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절제된 정상위벽의 자기공명영상기법에 관한 연구:조직소견과의 비교

        서보경,설혜영,이남준,차인호,정규병,김정혁,박철민,이지영,Seo, Bo-Gyeong,Seol, Hye-Yeong,Lee, Nam-Jun,Cha, In-Ho,Jeong, Gyu-Byeong,Kim, Jeong-Hyeok,Park, Cheol-Min,Lee, Ji-Yeong 대한영상의학회 200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5 No.5

        목적:급속자기공명영상기법을 이용하여 절제된 정상위벽을 관찰하고,이를 조직소견과 비교 연구하여,위벽의 관찰을 위한 최적기법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25명 환자의 모두 41개 절제된 정상위조직을 수술후 수지(polyethylene)통에 넣고,생리식염수로 채워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다.T1강조FLASH,지방억제T1강조FLASH, T2강조TSE와 True-FISP 등 4가지 기법으로 위조직의 영상을 얻었다.자기공명영상에서는 위벽의 층수와 각층의 신호강도를 관찰하였고,이를 조직소견과 비교하였다.자기공명영상소견을 조직소견과 비교한 후 위벽 각층의 명확성과 각층간의 구분,및 전체 영상의 질에 대하여 비교하였다.4가지 기법 중 가장 좋은 방법은 3,가장 나쁜 방법은 0으로 하여 등급을 판정하였다. 결과:자기공명영상에서 위벽의 층수는 T1강조FLASH에서 2층이 41예 중 6예(14.6%),3층 31예(75.6%),및 4층 4예(9.8%)였고,지방억제T1강조FLASH에서 2층 6예(14.6%)와 3층 35예(85.4%),T2강조TSE에서 3층 24예(58.5%),4층 11예(26.8%),및 5층 6예(14.6%)였으며,True-FISP에서 1층 2예(4.9%),2층 8예(19.5%),3층 23예(56.0%),4층은 4예(9.8%), 및 5층 4예(9.8%)이었다.위벽의 신호강도는 T1강조FLASH와 지방억제T1강조FLASH에서 2층으로 보인 예는 위내강으로부터 고-중등도,3층인 경우는 고-저-고/중등도,4층인 예는 고-저-고-중등도신호강도였다.T2강조TSE에서는 3층으로 보인 예는 등도/고-저-중등도,4 층인 경우는 중등도-저-고-중등도/저,5층인 예는 저-고-저-고-저신호강도였다.자기공명 영상소견을 조직소견과 비교하였을 때 위벽이 3층으로 보인 경우 이것은 “점막층-점막하층-근층 ”에 해당하였다.관찰한 3가지 면 모두에서 T1강조FLASH,지방억제T1강조FLASH,T2강조TSE 기법이 True-FISP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수하였다(p=0.001).점막층의 명확성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기법은 T1강조FLASH와 지방억제T1강조FLASH이었고(p<0.05),점막하층의 명확성과 점막하층과 근층간의 구분은 T2강조TSE가 가장 우수하였다(p<0.05).전체적인 영상의 질은 T1강조FLASH와 T2강조TSE에서 가장 우수하였다(p<0.05). 결론:자기공명영상은 위벽의 각 층을 구별할 수 있는 우수한 검사로 조직소견과 높은 연관성을 보이며,전체 영상의 질,점막하층의 명확성 및 점막하층과 근층간의 구분이 T2강조TSE에서 가장 우수한다. Purpose: To evaluate normal human gastric wall layers in vitro using magnetic resonance*(MR) imaging, to correlate the results with the histologic findings,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technique for evaluation of the gastric wall. Materials and Methods: Forty-one normal resected gastric specimens obtained from 25 patients were dissected and placed in a polyethylene tube filled with normal saline. MR imaging with four MR sequences, T1-weighted FLASH*(T1FLASH), fat-saturated T1-weighted FLASH, T2-weighted TSE*(T2TSE), and True-FISP, was performed. The number of gastric wall layers and signal intensity of each layer were determined, and after correlating MR images with the histologic findings, the conspicuity of each layer*(mucosa, submucosa, and muscle), the distinction between each layer, and overall image quality were assessed. results: The gastric wall was shown by TIFLASH to have two (n=6, 14-6%), three (n=31, 75.6%) and four layers (n=4, 9.8%); by fat-saturated TIFLASH to have two (n=6, 14.6%) and three (n=35, 85.4%) ; by T2TSE to have three (n=24, 58.5%), four (n=11, 26.8%), and five (n=6, 14.6%); and by True-FISP to have one (n=2, 4.9%), two (n=8, 19.5%), three (n=23, 56%), four (n=4, 9.8%), and five (n=4, 9.8%) . The signal intensity of each layer at T1FLASH and fat-saturated T1FLASH was high-intermediate from the lumen in two-layer cases, high-low-high/intermediate in three-layer cases, and high-low-high-intermediate in four-layer cases. The signal intensity of each layer at T2TSE was intermediate/high-low-intermediate in three-layer cases, intermediatelow-high-intermediate/low in four-layer cases, and low-high-low-high-low in five-layer cases. Three-layered gastric wall corresponded mostly to mucosa, submucosa, and muscle from the inner to outer layers, respectively. T1FLASH, fat-saturated T1FLASH, and T2TSE were superior to True-FISP in evaluating the gastric wall. T1FLASH and fat-saturated T1FLASH were the best sequences for demonstrating mucosa (p<0.05), and T2TSE was the best for submucosa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is and muscle (p<0.05). Both T1FLASH and T2TSE provided the best overall image quality (p<0.05). Conclusion: In-vitro MR imaging is an excellent technique for the evaluation of layers of normal gastric wall. T2TSE is the sequence which best demonstrates the conspicuity of submucosa, the distinction between submucosa and muscle, and overall image quality.

