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배양된 인 근위세뇨관 상피세포에서 고농도의 단백질이 TGF-β와 Fas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서지아 ( Ji A Seo ),조상경 ( Sang Kyung Jo ),한금현 ( Kum Hyun Han ),성수아 ( Su Ah Sung ),이지은 ( Ji Eun Lee ),이소영 ( So Young Lee ),김상욱 ( Sang Wook Kim ),차대룡 ( Dae Ryong Cha ),조원용 ( Won Yong Cho ),김형규 ( Hyun Kyu K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6

        배 경 : 사구체신염은 다량의 단백뇨와 세뇨관간질의 규조적인 변화를 특징으로 하며 이는 말기신부전으로의 진행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사구체의 변화보다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세뇨고나간질의 구조변형은 세뇨관 내에 포함된 다량의 단백이 세뇨관 상피세포에 흡수되어 대사되는 과정에서 상피세포로부터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등의 fibrosing cytokine과 Monocyte Chemeatactant Peptide-1 등의 염증성 chemokine의 발현이 증가하고 그에 따른 각종 염증성 변화가 일어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염증성 변화이의에도 다량의 단백뇨에 의한 세뇨관 간질세포의 소설이 일어나는 기전으로 아포프토시스가 관여하리라는 가정 하에 고농도의 단백 및 당뇨병성 신증으로 인한 신증후군 환자의 단백뇨에 노출된 근위세뇨관 상피세포에서 아포프토시스와 연관된 Fas 유전자의 발현과 TGF-β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방 법 : 인 근위세뇨관 상피세포를 배양한 뒤 bovine serum albumin (1, 10 ㎎/mL)과 당뇨병성 신증으로 인한 신증후군 환자의 단백뇨 (1, 10 ㎎/mL)에 노출시켰고 대조군은 약물처리를 하지 않고 배양하였다. 24시간 토출시킨 뒤 RNA를 추출하여 RT-PCR 방법으로 Fas 유전자와 TGF-β 발현을 정량하였다. 결 과 : 약물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의 TGF-β 발현은 human ribosamal protein L-19에 대한 상대값이 0.45±0.02였고 BSA 10 ㎎/mL 군에서는 0.78±0.12 (p=0.016), 단뇨병성 신증으로 인한 신중후군 환자의 단백뇨 10 ㎎/mL에 노출된 군서는 0.7±0.08 (p=0.012)로 증가하여 두 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대조군의 Fas 유전자 발현은 human ribosomal protein L-19에 대한 상대값이 0.7±0.09였고 이에 비해 BSA 10㎎/mL 군에서는 0.97±0.09로 유의하게 (p=0.021) 증가하였으며 당뇨병성 신증으로 인한 신증후군 환자의 단백뇨 10 ㎎/mL에 노출된 군에서는 0.94±0.14(p=0.067)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10 ㎎/mL의 BSA좌 TGF-β에 대한 항체에 함께 노출된 군에서의 Fas 유전자 발현은 0.78±0.19로 TCF-β에 대한 항체에 노출되지 않은 군에서 보여졌던 Fas 유전자 발현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정상적으로는 노출되지 않는 고농도의 단백에 노출시 세뇨관 상피세포는 TGF-β 및 Fas 유전자의 발현증가로 매게되는 아포프토시스를 통한 세포사멸의 과정을 통해 세뇨관간질의 위측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Glomerular diseases of diverse origins are characterized by heavy proteinuria and tubulointerstitial changes in pathology. Numerous studies have recently demonstrated that interstitial fibros and tubular atrophy are better predictors of renal disease progression compared with glomerular pathology. One of the important mechanisms of these tubuloimerstitial injury is tubulointerstitial damage due to increased protein trafficking across the proximal tubular epithelial cells.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tubular cells exposed to high concentration of protein express TGF-β, which can be related to tubulointerstitial fibrosis, and Fas antigen, which can be associated with tubular cell apoptosis. Methods : Cultured human proximal tubular cells were incubated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BSA (1, 10 ㎎/mL) and nephrotic range proteinuria, due to diabetic nephropathy (1, 10 ㎎/mL), with or without inactivation of complement. After 24 hr-incubation period, the expressions of TGF-β and Fas mRNA were examined by RT-PCR. Results : The amount of expression of TGF-β was increased in BSA 10 ㎎/mL group (0.78±0.12, p=0.016) and in diabetic proteinuria 10 ㎎/mL group (0.78±0.08, p=0.012) compared to control group which was incubated in medium alone (0,48±0.02), and the amount of expression of Fas was increased in BSA 10 ㎎/mL group (0.97±0.09, p=0.021) and showed increased tendency in diabetic proteinuria 10 ㎎/mL group (0.94±0,14, p=0.067) also. Furthermore, the anti TGF-β antibody ameliorated the increased albumin-induced expression of Fas. Conclusion : Collectively, our results showed that protein overloa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GF-β & Fas, which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ubulointerstitial atrophy by inducing apoptosis of renal tubular cells.

