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맥류성 골낭증

        지훈,서진석,Ji, Hoon,Suh, Jin-Suck 대한영상의학회 1987 대한영상의학회지 Vol.23 No.6

        In 4 patients with aneurysmal bone csyts, radiologic findings of their conventional x-rays, 99mTc-MDP bone scans and CT scans were reviewed. On CT scans, 3 patients revealed so called "the fluid-fluid levels." It must be one of the specific findings which is able to diagnose the ABC. When we performed the ultrasongraphy in a patient with the balooig out lesion on right ilium. multiple horizontal echogenic lines were observed in the supine and decubitus position. It could be interpretated as a identicla finding to the fluid-fluid levels on CT. Therefore ultrasonography is also one of the specific diagnostic tools to detect the ABC. Transcatheter embolizaton was beneficial in reducing operation time and blood loss, and in supplying clear operation field.ion field.

      • SCOPUSKCI등재
      • Outcomes of Diffuse-Type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PVNS) after Open Total Synovectomy

        이모세,이수현,서진석,양우익,신규호,Lee, Mo-Ses,Lee, Soo-Hyun,Suh, Jin-Suck,Yang, Woo-Ik,Shin, Kyoo-Ho The Kor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201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6 No.1

        목적: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은 슬관절을 비롯한 주요 관절에서 드물게 발생하는 연부 조직 종양으로서 수술 적 치료 후 재발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관절에 발생한 미만형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 대한 활막 전 절제술 후 임상 경과를 보고하고, 기존에 발표 된 문헌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2월부터 2006년 3월까지 미만형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으로 치료 받은 21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발생 부위는 슬관절 14예, 족관절 5예, 견주관절 2예가 있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5년 5개월이었다(36-157개월). 발생 연령은 평균 34세였으며 남자가 7명, 여자가 14명이었다. 후향적 연구 방법으로 관절 운동 범위 측정을 포함한 정기적인 임상 양상 평가를 하였다. 결과: 총 21예의 미만형 환자 중 1예를 제외 한 전례에서 활막 전 절제술 및 전기소작술을 통한 보강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정기적인 외래경과 관찰 상 재발이 의심되었던 2예에서 재수술 후, 1예에서만 조직학적 재발이 확진 되었다. 활막 전 절제술을 시행하지 못한 1예와, 재발로 재수술 받은 1예에서 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 하였다. 임상 기능 평가상 술전과 비교하여 모든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이 있었다.(p<0.0001). 슬관절에 발생한 병변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 후 관절 운동 장애로 제약이 있던 환자는 2예(총 14예) 있었다. 결론: 최소 3년 이상의 추시 기간 동안 활막 전 절제술 및 전기 소작술을 통한 보강 치료로 호전된 임상 결과 및 낮은 재발율의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잦은 재발과 주요 관절에 발생하여 국소적 침투, 파괴로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미만형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 치료에 있어 적절한 활막 전 절제술이 시행 될 경우 방사선 보강 치료는 제한 된 경우에만 필요할 것이다. Purpose: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PVNS) is a rare soft tissue tumor, which usually arises in larger joints, such as the knee. It has a high recurrence rate after surgical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analyze the clinical results of diffuse-type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cases that were treated with open total synovectom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94 and 2006, 21 patients who had diffuse-type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were selectively reviewed. Among the 21 cases studied, 14 patients presented at the knee, 5 at the ankle, and 2 at the shoulder and elbow.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5.5 years (range, 36-157 month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34 years consist of 7 men and 14 women. Clinical outcome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including range of motion and complications. Results: Open total synovectomy and adjuvant electrocautrization were done in all cases except one. During the regular follow-up period after the surgery, two patients showed symptoms of recurrence. After re-operation, only one case was pathologically confirmed as a recurrence. The patient who had partial synovectomy and the other patient who had second operation due to recur rence received additional radiation therapy. Clinical outcome scores were improved in every aspect (p<0.0001). 2 out of 14 Patients who had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at the knee developed stiff knee after the surgery. Conclusion: After the open total synovectomy with electrocautrization, a low recurrence rate and satisfactory clinical outcome was achieved, observed in a minimum of 3 years of follow-up.