      • KCI등재

        서울시 공공임대아파트 커뮤니티의 사회적 결속력에 관한 연구 - 단지 내 커뮤니티 활동과 주거문화 특성을 중심으로 -

        서보경,Seo, Bokyong 한국주거학회 2014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5 No.2

        In line with the previous study on the level of social cohesiveness of public rental housing communities in Seou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munity activities as a result of community cohesiveness and identified the cultural influences on the cohesiveness of the same case study areas. In general, there was relatively more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n the community activities in the housing estates with higher social cohesiveness. The four communities were active in reporting community problems to the housing managers, greatly relying on the housing managers to solve the problems. In addition, mutual aid and community self-help were facilitated mainly through the activities of women's associations. However, small membership of community organisations and occasional disputes between the community organisations and estate managers, and among the community organisations themselves, seemed to have hampere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social cohesiveness in the case study areas. In terms of the cultural attributes, coexistence of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consideration of neighbourliness as an ideal social norm, incorporation of the neighbourhood environment into the housing estate environment and extensive use of outdoor public spaces were found.

      • KCI등재

        8세기 秦氏의 씨족 分化와 官人化

        서보경(Seo Bo Kyung)(徐甫京)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6 日本硏究 Vol.0 No.67

        In the Hatasi of the 8th century, newly rising families come to represent the Hatasi through the four family names of HatanoImiki and UzumasanoKimikabane rather than through the mainstream of Jingichon at the stage of the Tenmu-yakusano-kabane. This situation is in accord with the situation of the Nara Period that,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law based bureaucracy, the established TomonoMiyatuko were gradually losing their power base and those who pioneered new areas in the new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 achieved the rise of their status. What is more, there were Hatasi members who got a rank in compensation for their offering of properties to the government or to syaji and then developed reclaimed lands and enhanced their social and economic status higher, or some who chose the career of a bureaucrat by working as a middle and low class civil servant or a local government official. Accordingly, the Hatasi in the 8th century did not stay in the boundary of the clan but advanced to various areas of life. At the end of the 8th century, some families requested the change of the family name, and put forward a new family name without ‘Hata’ for expressing their autonomy and independence. These phenomena reflect the differentiation of the Hatasi before the appeara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ian Period when individual families pursued their peculiarity apart from the clan.

