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소아 장중첩증과 혈중 비타민 C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지현,김점수,황지영,전진수,박지회,김은아,임재영,최명범,박찬후,우향옥,윤희상,Seo, Ji-Hyoun,Kim, Jeum-Su,Hwang, Ji-Young,Jun, Jin-Su,Park, Ji-Hoe,Kim, Eun-A,Lim, Jae-Young,Choi, Myoung-Bum,Park, Chan-Hoo,Woo, Hyang-Ok,Youn, Hee-Sha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1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4 No.2

        목적: 장내 장중첩증 원인 바이러스의 침습에 의한 임파선 비대 및 장중첩증으로 인한 교액성 장폐색증은 혈중 비타민 C의 감소를 동반할 수 있으며, 또한 체내 비타민 C가 부족할 경우 장내 adenovirus 감염 및 침습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중첩증과 전혈과 혈장의 비타민 C 농도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5년 5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경상대학병원 응급실로 내원하여 진단받았던 장중첩증 환아 57명과 장중첩증 연구군과 연령 분포가 동일한 진주시에 거주하는 건강한 소아 256명을 대조 군으로 2, 4-dinitrophenylhydrazine 방법을 이용하여 전혈과 혈장 비타민 C를 측정하였고 장중첩증 환아의 나이, 성별, 백혈구 수, 발열 유무, 발병에서 진단까지의 시간, 혈변의 유무와 수술 유무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 비교하였다. 결과: 장중첩증으로 내원한 환아들의 평균 나이는 1년 3개월이었으며 남아가 39명, 여아가 18명이었다. 장중첩증 환아의 전혈 비타민 C농도는 $1.49{\pm}0.64$ mg/dL로 대조군의 $2.18{\pm}0.49$ mg/dL에 비해 낮았고(P=0.0001), 혈장 비타민 C농도는 $0.59{\pm}0.36$ mg/dL로 대조군의 $1.47{\pm}0.56$ mg/dL 보다 낮았다(P=0.0001). 장중첩증 환아군에서 전혈 비타민 C 농도 중앙값이 여아 1.56 mg/dL, 남아 1.34 mg/dL로, 남아가 여아에 비해 낮았다(P=0.003). 그러나 장중첩증 환아의 연령, 백혈구수, 발열, 발병에서 진단까지의 시간, 혈변과 수술의 유무에 따라서는 전혈 및 혈장 비타민 C의 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장중첩증이 있는 환아는 건강 대조군에 비해 전혈과 혈장 비타민 C의 농도가 낮았지만 이것이 원인인지 또는 결과인지는 본 연구로 알 수 없었다. 장중첩증과 비타민 C의 관계를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Adenovirus infection with swollen Peyer patches in the ileum, known as one of the causes of intussusception, may cause vitamin C depletion in human body because vitamin C is a first line antioxidant. Or low vitamin C status in human body makes the man more susceptible to infection of adenovirus in the ileum with a markedly swollen lymph node.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diatric intussusceptions and vitamin C concentrations of whole blood and plasma. Methods: Whole blood and plasma vitamin C concentrations of fifty-seven patients with intussusceptions from May 1995 to December 1998 at th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compared with those of 256 normal healthy children. Vitamin C was measured by the 2, 4-dinitrophenylhydrazine methods. Results: The average age of patients (male=39, female=18) with intussusceptions was fifteen months of age. Whole blood vitamin C concentrations of patients and healthy children were $1.49{\pm}0.64$ mg/dL, and $2.18{\pm}0.49$ mg/dL, respectively. Plasma vitamin C concentrations of patients and healthy children were $0.59{\pm}0.36$ mg/dL, $1.47{\pm}0.56$ mg/dL, respectively. But no differences in the vitamin C concentrations of whole blood and plasma according to age, degree of leukocytosis, fever, interval from onset, hematochezia, and need for operation were found. Conclusion: Whole blood and plasma vitamin C concentrations of patients with intussusceptions were lower than those of healthy children (P=0.0001).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elucidate whether these results were consequences or causes of intussusceptions.