      • KCI등재후보

        비알콜성 지방간과 대사 이상, 상완-발목 맥파속도와의 연관성

        서지아 ( Ji A Seo ),류혜진 ( Hye Jin Yoo ),박수연 ( Soo Yeon Park ),권순범 ( Soon Beom Kwon ),류옥현 ( Ohk Hyun Ryu ),박상수 ( Sang Soo Park ),김희영 ( Hee Young Kim ),이계원 ( Kye Won Lee ),김신곤 ( Sin Gon Kim ),김난희 ( Nan Hee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3

        목적: 비알콜성 지방간은 제2형 당뇨병, 비만, 이상지질혈증과 흔히 관계되며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한 구성요소로서 인식되고 있는 질환이다. 그러나 인슐린저항성의 중요한 결과인 심혈관계 질환과의 관계에 대해선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저자들은 비알콜성 지방간 및 여러 대사 이상과 죽상경화증의 위험도 표지자로서 상완-발목 맥파속도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 내원한, 타 병력 및 음주력이 없는 총 213명(남자 67명, 여자 146명)의 성인이 연구에 포함되었고, 초음파를 통하여 지방간 유무를 판정하였다. 결과: 남녀 모두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엉덩이 둘레비, 체지방량, 체지방율(%),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ALT, AST, GGT, HOMA값, 중성지방, hs-CRP, 요산이 비알콜성 지방간 군에서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었고,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은 비알콜성 지방간군에서 낮게 측정되었다. 또한 비알콜성 지방간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고혈당, 고중성지방혈증, 저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혈증, 고혈압, 중심성 비만의 유병률이 높았 다. 남자에서는 두 군간에 나이와 baPWV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86), 여자에서는 나이와 baPWV모두 비알콜성 지방간군에서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p=0.005). 나이를 보정한 후 비알콜성 지방간 유무는 baPWV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간 효소 활성도가 상승된 비알콜성 지방간 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baPWV와 더욱 강한 연관성을 보였다. ALT, AST, ALP 및 GGT 는 나이, 성별과 체질량지수를 보정하고도 HOMA값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HOMA값과 수축기 혈압을 보정하고도 baPWV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 회귀분석결과 baPWV는 나이, 수축기 혈압, 체질량지수와 함께 ALT, AST, ALP 및 GGT 각각과 유의하게 연관되었다. 결론: baPWV는 특히 여성에서 비알콜성 지방간과 연관되어 있었으며 간 효소 활성도와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간 효소 활성도가 증가된 비알콜성 지방간과 baPWV는 더욱 강한 연관성을 보였다. 비알콜성 지방간, 특히 간기능 이상이 동반된 비알콜성 지방간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를 높일 것으로 추정된다. Backgrou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obesity and dyslipidemia. Also, it is recognized to be one of component of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But both its pathogenesis and clinical implication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s an important outcome of insulin resistance have not been well known.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AFLD, metabolic disorders, and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baPWV) as a risk marker of atherosclerosis. Methods: A total of 213 nonalcoholic subjects (67 males, 146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NAFLD or normal group based on the existence of fatty liver seen by sonography. Results: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impaired fasting glucose, hypertriglyceridemia, low HDL-C level and central obesity were higher in NAFLD group than those in normal group. After controlling for age, sex and body mass index, serum ALT, AST, ALP and GGT level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omeostat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p<0.05). baPWV in NAFL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normal group in females (p=0.005). After adjusting for age, NAFLD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baPWV (p=0.039). In addition,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stronger in NAFLD with elevated liver enzymes (p=0.011). Individual levels of serum ALT, AST, ALP and GG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aPWV after adjusting for age, sex, body mass index, HOMA-IR and systolic blood pressure (p<0.05).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baPWV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systolic blood pressure, body mass index and various liver enzymes, respectively. Conclusion: baPWV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AFLD, especially in females. baPWV also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various liver enzymes. NAFLD showed more strong correlation with baPWV when it was combined with abnormal liver function. NAFLD, especially combined with abnormal liver function, may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Korean J Med 69:274-283, 2005)

