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포니카 초다수성 벼 "보람찬"의 질소이용효율 동태 분석

        상완규 ( Wan Gyu Sang ),김영두 ( Young Doo Kim ),강신구 ( Shin Gu Kang ),구본일 ( Bon Il Ku ),이현석 ( Hyun Suk Lee ),이민희 ( Min Hee Lee ),박홍규 ( Hong Kyu Park ),이점호 ( Jeom Ho Lee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2

        본 연구는 질소시비량에 따른 질소이용효율, 중질소를 이용한 질소시비의 분배와 흡수 구명을 통해 자포니카 초다수성 품종인 ‘보람찬’의 질소이용능을 분석하여 최대수량을 위한 질소시비방법 개선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다비구의 경우에는 다른 품종들에 비해 보람찬 벼의 잎과 줄기의 질소함량이 비교적 낮은 반면 이삭의 질소함량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는데 이는 보람찬 벼가 다비조건에서 질소 전이율이 높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다비 조건에서 호품, 호농 벼의 질소이용효율(NUE)이 각각 43.7, 41.0인 반면 보람찬 벼는 47.7로 가장 높았으며 질소흡수효율(NUpE), 생리적 질소이용효율(PNUE), 농업적 질소이용효율(ANUE), 질소수확지수(NHI)의 수치도 각각 1.34, 31.3, 16.0, 0.64로 보람찬이 가장 높았다. 각 부위별 시비질소의 흡수량은 부위에 관계없이 기비와 분얼비에서 적었고, 특히 보람찬은 수비 질소의 흡수량뿐만 아니라 흡수된 질소의 이삭 분배율 또한 64%로 다른 품종들에 비해 높았다. 이는 다수성 품종인 보람찬의 시비질소 흡수율과 종실로의 질소 전이율이 다른 품종들에 비해 더 우수하여 다비조건에서 질소시비, 특히 수비시용에 따른 수량 기대효과가 가장 크다는 것을 반증한다. Productive agriculture needs a large amount of expensive nitrogenous fertilizers. Improving nitrogen use efficiency (NUE) of crop plants is thus of key importanc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nitrogen use efficiency, nitrogen uptake efficiency, physiological utilization efficiency in high yield japonica rice ‘Boramchan’ under variable nitrogen levels.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research farm in National Institute of Crops Science (NICS), Iksan, Korea during 2012∼2013. Four nitrogen levels (0 kg ha-1, 45kg ha-1, 90kg ha-1 and 135kg ha-1) and three Japonica rice varieties (Boramchan, Hopum and Honong) formed the treatment variables. Nitrogen use efficiency of rice cultivars ‘Boramchan’ was 47.7, nitrogen uptake efficiency was 1.3, and physiological N use efficiency was 31.3 in high nitrogen level. And when 135kg ha-1 of nitrogen fertilizer were applied compared to the standard rate of 90kg ha-1, yield and plant dry weight of Boramchan were increased than the others dramatically mainly due to higher number of panicles per m2. Especially Production efficiency(yield/total nitrogen taken up), physiological N use efficiency, agronimic N use efficiency and nitrogen harvest index are higher in ‘Boramchan’ than in the others. In addition, N derived from fertilizer(NDFF) and partitioned N to panicle from fertilizer(PNPF) of ‘Boramchan’ was higher than the others in high nitrogen level.