      • 한국형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지역포괄케어시스템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서보경(Bokyung Seo),서은해(Eunhye Seo)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16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2 No.1

        본 연구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노인 돌봄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서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포괄케어시스 템을 구축함에 있어 그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서 현재 한국의 재가노인 복지서비스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일본의 선진 사례와 한국의 시범형 사업의 사례를 비교하여 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일본의 우수 사례 적용 측면, 한국 재가노인복지서비스센터의 기능 확대 측면,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측면으로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보건과 복지서비스를 통합하는 효과적 노인돌봄시스템 구축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 한국의 노인복지 실천현장에서 새로운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의의를 가진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In-home care service of the elderly and to suggest the comprehensive community care system for the elderly in Korea.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Japanese community comprehensive care system for the elderly to korean community care system for the elderly.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that there are three ways to improve the community care service system for the elderly in Korea. First, it is necessary to set the network system of the care service delivery agencies such as hospital, local clinic center, care center for the elderly and so on, and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the neighbors in care service as support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the In-home care service centers which can play a role of control tower of the community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Third,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should be increased and consolidated for the comprehensive community care for the elderly.

      • KCI우수등재

        역량강화(empowerment)라는 사회과학의 비전

        서보경(Bo Kyeong Seo) 비판사회학회 2017 경제와 사회 Vol.- No.116

        사회과학 내에서는 물론 전 지구적 사회 운동의 지형에서 역량강화(empowerment)는 유익한 목표이자 비판적 의심의 대상으로 여겨진다. 이 글에서 나는 HIV 감염인 당사자들의 주도적 참여와 역량강화를 주요 목표로 내세운 「한국 HIV 낙인 지표 조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역량강화 개념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한다. HIV 감염인을 연구의 대상이 아닌 주체로 서게 한다는 목표 아래 이 연구는 조사원의 구성 및 훈련, 자료 수집 및 분석, 최종 보고서 작성에 이르기까지 감염인 당사자와 관련 분야 인권활동가들과의 광범위한 협업을 일구었다. 이 과정에서 감염인 조사원의 어떤 경험이 역량으로 부각되었는지를 복기하고, 이 기획의 성취와 한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회과학의 비전으로 역량강화는 단순히 차별과 소외, 억압 아래에 있는 이들을 위한 연구를 해야 한다는 당위의 차원을 넘어서서 어떻게 지식 생산의 과정을 통해 연구 대상이 되는 집단에 특정한 힘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인가를 적극적으로 고민하게 한다. 경험의 담지자들과 함께 사고하고, 해석하고, 이론을 정교화시키는 협업적 분석론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사회과학적 지식 생산의 기반을 이루는 상호의존성의 윤리와 정치를 강조하고자 한다. ‘Empowerment’ has been considered as a necessary but suspicious goal within academic discourses and globalized social movement agendas. In this article, I critically engage with ideas about empowerment by drawing on experiences from a collaborative research project called Korean People Living with HIV Stigma Index. This project is intended to empower people living with HIV by encouraging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measuring the stigma and discrimination that they experienced. In this project, people living with HIV are not merely research objects but researcher themselves who take part in the whole research process including survey team organization, re-modif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survey, and data analysis. By tracing their involvement in this research, I carefully examine how their senses and aspirations of empowerment are emphasized, developed, and reaches a certain limit. I suggest that the empowerment of research participants can be reconsidered as a particular vision of social science research in a sense that it makes a collaborative analytic possible. In this time of social science research explicitly conceived in terms of collaboration, collaborative analytics sheds light on the politics and ethics of interdependence by revealing the dialogic and relational base of knowledge production.

      • KCI등재

        테니스 실기 수업에서 블랜디드 학습의 적용 가능성 탐색

        서보경(Seo Bo-Kyung),박승하(Park Seung-Ha) 한국체육과학회 2009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blended learning on a practical achievement (PA) of tennis forehand stroke and a student's satisfaction (SS) on tennis class. Seventy-three first grade students of women's high schools in Seoul, were assigned to blended learning group (n=37) and only off-line learning group (n=36). PA was measured by practical test in both blended learning group and off-line group. For a practical test, all subject's performance was filmed during pre-test, post 4 weeks, and post 8 weeks test. A questionnaire composed of five factors such as learning contents, coursework,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nteraction, and interest and motivation, was used for measuring SS. Results indicated that blended learning was more effective on a PA and SS than only off-line learning. These results mean that in blended learning, the students can check their own performance visually at any time, and acquire feedback for each individual from on-line information, which can not be acquired in only off-line learning.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 students in the blended learning can form the network for learning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peers or with teacher. In conclusion, we confirm that the blended learning can guide more effective motor learning when applying to practical class in physical education properly.

