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인들의 업무상질환 예방을 위한 우선순위에 대한 요구도

        서애림(Ae-Rim Seo),김지연(Ji-Youn Kim),김보경(Bokyoung Kim),이경예(Gyeong-Ye Lee),김경수(Kyungsu Kim),박기수(Ki-Soo Park)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23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8 No.4

        이 연구는 농업인의 업무상질환에 대한 예방사업을 위한 사전 연구로서 업무상질환 등 농업인들이 인지하고 있는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또한 예방사업 역시 농업인들이 인지하고 있는 주요 질환들의 사업 중 효과와 실천가능성을 파악하여 이후 농업인 안전보건사업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농업인들을 눈덩이 모집 방식으로 선정하였으며 전체 6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선순위 선정 방식은 BPRS 방법으로 하였으며, 각 업무상질환 중 근골격질환, 심혈관 및 호흡기질환 그리고 농약중독 예방을 위한 세부 사업에 대한 농업인들인 인지하는 효과와 실천가능성을 설문 조사하였다. 업무상질환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는 근골격질환이었으며, 호흡기질환, 농약 중독 등의 순이었으며, 근골격계질환의 세부 사업 중 ‘농작업 편이장비, 보조도구 활용’이 인지하고 있는 효과정도와 실천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농약 중독 5가지 세부 사업 중 효과는 ‘농약 방제복/장갑 등 보호장비 구비’가 67.4%로 가장 높았으며, 실천가능성 정도는 ‘농약 사용법 준수’가 64.3%로 가장 높았다. 호흡기질환 예방을 위한 4가지 세부사업 중 효과와 실천 가능성 모두 ‘분진마스크 또는 방독마스크 착용’이 65.5%로 가장 높았다. 농업인들을 위한 안전보건사업을 수행할 때 근골격질환을 위한 사업을 우선적으로 하여야 할 것이며, 농약중독, 호흡기질환 역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야 하며, 농업인들이 인지하고 있는 효과 크기와 실천 가능성을 함께 고려하여 사업내용을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wa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prevention programs for farmers occupational diseases. It selected the priorities recognized by farmers, such as occupational diseases, and also identifies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prevention programs among diseases recognized by farmers. Therefore, we plan to use it as basis data for future farmer safety and health programs.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armers living in the region, selected through a snowball recruitment method, and a total of 671 people were targeted. The priority selection method was the Basic Priority Rating System (BPRS) method, and among the occupational diseases, programs to prevent musculoskeletal diseases,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diseases, and pesticide poisoning were surveyed on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farmers. Results: Among occupational diseases, the highest priority was musculo-skeletal disease, followed by respiratory disease and pesticide poisoning. Among the programs for musculoskeletal disease, use of agricultural work convenience equipment and auxiliary tools had the highest perceived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Among the five programs for pesticide poisoning, ‘equipment of protective equipment such as pesticide protective clothing/glove’ had the highest effectiveness at 67.4%, and ‘compliance with pesticide use instructions’ had the highest level of feasibility at 64.3%. Among the four programs to prevent respiratory diseases, ‘wearing a dust mask or gas mask’ was the highest at 65.5% in terms of both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Conclusion: When carrying out safety and health programs for farmers, the priorities recognized by farmer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e program contents should also be developed taking into account the size of effect and feasibility recognized by farmers.

      • KCI등재후보

        부정교합을 가진 일부 중·고등학생들의 교정치료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및 행복감과 관련성

        강유주(You Ju Kang),서애림(Ae-Rim Seo),강윤식(Yune-Sik Kang),정백근(Baek Geun Jeong),박기수(Ki Soo Park)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7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2 No.2