      • 골단일 형질세포종 : 방사선학적 소견

        윤춘식,김명준,안창수,서진석,신규호,Yoon, Choon-Sik,Kim, Myung-Joon,Ahn, Chang-Soo,Suh, Jin-Suck,Shin, Kyoo-H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6 No.2

        목적 : 골단일 형질세포종의 방사선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최근 5년동안 골단일 형질세포종으로 진단받았던 9례의 방사선 소견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중 2례는 골수검사 소견의 이상으로 대상에서 제외되었고 다른 2례는 전산화단층촬영(1례)와 자기공명영상(1례) 소견의 이상 소견에 의해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결과 : 5례 중 4례에서 단순방사선검사상 경화성 변연이 없는 지도 모양의 골파괴 소견을 보였으며 대퇴골에서 발생한 1예는 골경화증 병변을 보였다. 전산화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 검사는 단순방사선검사에 비해 소주형성을 한 골파괴와 연부조직 침범 등 보다 많은 정보를 보여주었다. 4례의 자기공명영상에서 T 1강조영상에서는 비교적 고신호강도, T2강조영상에서 는 근육보다 약간 높은 중등도 신호강도를 보여주었다. 1례에서는 광범위한 연부조직 침범이 있었고, T1강조영상에서 같거나 저신호강도로, T2강조영상에서는 비균일한 고신호강도를 보이는 다발성 괴사가 있었다. 조영증상 T 1강조영상에서는 괴사부위를 제외한 병변의 강한 조영증강소견이 보였다. 결론 : 전산화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 검사는 골단일 형질세포종의 특징적인 소견의 일부를 보여줄 수 있고 형질세포 침윤이 있는 다른 부위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이 골단일 형질세포종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We examined the patients to evaluate the radiologic findings of solitary plasmacytoma of the bone. Materials and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radiologic findings of 9 cases with solitary plasmacytoma of the bone (SPB) for recent 5 years, but 2 cases were not included this study due to an abnormal finding of bone marrow and another 2 cases were not included due to an abnormal manifestations of computed tomography (n=1) and MRI (n=1). Results : Among 5 cases, 4 cases had an osteolytic bone destruction and 1 case had an osteosclerotic bone destruction on the plain radiograph. Computed tomography and MRI showed more informations about trabeculated bone destruction and the soft-tissue extension of the lesion comparing to plain radiographs. The MRI finding of SPB in 4 cases showed a relatively high signal intensity on T1-weighted image and intermediate signal intensity on T2-weighted image, on which the signal intensity of the lesion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muscle. One case had an extensive soft-tissue involvement and multiple necrosis, which presented iso to low signal intensity on T1-weighted image and high heterogeneous signal intensity on T2-weighted image. The Gadolinium-enhanced T1-weighted images of 5 cases showed diffusely strong enhancement of the lesion except on the necrosis areas. Conclusion : Computed tomography and MRI may present some characteristics of SPB and demonstrate another foci of plasma cell infiltrates, so these can be helpful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SPB.

      • 사지에 발생한 지방육종

        이수현,조인제,양우익,서진석,신규호,Lee, Soo-Hyun,Cho, In-Je,Yang, Woo-Ick,Suh, Jin-Suck,Shin, Kyoo-H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6 No.2

        목적: 사지에 발생한 지방육종의 치료 결과와 임상적 예후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4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사지에서 발생한 원발성 지방육종으로 진단받고 치료받은 44명 중 5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4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 중 13명은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함께 시행 받았다. 국소 재발과 원격 전이 및 5년 무병생존율을 조사하였고, 나이, 성별, 종양의 크기, 비계획적 절제술 여부, 조직학적 유형, 수술적 절제연, 방사선 치료 병행 유무 등이 5년 무병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국소 재발 3예, 원격 전이는 4예가 있었고, 5년 무병생존율은 85.0%였다. 조직학적 유형은 점액성 지방육종이 26예, 고분화 지방육종이 8예, 원형 세포형 지방육종이 4예였으며, 비분화 지방육종, 다형성 지방육종이 각각 한 예였다. 고분화 지방육종, 점액성 지방육종, 원형 세포형 지방육종 세 군의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100.0%, 84.6%, 75.0%였다(p=0.419). 수술 절제연에서 종양 세포가 관찰되지 않았던 환자(n=32)에서는 5년 무병 생존율이 90.6%였고, 절제연에서 종양 세포가 관찰된 환자(n=8)에서는 62.5%였다(p=0.003). 결론: 수술적 절제연에서 종양 세포의 관찰 여부가 5년 무병생존율에 유의한 인자였다. Purpose: We analyzed disease free survival and the prognostic factors of liposarcoma in the extremit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94 and 2005, of 4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nd treated for liposarcoma of the extremity, 40 patients were restrospectively analysed. 13 out of 40 patients got postoperative radiotherapy. We examined local recurrence, distant metastasis and disease free 5-year survival rate. We also analyzed clinical prognostic factors, such as age, gender, size of tumor, prior unplanned excision, histologic type, surgical excision margin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respectively. Results: There were 3 cases of local recurrence and 4 cases of distant metastasis. The disease free 5-year survival rate was 85.0%. 26 patients presented with myxoid, 8 well differentiated, 4 round cell, 1 pleomorphic and 1 dedifferentiated histology. The disease free 5-year survival rate of mixoid, well differentiated and round cell liposarcoma were 100.0%, 84.6% and 75.0% (p=0.419). The 5-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was 90.6% in negative surgical margin (n=25) and 62.5% in positive surgical margin (n=15) (p=0.003).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surgical excision margin is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for 5-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 천골 및 골반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에 대한 동맥 색전술 치료의 효용성 분석