      • 가려짐 예측을 이용한 불완전 포인트 클라우드의 분류 기법

        서보경(Bokyeong Seo),장선영(Seonyoung Jang),오병태(Byungtae Oh)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3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3 No.11

        본 논문에서는 point cloud 가 가려짐 등으로 일부 정보가 불충분한 상황에서, 객체의 분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요소를 제안한다. Point cloud 를 gridding 하여 3 차원 격자로 배열한 후 가려진 부분을 학습하여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이 과정을 통해 모델 스스로 객체에서 가려진 부분을 찾고, 가려짐 영역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가중치를 두어 학습할 수 있도록 모델을 구성하였다. 또한 구해진 특징 벡터와 가려짐 영역의 벡터를 더한 후 분류하여 가려짐 영역의 벡터가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point cloud 의 가려짐 영역을 이해하고, 정확한 분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同祖’계보의 변화를 통해 본 王仁, 王辰爾系 씨족

        서보경(Seo, Bo-Kyung) 한일관계사학회 2016 한일관계사연구 Vol.53 No.-

        『일본서기』에 ‘왕인과 왕진이의 후손’이라 기재된 가와치노후미(西文)씨 일족이 『속일본기』와 『신찬성씨록』의 계보 기록에는 ‘漢高帝(祖)의 후손인 왕인’과 ‘백제 貴須王의 후손인 진이’의 후손이라 적혀 있다. 이와같이 왕인과 왕진이계 씨족의 조상전승이 다르게 기재된 것은 왕인계 후미(文), 다케후(武生)씨와 왕진이계 츠(津), 후네(船), 후지이(葛井)씨 등이 각기 改姓을 정당화하기 위해 『일본서기』 단계에 기재된 조상 위에 새로운 시조를 더하여 계보를 조작한 데 그 원인이 있다. 또한 延曆年間에는 왕인계 후미, 다케후씨와 왕진이계 츠, 후네, 후지이씨 등의 ‘改姓請願’이 허가되었다. 고대 일본 사회에서는 ‘改姓請願’이 인정되면 각 씨가 주장한 계보는 공적인 문건이 되었다. 따라서 이른바 ‘始祖加上’을 통해 왕인계 후미, 다케후씨 등은 중국계 이주 씨족이 되고, 왕진이계 츠, 후네, 후지 이씨 등은 백제 왕족의 후손으로 분류되어 『신찬성씨록』에 게재되었다. 또한 교키(行基)와 구다라노코니키시(百濟王)씨는 쇼무(聖武)천황의 대불조영 사업을 매개로 계보상의 「同祖」 관계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大僧上舍利甁記」의 명문에 기재된 ‘와니(王爾, 王仁)가 백제 왕자’라는 계보가 공인되었다. 따라서 왕인계 가와치노후미씨가 ‘한 고조의 후손’이라는 계보는 개성을 청원하는 단계의 ‘시조가상’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또한 왕인, 왕진이계 씨족의 개성청원이 이루어진 연력년간에 백제계 도래씨족으로 최고의 위상을 보유한 씨족은 왕진이계 츠노무라지(津連)였다. 특히 간무(桓武)천황의 측근으로 활동한 츠노무라지마미치(津連眞道)는 『속일본기』 편찬 작업에 임하면서 후지와라(藤原)씨와 구다라노코니키시씨와 연결되었다. 이러한 관계를 매개로 하여 백제계 이주씨족의 후손인 츠노무라지마미치는 백제 왕족과 계보상의 「同祖」 관계를 형성하였고, 그 결과 왕진이계 가와치노후미씨는 백제 왕족의 후손으로 공인되어 『속일본기』와 『성씨록』에 기재되었다. 요컨대 왕인과 왕진이계 가와치노후미씨는 근접한 지역에서 ‘의제적 동족’ 관계를 형성하며 ‘문필’에 관한 소양을 갖춘 관인으로 출사할 때나 대학에 입학할 때, 조정의 필요에 따라 동원될 경우는 가와치노후미씨 일족으로 움직였다. 그러나 이들은 ‘문필’이라는 유사 직종에 종사하며 賜姓, 敍位, 任官의 경우만 아니라, 봉사의 기원을 기록한 씨족계보의 기술 내용에 이르기까지 각 씨의 격을 높이기 위한 경쟁을 지속하며 고대 일본의 관인사회에 적응해 나간 존재이기도 했다. The family of KawachinoHumiuji(西文氏), which is recorded as the descendent of Wani(王仁) in NihonShoki(日本書紀), is recorded as the descendent of Emperor Gaozu(高祖) of the Han(漢) and the descendent of the Baekje royal family, respectively, in ShokuNihongi(續日本紀) and Shojiroku(姓氏錄).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why the clans sharing the common ancestry put up different founders. Thus, this study analyzed Kaisei(改姓) applications in the records of Keifu in ShokuNihongi and extra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 of the original texts. The difference between Keifu(系譜) in NihonShoki and the contents in ShokuNihongi is the consequence of changing Keifu by adding another ancestor to the original earliest ancestor in order to justify Kaisei. The fabrication of Keifu for giving authority to the origin was a social phenomenon common in both Torai(渡來) and non‐Torai(非渡來) people through the age of Nara. If Kaisei is accepted, the Keifu maintained by each Uji is acknowledged as an official document. Among the clans of KawachinoHumiuji, accordingly, Wani, Humi(文), Takehu(武生), etc. became Chinese Torai people, and Ojinni(王辰爾), Tu(津), Hune(船), Hujii(葛井), etc. became Baekje Torai people. In this way, the clans came to have different origins. When the GyokiKeifu(行基系譜), in which Wani was recorded as a Baekje royalty, is analyzed, it is clear that this is the result of Keifu fabrication. Because the Baekje royalty should admit Wani as one of the royal family members in order for the Keifu to be officially recognized, this study traced the association between Gyoki and Kudaranokonikisishi(百濟王氏).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wo were connected through the medium of the project for creating a great statue of Buddha by ShomuTenno (聖武天皇). Based on diplomatic relations among the clans of KawachinoHumiuji, however, the recognized Keifu was maintained not by Humi and Takehu but by TunoMurajiMamichi(津連眞道). In addition, TunoMurajiMamichi and Kudaranokokisishi we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medium of KammuTenno. After all, KawachinoHumiuji is a clan organized constructively based on the commonalities that they immigrated from Baekje, they carried out similar jobs of Humihito(史), and they followed Buddhism. They sometimes moved together under the name of KawachinoHumiuji if necessary, but basically maintained a competitive relationship as they were engaged in similar business of writing. As a result, the family of Tu, Hujii and Hune maintained the superiority over other family, and Tu won the glory of being incorporated into the Baekje royalty, the highest Keifu of clans originating from Baekje.

