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아과 전문의의 소아천식 진단 및 치료 경향

        서원희 ( Won Hee Seo ),장기영 ( Ki Young Chang ),김영환 ( Young Hwan Kim ),박상희 ( Sang Hee Park ),정지태 ( Ji Tae Choung ),신영규 ( Young Kyoo Shin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2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2 No.3

        목적: 소아과 전문의들의 소아 천식 이해 정도와 진단 및 치료 경향에 대해 알아보고 소아 천식에 대한 의사 재교육에 필요한 기본적인 자료를 얻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소아과 학회 회원 주소록에서 무작위로 선정한 개원의 및 봉직의, 수련병원 전문의 1,200명에게 천식의 진단, 치료와 예후에 관련된 문제로 구성된 설문지를 발송하여 회수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응답율은 19.8%였으며, 응답자는 남 140명, 여 98명으로 총 238명이었 Purpos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suggested Korea Guideline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hildhood Asthma(KGDMCA) in 1994 and updated it in 1999. This surve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ractical efficacy of KGDMCA

      • KCI등재후보

        폐동정맥루와 합병된 뇌농양 1례

        서원희(Won Hee Seo),장기영(Ki Young Chang),피대훈(Eae Hun Pee),신영규(Young Kyoo Sin),은백린(Baik-Lin Eun),임동준(Dong Jun Yim),신재승(Jae Seung Shin) 대한소아신경학회 200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0 No.1

        저자들은 과거력상 특별한 임상 증상이나 출혈성 모세혈관 확장증이 없던 환아에서 뇌종양 치료 중 저산소증이 지속되고 혈색소가 증가되어 시행한 폐혈관 조영술로 페동정맥루가 진단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 is an uncommon capillary abnormality. It may be accompanied by neurological complications such as cerebral abscess and be associated with or without hemorrhagic telangiectasia. W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cerebral abscess with 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PAVF), which was not associated with hereditary hemorrhagic telangiectasia. We report this case with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 영유아 보육시설과 응급실에서의 식품 알레르기 관리 현황

        서원희 ( Won Hee Seo ),장은영 ( Eun Young Jang ),한영신 ( Young Shin Han ),안강모 ( Kang Mo Ahn ),정지태 ( Ji Tae Jung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1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1 No.1

        목적: 영유아 보육시설에서의 식품 알레르기를 가진 소아의 관리 현황과 식품에 의한 심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영유아의 진단 및 추후 관리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1) 2010년 4월 서울 소재 어린이집 345개소의 보육 교사를 대상으로 식품 알레르기에 연관된 증상들과 관리 사항에 대해 우편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2) 2002년 1월부터 2010년 8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과 안산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0-5세 소아 중 혈관 부종 또는 아나필락시스로 진단받은 환아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1) 서울지역 어린이집 345개소의 보육교사들이 참여하였다. 보육시설이 보호자에게 등록된 소아의 식품 알레르기 질환 여부를 조사하는 곳은 243개소였고, 식품에 알레르기가 있는 소아는 492명이었다. 어린이집에서 제한식이가 필요한 소아는 207개소에 있는 461명으로 제한식이를 하는 경우 동일한 영양 성분과 양의 대체식만으로 제공하는 곳은 21개소였다. 급식과 관련하여 식품 알레르기에대한 교육을 받은 보육 교사는 145명이었다. 2)고려대 안 암병원과 안산병원에 2002년 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혈관 부종과 아나필락시스로 진단받은 환자 중 식품 섭취 후 증상을 보인 환자는 105명 중 30명이었고, 증상 호전 후 알레르기 진문의의 진료를 시행하고 진단을 받은 경우는 7명 이었다. 결론: 이 연구는 일반 영유아 보육시설과 응급실을 대상으로 식품 알레르기 관리 및 현황에 대한 첫 번째 연구로서 집단 급식에서의 식품 알레르기 발생 위험성에 대해 보육시설 교사와 보호자인 부모가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육시설과 보호자는 식품 알레르기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며, 알레르기 반응을 예방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We studied the management of young children with histories of food allergies at child care centers, along with the diagnosis and follow-up management after a visit to a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ED). Methods: 1)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pril 2010 in Seoul, Korea. Three hundred forty-five child care centers caring for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0 and 5 years were contacted by mail.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identify symptoms and management of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s with histories of food allergies. 2) We studied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angioedema or anaphylaxis between January 2002 and August 2010 in the ED of Korea University. Results: 1) According to the 345 collected questionnaires, 243 child care centers asked parents about their children`s allergic diseases and 492 children had food allergies. A reported 461 children from 207 child care centers had food restrictions. Only 21 child care centers supplied substitute foods with the same amounts and types of nutrients. One hundred forty-five teachers had received education about food allergies. 2) Thirty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anaphylaxis or angioedema after food ingestion. Only seven children visited a physician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ED.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a lack of food allergy education at child care centers and in homes. Child care centers need to be equipped with knowledge to prevent severe allergic reactions. Also, parents should know more about the importance of food allergies in their children.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11;21:32-38]

