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시멘트형과 무시멘트형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의 결과 비교

        임수재 ( Soo Jae Yim ),유재호 ( Jae Ho Yoo ),유석 ( Yu Seok Seo ),김병민 ( Byoung Min Kim ),정기진 ( Ki Jin Jung ),서유성 ( You Sung Suh ),( Seng Chamroeun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3

        목적: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으로 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군과 무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군에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5년 2월까지 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53명 59예와, 같은 기간 무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58명 6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로는 Harris 고관절 점수, WOMAC 점수를 사용하였고, 최종 추시상 고관절부 불편감, 대퇴부 동통 여부를 조사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 방사선 투과음영, 대퇴 스템의 침강, 시멘트 맨틀의 등급, 고정의 안정성 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Harris 점수는 시멘트형 군에서 수술 전 평균 62.7점에서 최종 추시상 평균 92.4점으로 향상 되었으며, 무시멘트형 군에서는 수술 전 평균 61.5점에서 최종 추시상 평균 91.8점으로 향상 되었다(p>0.05). WOMAC 점수는 시멘트형 군에서 수술 전 평균 37.9점에서 최종 추시상 평균 7.0점으로 향상 되었고, 무시멘트형 군에서는 수술 전 평균 38.5점에서 최종 추시상 평균 12점으로 향상 되었다(p<0.05). 시멘트형 군에서는 고관절부 불편감과 대퇴부 동통은 없었으며, 무시멘트형 군에서는 고관절부 불편감 5예, 대퇴부 동통 9예가 있었다. 양 군에서 비구 컵의 골성 고정을 얻었고, 삽입물의 이동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시멘트형 군에서 대퇴 스템의 침강은 57예에서 1 mm 이내, 2예에서 2 mm 이내였으며, 무시멘트형 군의 모든 예에서 대퇴 스템의 골성 고정을 얻었다. 결론: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은 무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에 비해 유의하게 임상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며,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의 높은 강성으로 인한 문제점을 보완하기에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s of ceramic-on-ceramic bearing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y (THA) using cemented femoral stems and cementless femoral stems.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59 cases (52 patients) of THAs using ceramic-on-ceramic bearing cemented femoral stems and 64 cases (58 patients) of THAs using ceramic-on-ceramic bearing cementless femoral stems. All THAs were performed between January 2004 and February 2005 and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3 years.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Harris hip score (HHS), WOMAC score, sense of discomfort, and thigh pain. Radiographic results were assessed with serial radiographs. Results: The mean HHS improved from 62.7 points preoperatively to 92.4 points at the last follow-up in the cemented stem group and improved from 61.5 points to 91.8 points in the cementless stem group (p>0.05). And mean WOMAC score improved from 37.9 points to 7.0 points in the cemented stem group and from 38.5 points to 12 points in the cementless stem group (p<0.05). There were 5 patients with a sense of discomfort and 9 patients with thigh pain in the cementless stem group and no cases in the cemented stem group. There were no instances of acetabular loosening in either group. Subsidence of the cemented femoral stem was less than 1 mm in 57 cases and less than 2 mm in 2 cases. All cementless femoral stems acquired firm bony union. Conclusion: Ceramic-on-ceramic bearing THA using a cemented stem showed clinical results superior to those achieved using a cementless stem. Cemented THA is thought to be good for complement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hardness of ceramic-on-ceramic bearings.

      • 인라인 스케이트시 발생된 골절의 임상적 고찰

        최형석,도현우,이병일,민경대,나수균,김연일,서유성,Choi Hyung Suk,Doh Hyun Woo,Lee Byung Ill,Min Kyung Dae,Rah Soo Kyun,Kim Yeon Ill,Seo Yoo Sung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3 No.1