      • KCI등재

        한국형 SPAR(Soil-Plant-Atmosphere-Research) 시스템에서 대용량 관측 자료의 처리 및 품질관리

        상완규 ( Wan-gyu Sang ),김준환 ( Jun-hwan Kim ),신평 ( Pyong Shin ),백재경 ( Jae-kyeong Baek ),서명철 ( Myung-chul Seo ) 한국농림기상학회 2020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첨단 옥외환경조절시설인 SPAR 시스템의 작물 및 환경 관측 자료의 품질 관리와 보증방법을 최초로 제시하였다. 특히 실시간 군락 CO<sub>2</sub>플럭스의 경우에는 수집되는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상치의 제거와 보정이 병행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자료 처리 방법들은 향후 SPAR 자료를 통한 작물 생육 모형 개선에 매우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PAR 내 작물과 환경 관련 10분 평균 자료는 국립식량과학원 내 작물 연구 통합 정보시스템(Crop Research Information System, CRIS) 웹사이트(www2.nics.go.kr/cris)에서 이용 가능하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quality control and assurance method of measurement data of SPAR (Soil-Plant-Atmosphere-Research) system, a climate change research facility, for the first time. It was found that the precise processing of CO<sub>2</sub> flux data among many observations were significantly important to increase the accuracy of canopy photosynthesis measurements in the SPAR system. The collected raw CO<sub>2</sub> flux data should first be removed error and missing data and then replaced with estimated data according to photosynthetic lig ht response curve model. Comparing the correlation between cumulative net assimilation and soybean biomass, the quality control and assurance of the raw CO<sub>2</sub> flux data showed an improved effect on canopy photosynthesis evaluation by increasing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sup>2</sup>) and lowering the root mean square error (RMSE). These data processing methods are expected to be usefully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crop growth model using SPAR system.

      • KCI등재

        RGB 작물 생육지수를 활용한 콩 한발 스트레스 판별기술 평가

        상완규 ( Wan-gyu Sang ),김준환 ( Jun-hwan Kim ),백재경 ( Jae-kyeong Baek ),권동원 ( Dongwon Kwon ),반호영 ( Ho-young Ban ),조정일 ( Jung-il Cho ),서명철 ( Myung-chul Seo ) 한국농림기상학회 2021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콩의 한발 스트레스 판별에 대하여 RGB 영상에 기반한 작물 생육 지수의 적용 가능성과 한계점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RGB 영상에서 추출한 생육 지수들과 한발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대표적인 표현형 지표들(군락 피복도, 엽면적, 엽록소 함량 등)과의 높은 상관관계를 통해 영상 기반 생육 진단 모델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판별의 정확도와 해상도를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향후 다양한 재배 조건에서 지속적인 성능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RGB 영상을 활용한 콩 환경 스트레스 판별에 있어서 영상 전처리, 영상 분석 방법, 생육 지수 정량화 기술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개발된 생육 인자 예측 모델은 환경 스트레스 조기 진단을 통한 영농 의사결정 지원 모델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ontinuous monitoring of RGB (Red, Green, Blue) vegetation indices is important to apply remote sensing technology for the estimation of crop growth.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eight vegetation indices derived from soybean RGB images with various agronomic parameters under drought stress condition. Drought stress influenced the behavior of various RGB vegetation indices related soybean canopy architecture and leaf color. In particular, reported vegetation indices such as ExGR (Excessive green index minus excess red index), I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dex), NGRDI (Normalized Green Red Difference Index), VARI (Visible Atmospherically Resistance Index), SAVI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 were effective tools in obtaining canopy coverage and leaf chlorophyll content in soybean field. In addition, the RGB vegetation indices related to leaf color responded more sensitively to drought stress than those related to canopy coverage. The PLS-DA (Partial Squares-Discriminan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eparation of RGB vegetation indices was distinct by drought stress. The results, yet preliminary, display the potential of applying vegetation indices based on RGB images as a tool for monitoring crop environmental stress.

      • 벼 키다리병 감염 및 발병에 대한 자포니카 벼 품종별 생리적 차이 구명

        상완규 ( Wan Gyu Sang ),김영두 ( Young Doo Kim ),강신구 ( Shin Gu Kang ),구본일 ( Bon Il Ku ),이현석 ( Hyun Suk Lee ),이민희 ( Min Hee Lee ),박홍규 ( Hong Kyu Park ),이점호 ( Jeom Ho Lee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2