      • SCOPUSKCI등재

        미숙아의 성장과 관련 요인 연구

        전지수,서원희,정상진,Jeon, Jisu,Seo, Won Hee,Chung, Sang-Jin 한국영양학회 2022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5 No.5

        본 연구는 미숙아의 체중을 추적 조사하여 성장곡선 체중 z-score 값으로 성장 상태를 확인하고 관련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종단적 연구이다. 출생 체중, 재태연령, 출생 시 NICU에서의 의료적 처치 (CPR, 산소치료, 위장관 삽관), NICU 입원 기간 및 퇴원연령, 수유 문제, 일일 추정 수유량이 체중 성장에 유의하게 영향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출생 체중과 연령이 적은 그룹이 유의하게 초기 성장 정도가 더 낮았으나 교정연령 3개월 이후부터 12개월까지의 체중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재태연령 40주 이후의 연령-체중 z-score가 평균 이하인 그룹이 출생 체중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보아 장기적인 성장에 출생체중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NICU에서 의료적 처치를 받고 NICU 입원 기간이 긴 경우 성장곡선의 50 백분율 이하로 성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퇴원 후 2개월간 수유과정 중 문제가 없으며 더 많은 양을 섭취한 그룹이 성장곡선에서 더 상위에 있었으며 더 잘 자랐다. 또한 NICU 퇴원 후 가정에서 자녀가 초기보다 하향 성장을 하고 있을 때, 외부의 도움 및 커뮤니티 케어를 필요로 하므로 미숙아 성장 지원을 위하여 커뮤니티 케어 도입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미숙아의 출생 체중 및 연령, NICU에서의 처치는 초기의 체중 성장에 영향을 끼치며, 재태연령 40주 이후의 성장 증진과 성장지연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올바른 섭취를 통한 원활한 영양공급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미숙아 성장 추적은 NICU 퇴원 후에도 지속되어야 하며 성장 증진 관련 변수, 특히 영양 지원에 적극적인 개입과 지지가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may affect the growth status of preterm infan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91 preterm infants born at <37 weeks of gestation (22.9-36.9 weeks of gestation), including 48 (52.7%) males and 43 (47.3%) females. Diet-rela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ental questionnaires, and growth-related data, such as height and weight, were collected through the hospital medical records.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eight and growth was observed between early and late preterm infants. On the other hand, smaller averages of all weight z-score (recent weight at 40 weeks of gestation) included lower birth weight, height, and head circumference. On the other hand, infants' birth weight, height, and head circumference in the weight z-score of <0 (<50% in the age-weight growth chart) was smaller than those in the weight z-score of ≥0. Furthermor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hospitalization period and NICU discharge were shorter with growth cessation age in weight z-score of <0. The weight growth velocity was associated with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and medical treatment in the NICU. Thus, parents of preterm infants with low growth rates prefer more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ir children. Conclusion: Birth weight, age of preterm infants, and medical treatment in the NICU were factors related to early birth weight growth. Following NICU discharge, poor intake and intake issues were associated with poor growth after 40 weeks of gestation. Therefore, monitoring the growth of preterm infants requires continuous active involvement and supports for growth-promoting factors after NICU discharge.

