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머스타일과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분석

        이태화 ( Tae Hwa Lee ),서수균 ( Su Gyun Seo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0 人間理解 Vol.41 No.2

        본 연구는 유머스타일과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간의 방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사용하여 유머스타일과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사이의 방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9년 2월 25일부터 2019년 5월 21일까지 3주∼5주 간격으로 총 세 시점의 설문 조사를 하였고, 총 178명의 참가자를 모집하여 유머스타일 질문지, Rosenberg 자아존중감 척도, 지각된 사회적 지지 다차원 척도를 통해 유머스타일,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설문을 하였다.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 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에서 자기 향상적 유머의 향상에 미치는 방향성 및 자기 패배적 유머의 감소에 미치는 방향성, 자기 향상적 유머에서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미치는 방향성이 유의하였다. 이 결과는 사회적 지지가 높은 개인은 자기 향상적 유머가 감소하고, 자기 패배적 유머가 증가함을 시사하며, 자기 향상적 유머를 많이 사용하면 자아존중감을 향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는 자기 향상적 유머와 자기 패배적 유머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자기 향상적 유머는 자아존중감의 문제를 겪는 내담자에게 자기 향상적 유머를 교육하여 내담자의 자아존중감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rectionality between humor style,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us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From February 25 to May 21, 2019, we conducted three surveys at intervals of three to five weeks in 178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humor style questionnaire, Rosenberg self-esteem scale, and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scouraging self-enhancing humor and encouraging self-defeating humor. Moreover, self-enhancing hum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Thus, social support can be a component of both self-enhancing and self-defeating humor, and therapists can assist clients with low self-esteem by educating them in self-enhancing humor.

      • KCI등재

        초기부적응도식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국내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혜금(Hye-Geum LEE),서수균(Su-Gyun SEO)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0 상담심리교육복지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학술지를 중심으로 초기부적응도식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초기부적응도식의 속성을 이해하고 향후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연도별 논문 편수는 조성호(2001)의 논문으로 시작하여, 지금까지 발행편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둘째, 연구대상은 대학생과 성인이 가장 많았으며, 초등학생이 가장 적었다. 셋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92.3%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문헌연구, 질적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측정도구는 Young(1998)이 개발한 ‘YSQ-SF’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37.21%). 다섯째, 초기부적응도식을 독립변인으로 검증한 연구, 매개변인으로 검증한 연구, 종속변인으로 검증한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초기부적응도식 관련 변인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독립변인의 현황은 내적요인이 58.54%로 가장 많았고, 부모요인이 39.02%, 또래 및 학교요인이 2.44%로 나타났다. 일곱째, 초기부적응도식 관련 변인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매개변인의 현황은 내적요인이 88.46%로 가장 많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the early maladaptive schema focusing on the major journal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in Korea related to early maladjustment schemas. First, the number of papers by year started with the thesis of Cho, Sung-ho(2001), and the number of papers has been increasing so far. Seco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llege students and adults, an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the least. Third, quantitative research accounted for 92.3%, followed by literature research with 5.49% and qualitative research with 2.2%. Fourth, the most frequently used tool was Young Schema Questionnaire Short Form : YSQ-SF developed by Young(1998) (37.21%). Fifth, the study verified the initial maladjustment schema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study verified as a mediating variable, and the study verified as a dependent variable. Sixth, the status of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e study of early maladjustment schema was the highest with 58.54% of internal factors, 39.02% of parent factors, and 2.44% of peer and school factors. Seventh,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mediator used in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variable of early maladjustment schema was the most with 88.46% of the internal factors.

      • KCI등재

        성장기 심리적 부모화와 우울의 관계: 타인인정욕구와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정연목 ( Yeon Mok Jeong ),서수균 ( Su Gyun Seo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1 人間理解 Vol.42 No.2

        본 연구는 타인인정욕구와 자기침묵이 성장기 심리적 부모화와 우울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2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장기 심리적 부모화, 타인인정욕구, 자기침묵, 우울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의 순수한 관계 양상을 규명하기 위해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를 추가로 측정 및 통제하였다.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와 성별, 형제관계, 과거 및 현재의 가정형편을 통제한 후 타인인정욕구와 자기침묵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타인인정욕구와 자기침묵이 성장기 심리적 부모화와 우울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장기 심리적 부모화 수준이 높을수록 타인인정욕구가 높아지며, 이는 자기침묵의 수준을 높이게 되어 우울을 더 자주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장기 심리적 부모화 수준이 높은 대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타인인정욕구와 자기침묵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need for approval and self-silenc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psychological parentification and depression. 322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childhood psychological parentification, need for approval, self-silencing, and depression. And further measured and controlled the level of academic and job-seeking stress to identify the pur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after controlling the level of academic and job-seeking stress, sex, sibling composition, and past and present family economical circumsta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psychological parentification and depression is mediated sequentially through both need for approval and self-silenc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학생의 미시체계 변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과 학업열의의 이중매개효과