        벼 품종에 따른 유묘기 키다리병 발생비율 조사를 위해 남부 평야지에서 재배하는 자포니카 33품종을 대상으로 도장정도와 고사정도를 기준으로 키다리병 발병율을 조사한 결과 남평 등 2품종은 식물체의 1% 이하로 발병하여 키다리병에 저항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호품 등 9품종은 동일 조건에서 5%이상의 높은 발병율을 보여 키다리병에 대해 감수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키다리병 발병율은 품종에 관계없이 병원균 포자의 농도, 노출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특히 감수성 품종인 호품벼는 그 증가 속도가 더욱 심함을 알수 있었고 이들 감수성 품종들은 염수선을 통한 종자선정이 특히나 키다리병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실험적으로 알수 있었다. 또한 이들 품종간에 지베렐린에 의한 초장 및 중배축 신장 반응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키다리병 저항성 기작에 지베렐린에 대한 생리적 민감도가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추론할수 있다. Rice bakanae disease caused by the fungus Fusarium fujikuroi,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ice diseases and distributed widely in Asia. Infected seedlings are elongated, more slender and slightly chlorotic when compared to healthy seedlings by the secretion of gibberillic acid(GA3) from the fungus. But resistant responses of rice culivars was unknown ye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sponse of different cultivars of rice to infection with bakanae and treatment with gibberellic acid. Resistance evaluation of 33 rice varieties against Fusarium fujikuroi was conducted in field seedling test. Finally, Two resistant cultivars(Nampyong, Saenuri) and thirty-one susceptive cultivars(Hopum., etc) were selected. And the length of the elongated seedlings was measured, and the percentage of death of the seedlings after infection was also counted. The disease symptoms such as leaf dryness were appeared in the ``Nampyeongbyeo`` from 30 days at the concentration of 104pores/㎖culturing at 30℃ and then the other varieties withered 20 days after seeding. And susceptive cultivar was more faster than resistant cultivar in seed germination and stem elongation. Thus, a significant correlation might be found between the length of the seedling treated with GA3 and disease injury by bakanae fungus. This study indicated GA related genes might be important resources for improvement of bakanae resistance in rice breeding programs.

      • KCI등재

        고온과 한발이 콩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신평,상완규,김준환,이윤호,백재경,권동원,조정일,서명철,Shin, Pyeong,Sang, Wan-Gyu,Kim, Jun-Hwan,Lee, Yun-ho,Baek, Jae-Kyeong,Kwon, Dong-Won,Cho, Jung-Il,Seo, Myung-Chul 한국작물학회 2020 한국작물학회지 Vol.65 No.4

        본 연구는 2017년과 2018년의 기상을 가지고 연도별에 따른 대원, 대풍2호, 풍산나물콩의 생육 및 수량구성요소와 종자 크기, 지방, 단백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두 연도별 생육 시기를 보면 대원과 대풍2호에서 2018년이 2017년보다 생육 시기가 빠른 경향을 보였으나 풍산나물콩은 큰 차이가 없었다. 생육 기간 중 R1~R5에서 평균기온은 모든 품종에서 2018년이 2017년보다 높은 반면에 강수량은 풍산나물콩을 제외한 모든 품종에서 2018년이 2017년보다 적었다. 수분모형으로 각 연도의 일별 토양수분함량을 예측한 결과 2018년이 2017년보다 한발 기간이 길었고 개화시부터 종실비대기 이전까지 한발이 지속된 것으로 예측되었다. 종실 수량과 백립중은 2017년이 2018년보다 더 컸으며, 종실 크기는 2017년의 종실이 2018년보다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지방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2017년의 지방함량이 2018년보다 많았고 대풍2호, 대원이 연도별 기상에 따른 큰 차이를 보였다. 반면 단백질 함량은 2018년이 2017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품종별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2018년의 개화시부터 종실비대시 이전 기간이 2017년보다 평균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적은 기상으로 인하여 콩의 수량, 지방 및 단백질 함량에 영향을 주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고온과 한발에 내성이 있음과 동시에 품질 감소가 저하되는 콩 품종 개발 및 재배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딥러닝을 이용한 벼 도복 면적 추정

        반호영,백재경,상완규,김준환,서명철,Ban, Ho-Young,Baek, Jae-Kyeong,Sang, Wan-Gyu,Kim, Jun-Hwan,Seo, Myung-Chul 한국작물학회 2021 한국작물학회지 Vol.66 No.2