      • KCI등재

        동아시아 열녀담론 재고

        서보경(Seo, Bo-Kyung)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1

        동아시아 여성에 대한 탐구의 일환으로 유교적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을 이루는 요소 가운데 ‘열녀’라는 기호로 여성들의 사회적 위상을 바라보고자 한다. 당대의 열녀에게 왜 남편을 따라 죽는 선택을 했는가라고 묻는 것은 무의미하다. 그들은 그 시대의 이데올로기와 지배적 규범 안에서 최대한 주체적인 선택을 한 것이라 보아야 할 것이다. 여성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더 지혜로워졌을 뿐 아니라 그들의 욕망과 요구도 점점 커지게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열녀’라는 기호는 여성들의 실천과 행위를 의미 있게 보여주는 아이콘이며, 생성적인 여성 담론을 가능하게 해주는 매개체라고 할 수 있다. ‘열녀’란 다름 아닌 그들 자신에 대한 찬양으로, 그것은 바로 도덕에 있어 여성들 스스로 완성된 인격체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열녀’는 원래 부계중심을 유지하기 위해 권장되는 덕목이었지만 점차 여성 자신들의 방식으로 해석되기 시작하였고, 이는 당대 여성의 도덕성을 내면화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동아시아 유교적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의 모습이 남성 중심적 질서에 의하여 과도하게 억눌린 존재로만 그려졌던 것은 아닐까 하는 점에 의문을 갖고 살펴본 바, 그들은 남성들이 그랬던 것처럼 성리학에서 최고의 목표로 삼는 도덕적 인격체의 완성이라는 커다란 틀 안에 자신을 위치 지우고자 했다. 그러므로 여성들의 이러한 행위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었던 것이다. 당대의 여성들은 사실상 희생이나 억압의 상징이 아닌 스스로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녀가 되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여성들은 강렬한 자기 의지와 목적의식으로 열녀가 된 것이며, ‘열녀’는 이데올로기적 강제와 여성들의 내면화가 맞물려 이루어진 결과물이었다. 즉 ‘열녀’는 여성들의 선택, 여성 스스로의 결정이었던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serve in depth the social status of women according to “Virtuous Women” seen in Confucian Patriarchal society. “Virtuous Women” depicts women’s implements and their acts to become meaningful, and these possibilities gave rise to the female generative discourse. “Virtuous Women” began to offer praises to themselves to justify the fact that women by themselves are “Complete Human Beings.” “Virtuous Women” was created to retain and reinforce the “patrilineal” in the society, but other women started to translate and use it according to their methods. In the Neo-Confucianism, they tried to keep themselves as the highest pinnacle of Complete Human Form and this can be viewed as internalization process of Women’s morality. The image of ‘Virtuous Women’ can viewed as an arbitrary sacrifice act that is shown by the past ‘Virtuous Women’. This was one of the ways which indicates women’s place in society, their relationship with men, family, hierarchy and their response to the changes above. In the Confucian Patriarchy Society of East Asia, it is possible to think that women were oppressed by laws that are centralized by and for men. With that said, as it is done by men in the past, they tried to create a place where they can be the pinnacle of Complete Human Form in Neo-Confucianism. Therefore, the actions of these women can be viewed as their way of achieving their place in society. In reality, it can be said that the women of Cho Sun had not sacrificed themselves and were not oppressed but became ‘Virtuous Women’ in order to make their ideology come true. Women had become ‘Virtuous Women’ by their own free will and sense of purpose and the “Virtuous Women” was the result of the control and oppression during the Era and women’s internalization. Therefore, the “Virtuous Women” was their choice, their own decision.

