines present stratus of Uigwe translation and the problems, and seeks way to improve that. The best way to utilize Uigwe is accurate translation to modern Korean. Because Uigwe was written in old Chinese character, a few people who understand old Chinese character could use Uigwe for their studie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translate all Uigwe, we have to select some Uigwe which are more valuable and more necessary. A broad variety of ideas have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select that. And there are some problems to solve for producing professional translation. This paper, finally, try to suggest the alternatives.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에 나타난 ‘전인(全人)으로서의 부활관’과 교회의 종말론적 가르침에 대한 신학적 고찰

        서한석(Seo, Han Seo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神學展望 Vol.- No.196

        본고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을 그 출발점으로 삼으면서, ‘영혼과 육신의 온전한 결합체로서의 인간관’과 그리스도교의 부활 신앙을 밀접히 연결시킨다. 특별히 『신학대전』은 어떻게 그리스도의 부활을 묘사하고 있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우선 예수 그리스도께서 입으셨던 진정한 인성(人性)을 다룰 것인데 여기서는 특별히 그분이 인간으로서 겪어야 했던 수난과 죽음에 집중 조명한다. 또한 인간의 육신은 결코 환상이 될 수 없음을 뚜렷하게 제시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의 질적인 특성을 살펴보면서, 인간 사후(死後)에 이루어질 전인(全人)으로서의 부활에 집중한다. 특별히 본고는 그리스도교 부활 신앙 교리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토마스의 신학을 염두에 둔다. 과연 그가 ‘영혼과 육신의 단일한 존재로서의 인간관’을 바탕으로 제시한 종말론적 부활관은 현대 신학의 ‘사후(死後)에 이루어질 전인격적 사건으로서의 부활’에 많은 영향을 끼쳤던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몇몇 현대 신학자들은, 한편으로 죽음 속에서 영혼이 육신으로부터 분리되어 하느님께로 나아가고 세상 마지막 날에 육신이 영혼을 뒤따라 영생에 참여한다는 전통 교리의 표상 대신, 죽음 속에서 이미 육신의 부활이 이루어진다는 신학적 입장 곧 죽음을 통해서 인간은 지상에서 살았던 육신과 함께 부활한 후 하느님께 나아간다는 신학적 이론을 제시한다. 물론 이러한 신학적 이론은 다른 신학자들에 의해서 비판의 대상이 된다. 단일체로서의 인간관을 지속적으로 견지하는 토마스 아퀴나스 역시 교회의 전통적인 가르침대로 죽음 후 ‘공심판’과 ‘사심판’을 언급하면서 사실상 ‘중간 상태’에 대해서 거론하는데, 그 이유는 그리스도교의 신앙은 최종적으로 완성될 만인 구원을 지시하는 예수 부활의 종말론적 신앙의 우주적 희망을 간직하기 때문이다. 부활한 육신은 다시 죽어 썩어 없어질 그러한 ‘육체’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이 ‘육체’는 인격적인 관계들을 통해서 형성되었고 타인들과 세계 전체와의 유대관계 속에서 여전히 영구히 머무를 ‘육체’이기 때문이다. 죽음 이후 다가올 종말론적 삶의 표상을 정확하게 밝힐 수는 없는데, 이는 전적으로 하느님의 구원 신비의 영역에 속하기 때문이다. 중요한 점은 영원한 삶에 대한 희망은 구체적인, 전인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에 그 원인을 두고 있다는 사실이다. This study looks mainly to the Summa Theologica of Thomas Aquinas reviewing about the physical resurrection of Christ and the Christian faith in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In order to interpret the ‘Resurrection of Christ’ presented as a question of faith, we look at the human perspective as a single entity of soul and body as proposed by Thomas Aquinas and examine the suffering and death of Christ, especially as a true human being. Christians do not hope for the ultimate future of humans and the world based on the experience of hope that is universally found in human time and history, but they find the answer in Jesus Christ. Furthermore, this study mentions the position occupied by Thomas Aquinas in Catholic doctrine and in modern theologies concerning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A human being as a single entity’ which Aquinas emphasized while using Aristotle’s view of humanity was extended to ‘the Resurrection as a whole personal event’ and finally it was firmly accepted in the Catholic eschatology through the official doctrine of the church and in modern theolo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