        이혜금 ( Lee Hye Geum ),서수균 ( Seo Su Gyun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미시체계 변인(부모의 양육태도, 교사관계, 친구관계)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 및 학업열의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데이터(2019) 자료수집에 참여한 중학교 2학년 학생 2,402명이며, SPSS 27.0과 Hayes(2013)의 Macro Process(model 6)을 활용하여 관련변인들간의 상관분석 및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열의가 부문매개하였으며, 그릿, 학업열의 순으로 이중매개 하였다. 둘째, 교사관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과 학업열의가 완전매개하였으며, 그릿, 학업열의 순으로 이중매개 하였다. 셋째, 친구관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열의가 부문매개하였으며, 그릿, 학업열의 순으로 이중매개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academic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microsystem variables (parenting attitudes, teacher relationship, friend relationship)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02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data for the second year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9.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7.0 program and Hayes (2013) Macro Process (Model 6) for the correlation and dual mediating effect among relevant variable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it and academic engagement partially mediated and du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academic engagement. Second, grit and academic engagement mediated and du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teacher relationship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academic engagement. Third, grit and academic engagement partially mediated and du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friend relationship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academic engagement.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조절효과

        정고운 ( Go-un Jung ),서수균 ( Su-gyun Seo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6 동서정신과학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양산 소재 인문계 고등학생 313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척도,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성격강점 검사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업스트레스는 주관적 안녕감과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부정정서와는 유의한 긍정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긍정정서와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주관적 안녕감은 겸손, 심미안, 영성을 제외한 나머지 성격강점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삶의 만족도는 창의성, 겸손, 심미안, 영성을 제외한 나머지 성격강점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긍정정서는 겸손만을 제외하고 나머지 성격강점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정서는 심미안, 영성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나, 나머지 성격강점과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둘째,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는 성격강점 중 겸손이, 학업스트레스와 부정정서의 관계에서는 성격강점 중 사랑, 사회성, 감사, 희망 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심리적자원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character strengths. Participants were high school students in Yangsan. Academic Stress Scale, Character Strengths Test,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were implemented. 313 respons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of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life, the moderating effect of modes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negative affect, the moderating effect of love, social intelligence, gratitude and hop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urrent study confirmed variables affect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academic stress. This is significant in respect of exploring psychological resources that increase subjective well-being.

      • KCI등재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또래관계 형성의 어려움과 우울/불안의 종단관계 연구

        김윤희(Kim Yun-Hee),권석만(Kwon Seok-Man),서수균(Seo Su-Gyu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연구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관계 형성의 어려움과 우울/불안 사이의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한국청소년패널자료의 초등학교 4학년(N=2,607)을 대상으로 실시된 3년간의 종단자료에 대해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적용하여 또래관계 형성의 어려움과 우울/불안이 상호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 또래관계 형성의 어려움은 우울/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역으로, 우울/불안이 또래관계 형성의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력도 유의미하였지만, 또래관계 형성의 어려움이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에 비해서는 그 정도가 상대적으로 작았다. 즉, 인과관계의 방향에 있어서는 두 변인은 상호간에 영향을 미쳤지만, 인과관계의 정도에 있어서는 또래관계 형성의 어려움이 우울/불안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또한 이러한 두 변인간의 관계성에 있어 남녀 성별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의 의의와 한계를 지적하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study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anxiety and peer relationship problems. This was done by analyzing the prospective relations between depression/anxiety and peer relationship problems using three waves of data from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cohorts of four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1) peer relationship problem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consistent effects on depression/anxiety (2) depression/anxie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very small effect on peer relationship problems when compared to the prospective effect of peer alienation on depression/anxiety. In summary, regarding the direc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depression/anxiety and peer relationship problems are reciprocally related; however, regarding the magnitude of the causal relationship, peer alienation has a more powerful effect on depression/anxiety. Finally, no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construct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성숙한 노화척도개발을 위한 예비문항선정 연구

        안정신 ( Jeong Shin Ae ),정여진 ( Yeo Jin Jeong ),정영숙 ( Young Sook Chong ),서수균 ( Su Gyun Seo ),( Cooney T. M.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2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items for the development of matured aging measurement for Korean elderly in terms of the model structures and amounts of item information. We defined matured aging as developing oneself in physically and mentally, having good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and realizing social responsibility with generativity. To assess this matured aging concept, we examined matured aging measurement items with 719 Korean elderly over 60-years-old. First, explanatory factor analysis identified number of dimensions of matured aging.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ggested two factor model for the having good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having good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children and three factor model for the realizing social responsibility with generativity: matured aging attitude, reasonable life oriented, and generativity fitted moderately with Korean elderly. Next, item response theory analyses revealed that 14 items provide good information for having good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13 items do for having good relationship with children. In addition, 11 items provide good information for the matured aging attitudes, 7 items do for the reasonable life oriented, and 5 items do for the generativity. Finally, we confirmed that matured aging model with individual, relational, and societal levels had an acceptable model fit. This study suggests that items for the development of matured aging measurement are fitted well with the matured aging model structured by Korean cultural background and this model is different with the successful aging model developed in western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