      • KCI등재

        중심-측두엽 극파를 보이는 양성 소아 간질 환자에서 항경련제 투여의 유효성

        오미혜,김수영,서원희,피대훈,최병민,은백린,Oh, Mee Hye,Kim, Soo Young,Seo, Won Hee,Pee, Dae Hun,Choi, Byung Min,Eun, Baik-Li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9

        목 적 : 중심-측두엽 극파를 보이는 양성 소아 간질은 소아간질의 6-16%를 차지하며 2-13세 사이에 발병하나 사춘기 이후에는 자연 소실된다. 이들 환아들에게 항경련제를 투여하는 것에 대해 효과 및 효율성에서 상이한 결과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항경련제를 투여한 군과 항경련제를 투여 받지 않은 군에서 그 약물 효과 및 효율성에 관해 조사하였다. 방 법 : 고대의료원 소아신경클리닉에서 임상 증상 및 뇌파 검사상 중심-측두엽 극파를 보이는 양성 소아 간질로 진단된 환아 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아들을 항경련제 투여군과 항경련제 비투여군으로 분류한 후 의무기록지 분석을 통한 후향적 조사로 두 군간의 인구역동학, 항경련제 투여의 기준, 임상양상 등을 확인하였다. 결 과 : 양 군간 성별, 지역별, 연령별 차이는 없었다. 첫 경련이 시작된 연령, 경련의 주, 야간 비율, 경련 지속 시간 등에 있어서도 양 군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항경련제 투여군이 항경련제 비투여군에 비해 경련의 빈도가 줄었으나(P<0.05) 항경련제 비투여군과 투여군간의 장기적 예후 차이는 볼 수 없었다. 결 론 : 중심-측두엽 극파를 보이는 양성 소아 간질 환아들은 항경련제의 투여 여부와 무관하게 양성 예후를 보이며 경련 지속 기간에도 뇌 손상이나 신체 상해를 입을 만한 합병증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이 질환에 대한 본인 혹은 보호자의 충분한 이해가 선행된다면 항경련제를 1차 치료로 선택하지 않아도 무난하다고 여겨진다. Purpose : Benign childhood epilepsy with centrotemporal spikes(BECT) is characterized by an excellent prognosis. Therefore, the necessity for the use of antiepileptic drugs is controversial.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know about the long-term follow-up of BECT, comparing daily treatment with antiepileptic drug(AED) versus no medication. Methods : We retrospectively studied 56 cases of BECTs, examined at Pediatric Neurology Clinic,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as reference study time, August 2002. Thirty-eight patients didn't have mediation(group I), while eighteen patients received one or two AED(group II). We evaluated demographics, clinical manifestations at diagnosis, EEG findings and clinical courses in groups I & II.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sex, age, seizure frequency, seizure type, seizure onset time, family history and EEG findings between group I & II. The reasons to start AED were : parents' anxiety(three cases), frequent seizure(12 cases) and daytime seizure(three cases). There was no evolution of status epilepticus and no difficulty in school performance. Conclusion : AED treatment was of no advantage and long-term prognosis was good regardless of treatment strategy. So it is advisable not to choose AED as the first line of therapy, provided that the patient himself/herself or the family understands the benign nature of BECT.

      • KCI등재
      • 계란 알레르기가 있는 아토피피부염에서 난백 특이 IgE 항체의 추적 검사 및 계란 알레르기 지속에 대한 위험인자 분석

        김수정 ( Su Jung Kim ),서원희 ( Won Hee Seo ),안소현 ( So Hyun Ahn ),황수정 ( Su Jung Hwang ),박화영 ( Hwa Young Park ),정상진 ( Sang Jin Chung ),안강모 ( Kang Mo Ahn ),이상일 ( Sang Il Lee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6 No.3