        김승현,윤길성,조용진,신규호,서진석,양우익,Kim, Seung Hyun,Yoon, Gil Sung,Cho, Yong Jin,Shin, Kyoo-Ho,Suh, Jin-Suck,Yang, Woo-Ic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9 No.2

        목적: 천골 및 골반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에 대한 동맥 색전술의 효용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2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연속적 동맥 색전술을 시행한 9예를 대상으로 그 임상 결과 및 동맥 색전술에 대한 거대세포종의 치료 반응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9예 중 6예에서 거대세포종이 진행되어 연속적 동맥 색전술은 천골 및 골반골 거대세포종 치료에 있어서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5예의 경우에서는 수술, 방사선 치료 등의 추가적인 치료를 시행 했음에도 불구하고 거대세포종이 진행되었다. 9예 중 3예에서 거대세포종의 호전 및 완치 소견을 보여,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이와 관련된 인자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첫 혈관조영술 시행 시 거대세포 종양의 영양 혈관수가 6개 미만인 경우(p=0.048), 측부 순환의 개수가 3개 미만인 경우(p=0.048) 만이 동맥 색전술에 대한 치료 반응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첫 동맥 색전술 시행 후 잔존 종양 염색 유무와 반복 시행 횟수는 연관이 없었다. 결론: 천골 및 골반골 거대세포종의 치료에 있어서 연속적 동맥 색전술은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아니나, 첫 혈관 조영술 시행 시 종양의 혈관 분포가 적은 경우에 한해서 시행한 다면 좋은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arterial embolization on sacral and pelvic giant cell tumor (GC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9 patients who had undergone serial arterial embolization between December 1996 and May 2008. We analyzed the clinical outcomes and therapeutic responsiveness of arterial embolization on sacral and pelvic GCT. Results: Six of 9 cases showed progression of disease (PD) status, even if 5 cases showed PD status despite of additional treatments including surgery and radiation, implying that serial arterial embolization on sacral and pelvic GCT is not effective. Three of 9 cases showed stable disease (SD) or continuous disease free (CDF) status and we analyzed associated factors with these good responses for embolization by ${\chi}^2$ test. The number of feeding vessels under six (p=0.048) and the number of collateral arterial supply under three (p=0.048) in the first angiogram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good response for embolization, while remaining tumor staining by contrast after the first embolization and repeated embolization times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Although serial arterial embolization is not an effective modality on sacral and pelvic giant cell tumors, it may be a pilot modality under narrow indication of tumors with poor vascularity at first angiogram.

      • KCI등재

        류마티스 관절염의 질병 활성도 결정에 있어서 손목 자가공명영상의 유용성

        김효열 ( Hyo Youl Kim ),김진안 ( Jin An Kim ),이수곤 ( Soo Kon Lee ),홍천수 ( Chein Soo Hong ),서진석 ( Jin Suck Suh ) 대한류마티스학회 1995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2 No.1

        연구목적: 다양한 경과와 예후를 보이는 만성 염증성 다관절 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질병 경과와 치료 반응 정도를 결정하는 객관적인 기준이 필요하다. 최근 자기공명영상이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병변의 염증 상태와 골의 미란성 병변을 관찰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소개도어지고 있어 저자 등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 있어서 자기공명영상 촬영이 질병 활성도를 반영할 수 있는지 여부와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7월부터 연세의료원 류마티스 크리닉에서 추적 관찰 중인 15명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손목관절의 일반 방사선 촬영과 여러 촬영기법의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시행하여 미란의 수를 관찰한 미란점수를 방사선 지표로 질병 활동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임상 및 검사실 지표와 상관관계를 검정하였다. 결과: 손목관절의 미란점수로 나타낸 방사선 지표가 일반 방사선영상과는 달리 자기공명영상에서 적혈구침강속도 및 혈청 IgG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그러나 이 지표는 환자의 주관적 통증평가와 의사의 임상 평가인 손의 악력, Ritchie 지수 등과 연관성이 없었다. 자기공명영상은 특히 초기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일반 방사선영상에는 관찰되지 않는 골 미란까지 관찰할 수 있어 유용하였고, 자기공명영상의 촬영방법으로 지방신호 억제 T2 강조영상 조영증강영상이 일반 방사선 촬영보다 우월하였다(p<0.05). 결론: 현재로서는 높은 비용과 긴 촬영시간이 제한점이 되고 있지만 앞으로 이런 문제만 해결된다면 손목 자기공명영상은 류마티스 관절염의 질병 활성도 측정에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약물의 치료효과 판정에도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추측한다. Objective: To investigate whether the findings of wris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RA) is representative of their disease activity. Methods: MRI and plain radiographs were performed on the wrists of 15 patients with RA. Four MRI techniques were used; T1 weighted spin echo image (T2WI), chemical fat suppression T2 weighted image (FS-T2WI) and Gadolinium-DTPA contrast enhanced T1 weighted image (CE-T1WI). Erosion scores used as radiologic index were calculated from total counts of bone erosion in all coronal planes of wrist MRI and plain radiographs. This erosion score was compared with the clinical indices (Ritchie index, grip strength, visual analogue pain scale) and laboratory indices (ESR, CRP, hemoglobin, immunoglobulins). Results: MRI erosion score of the wrist in patients with RA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SR and serum IgG level, but did not correlate with global clinical indices such as grip strength and Ritchie index. MRI was especially useful in early detection of erosive bone change. Special MR images such as fat suppres-sion and Gd-DTPA enhanced images were superior to plain radiographs and conventional MR images in detecting the erosive lesion of carpal bones. Conclusions: Wrist MRI is useful in early detection of erosive bone change and may be an important tool for the measurement of disease activity in RA. We prospect that it could be used to assess the progression of the disease and the response of drug therapy.