      • KCI등재
      • KCI등재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대사증후군과 만성 합병증과의 관계

        정혜수 ( Hye Soo Chung ),서지아 ( Ji A Seo ),김신곤 ( Sin Gon Kim ),김난희 ( Nan Hee Kim ),김두만 ( Doo Man Kim ),정춘희 ( Choon Hee Chung ),최동섭 ( Dong Seop Choi ) 대한당뇨병학회 200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3 No.5

        연구배경: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만성 합병증의 유병률은 종족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한국인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무에 따른 당뇨병성 만성 합병증의 발생에 대한 보고는 적은 실정이어서, 한국인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대사증후군 및 그 구성인자에 따른 대혈관 및 미세혈관합병증의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10개의 종합병원에서 새로이 당뇨병을 진단받고 5년 이상 추적관리를 받은 환자(진단 당시 연령 만 30세 이상, 75세 미만)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603명의 환자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고 대사증후군 진단은 NCEP-ATP III의 진단 기준은 사용하였으며 자료는 증례기록서 작성 지침을 기준으로 의무기록과 가능한 경우 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결과: 당뇨병 진단 당시 대사증후군의 유무에 따른 당뇨병성 만성 합병증의 발생률에 대하여 분석하였을 때 대혈관 및 미세혈관 합병증의 발생률이 증가되는 결과를 얻어서 한국인에서의 대사증후군이 당뇨병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인종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 당뇨병환자가 대사증후군의 구성인자를 많이 가질수록 관상동맥질환과 당뇨병성 신증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론: 한국인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대사증후군이 동반되었을 때 대혈관 및 미세혈관 합병증이 증가하였다. 이는 당뇨병환자에 있어서 엄격한 혈당조절뿐만 아니라 대사증후군의 구성인자 개선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Background: We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at the time of diagnosis of type 2 diabetes, and the development of chronic complications in Korea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ho had undergone treatment for at least five years prior were collected from 10 general hospitals in Korea. Among a total of 1,418 patients reviewed for possible inclusion in this study, 603 patients were selected, and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among these patients was evaluated. Results: Among the 603 patients (male, 253; female, 350), 154 males (60.8%) and 266 females (76.0%) were diagnosed with metabolic syndrome at the time of initial diagnosis of type 2 diabetes. The incidence of chronic complications (average follow-up 15.2±4.9 years) included 60 cases of coronary artery disease (CAD), 57 cases of cerebrovascular accident (CVA), 268 cases of diabetic retinopathy (DR), 254 cases of diabetic nephropathy (DN), and 238 cases of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DPN). As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metabolic syndrome, the adjusted relative risks (95% CI) of incidental diabetic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were 3.28 (1.40~7.71) for CAD, 2.04 (0.86~4.82) for CVA, 1.53 (1.10~2.14) for DR, 1.90 (1.29~2.80) for DN, and 1.51, (1.06~2.14) for DPN. With the addition of just one constituent of metabolic syndrome, the relative risk of developing CAD, CVD, DR, DN, and DPN increased by 2.08 (95% CI, 1.27~3.40), 1.16 (0.80~1.66), 1.09 (0.93~1.26), 1.29 (1.06~1.57) and 1.06 (0.87~1.26), respectively. Conclusion: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creases the risk of developing both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Korean Diabetes J 33:392-400, 2009)