        목 적 : 아토피피부염 환아의 약 30-40%에서 식품알레르기를 가지고 있으며 난백은 가장 흔한 알레르겐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난백 알레르기의 자연경과에 관해서는 많이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계란 알레르기가 있는 아토피피부염 환아를 대상으로 난백 특이 IgE 항체 농도를 추적 관찰함으로써 계란 알레르기의 자연경과를 관찰하고 첫 내원 당시의 여러 임상적 특징들을 비교함으로써 자연경과와 관련된 위험인자들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 법 : 1세 미만의 아토피피부염 환아 중 계란 알레르기가 있으면서 CAP-FEIA를 이용하여 난백 특이 IgE 항체 검사를 두 번 이상 추적 검사한 1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계란 알레르기의 진단은 난백 특이 IgE 항체 농도가 2 U/mL 이상인 경우로 하였다. 난백 특이 IgE 항체 검사를 추적 검사하여 계란 알레르기가 지속된 군(지속성군, persistent group)과 지속되지 않은 군(비지속성군, non-persistent group)으로 분류하였다. 중앙값 15개월간 추적 관찰하였고 계란 알레르기의 지속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위험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두 군 간에 첫 내원시 난백 특이 IgE 항체 농도, 다른 식품 알레르겐에의 감작, 알레르기 질환의 가족력, 모유수유 여부 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 1) 125명의 환아(중앙 나이 6개월)를 중앙 기간 15개월간 추적 관찰하였을 때 지속성군은 75명이었고 비지속성군은 50명이었다. 2) 두 군 간에 첫 내원 시 연령, 아토피피부염의 발병 연령 및 성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지속성군에서 추적 관찰 횟수와 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3) 두 군 간에 첫 내원 시 난백 특이 IgE 항체 농도와 다른 식품 알레르겐에의 감작, 알레르기 질환의 가족력, 모유수유 여부를 비교하였을 때 지속성군이 비지속성군에 비해 난백 특이 IgE 항체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다른 식품 알레르겐에 대해 감작이 된 경우 또는 모유 수유를 6개월 이상 지속했었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알레르기 질환의 가족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다른 식품 알레르겐에의 감작여부, 알레르기 질환의 가족력 및 모유수유 여부 등의 위험인자들을 보정하였을 때 이들 중 다른 식품 알레르겐에의 감작여부와 모유수유 여부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결 론 : 계란 알레르기가 있는 1세 미만의 아토피피부염 환아들을 중앙값 15개월간 추적 관찰하였을 때 이들 중 60%가 지속적인 계란 알레르기를 보였다. 특히 첫 내원시의 높은 난백 특이 IgE 항체 농도와 여러 식품 알레르겐에 대한 감작 여부는 계란 알레르기가 지속됨을 예측할 수 있는 위험인자로 판단된다. 모유수유와 계란 알레르기의 자연경과와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좀 더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We attempted to observe the natural course of egg allergy and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predicting the likelihood of persistence of egg allergy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Methods : A total of 125 infants with atopic dermatitis and egg allerg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Egg allergy was defined when the serum egg white-specific IgE was equal or greater than 2 U/mL by CAP-FEIA.(Pharmacia, Uppsala, Sweden) After follow-up evaluation of serum egg white-specific IgE,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persistent group(egg white-specific IgE ≥2 U/mL in children younger than 2 years and ≥7 U/mL in those older than 2 years) and non-persistent group.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15 months. Specific IgE levels at first visit, family histories of allergic diseases, histories of breast milk feeding and the presence of sensitization to multiple food allergen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 Results : The numbers of the persistent group and the non-persistent group were 75(60%) and 50(40%), respectively. The persistent group had higher egg white-specific IgE levels at first visit, more sensitization to multiple food allergens, and more breast-feeding than the non-persistent group.(P<0.05) Family histories of allergic diseas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P>0.05) Conclusion : Sixty percent of infants with atopic dermatitis and egg allergies showed persistent egg allergies during the median follow-up of 15 months. Infants with higher egg white-specific IgE level and sensitization to multiple food allergens at the initial evaluation are likely to develop persistent egg allergies.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6;16: 208-215]

      • KCI등재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로 진단받은 고관절 통증 1례에 대한 증례보고

        허윤경,이현,문익렬,박기범,박형선,서원희,김연진,김정근,Heo, Yoon-kyoung,Lee, Hyun,Moon, Ik-ryoul,Park, Ki-bum,Park, Hyoung-seon,Seo, Won-hee,Kim, Yeon-jin,Kim, Joung-keun 대한침구의학회 2004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1 No.6

        Objective : The etiology and treatment of the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continiue to be controversial and the pathogenesis remains obscure. And its clinical study and report about oriental treatment are absolutely insufficient. Therefore, we report a case of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Methods :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Bee-Venom therapy, Electro Acupuncture and Sopungwhalhyul-tang(疎風活血湯). Results : After 26days of Oriental treatments, there was remarkable improvement in condition of the patient. Conclusions : In this case, oriental treatments for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was effective. Futher studies are required to prove effectiveness of oriental treatments for treating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