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권택 판소리 영화 〈천년학〉의 매체변환에 따른 서술양상과 미의식의 특이성

        서미진(Seo, Mi-jin)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9 No.2

        본 논문은 임권택의 판소리 영화 계열체의 서술의 특성과 미적 자질을 조명하는 연속적인 과정의 일환으로서 그의 마지막 판소리 영화 〈천년학〉의 매체변환에 따른 서술양상과 미의식의 특이성을 본격적으로 분석, 조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고는 임권택의 판소리 영화 〈천년학〉을 열린 창작정신의 현장협업에 따른 이청준과의 ‘공동작’이자 영화 〈서편제〉와 연관 속의 단절의 성격을 띤 ‘연작 판소리영화’로 바라보며 매체변환에 따른 서술양상을 플롯 구성과 스타일 구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나아가 매체변환된 서술양상을 토대로 생성되고 있는 영화의 미의식의 특이성을 조명하였다. 먼저 영화 〈천년학〉은 이청준 소설의 판소리적 서사구조 및 액자형식의 특징, 미장아빔(Mise-en-Abyme, 거울구조)의 메타구조를 플롯구성에 반향하고 있다. 또한 이청준 소설의 대화형식의 문답구조와 탐색담의 다중 초점의 특징은 영화 〈천년학〉에서 삽화 나열식의 시퀀스 구성과 플래시백 장치를 통한 회상형식으로 전환되고, 등장인물 내레이터(narrator)를 통한 중개적, 고백적, 설명적 서술체로 전환되면서 영화의 다(多) 초점의 서술양상으로 발현되고 있다. 한편 본고는 매체변환에 의한 스타일 구성을 임권택의 기존 판소리 영화의 스타일의 연장선상에서 조명하였다. 즉 임권택 감독 특유의 평행주의의 영화서술이 반영되고 있는 측면, 유사 플랑 세캉스(plan–sequence)에 의한 소리대목의 서술국면, 디지털 CG(Computer Graphic)를 활용하여 영화의 설정공간인 ‘풍수적 유토피아 공간’으로서의 ‘선학동’을 고도화된 디지털 이미지로 시각화하고 있는 매체융합의 서술국면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서술양상을 토대로 영화 〈천년학〉이 산출하고 있는 미의식을 소리(남도소리)라는 청각성과 동양문화의 표상이라는 시각성의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임권택의 마지막 판소리 영화 〈천년학〉은 판소리의 가장 중요한 음악적 요소인 ‘성음’, 남도소리의 총제적인 음조직인 토리 및 기교로서의 시김새 등의 음악적 요소를 횡단하는 청각적 훑기를 통해 남도창(판소리)을 넘어 남도소리의 총체적인 청각적 미적 체험을 유도하고 있으며 포용적이며 적층적 예술로서의 판소리의 세계를 형상화하고 있다는 데 그 미의식의 특이성이 있다. 또한 영화 〈천년학〉은 원작소설 〈선학동 나그네〉의 신화적 상상력 및 선가적 세계관, 풍수 및 풍류 담론, 장자의 물아일체설, 동양적 경계(境界)담론, 회한과 정한의 표상 등의 다양한 전통문화적 표상 혹은 코드를 자율적으로 번역, 접속하여 리좀적 다양성의 미의식을 산출하고 있다는 데 그 특이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pecific aspects of narration and aesthetic consciousness according to media transformation of Im Kwon Taek ’s last Pansori film, ‘Beyond the years’. This paper sees Im Kwon-taek’s Pansori film ‘Beyond the years’ as a collaborative work with Lee Chung-joon following the on-site collaboration of creative minds. And this paper focuses on the narration aspect by media transformation based on the composition of the plot and the composition of style by looking at it as a sequential pansori film with ‘Sopyonje’. Furthermore, this paper illuminated the specificity of the aesthetics of film which is based on narration aspect by media conversion. First, the film ‘Beyond the years’ reflects the Pansori narrative structure and the frame-type structure and meta-structure of the narration characteristics of Lee Chung-joon’s novel. In addition, the interactive dialogue structure and multi-focal features of Lee Chung- jun’s novels are transformed into the composition of a segmented illustration-oriented sequence and flashback recall structure in film ‘Beyond the years’. And it creates the multi-focal point of the film through the presence of intermediary, confessional, explanatory character narrator. Meanwhile, this paper illuminated the stylistic composition by media conversion on the extension line of Im Kwon -Taek ’s existing Pansori films. In other words, this paper looked at the aspect of the film that is reflected in the film character of Im Kwon-taek’s unique parallelism, the description phase of the sound track by the plan-sequence, and the phase of visualizing the setting space(Seonhak-dong) of the movie with advanced digital image. Based on these narration aspects, I analyze the aesthetics of the sound traversing the entire ‘Namdo Sori’, which is produced by the film, and the aesthetics of the rhizomic diversity. The last Pansori film ‘Beyond the years’ of Im Kwon Taek traverses the musical elements such as a vocal sound-which is the most important musical element of Pansori, ‘Tori’ which is the general tone of the Namdo’s sound, and ’Sigimsae’ as a technique. This auditory scan-based crossing leads to a total aural aesthetic experience of the sounds of Namdo Island beyond Pansori. And this characteristic shows that the film ‘Beyond the years’ embodies the world of Pansori as an inclusive and laminated art. This aspect is a characteristic of the first aesthetics of the film ‘Beyond the years’. In addition, the film ‘Beyond the years’ autonomously translates and links the presentations or codes of various traditional cultures of the original novel ‘Seonhak-dong wanderer’. Based on this, The film ‘Beyond the years’ is creating the aesthetic sense of the rhizomic diversity.