        목적: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던 중 발생한 골절상을 분석하여 골절의 분포 및 경향을 파악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9월부터 2003년 8월까지 1년간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다가 골절이 발생하여 입원 가료 하였던 35명의 환자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0명, 20례를 대상으로 환자의 성별, 연령분포, 부위별 빈도, 동반손상, 숙련도별 손상, 손상 유형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남자가 18명(90$\%$), 여자가 2명(10$\%$)이었고, 연령대별로는 활동성이 강한 연령층인 21$\~$30세 (6명 30$\%$), 31$\~$40세 (6명 30$\%$)의 순이었다. 결과: 상지골절이 12명(60$\%$)로 하지골절 8명(40$\%$)보다 많았다. 손상 부위별 빈도는 족관절부가 7례(35$\%$)로 가장 많았고, 전완부 4례(20$\%$), 수근부 4례(20$\%$), 주관절 3례(15$\%$), 대퇴부 1례(5%$\%$)의 순이었다. 족관절 골절 손상은 Lauge-Hansen 분류 상, 회외 -외회전 형이 4례로 가장 많았으며, 회외-외전 형이 2례, 회내-외회전 형이 1례였고, 전완부 골절손상과 수근부 골절 손상의 경우에는 요골 원위부 골절 3례, 요골-척골 골절 1례, 주상골 골절 2례, 중수골 골절 2례로 넘어질 때 손으로 짚으면서 발생한 골절의 양상이 많았다. 주관절 골절은 2례에서 과상부 골절이었고 1례에서는 외과 골절 이었다. 성장판 손상이 동반된 소아 골절 3례는 모두 Salt-Harris type II 였으며, 보존적 치료를 시행 하였다. 전체 골절 중 6례는 관절 내 골절 이었다. 동반 손상으로는 타박상이 8명 (42.11$\%$)으로 가장 많았고, 숙련도 별로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시작한지 3개월 이내의 초보자들이 8명(40$\%$)으로 가장 많았고, 수상 형태로는 넘어짐과 같은 비접촉성 수상이 14명(70$\%$)으로 접촉성 수상(6명 30$\%$)보다 많았다. 11례 (55$\%$)가 수술적 치료를 받았으며, 9례(45$\%$)는 보존적 치료를 받았고, 추시 중에 특별한 합병증은 발생되지 않았다. 결론: 20$\~$30대의 젊은층의 초보자들에서 족관절부의 골절 손상이 가장 많았으므로,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and patterns of fractures occurred in Inline skating accident. Materials and Method: We evaluated 20 patients, 20 cases(from september 2002 to August 2003) with fractures occurred during Inline skating. The incidence, sex, age, fracture site, associated injuries, causes of Inline skating injuries were analysed. The cases were male in 18(90$\%$), and female in 2(10$\%$). The most common distribution of age was in twenties and thirties. Result: The patients(12cases 60$\%$) with upper extremity fracture were more common than patients(8cases 40$\%$) with lower extremity fracture. Patients who had fracture in ankle were 35$\%$(7cases), forearm 20$\%$(4cases), wrist 20$\%$(4cases), elbow 15$\%$(3cases), thigh 5$\%$(1cases). According to the The Lauge-Hansen classification in ankle fractures there were four patients of supination-external rotation type, two patients of supination-abduction type, and 1 patient of pronation-external rotation type. In forearm and hand fractures, there were three distal radius fractures, one radio-ulnar shaft fracture, 2 scaphoid fractures, and two meta-carpal fractures. In elbow fractures, there were two supracondyle fractures, and one lateral condyle fracture. There were three epiphyseal plate injuries (Salt-Harris type II) in children, and all of them were treated by conservative method. Six fractures were intra-articular fractures. The most common associated injury was contusion(8cases 42.1$\%$). The number of patients who only rode Inline skating less than 3months(8cases 40$\%$) was the greatest. The number of non-contact injury(14cases, 70$\%$) in Inline skating was more than contact(6cases,30$\%$) injury. 11cases(55$\%$) had operative treatment, and 9cases(45$\%$) had conservative treatment, and there was not any complication. The more detailed study is required since the materials were only limited to fracture patients, and the follow up period was short. Conclusion: The most common age for fracture in Inline skating was in twenties, and thirties, and ankle was the most common fracture sit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씨름 선수 샅바 착용 부위에서의 반건양근 부분 파열