      • KCI등재

        적혈구 이형성증(Dyserythropoiesis)의 소견을 보이는 부분 21-monosomy 증후군

        임재영,서지현,최명범,박찬후,우향옥,윤희상,Lim, Jae-Young,Seo, Ji-Hyoun,Choi, Myoung-Bum,Park, Chan-Hoo,Woo, Hyang-Ok,Youn, Hee-Sha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4

        저자들은 특이한 얼굴, 근 긴장도 증가, 정신 지체와 혈액학적으로 일시적인 적혈구 이형성증(dyserythropoiesis)의 소견을 동반한 MDS 의증의 소견과 혈소판 감소증, 호산구 증가증을 동반하는 부분 21-monosomy 증후군 1례를 신생아기부터 8세까지 추적 관찰하고 보고한다. 이와 같은 예는 우리나라에서 보고되는 첫 증례라고 사료되어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ll complete monosomy 21 appear to be lethal early in their development in humans and only survive in mosaic forms. Complete monosomy 21 is a very rare and usually debilitating genetic disorder. Partial monosomy 21 is also rare and is thought to constitute a clinical syndrome consisting of peculiar faces, hypertonia, psychomotor retardation, and slow growth. We experienced a case of monosomy 21 mosaicism. Chromosome analysis demonstrated mosaicism for cell lines in the lymphocytes examined; 45, XX, -21/46, XX. The main clinical features were craniofacial dysmorphism including high arched palate, submucosal cleft, micrognathia and arthrogryposis-like symptoms including flexion deformity of fingers. And hematological findings were revealed dyserythropoiesis, thrombocytopenia and eosinophilia. Currently, the patient has nearly compatible growth, but a mild degree of mental retardation. We report here an 8 years old female child with apparent monosomy 21 mosaicism associated with dyserythropoiesis, thrombocytopenia and eosinophilia, with a review of the associated literatures.

      • 소아의 위장관 이물에 대한 고찰

        이민혜,강기수,정혜성,서지현,임재영,박찬후,최명범,우향옥,윤희상,Lee, Min-Rye,Kang, Ki-Su,Jung, Hae-Sung,Seo, Ji-Hyoun,Lim, Jae-Young,Park, Chan-Hoo,Choi, Myoung-Bum,Woo, Hyang-Ok,Youn, Hee-Sha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2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5 No.2

        목 적: 위 이하의 소화관에 이물이 존재하는 경우 이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자연 배출을 기다리거나 제거를 요하는 치료를 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15년간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상부 소화관 이물로 진단 받은 소아 중 이물이 위 이하의 소화관에 있었던 경우를 자연 배출이 되었던 경우와 내시경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의 이물의 위치, 임상 증상, 방사선 소견, 이물을 삼킨 후 내원까지 걸린 시간,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방 법: 1987년 2월부터 2002년 2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이불연하를 주소로 내원한 0~15세 소아 환아 220명 소아 중 이물이 위 이하의 소화관에 위치했던 경우 96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이물연하를 주소로 내원한 220명 중 내원당시 위나 소장 이하의 부위에 이물이 있었던 경우는 96례였다. 호발 연령은 2~5세였으며, 남아 60명, 여아 36명이었다(남 : 녀=1.66 : 1) 무증상이였던 경우가 62례(64.5%)였고 나머지에서는 구토, 이물감, 복통, 흉통, 보챔 등의 증상이 있었다. 방사선 검사로 이물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경우는 81례(86%)였고, 이물의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여 바륨 조영술을 시행한 경우가 1례, 내시경적으로 위치를 확인한 경우가 37례였다. 이물이 발견된 위치로는 위가 71례로 가장 많았으며, 소장 및 대장에서 발견되었던 경우는 25례였다. 이물의 종류는 동전(40%)이 가장 많았고, 핀과 같은 날카로운 물질이 27례 있었다 치료로 상부 소화관 내시경으로 제거한 경우가 37례(38.5%)였으며, 4례에서는 전신마취 하에 수술로 제거하였다. 55례에서 자연 배출을 기다렸다. 자연 배출을 지켜본 경우 55례 중 37례가 이불 연하 발생 후 24시간 이내에 내원한 경우로 가장 많았다. 24시간 이후에서 2주 사이에 내원한 경우 위내에 이물이 지속적으로 존재하면 상부 위장관 내시경으로 이물을 제거하였다 이물 연하의 합병증으로는 출혈, 미란, 궤양, 미세천공, 장폐색이 있었으나 빈도는 적었다. 결 론: 본 저자들은 15년 간의 위 이하의 소화관 이불 96례에 대한 고찰한 결과 소아용 위장관 내시경의 발전으로 상부 위장관 이물의 진단과 치료가 용이해졌음을 알 수 있었으나 자연배출을 기다려볼 수 있는 상황에서도 내시경을 이용한 제거가 증가하였는데 이에 대한 타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Foreign body swallowing is common in children. Most of foreign bodies passed upper esophagus are removed spontaneously. But recently, therapeutic endoscopy in children is widely used. In this study, we reviewed gastric foreign bodies regarding types, location, interval from swallowing, complications, and treatment or method of removal. Methods: We reviewed medical records of 96 cases with foreign bodies in gastrointestinal tract at Department of Pediatrics i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GNUH) from Feb 1987 to Feb 2002. Results: The peak age of patients (male=60, female=36) with foreign bodies in gastrointestinal tract was 2 to 5 years of age. Sixty two patients (64.5%) were asymptomatic. The location of foreign bodies in gastrointestinal tract were detected by simple X-ray in eighty one patients (86.0%), barium study (1 case), and gastroduodenoscopy in 37 cases. The most common location was stomach (63.5%). The most common foreign body was coin (41.7%). In thirty seven cases (38.5%), foreign bodies were removed with flexible gastroduodenoscopy. Fifty four patients (56.3%) visited GNUH in 24 hours after swallowing foreign bodies. The long interval (over 24 hours) of swallowing of foreign bodies is related with high frequency of endoscopic removal. Conclusion: The flexible gastroduodenoscopy was effective in diagnosis and removal of foreign bodies. Further studies for indication and validity of endoscopic removal of foreign bodies in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are needed.