      • KCI등재

        『新撰姓氏錄』의 吉田連氏 出自와 氏姓 標題에 관하여

        서보경(Seo, Bo-Kyung) 한일관계사학회 2017 한일관계사연구 Vol.58 No.-

        나라(奈良)시대에 헤죠경(平城京)의 다무라노사토(田村里)에 거주하던 기치타노무라지(吉田連)씨는 헤이안(平安)시대가 되면 헤이안경(平安京)의 좌경과 우경에 나누어 거주하였다. 간무(桓武)천황 연력 18년(799)의 본계장 제출령에 의거하여 기치타노무라지씨의 본계는 기치타노무라지지슈(吉田連智首)의 후손인 左京人기치타노무라지스에모토(吉田連季元)등이 중심이 되어 제출하였다. 이 본계는 勘校를 거친 뒤 와니씨(和邇氏)계 오카스가노아손(大春日朝臣)씨와 조상이 같은 황별 씨족으로 분류되어 『신찬성씨록』에 게재되었다. 그런데 기치타노무라지씨는 쇼무(聖武)천황 신귀 원년(724)에 「渡來」계 씨족을 대상으로 한 대량 사성을 통해 생성된 씨성이다. 따라서 황별 씨족으로 『신찬성씨록』에 게재된 것은 기치타노무라지씨의 출자 改變의 산물이다. 출자 개변은 기치타노무라지씨가 와니씨계 씨족과 근접 지역에 거주하며 교류한 것과 동일 관사에서 함께 직무를 수행하는 등 긴밀한 관계를 유지한 것이 배경이 되었다. 이러한 관계를 기초로 하여 기치타노무라지씨는 원래 전승상의 시조인 시오타리쓰(鹽乘津) 위에 와니씨계 씨족의 시조인 아메타라시히코쿠니오시히토노미코토(天帶彦國押人命)의 4세손 히코쿠니부쿠노미코토(彦國葺命)를 더하는 방식으로 계보를 변경하여 와니씨 계보에 편입되었다. 또 기치타노무라지씨는 『신찬성씨록』의 좌경 황별조에 본계가 게재되면서 황별 씨족으로 공인되었다. 그 결과 『속일본후기』 승화 4년(837) 6월 기미조에는 시오타리쓰가 일본인으로 그의 8세손인 기치다이죠(吉大尙)의 渡日도 일본을 그리워하여 귀국한 것으로 기재되었다. 그런데 『일본문덕천황실록』 가상 3년(850)에 게재된 후미누시의 卒傳에는 기치타노무라지를 本姓으로 하는 후미누시의 조상을 ‘백제’ 출신이라고 기재하였다. 이것은 칙찬 계보서인 『신찬성씨록』에 황별 출신으로 게재되었거나, 정사인『속일본후기』에 시조가 일본인이라고 기재되었다 하더라도, 9세기 후반 헤이안 조정의 『일본문덕천황실록』 편찬자들은 기치타노무라지씨의 후손은 백제계 도래씨족이라고 판단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평가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기치타노무라지조는 씨성 표제에는 무라지라는 姓으로 나오는데 본문에는 “홍인 2년(811)에 스쿠네(宿禰)라는 성을 주었다.”고 적혀 있어 씨성 표제와 본문의 사성 내용이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불일치 현상은 현존 『신찬성씨록』이 完本이 아니라 抄略本이라는 점에 그 원인이 있다. 완본 『신찬성씨록』에 게재된 각 씨성의 본계에는 일족과 지류의 씨성, 사성에 관한 내용 등이 기재되었다. 그래서 완본 『신찬성씨록』 기치타노무라지조에는 일족인 右京人기치타노무라지미야마로(吉田連宮麻呂) 등을 대상으로 한 홍인 2년의 스쿠네 사성에 관한 내용도 적혀 있었다. 그런데 완본에 기재된 기치타노무라지조를 초략할 때 일족의 스쿠네 사성에 관한 내용이 함께 채록되면서 현존 『신찬성씨록』의 기치타노무라지조의 씨성표제와 사성 내용 간에 불합치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Kichita no muraji, who lived in the village of Tamuranosato in the Nara period, came to reside in Sakyō and in Ukyō in the Heian period. After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to Heian, following the order of the honke leader to publish Shinsen shōjiroku, a descendant of Kichita no muraji Jishu, Kichita no muraji Suemoto, who worked in the Sakyō, led other officers to submit the Shinsen shōjiroku, which was then proofread at the publishing office in order to be published in Shinsen shōjiroku of the Sakyō kobetsu. This meant that the shutsuji of the Kichita no muraji descent group, who were officials of overseas origin, was changed to the kobetsu descent group, who were of the Wani descent group origin. The