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술연구 : 산업 클러스터 입주가 벤처기업의 기술혁신활동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R&D 협력 네트워크와 기업가정신을 중심으로

        서리빈 ( Ri Bin Seo ),성종수 ( Jong Soo Sung ),윤현덕 ( Heon Deok Yoon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2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정부기관 및 지자체가 운영하고 있는 산업 클러스터의 효과성을 개방형 혁신의 주요초점인 네트워크 관점에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클러스터 입주 벤처기업의 협력 네트워크와 기업가정신이 기술혁신활동과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2010 벤처기업 정밀실태조사 데이터와 보고서를 분석하여, 외부 혁신주체와의 R& D 협력 네트워크와 기업가정신을 독립변수로 산정하고, 종속변수인 기술혁신활동을 R&D 집약도, R&D 인력비중, 지적재산권으로, 그리고 기술혁신성과를 기술경쟁력, 기술우수성, 혁신제품 매출비중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실태조사에 응답한 모집단을 대상으로 연구의 합목적 기준에 따라 층화표본방식으로 총 駝470의 표본기업을 추출하였다. 일원 공분산분석결과, 산업 클러스터 입주여부에 따라서 벤처기업의 R&D 집중도, R&D 전문인력 비중, 협력 네트워크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 입주기업이 비입주기업보다 활발한 기술혁신활동을 전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연, 기술경쟁력을 제외한 기술 혁신성과 변수인 기술우수성과 혁신제품 매출비중은 입주여부에 따른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 산업 클러스터 입주여부를 더미변수로 한 다중회귀모형에서는 협력 네트워크가 R&D 전문인력 비중, 지적재산권과 기술우수성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며, 기업가 정신은 기술경쟁력, 기술우수성, 혁신제품 매출비중으로 대변되는 기술혁신성과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혁신활동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분석한 결과, 지적재산권은 기술경쟁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종속변수인 혁신 제품 매출비중은 모든 기술혁신활동 변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산업정책의 전략적 지원단위인 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제고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ustrial clusters operated by government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in order to generate open innovation, this study analyzes how the collaborative networking and entrepreneurship fostered of clustering firm affect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y and performance of venture business. At the research design, 624 firms are selected from the population of 2010 Venture Business Investigation by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purpose and previous researches, questions and data on the investigation are categorized systematically into collaborative networking, entrepreneurship, and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y and its performance, As a result of one-way ANCOVA. it is verified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lustering and non-clustering firms in terms of collaborative network activity, R&D intensity, R&D professional ratio and technological superiority. This result means that industrial clustering, the regional agglomeration of business sectors can have positive effect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y of ventures, Not only that, the collaborative networking of the clustering firms has positive effect on R&D professional ratio, intellectual property of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y, On the other hand.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including sales ratio of innovative product,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superiority, is affected by clustering firms`` entrepreneurship, Lastly, all factor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y, which are the R&D intensity, R&D professional ratio and intellectual property, has positive effect on the sales ratio of innovative product of clustering firm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variety of political issues are discussed on the conclusion in way to improve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y and performance of venture businesses who are the strategic units of governments`` industrial policy.

      • KCI등재후보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핵심성과지표로서 기술경쟁력의 영향

        서리빈 ( Ri Bin Seo ),윤현덕 ( Heon Deok Yoon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4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7 No.4