        민경대(Kyoung-Dae Min),황석하(Seok-Ha Hwang),임수재(Soo-Jae Yim),김응하(Eung-Ha Kim),서유성(Yoo-Sung Seo),이병일(Byung-Ill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1

        씨름 선수의 샅바 착용 부위는 경기 중 높은 응력이 집중되는 곳으로 이 부위의 근 손상은 경기력에 막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저자들은 약 6개월 전 반건양근 근위부 부분 파열의 병력이 있으면서 경기 중 샅바 착용 부위에서의 이동성 종괴 효과로 통증이 유발되는 21세 남자 씨름 선수를 경험하고 수술적 치료 후 그 결과를 문헌 고찰과 함께 기술하고자 한다. High load is concentrated on Satba wearing area of Ssireum athletes during the tournament. Muscular injuries in this area may seriously affect the athletic performance. We report a case of a 21-year-old Ssireum athlete who was experiencing pain in his left thigh (Satba wearing area) during a tournament due to the migrating mass effect of a partial ruptured semitendinosus muscle occurred approximately 6 months before. Herein is described the clinical results after surgical intervention with an added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 KCI등재

        금속 내고정술을 이용한 대퇴 경부 골절의 고정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분석

        임수재 ( Soo Jae Yim ),우승한 ( Seung Han Woo ),김민영 ( Min Young Kim ),박종석 ( Jong Seok Park ),김응하 ( Eung Ha Kim ),서유성 ( Yoo Sung Seo ),이병일 ( Byung Il Lee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3

        목적: 다발성 유관 나사를 이용한 금속 내고정술을 시행한 대퇴 경부 골절 환자에서 고정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2월부터 2002년 6월까지 본원에서 대퇴 경부 골절로 입원하여 다발성 유관 나사를 이용한 고정술을 시행 받은 대퇴 경부 골절 환자 96명 (남자 63예, 여자 33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8세 (17세∼90세) 였으며, 추시기간은 50개월(36개월∼6년)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C-형 영상 증폭 장치를 이용한 도수 정복 후 다발성 유관 나사로 내고정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3개월 후 대퇴 경부의 10 mm 이상의 내반 변형과 유관 나사못 사이의 각도가 5% 이상 변하는 경우, 20 mm 이상의 후방 전위, 골두 천공이 있을 때 고정 실패로 정의하였다. 연령 및 성별, 골절의 형태와 전위 유무 및 정복 형태, 유관 나사의 위치를 분석하여 고정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 분석하였고 고정 실패가 불유합이나 대퇴 골두의 무혈성 괴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결과: 96명의 환자 중 24예에서 고정 실패가 발생하였고 이 중 10예 (41%)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였으며 8예 (33%)에서 대퇴 골두의 무혈성 괴사가 발생하였다. 특히 불유합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로서 대퇴 경부 후방 피질골의 분쇄 유무, 정복의 정확도, 내고정물의 적절한 위치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대퇴 경부 골절 환자에서 다발성 유관 나사를 이용한 내고정술 시행 시 대퇴 경부의 후방 분쇄정도와 정복 형태, 유관 나사의 위치가 대퇴 경부 골절 환자의 고정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fixation failure after internal fixation using multiple cannulated screws in the patients with femoral neck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Ninty-six patients (male: 63, female: 33) who underwent closed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femoral neck fracture between Feb. 1994 and Jun. 2002 with use of multiple cannulated screws. The mean age was 68 years (17∼90) and mean follow-up period was average 50 months (36 months∼6 years). The fixation failure was defined by change in fracture position above 10 mm, change in each screws position above 5%, backing above 20 mm, or perforation of the head, respectively. They were evaluated with the age, gender, fracture type, accuracy of reduction, placement of screws, posterior comminution and also studied the risk factors which influenced nonunion and the development of avascular necrosis. Results: Twenty-four patients out of 96 patients had radiographic signs of fixation failure. The incidence of nonunion in the fixation failure group was 41% (10/24) and AVN was 33% (8/2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ixation failure and nonunion and that posterior comminution, poor reduction and improper placement of the screws were the major factors contributing to nonunion. Conclusion: In case of femoral neck fracture of internal fixation using multiple cannulated screws, posterior comminution, poor reduction and improper placement of the screws were the major factors contributing to nonunion and fixation failure.