change of the shutsuji was done in such a way that the Kichita no muraji descent group joined the Wani descent group, who were in a consanguineous family relationship as sworn brothers using the fact that they were in a close relationship both in residence and in the workplace. In addition, this change was made through the so-called genealogy incorporation of the progenitor, by adding Hikokunibuku no mikoto, the fourth-generation grandson of Amaterasu Hikokuniosihito no mikoto, to Shiotaritsu, who was the original progenitor of the descent group of Kichita no muraji. And there is no claim that they are of the kobetsu descent group of the Wani descent group in Shoku Nihon kōki, but the progenitor of Fuminushi, who belonged to Ukyō, is described only as a Japanese Shiotaritsu. However, since the honke of the Kichita no muraji descent group was certified as a kobetsu descent group with the publication of "Sakyo kobetsu" in Shinsen shōjiroku, the records afterward followed suit that Shiotaritsu, the grandson of Hikokunibuku no mikoto, was Japanese and the migration to Japan of his eighth-generation grandson, Kichidaijo, was described as him returning to Japan due to homesickness. However, it is written in "Fuminushi sotsuden," in Nihon Montoku Tennō jitsuroku, that the ancestors of Fuminushi, who had the honke of Kichita no muraji, were from Baekje. This means that even though they were described as kobetsu in Shinsen shōjiroku, which is a genealogy record, or as having a Japanese progenitor in Shoku Nihon kōki, the compilers of Nihon Montoku Tennō jitsuroku in the late ninth century, during the Heian Period, stated that it was reasonable to judge that the descendants of the Kichita no muraji descent group were of overseas origin from Baekje. In addition, a comparison between the case where the shisei title written in the extant Shinsen shōjiroku and in Itsubun is consistent with the given kabane from the Kōnin period, and the case where the shisei title described in the extant Shinsen shōjiroku is inconsistent with the given kabane, verified that the discordance of the shisei title and the given kabane recorded in the extant Shinsen shōjiroku was created when the record of the given sukune in the second year of Kōnin"s rule, which discussed the name change for clans, in other words for the people who belonged to Ukyo, was copied as it was during the making of a draft of Shinsen shōjirok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