        혁신활동과 기업가정신의 활성화를 강조하는 창조경제의 시대에서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성과창출이 갖는 경제적, 정책적 및 전략적 의미와 그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들 중소기업이 목표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선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시장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자사의 혁신활동을 조정·개선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러한 조정과 개선은 성과평가의 지속성과 정확성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는 경쟁자의 모방이 어려운 기업특수자원의 개발·확보가 경쟁우위와 성과창출에 기여 한다는 자원 기반관점에 근거하여 기업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있다. 그리고 중소기업의 성과지표에 관한 다수의 선행연구는 특허를 포함한 지적재산권의 수, 혁신제품 매출비중,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과 같은 정량적 혁신성과지표와 함께, 매출액 성장률과 투자대비 수익률과 같은 재무적 기업성과지표를 주요지표로 채택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위와 같은 정량적 지표가 자원의 한계성이 높고 혁신의 범위가 좁은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내재적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는가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체계화된 경영관리능력과 연구개발경험이 부족한 중소기업, 특히 신생벤처기업의 경우에는 기술개발에 필요한 자원과 역량을 확보하고 일련의 혁신 프로세스를 통해 기업성과를 창출하기까지 시간적 격차, 즉 리드타임을 겪게 된다. 이들의 혁신 프로세스가 내포한 높은 복잡성과 불확실성에 견주어 볼 때, 측정 가능한 수치적 혁신지표가 가시화되기 어려운 상황 하에서 정량적 평가요소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오히려 지속적인 성과평가를 저해한다. 이는 시장 및 기술변화에 대응하고 신속히 자사의 혁신활동을 조정하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소기업에게 보다 중요한 향후 혁신 잠재력에 대한 평가는 간과될 여지가 높다. 또한 자원기반관점에 기반한 다수의 선행연구가 투입-산출-결과의 혁신 프로세스(innovation process input-output-outcome)를 구조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주로 중소기업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만을 분석한다는 점에서도 학문적 보완이 시급하다. 이상으로 논의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이 기술혁신을 수행하는 가운데 활용 가능한 정성적 핵심성과지표로서 기술경쟁력(technological competitiveness)의 측정을 제안하고, 그 도입의 효과성과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선,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에 대한 문헌검토를 통해, 앞서 기술한 정량적지표가 갖는 문제점을 논의하고 정성적 성과지표 도입의 필요성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기술보증기금이 운용 중인 기술가치평가시스템의 정성적 평가요인을 본 연구목적에 부합하도록 조작적 정의를 실시, 중소기업이 개발하는 기술요소에 대하여 우수성, 시장성, 사업성이라는 세 가지 기술경쟁력 측정항목을 산정하였다. 다음, 선행연구에서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주요혁신자원으로 규명된 혁신역량(innovation capabilities)과 기업가적 지향성(entrepreneurial orientation)을 혁신 프로세스 투입으로, 기술경쟁력을 투입에 따른 산출로, 기업성과(business performance)를 투입과 산출의 결과로서 구조화시킨 연구모형과 가설을 수립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벤처기업인증을 획득한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총 360개의 유효표본에 대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가설검증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혁신역량(R&D역량, 생산역량, 마케팅역량, 전략계획역량, 조직관리역량, 학습역량, 자원배분역량)과 기업가적 지향성(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의 모든 하위요소는 기술경쟁력을 대변하는 개발기술요소의 우수성, 시장성, 사업성을 강화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케팅역량을 제외한 혁신역량과 기업가적 지향성의 하위요소는 기업성과의 증진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투입-산출(혁신역량/기업가적 지향성→기술경쟁력)의 영향관계가 투입-결과(혁신역량/ 기업가적 지향성→기업성과)보다 높은 설명력과 적합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술경쟁력의 세 가지 하위요소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검증됨과 동시에, 기술경쟁력이 투입(혁신역량/기업가적 지향성)과 결과(기업성과)의 영향관계에서 완전 매개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혁신역량과 기업가적 지향성이 기술 경쟁력의 강화를 산출하고, 강화된 기술경쟁력이 기업성과라는 혁신 프로세스 결과를 이끄는 순차적이고 구조화된 관계를 분명히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는 연구자가 제안한 기술경쟁력 개념과 측정항목이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정성적 핵심성과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혁신역량과 기업가적 지향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약한 유의적 영향관계를 통해서 추론할 수 있는 리드타임 동안에는 기술경쟁력이 전략적 성과관리목표로서 인식되어야 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투입-산출- 결과의 관점으로 구조화된 혁신 프로세스 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증진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리고 해당 모형을 기반으로 중소기업의 혁신 잠재력을 반영하는 기술경쟁력 평가의 적용가능성과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은 결론에서 상세히 기술하였다. To achieve high performance standards depends on effectively measuring and monitoring company``s performance by reflecting continuously whether a firm reacts and adapts to external changes. A growing number of empirical works support key assertions of the resource-based view (RBV) literature that a firm``s competitive advantage and performance originated from its unique firm-specific resources and inimitable capabilities. Most based on the literature have examined the immediate impact of resources which a firm possesses on performance, and many of them have emphasized on quantitative indicators to measure innovation performance. However, high-tech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suffering from lack of resources and managerial expertise usually requires a longer lead time from obtaining resources to achieving anticipated outcomes than expected due to high complexity and uncertainty of their research and development (R&D). During the lead time, the SMEs with insufficient ability to keep evaluating current performance measurement continuously can face a challenge to identify directions for innovation in coping with external changes. In line with RBV,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erformance evaluation framework of innovation process that enables high-tech SMEs to identify the main weaknesses and take corrective measures during R&D periods. Starting from a review of the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provided in the literature regarding technology and innovation management in SMEs, we propose that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C) may be a more accurate, key performance indicator of high-tech SMEs than widely accepted indicator, such as innovative product rates, patent numbers, and R&D spending. The concept of TC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Korean Technology Guarantee Fund``s technology rating system that measures technological superiority, marketability and feasibility of a developing technology. In the samples of 360 Korean high-tech SMEs with the Venture Business Certificate issued by Korean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the integrated research model structured with innovation capabilities (IC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O), TC, and business performance was tested through multi-regression model. The results confirms that TC affected positively by ICs and EO should be considered a significant innovation process output that reinforces business performance of high-tech SMEs. Both of ICs-R&D, manufacturing, marketing strategic planning, organizational management, learning, and resource allocation capability- and EO-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have more positively effect on TC than business performance. Lastly, TC fully mediates the weaker relationships of ICs and EO with business performance. This framework of high-tech SMEs, the ICs/EO-TC-business performance relationship, contributes to forming the input-output-outcome mechanism of their innovation process as well as deeper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adapting TC into a performance evaluation measurement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 KCI등재