      • KCI등재후보

        고관절 전치환술 후 흡입 배액관의 효용성

        임수재 ( Soo Jae Yim ),신동훈 ( Dong Hoon Shin ),김민영 ( Min Young Kim ),차주석 ( Joo Seok Cha ),제한웅 ( Han Woong Je ),김응하 ( Eung Ha Kim ),서유성 ( Yoo Sung Seo ),이병일 ( Byung Il Lee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3

        목적: 고관절 전치환술 후 흡입 배액관을 사용한 군과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 수술 후 임상 결과 및 혈액학적 결과를 분석하여 흡입 배액관의 장단점 및 그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6월부터 2004년 6월까지 본원에서 동일 수술자에 의해 고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86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 후 흡입 배액관을 사용한 48명을 1군, 사용하지 않은 환자 38명을 2군으로 하여 수술 중 및 배액관을 통한 실혈량, 수술 후 실혈량과 수혈량, 수술 전후의 혈색소치, 임상 결과를 분석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고관절 운동범위와 상처부위의 부작용 및 전신적 부작용을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전후의 혈색소치에서는 흡입 배액관을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 수술 후 혈색소치가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지는 않았다. 양 군의 총 실혈량은 흡입 배액관을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 의미 있게 낮았고 수술 후 수혈량도 흡입 배액관을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 낮았다(p<0.05). 그 외 수술 후 창상 치유 및 수술 후 6주째의 고관절 운동범위는 최종 추시 상 양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고관절 치환술 후 흡입 배액관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발생하는 고관절 운동 장애나 창상 감염 등은 발견할 수 없었으며 오히려 실혈량을 줄임으로써 수술 후 동종수혈량을 줄일 수 있었다. 따라서 고관절 치환술 후 흡입 배액관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배액관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수혈량의 증가, 역류성 감염의 가능성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액관을 사용하지 않아 비용면에서도 경제적인 이득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uction drains following total hip arthroplasties, by comparing the post-operative results between the group with suction drains and the group without suction drains. Materials and Methods: Eighty-six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ies from June 2001 to June 2004,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48 patients), with suction drains; and group 2 (38 patients), without suction drains. We assessed the perioperative hemoglobin and platelet levels, the amount of total blood loss, the amount of post-operative blood transfusions, post-operative ranges of motion (ROMs, at 6 weeks), wound problems, and general conditions. Results: Although the postoperative hemoglobin level was greater in group 2 than in group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amount of total blood loss and blood transfusions in group 1 were statistically greater than in group 2 (p<0.0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st-operative ROMs and wound complications between groups 1 and 2. Conclusion: There were no limitations of hip motion and no wound complications in the patients without suction drains after total hip arthroplasties. However, they required fewer post-operative blood transfusions than did the patients with suction drains, due to less post-operative blood loss; and the absence of a suction drain might prevent retrograde tube infections. In addition, patients without suction drains after total hip arthroplasties seemed to recover better did than those with suction drains. Therefore, suction drains might provide no benefit in total hip arthroplasties.

      • KCI등재

        고관절 치환술후 발생한 동측대퇴골 골절의 치험례

        김상기,최형석,최창욱,나수균,신병준,서유성 대한골절학회 1995 대한골절학회지 Vol.8 No.1

        The ipsilstenl femur fracture after hip arthroplasty is rare, but serious complication. And its treatment is difficult and controversial. We experienced 6 patients who had the hip arthroplasty complicated by an ipsilateral femur fracture in postoperative period at th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oonchunhyang Univesity from February 1990 to December 1993. The Type 1 fracture was 1 case, and 2 Type lV-A, and 1 Type W-B, and 2 Type V according to AAOS classification. Bony union and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were achieved in all 6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