      • SCOPUSKCI등재

        투석막에 따른 염증성 싸이토카인의 생성 및 응고기전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금현(Kum Hyun Han),이지은(Ji Eun Lee),서지아(Ji A Seo),성수아(Su Ah Sung),이소영(So Young Lee),조상경(Sang Kyung Jo),조원용(Won Yong Cho),김형규(Hyung Kyu Kim)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5

        배 경 : 혈액투석 중 혈액-투석막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혈액 옹고계, 섬유소성 용해계 및 혈구성분의 활성화가 일어나는지 알아보고, 생체적합도가 다르다고 알려진 hemophan 투석막과 polysulfone 투석막에서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 법 : 유지혈액투석을 받는 25명의 말기 신부전 환자를 hemophan 투석막 (n=13), polysulfone 투석막 (n=12)의 두 군으로 나누어 2주간 혈액투석을 시행한 뒤, 투석 전후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 Thrombin-antithrombin complex (TAT), D-dimer,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fibrinogen, aPTT를 측정하고, 이들의 혈액투석 전후의 변화와 투석막에 따른 변화율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단핵구 활성시 생성되는 염증성 싸이토카인인 TNF-α 단백의 혈청 농도로 단핵구의 활성을 평가하였다. 결 과 : 혈액투석 후 혈청 TNF-α 단백 농도의 변화가 없었으며, Hemophan군과 polysulfone군 사이에도 차이가 없었다. 혈액투석 후 PAI-1를 제외한 aPTT, fibrinogen, TAT, D-dimer, tPA의 농도는 모두 의미있게 증가되었다. Hemophan굴과 polysulfone군 사이의 aPTT, fibrinogen, D-dimer, PAI-1, tPA의 투석 친후 변화량 (Δ)은 차이가 없었으나, TAT의 변화량 (Δ)은 polysulfone군에서 의미있게 적었다. 결 론 : 혈액-투석막간의 상호작용은 혈액 응고계 뿐 아니라 섬유소성 용해계도 활성화시키며, 혈액 응고계의 활성을 적게 일으킨다는 점에서 polysulfone의 생체적합도가 hemophan에 비해 우수하다. 혈액-투석막간의 상호작용이 혈청 TNF-α 단백 농도에 변화를 주지 못했는데, 향후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 Blood-dialyzer membrane interaction in hemodialysis has the potential to activate blood coagulation and fibrinolysis, and it might elicit pro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 such as TNF-α by monocytes activatio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ⅰ) assess changes in coagulation status, fibrinolytic activity and plasma level of TNF-α during hemodialysis; ⅱ) determine whether the extent of activation is dependent on the dialyzer material used. Methods : Twenty-five end-stage renal failure patients who had undergone maintenance hemodialysis were included in the study.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one using hemophan dialyzer membrane (n=13) and the other using polysulfone dialyzer membrane (n=12). On sixth dialysis session, blood samples were obtained before and at the end of hemodialysis. Thrombin-antithrombin complex (TAT) and D-dimer, each reflecting in vivo thrombin generation and fibrin degradation product respectively, were measured for coagulatory and fibrinolytic activity.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and fibrinogen were measure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was measured for efficancy of anticoagulant. Plasma level of TNF- a was also measured. Results : During hemodialysis, plasma level of TNF-α did not change. Between hemophan dialysis and polysulfone dialysis group, the change in plasma level of TNF-α (Δ TNF-α)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aPTT, fibrinogen, TAT, D-dimer, tPA during hemodialysis (p<0.05) except in PAI-1 (p=0.71). Between two groups, changes in aPTT, fibrinogen, D-dimer, PAI-1 and tPA (ΔaPTT, Δfibrinogen, ΔD-dimer, ΔPAI-1, ΔtPA) were not different (p>0.05). However, the change in TAT (ΔTAT) was significantly lower in polysulfone dialysis group (p=0.049). Conclusion : Hemodialysis enhances coagulatory activity despite the use of anticoagulant and also enhances fibrinolytic activity, which is likely the result of tPA release. In activation of coagulatory system, biocompatibility of polysulfone membrane is superior to that of hemophan membrane. Plasma level of TNF-α did not change during hemodialysis, further study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증례 : 인슐린 자가면역성 증후군 1예