        개방형 혁신과 조직학습 특성이 벤처기업의 기술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

        서리빈 ( Ri Bin Seo ),윤현덕 ( Heon Deok Yoon ) 한국지식경영학회 2012 지식경영연구 Vol.13 No.2

        Although a wide range of theoretical researches have emphasized on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in cooperative R&D network, the empirical researches to synthetically examine the role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open innovation which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re not enough to meet academic and practical demand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pen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in venture business on technological competitive advantage and establish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learning. For the purpose, the questionnaires, made based on the reviewing previous researches, were collected from 274 Korean venture businesses whose managerial focus is on developing technological innov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the relational dimensions of open innovation - network, intensity and trust shared by a firm with external R&D partners - as well as the internal organizational learning system and competence have positive influence on building technological competitive advantage whose sub-variables are technological excellence, market growth potential and business feasibility. In addition, it is identified that organizational learning has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 advantage. These results imply that open innovation complements and expend the range of limited resources and the scope of innovation in technology-intensiv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esides, organizational learning activity reinforces the use of knowledge and resources, obtained from external R&D partner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detailed issues and discussion were made in the conclusion.

      • KCI등재후보

        글로벌 기업가정신과 공급사슬 내 사회적 자본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윤현덕,곽기영,서리빈,Yoon, Heon-Deok,Kwak, Ki-Young,Seo, Ri-Bin 한국벤처창업학회 2012 벤처창업연구 Vol.7 No.3

        기업 간 경쟁이 기업군(群) 간 경쟁으로 전환되고 있는 경영환경 하에서 글로벌 공급사슬관리는 대기업에 비해 해외시장개척 능력과 자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중소기업에게 중요한 관리활동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소기업과 글로벌 공급사슬파트너 간의 관계적 특성을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글로벌 기업가정신과 함께 수출성과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사회적 자본과 글로벌 기업가정신을 조작적 정의, 측정문항을 개발하여 (사)글로벌 최고경영자클럽과 (사)한국중견기업연합회에 등록한 회원사 중 우수 해외진출 중소기업을 모집단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수거된 총 192부의 개별응답을 표본집단으로 설정하여 통계분석에 적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자본의 하위변수인 네트워크, 신뢰, 호혜적 규범과 글로벌 기업가정신의 하위변수인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은 주관적 재무적 수출성과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소기업의 글로벌 기업가정신은 공급사슬파트너와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다시 사회적 자본은 글로벌 기업가정신과 수출성과의 영향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글로벌 시장 확대와 고객욕구 다양화에 따라 해외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수출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선 장기적 관점에서 공급사슬파트너와의 사회적 자본 요소의 개발을 위한 노력과 투자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해외시장에서 자원의 생산적 이동과 사업적 기회의 발견을 위해 요구되는 글로벌 기업가정신의 함양이 공급사슬 내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도움을 주며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Under the international business circumstance, 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is considered a vital strategic challenge t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suffering from deficient resources and capabilities to exploit overseas markets comparing with large corporations. That is because they can expand their business domains into overseas markets by establishing strategic alliances with global supply chain partners. Although a wide range of previous researches have emphasized the cooperative networks in the chain, most are ignoring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rel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rust and reciprocity with the partners. Besides, verifying the relational factors influencing firms' export performances, some studies proposed different and inconsistent factors. According to the social capital theory, which is the social quality and networks facilitating close cooperation of inter-individual and inter-organization, provides the integrated view to identify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aspects of network, trust and reciprocal norm. Meanwhile, a number of researchers shows that global entrepreneurship is the internal and intangible resource necessary to promote SMEs' internationalization. Upon closer examination, however, they cannot explain clearly its influencing mechanism in the inter-firm cooperative relationships.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ccumulated within global supply chain on SM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xport performance. In addition, we shed new light on global entrepreneurship expected to be concerned with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the enhancement of export performances.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were collected from 192 Korean SMEs affiliated in Korean Medium Industries Association and Global Chief Executive Officer's Club focusing on their memberships' international business. As a result of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social capital - network, trust and reciprocal norm shared with global supply chain partner - as well as global entrepreneurship -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 have positive effect on SMEs' export performances. Also global entrepreneurship affects positively social capital which has mediating effect part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 entrepreneurship and performances. These results means that there is a structural process - global entrepreneurship(input), social capital(output), and export performances(outcome). In other words, a firm should consistently invest in and develop the social capital with global supply chain partners in order to achieve common goals, establish strategic collaborations and obtain long-term export performances.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foster the global entrepreneurship in an organization so as to build up the social capital. More detailed practical issues and discussion are made in the conclusion.