        이 연구는 부정교합으로 인한 교정치료 중인 환자와 교정치료를 받고 있지 않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부정교합 교정치료 여부가 구강건강 삶의 질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인지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진주 지역 내에 소재한 교정 전문치과 1곳에서 부정교합으로 교정 중인 학생 157명과 중·고등학교 4개에서 부정교합이 있지만 교정치료를 받지 않고 있는 학생 8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자기기입식으로 수집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9월 19일부터 10월 8일까지였다. 대상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행복감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인 일상활동구강영향은 교정치료 여부가 유의하게 음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정교합이 있는 청소년들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교정치료 여부 그리고 일상활동 구강영향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부정교합 교정치료가 청소년의 치료 당시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는 음의 방향이지만 행복감에는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주므로, 청소년의 행복감 증진을 위하여서도 교정치료를 할 수 있는 접근성을 낮추는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impacts of orthodontic treatment of malocclusion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are positive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Subjects were 157 orthodontic patients and 83 non-orthodontic in malocclusion patients.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with the self-administered method, and consisted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elf-esteem, social support appraisal scale(friends, family, teacher), Oral Impact on Daily Performance (OIDP) and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OHQ). Results: A physical factor was lower in the orthodontic treatment group (5.8±2.48) than in the non-orthodontic treatment group (7.7±2.10)(p<0.001), and OIDP was lower in the orthodontic treatment group (7.0±1.79) than in the non-orthodontic treatment group (7.8±1.80)(p=0.002). A feeling of happiness was higher in the orthodontic treatment group(4.6±0.81) than in the orthodontic treatment group (4.3±0.89) (p=0.009). A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IDP was affected of orthodontic treatment(β=-0.0222, p=0.001) and OHP was affected of orthodontic treatment(β=0.087, p=0.030) and OIDP(β=0.116, p=0.003). Conclusions: Orthodontic treatment of malocclusion may positively affects happiness in teenager. Support policy for orthodontic treatment of malocclusion is necessary for adolescents

      • KCI등재

        농촌지역 주민의 영양결핍 및 사회심리적 요인과 근감소증 가능군과의 관련성

        김보경(Bokyoung Kim),이경예(Gyeong-Ye Lee),서애림(Ae-Rim Seo),김미지(Mi-Ji Kim),성효(Sung-Hyo Seo),박기수(Ki-Soo Park)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22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7 No.2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의 근감소증 가능군과 영양결핍 그리고 사회심리적 요인 등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 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농촌지역 주민 중 60세 이상인 1,019명이다. 근감소증 가능군과 관련성에 포함된 변수는 영양상태, 사회심리적 요인(낙상에 대한 두려움, 자기효능감, 사회적 고립, 사회적 자본)이다. 근감소증의 기준은 개정된 아시아 진단기준에 따라 종아리 둘레로 의심자를 찾은 다음, 악력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영양은 근감소증 가능군과 관련이 있었으며 사회심리적 요인 중에서는 낙상에 대한 두려움, 자기효능감이 근감소증 가능군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었으며, 사회적 자본 중 사회적 참여는 영양결핍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고, 근감소증 가능군과는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근감소증 가능군과 관련 있는 요인으로 영양결핍과 낙상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자기효능감 저하 등이 있고 영양결핍에 사회적 참여도 관련이 있어 지역사회의 근감소증 대상 보건사업에서는 이들 변수를 고려하여 실시되어야 한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venting and managing sarcopenia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rcopenia, malnutrition, and psychosocial factors among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Methods: The study included 1,019 subjects aged 60 and over. “Possible sarcopenia” was defined by low handgrip strength with or without reduced physical performance. Nutrition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mini nutrition assessment (MNA), and the psychosocial factors examined were self-efficacy, social isolation, fear of falling, and social capital (trust and participation).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of malnutrition, psychosocial factors, and sarcopenia. Results: MN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cial participation (OR = 1.747, p <0.001), fear of falling (OR = 2.905, p <0.001), and self-efficacy (high/low, OR = 0.654, p = 0.011). In model 3, which included both MNA and psychosocial factors, sarcopeni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NA (OR = 2.529, p <0.001) and fear of falling (OR = 1.544, p = 0.045). Compared with the low self-efficacy group, the high group (OR = 0.589, p = 0.009) was significant. The factors related to possible sarcopenia include risk of malnutrition, fear of falls, and low self-efficacy. Conclusion: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self-efficacy so that individuals feel they can do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mselves and to reduce their fear of falling through muscle strength and balance exercises. Finally, it is also necessary to increase regular participation in community social activities.