      • KCI등재

        소아에서 발생한 활액막연골종증 1례

        김동수 ( Dong Soo Kim ),조재민 ( Jae Min Cho ),서진석 ( Jin Suck Suh ) 대한류마티스학회 1998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5 No.2

        Synovial chondromatosis is an uncommon condition characterized by the formation of multiple cartilagenous nodules in the synovium, many of which detach and become free. It is usually monoarthritic disease, and most often affects large joints. MR imaging currently appears to be the best noninvasive method to confirm the diagnosis. Surgical removal of the loose bodies and complete synovectomy of the involved joint is the usual treatment. It is most often diagnosed during the third to fifth decades of life, but relatively rare during the childhood. We report a 12-year-old girl of synovial chondromatosis affected left knee joint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사지에 발생한 혈관종의 수술적 치료

        이수현(Soo Hyun Lee),신규호(Kyoo-Ho Shin),양우익(Woo-Ick Yang),서진석(Jin-Suck Suh),한수봉(Soo Bong Hah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2

        목적: 사지에 발생한 혈관종의 치료로 절제술, 경피적 경화술, 방사선 조사 등이 시행되어 왔으나 결과에 대한 보고는 매우 드물어 혈관종을 수술적으로 치료한 결과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1년 9월까지 혈관종으로 진단 받고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8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31예, 여자가 49예였고 평균 연령은 22.1세였다. 수술적 절제술이 61예, 경피적 경화술은 9예에서 시행되었으며, 10예는 경피적 경화술과 수술이 시행되었다. 결과: 수술적 치료를 받은 71예 중, 통증이 주증상인 경우는 54예였고 이 중 49예에서 수술 후 통증이 완전히 소실되었으며 나머지 5예에서도 50% 이상 감소되었다. 크기는 평균6×4cm이었으며 5cm이상이 49예이었다. 재발은4예(5.6%)에서 발생하였고 이중 3예는 경피적 경화술과 절제술, 1예는 절제술이 시행되었다.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합병증은 2예(2%)에서 발생하였다. 해부학적 진단으로는 해면상 혈관종이 51예(71.8%)로 가장 많았다. 경피적 경화술을 시행 받은 19예에서 평균 50%정도의 통증감소가 있었으며 경피적 경화술 또는 절제술 등의 다음 시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1.5년이었다. 결론: 혈관종의 치료에서 수술적 절제술은 통증의 감소 및 종괴의 제거를 위한 이상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Hemangioma of the extremity is a painful soft tissue tumor. Many treatment modalities (surgical excision, sclerotherapy, radiation, etc) have been used, but results have rarely been reported. This study addressed the efficacy of surgical excision on hemangioma of the extremities. Materials and Methods: Eighty cases were analysed, all diagnosed as hemangioma between January 1994 and September 2001, and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1 year.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31:49, and the mean age 22.1 years. Sixty-one of the cases received surgical treatment, nine cases sclerotherapy, and the other ten cases received both. Results: The main complaint of 54 of the 71 people who received surgery, was pain. After surgery, 49 were completely relieved of pain, and the reminder showed more than 50% pain relief. The mean size of the mass was 6×4cm, and in 49 cases, it was larger than 5cm. Hemangioma recurred in 4 patients (5.6%), 3 of the 4 received sclerotherapy and surgical treatment, only one received excision. Complications requiring surgical treatment occurred in only 2 patients (2%). The most common type was cavernous hemangioma which occurred in 51 cases (71.8%). Nineteen patients who received sclerotherapy showed reduced pain to about 50% average. Retreatment was required after a 1.5 years interval. Conclusion: Surgical excision is a reliable treatment for pain relief and for removing symptomatic hemangio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