      • KCI등재후보

        공급망경영(SCM) 내 사회적책임이 중소기업 사회적책임 이행의지에 미치는 영향

        윤현덕,성종수,서리빈,Yoon, Heon-Deok,Sung, Jong-Su,Seo, Ri-Bin 한국벤처창업학회 2012 벤처창업연구 Vol.7 No.2

        기업의 사회적책임 이행이 단일기업의 노력만이 아닌 공급망 전체의 노력으로 이루어진다면 보다 효율적이며 동기부여 측면에서 효과적인 사회적책임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사회적책임의 SCM적 접근"이라고 간주하면 SC-CSR(Supply Chain - Cooperate Social Responsibility)을 통해, 단일 기업의 사회적책임 이행보다는 공급망전체의 사회적책임 이행이 그 효과가 클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현재의 사회적책임 이행에 대한 동기부여에 공급망에서의 사회적책임 이행요구 또는 이행실시 등이 더해진다면 미래의 사회적책임에 대한 동기부여는 더욱 강화되는 것을 실증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책임의 이행 특히, 중소기업의 이행을 위해서는 단일 중소기업의 사회적책임 이행의지보다는 공급망 전체의 이행요구와 분위기가 촉매역할을 하여 사회적책임의 이행의지를 높이는 것을 SC-CSR적 접근을 통해 실증하였다. It is expected reasonably that firms are likely to be motivated to engage in coope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n order for sustainable growth when partnerships on supply chain are willing to embrace the initiative for CSR actively rather than a firm's effort. Given that this is a SCM(Supply Chain Management) approach to CSR, the SC-CSR(Coope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Supply Chain), which encourage all partners on supply chain to apply it, can provide larger social impact.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SC-SCR on the willingness to initiate CSR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e application of SC-SCR has positive effect on the willingnes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initiate social responsibility by promoting the situational needs. This results indicates that helping firms observe ISO 26000, the recognized international standard for CSR, the motivation for SCR can be reinforced by making partners on supply chain respect CSR.