      • KCI등재후보

        농촌 지역주민들의 연령대에 따른 신체활동의 장애요인

        김보경(Bokyoung Kim),이경예(Gyeong-Ye Lee),서애림(Ae-Rim Seo),김미지(Mi-Ji Kim),성효(Sung-Hyo Seo),박기수(Ki-Soo Park)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20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5 No.2

        이 연구는 연령대를 성인, 전기 노인, 후기 노인으로 구분 후 신체활동과 인지된 운동장애요인과의 관련성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두 군데 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걷기실천율의 정의는 주 5회 이상, 한번 할 때 10분 이상, 하루에 30분 이상 하는 것으로 하였고, 인지된 장애요인은 시간부족, 사회적 지지 부족, 기력 부족, 의지력 부족, 부상에 대한 공포 등 5개의 영역으로 조사하였다. 연령대를 세 개 군(∼64세 이하, 65-74세, 75세 이상)으로 구분했을 때 의지력 부족이 모든 연령대에서 유의하였고, 64세 이하의 경우는 시간 부족이 관련이 있었으며, 65세 이상은 부상에 대한 공포가 관련 있었다. 결론적으로 의지력 부족과 시간부족에 대한 해결을 위해서 마을 내에서 일정한 시간대에 함께 걷기운동을 실시하여 이를 해결하도록 하고, 노인들에게는 낙상예방을 위하여 걷기운동과 같은 유산소운동을 권장할 때 근력운동을 병행해 실시하여 부상에 대한 공포를 줄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report the relationship between walking activity and perceived physical activity barriers after classifying the age group(≤64, 65-74, ≥75). Methods: The subjects were conducted on 1500 residents of two areas, and the walking activity was defined as five or more times a week, 10 minutes or more at a time, and 30 minutes or more per day. Perceived physical activity barriers were lack of time, lack of social support, lack of energy, lack of willpower, and fear of falling. Results: In the group under 64 year, the lack of time (exp(B)=0.819, p=0.002) and the lack of willpower (exp(B)=0.656, p<0.00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In the 65-74 year old group, the lack of willpower (exp(B)=0.714, p<0.001) and fear of falling (exp(B)=0.787, p=0.003) were a significant association. In the group aged 75 years and over, lack ofwill power (exp(B)=0.734, p<0.001) and fear of falling (exp(B)=0.807, p=0.003)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Conclusion: In order to solve the lack of willpower and lack of time, a walking activity should be performed together at a certain time in the village, and the elderly in the late ages should reduce the fear of falling by performing a fall prevention exercise in parallel.

      • KCI등재후보

        독거노인의 우울감과 무망감, 사회적지지 그리고 마을의 통합감과의 관련성

        김현옥(Hyun ok Kim),최연순(Yeun Soon Choi),이진향(Jin Hyang Lee),서애림(Ae-Rim Seo),박기수(Ki Soo Park)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6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1 No.4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독거노인들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울감을 줄이는 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 대상자는 일개 보건소에서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의 우울감 실태조사를 위해 200명을 임의로 뽑은 뒤 조사원이 직접 일대일 면접 조사되었다. 우울감을 종속변수로 하여 독립변수로는 인구사회학적 특징 그리고 무망감, 사회적 지지, 마을의 통합감 등을 포함하였다. 대상자들의 우울점수는 15.8점이었으며, 정상인 14점미만은 38.0%로 적고 21점을 초과하는 군이 26.5%로 높았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한 뒤 무망감과 마을의 통합감이 유의하게 우울감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독거노인들의 우울감은 희망이 없다고 느끼는 마음과 거주하고 있는 마을에서 통합감을 느끼지 못할 때 우울감이 높았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hopelessness,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integration, and depression.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a questionnaire administered to subjects aged 65 years or older living alone for a 2015 community mental health project in Gyeongnam S city. We used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depression. Results: When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hopelessness and community integr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That is, the higher the hopelessness (B=0.768, p<.001) and the lower the community integration (B=-0.163, p=.012), the higher the depression in elderly living alone. Conclusions: There is a need for approaches at both the individual and social levels that consider and improve measures to prevent and reduce depression. Moreover, it is especially necessary to enhance community integr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