        김동진 ( Dong Jin Kim ),김난희 ( Nan Hee Kim ),서지아 ( Ji A Seo ),김신곤 ( Sin Gon Kim ),최경묵 ( Kyung Mook Choi ),백세현 ( Sei Hyun Baik ),최동섭 ( Dong Seop Choi )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6

        평소 건강하던 69세 남자에게서 감기약으로 N-acetylcysteine을 복용 후 발생한 인슐린 자가면역성 증후군 환자를 경험하였다. 인슐린종을 의심하여 여러 검사를 진행하였으나 인슐린종을 찾지 못하였고 높은 인슐린 자가 항체와 수용체 항체가 양성으로 인슐린 자가면역성 증후군 진단하에 당질 코르티코이드를 사용하였다. 환자는 당질 크르티코이드를 사용하면서 더 이상 저혈당이 없어서 퇴원하였고, 3개월 후 당질 코르티코이드를 감량해서 끊고 1년 이상 저혈당 없는 상태로 외래 추적관찰 중이다. 인슐린종이 의심되는 환자에게서 인슐린 자가면역성 증후군을 반드시 고려해야 하며 원인이 될 수 있는 약들에 대해서도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겠다. Autoimmune insulin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a combination of fasting hypoglycemia, high total serum insulin concentrations, and the presence of autoantibodies to the native human insulin in serum. A healthy 69-year-old man developed spontaneous hypoglycemia after being given some medications for the common cold. His laboratory finding shows endogenous hyperinsulinism. Therefore, an insulinoma was suspected but the imaging study shows no mass lesion in the pancreas and the anti-insulin antibody titer was high(>100UlmL). He had no specific medication history except for a treatment of a current upper respiratory infection (URI). Among the UBI medication, it was found that N-acetylcysteine contains a sulfhydryl group and could induce autoimmunization.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corticosteroid for 3 months. His anti-insulin antibody titer had decreased to normal level and has not shown any hypoglycemic episodes for more than one and a half years. We present this case with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Korean J Med 71:683-687, 2006)

      • SCOPUSKCI등재

        유지 혈액투석 중인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치료적 위내시경 후에 발생한 십이지장 근육내 혈종 및 췌장염 1 예

        이소영(So Young Lee),조상경(Sang Kyung Jo),박선민(Sun Min Park),서지아(Ji A Seo),성수아(Su Ah Sung),한금현(Kum Hyun Han),조원용(Won Yong Cho),김형규(Hyoung Kyu Kim),정석인(Suk In Jung)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4

        Intramural duodenal hematoma is a rare finding in the adult, especially when related to iatrogenic complications of ulcer treatment, it can lead to biliary obstruction and pancreatitis, which can be fatal in severe case. We report one case of intramural duodenal hematoma complicated with pancreatitis after endoscopic hemostasis in a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 with maintenance hemodialysis. He had a duodenal ulcer bleeding treated with endoscopic epinephrine injection and electro-coagulation therapy, but on the second day, he complained of persistent abdominal pain, nausea and vomiting. Abdominal ultrasound showed acute, edematous pancreatitis and a mass with low echodensity in the wall of the 2nd portion of the duodenum. Symptom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persistent under conservative therapy, 7 days later, gastric resection, hematoma evacuation was carried out, subsequently the patient recovered from the pancreatitis but the patient died of septic shock and multiple organ dys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