      • Urease 시험법의 양성 반응과 연령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정혜성 ( Hae Sung Jung ),서지현 ( Ji Hyoun Seo ),김은아 ( Eun A Kim ),전진수 ( Jin Su Jun ),박지희 ( Ji Hoe Park ),임재영 ( Jae Young Yim ),유향옥 ( Hyang Ok Woo ),윤희상 ( Hee Shang Youn ),고경혁 ( Gyung Hyuck Ko ),백승철 ( Seung 대한소화기학회 2002 대한소화기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02 No.-

        <목적> Helicobacter pylori 감염의 진단의 여러 가지 방법 중 내시경을 통한 위생검조직을 이용하여 urease 시험법은 비교적 쉽게 사용할 수 있고, 결과 판정 시 객관적인 동시에 민감도와 특이도에 있어서도 좋은 방법으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저자들은 위내시경적 생검조직을 이용한 urease 시험법의 양성 반응이 일어나는 시간과 연령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1996년 3월부터 2000년 6월까지 경상대학교

      • SCOPUSKCI등재

        Pre-embedding Immunoelectron Microscopy를 이용한 Helicobacter pylori의 발견 - Immunoblotting법과 비교 -

        정혜성,김은정,김은아,박지회,전진수,서지현,임재영,최명범,우향옥,윤희상,고경혁,백승철,이우곤,조명제,이광호,Jung, Hae-Seoung,Kim, Eun-Jung,Kim, Eun-A,Park, Ji-Hoe,Jun, Jin-Su,Seo, Ji-Hyoun,Lim, Jae-Young,Choi, Myoung-Bum,Woo, Hyang-Ok,Youn, Hee-Sha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7