      • KCI등재

        『크리스마스 캐럴』의 정체성 탐구에 대한 형식과 의미 고찰-최인훈 론-

        서미진 ( Seo Mi-jin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05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7 No.-

        The essential debate of the research revolves around how to define the relation between the novelistic form and the narrative of “The Christmas Carol” mainly focusing on the theater of the absurd.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Choi In-Whun's works are rich in thought and speculation. in fact, his most of novels intend this tendency. On the other hand, his most plays attempt to stylize aesthetic structure in conformity with poetics l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is work's novelistic form in relation to the theater of the absurd. Because it connote a special quality of the theater of the absurd. Therefore the main methodology lies in exploring the circulate structure, the literary style and the episode's symbol of this work in comparison with the aesthetic feature of the theater of the absurd. “The Christmas Carol” presents us with a possibility for a point of contact between his novel style and play style.

      • KCI등재

        김수용 문예영화의 결말구성과 의미화 작용의 양상 연구

        서미진(Seo Mi-Jin)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3

        본 논문은 1960~1970년대 김수용 감독의 일련의 문예영화를 대상으로 닫힘과 열림이라는 결말구성의 담화론적인 변화와 이에 따른 세계관의 표출(생성)의 양상을 중심으로 그 의미화 작용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김수용 감독의 문예영화 텍스트들은 고전적 서술양식에서 예술영화 서술양식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1960년대 그의 초기와 전성기 시절의 작품들이 전자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다면 1970년대 그의 후반기의 작품들은 후자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본고는 1960~1970년대에 걸쳐 지속적으로 문예영화를 연출한 김수용 감독의 문예영화 텍스트를 선별하여 결말구성과 그 의미화 작용의 양상을 원작 텍스트의 결말과의 대비를 통해 구체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먼저 1960년대 중후반 그의 문예영화 텍스트들은 고전적 내러티브 영화의 지배적 결말형식인 닫힌 결말형식을 공유하고 있으며 〈혈맥〉을 제외한 여타의 텍스트들은 멜로드라마의 시적정의(Poetic Justice)에 의한 가부장제 질서로의 복귀를 통한 보수적 세계관을 표출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수적 세계관의 표출은 질문들에 대한 대답이 이뤄지고 갈등들이 해소(해결)되는 닫힌 결말형식에 의한 닫힌 의미화의 작용으로 수렴된다. 따라서 이 시기 김수용 문예영화의 닫힌 결말구성은 고전적 서술의 지배적 경향인 해결의 결말이라는 국면을 띠고 있다고 하겠다. 반면 이와는 대조적으로 1970년대 중후반 그의 문예영화 텍스트들은 예술영화의 지배적 결말형식인 열린 결말형식을 공유하고 있으며 부조리극의 반복과 순환의 열린 결말형식과 조응하는 순환적인 열린 결말형식을 통해 부조리한 세계관을 생성하는 의미화 작용으로 나아가고 있다. 특히 이들 텍스트의 열린 결말형식이라는 담화론적인 형태는 멜로드라마의 내러티브적 요소 및 재현적 장치들과 착종되어 있는 텍스트의 불균질한 서술구성을 예술영화의 서술양식으로 최종 귀속시키는 심급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된다. 나아가 이들 텍스트의 열린 결말형식을 통해 생성된 부조리한 세계관은 유형화된 이데올로기로 작용하고 있는 의미화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has an object in view for discussing final conclusion and sense of subject in Kim Soo Young’s literary film in conjunction with narration alteration. Director Kim Soo Young’s literary films show that the classic narration mode move to the art film narration. In 1960’s his early and glory days of the literary films he focused on the prior comments. but in 1970’s his latter-half of the literary films he focused on the latter comments. This thesis cast light upon the final conclusion and sense of subject of his literary film according to the closed final conclusion and the conservative sense of subject also open final conclusion and the absurd sense of subject. Film genres composed narrative convention and representation convention. Especially ending of film is under the control of the these narrative convention and representation conv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a concentrative view of these aspect. Fist In 1960’ his early and glory days of the literary films like as ‘The Blood Vessel’, ‘The Seaside Village’, ‘The Forest Fire’, ‘The Victim’, ‘The Magpie Cry’ are made up closed final conclusion and then converge on the classical narrative. In advance the sense of subject in these works is sutered by patriachal ideology and then express conservative outlook on the world. By contrast, in 1970’s his latter-half of the literary films like as ‘The night trip’, ‘The Swamp of Exile’, ‘The Laughter’ are made up open final conclusion by exclusive possession of the Absurds Theater with the open final conclusion and then converge on the art film narrative. In advance he sense of subject in these works generates the absurds outlook on the worl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