      • KCI등재

        기술혁신형(Inno-Biz) 중소기업의 기술경영성과에 미치는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윤현덕 ( Heon Deok Yoon ),서리빈 ( Ri Bin Seo ) 기술경영경제학회 2011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9 No.1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경영성과와 기업경영성과 창출에 기여하는 핵심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자원기반관점에서 혁신역량과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결정요인들을 활용하여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다차원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기술혁신의 복합적 특성을 고려하여, 혁신프로세스 관점에서 기업특수자원인 혁신역량을 투입물로, 기술경영성과를 산출물로, 그리고 기업경영성과를 결과물로 인식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서울과 경기지역의 제조업 중심의 360개 이노비즈 인증기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응답을 실증분석한 결과, 기술가치평가의 정성적 지표를 개량하여 기술경영성과의 결정요인으로 적용한 기술우수성, 시장성장성, 사업수익성은 기업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역량의 결정요인인 연구개발능력, 전략계획능력, 학습능력과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결정요인인 혁신성, 진취성은 기술경영성과와 기업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즉, 높은 수준의 혁신역량과 기업가정신은 기술경영성과를 증대시키며, 궁극적으로 기업경영성과를 실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개념적 영향관계와 기술혁신의 촉진요인으로서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역할과 중요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는 기술집약적 기업의 기술경영에 대한 성과평가기준을 수립할 시, 기술혁신의 복합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재무적 성과보다는 자원과 역량의 조합을 통해 구현된 기술경영성과에 대한 주기적 평가를 실시해야 함을 설명한다. 이는 기술경영성과는 자원의 한계성과 좁은 혁신의 범위로 특징되어지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이 향후 추진할 새로운 기술혁신에 재투입될 수 있도록 기술혁신에 대한 지속적이고 일관된 투자를 실시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정책연구에서 개념적으로 적용되어온 기술적 기업가정신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그 역할을 규명한 의의를 갖고 있다.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core factors of innovative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and business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hrough the consideration about the complex natur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ffecting by multidimensional factors, this study designs the research model that innovative capabilities, the performances of technology and business management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innovation process; input-output-outcome. To meet this research purpose, the hypothesis are set up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studies and the research samples are selected from members of the Innovative Business (INNO-BIZ) Association, located in Seoul and Geyonggi province.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o the responses gathered from 360 firms, the performance of business management is influenced positively by the technology superiority, market growth and business profitability which are the dominant factors of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In addition, three sub-variables of innovative capabilities such as R&D, strategic planning and learning capabi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both the managerial performances. Innovativeness and progressiveness of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ffect both the performances positively. Moreover, the co-relation between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of an innovation leader and innovative capabilities of organizational members are identified. Lastly,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has the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of leading innovative capabilities to the managerial performances. In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s imply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type firms should periodical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which are the output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the reinvestment for ultimate business success. And improving and developing innovative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is required to continuously and consistently investing and supporting resources on technological innovations at the firm-and government-level. It is considered that these are the crucial methods for securing the technologically competitive advantage of SMEs with less resources and narrow innovation range.

      • KCI등재후보

        정책연구 : 벤처기업에 대한 기술개발과 혁신 클러스터 지원정책이 기술혁신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윤현덕 ( Hoon Deok Yoon ),서리빈 ( Ri Bin Seo ),전대열 ( Dae Youl Jun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1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정부의 직·간접적 R&D 지원정책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정부 R&D 자금지원 수혜 및 지원의존도와 혁신 클러스터 입주여부에 따라 기술혁신활동, 기술혁신성과와 기업경영성과에 어떠한 유의적 차이와 영향관계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2009 벤처기업 정밀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연구와의 합목적 기준에 따라 층화표본방식으로 총 600개의 표본기업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실태조사 보고서 분석을 통해 해당 조사 데이터에서 R&D 집약도, R&D 인력비중, R&D 협력건수의 기술혁신활동 변수를, 지적재산권, 기술경쟁력, 기술우수성의 기술혁신성과 변수를 적용하고 요약재무제표에서 매출액증가율, 영업이익률, ROA, ROE의 기업경영성과 변수를 변환하였다. 분석결과, 업력이 짧고 조직규모가 작은 기업들, 특히 아직 활발한 기술혁신활동을 전개하기에 충분한 자원을 보유하지 못한 벤처기업들이 자금지원을 받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여부에 대한 수혜기업과 비수혜기업 간에는 기술혁신활동과 기술혁신성과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며 지적재산권과 매출액증가율에서는 약한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나, 이외의 기업경영성과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원의존도의 경우에도 영업이익률, ROA, ROE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이외의 모든 변수에서 유의적 영향관계가 존재했다. 마지막으로 혁신 클러스터 입주여부를 기준으로 한 입주기업과 비입주기업의 차이검증에서는 R&D 협력건수와 R&D 집중도에서만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의 혁신형 중소기업 기술개발 및 혁신 클러스터 정책의 핵심집단인 벤처기업의 기술혁신과 경영성과 제고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o examine the effects of governmental R&D policies including R&D subsidies and supports for innovative clustering, this study analyzes how the policies affect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managerial performance of venture business. At the research design, 600 firms are selected from the population of 2009 Venture Business Investigation, through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In a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purpose, each question and data on the investigation is categorized systematically into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y,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nd managerial performance. On examining the equity of distributing financial supports, it is verified that a certain group of venture businesses, characterized by the lack of resources enough to implement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with shorter operating years and smaller organizational size, has a higher probability to benefit governmental R&D subsidies. The absolute levels of the activity and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crease on the beneficial firms. Not only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beneficiaries and non-beneficiaries in the aspec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y and performance. The differences on the managerial performance, however, are not under significance excepting the sales growth ratio. Moreover, the level of dependence on R&D subsidie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activity and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not the managerial performance. Lastly, there are only two factors, R&D cooperation and R&D intensity,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lustering and non-clustering firm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 variety of political issues are presented in the way to enhance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managerial performance of venture business, the core group of governmental policies for supporting innovative S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