        목 적: H. pylori 감염 진단에 있어 최적 표준 조건은 위생검 조직에서 세균을 증명하는 것이다. 위생검 조직을 이용한 현재의 검사법으로는 초기 감염 또는 항균요법을 받은 후 위점막에 적은 수의 세균이 존재하거나 여기저기 산재하여 분포할 경우 H. pylori를 쉽게 발견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위점막 조직을 이용한 H. pylori 검출법으로 전포매 면역 전자 현미경 검사법을 시행하여 이 검사를 요소분해효소 검사 및 면역블롯팅법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6년 7월부터 1999년 7월까지 상부 위장관 증세를 주소로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를 찾은 2-15세 사이의 환아 119명을 대상으로 위내시경을 시행 하여 위생검 조직검사, 요소분해효소 검사, 전포매 면역 전자현미경 검사, 면역블롯팅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1) 전포매 면역 전자현미경 검사상 위 전정부에서는 111례(93.3%), 위 체부에서는 105례(88.2%)에서 H. pylori가 관찰 되었다. 대상 환아 119명 중 116명 (97.5 %)의 위 전정부 또는 위 체부에서 H. pylori가 검출되었다. 2) 위 전정부나 위 체부에서 세균이 관찰되지 않은 3명 중 2명은 H & E 염색검사에서 세균이 관찰되었고 3명 모두 요소분해효소 검사상 6시간내 양성반응 및 면역블롯팅 검사상 양성반응을 보였다. 3) 요소분해효소 검사는 위 전정부에서 73례(61.3%), 위 체부에서 102례(85.7%)가 양성이었고, 총 107례(89.9%)에서 위 전정부 또는 위 체부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4) H & E 염색 검사상 위 전정부 9례(7.6%), 위체부 12례(10.1%)에서 균이 발견되었고, 위 전정부 또는 위 체부에서 균이 관찰된 경우는 총 13례(10.9%)였다. H & E 염색에서 세균이 관찰된 13례 모두 요소분해효소 검사 양성이었으며 대부분 1시간 이내에 색깔이 변한 빠른 양성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위전정부 9례 중 1례, 위 체부 12례 중 3례에서는 광학 현미경상 세균이 관찰되었으나 면역 전자현미경 검사에서는 관찰할 수 없었다. 총 13례 중 2례에서는 위전정부 또는 위 체부 모두에서 면역 전자현미경 검사에서 세균을 관찰할 수 없었다. 5) 면역블롯팅 검사상 총 97명(81.5%)에서 양성반응이 관찰되었다. 결 론 : 전포매 면역 전자현미경 검사가 소아 H. pylori 진단법의 최적 표준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결과를 보여 주었지만, 이 검사 역시 세균이 위점막 전체에 고르게 분포하지 않는 특성 때문에 기본적으로 조직검사를 통한 검사 방법이 가지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소아에서 상부 위장관 증상으로 위내시경 검사를 받는 환아 대부분에서 H. pylori를 검출할 수 있었다는 것은 소아에서 흔히 사용되는 H. pylori 감염 진단법의 재평가 필요성을 시사한다. Purpose : We tried to evaluate whether the detection rate of Helicobacter pylori in gastric biopsy specimens could be improved by using pre-embedding immunoelectron microscopy. Methods : A total of 119 children who complained of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were endoscoped at th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1996 to July, 1999. Five biopsy specimens(three for urease test, one for hematoxylin-eosin(H & E) staining, and one for preembedding immunoelectron microscopy) were obtained from each antrum and body. Immunoblotting analysis were also performed. Results : Among the 119 patients, H. pylori were found in 116 patients(97.5%) by the immunoelectron microscopy. Among three patients who were found H. pylori negative in immunoelectron microscopy, two patients showed H. pylori in H & E stained slides and one patient was urease test positive(color change within six hours). Urease tests were positive in 107 patients(89.9 %). The positive rate of immunoblotting tests was 81.5%. However, only 13 patients(10.9%) showed H. pylori on the H & E stained antrum or body tissue.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found H. pylori histopathologically in most of the pediatric patients who complained of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This study showed that pre-embedding immuno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s can be used as a gold standard in the diagnosis of childhood H. pylori infection. However, this method also has limited capacity to detect widely scattered H. pylori compared to the other histopathologic diagnostic methods.

      • 알레르기 및 원격성 기생충감염과 관련된 키무라병

        박은실 ( Eun Sil Park ),김현정 ( Hyun Jung Kim ),이정희 ( Jung Hee Lee ),고경혁 ( Gyung Hyuck Ko ),서지현 ( Ji Hyoun Seo ),임재영 ( Jae Young Lim ),박찬후 ( Chan Hoo Park ),우향옥 ( Hyang Ok Woo ),윤희상 ( Hee Shang Youn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200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6 No.4

        Kimura disease is rare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 of an unknown etiology and it has a predilection for males of Asian descent. It typically presents with non-tender subcutaneous swellings in the head and neck region, peripheral eosinophilia and an elevated immunoglobulin E level. We present here the case of 8-year-old boy with a past history of food allergy, and he developed swelling of the left neck and incidental eosinophilia. Kimura disease was diagnosed on the basis of the clinical and histological findings. The serum IgG titer of cysticercosis was twice the normal level. After surgical excision of the subcutaneous lesion, the patients eosinophilia was dramatically decreased. We suggest that allergy and remote parasite infection may be the causality or a triggering factor for Kimura disease.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6;16:349-35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