        해마다, 강한 바람을 동반한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해 벼도복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삭이 여무는 등숙기에 도복으로 인한 수발아와 관련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신속한 피해 대응을 위해 신속한 벼 도복 피해 면적 산정은 필수적이다. 벼 도복과 관련된 이미지들은 도복이 발생된 김제, 부안, 군산일대에서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수집한 이미지들을 128 × 128 픽셀로 분할하였다. 벼 도복을 예측하기 위해 이미지 기반 딥 러닝 모델인 CNN을 이용하였다. 분할한 이미지들은 도복 이미지(lodging)와 정상 이미지(non-lodging) 2가지로 라벨로 분류하였고, 자료들은 학습을 위한 training-set과 검증을 위한 vali-se을 8:2의 비율로 구분하였다. CNN의 층을 간단하게 구성하여, 3개의 optimizer (Adam, Rmsprop, and SGD)로 모델을 학습하였다. 벼 도복 면적 평가는 training-set과 vali-set에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미지들을 methshape 프로그램으로 전체 농지로 결합하여 총 3개의 농지를 평가하였다. 도복 면적 추정은 필지 전체의 이미지를 모델의 학습 입력 크기(128 × 128)로 분할하여 학습된 CNN 모델로 각각 예측한 후, 전체 분할 이미지 개수 대비 도복 이미지 개수의 비율을 전체 농지의 면적에 곱하여 산정하였다. training-set과 vali-set에 대한 학습 결과, 3개의 optimizer 모두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정확도가 높아졌으며, 0.919 이상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평가를 위한 3개의 농지에 대한 결과는 모든 optimizer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Adam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RMSE: 52.80 m<sup>2</sup>, NRMSE: 2.73%). 따라서 딥 러닝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벼 도복 면적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Rice lodging is an annual occurrence caused by typhoons accompanied by strong winds and strong rainfall, resulting in damage relating to pre-harvest sprouting during the ripening period. Thus, rapid estimations of the area of lodged rice are necessary to enable timely responses to damage. To this end, we obtained images related to rice lodging using a drone in Gimje, Buan, and Gunsan, which were converted to 128 × 128 pixels image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odel, a deep learning model based on these images, was used to predict rice lodging, which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lodging and non-lodging), and the images were divided in a 8:2 ratio into a training set and a validation set. The CNN model was layered and trained using three optimizers (Adam, Rmsprop, and SGD). The area of rice lodging was evaluated for the three fields using the obtained data, with the exception of the training set and validation set. The images were combined to give composites images of the entire fields using Metashape, and these images were divided into 128 × 128 pixels. Lodging in the divided images was predicted using the trained CNN model, and the extent of lodging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ratio of the total number of field images by the number of lodging images by the area of the entire field. The results for the training and validation sets showed that accuracy increased with a progression in learning and eventually reached a level greater than 0.919. The results obtained for each of the three fields showed high accuracy with respect to all optimizers, among which, Adam showed the highest accuracy (normalized root mean square error: 2.73%).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the area of lodged rice can be rapidly predicted using deep learning.

      • KCI등재

        상승된 이산화탄소와 온도 그리고 한발 영향에 따른 감자의 군락 형태와 무기영양 변화

        이윤호,조현숙,김준환,상완규,신평,백재경,서명철,Lee, Yun-Ho,Cho, Hyeoun-Suk,Kim, Jun-Hwan,Sang, Wan-Gyu,Shin, Pyong,Baek, Jae-Kyeong,Seo, Myung-Chul 한국작물학회 2018 한국작물학회지 Vol.63 No.2

        Elevated atmospheric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O_2$) is a major component of climate change, and this increase can be expected to continue into the crop and food security in the future. In this study, Soil-Plant-Atmosphere-Research (SPAR) chambers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elevated $CO_2$, temperature, and drought on the canopy architecture and concentration of macronutrients in potatoes (Solanum tuberosum L.). Drought stress treatments were imposed on potato plants 40 days after emergence. Under AT+2.8C700 (30-year average temperature + $2.8^{\circ}C$ at $700{\mu}mol\;mol^{-1}$ of $CO_2$), at maximum leaf area, elevated $CO_2$, and no drought stress, a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in both the aboveground biomass and tuber, and for the developmental stage. Even though $CO_2$ and temperature had increased, AT+2.8C700DS (30-year average temperature + $2.8^{\circ}C$ at $700{\mu}mol\;mol^{-1}$ of $CO_2$ under drought stress) under drought stress showed that the leaf area index (LAI) and dry weight were reduced by drought stress. At maturity, potatoes grown under $CO_2$ enrichment and no drought stress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concentrations of N and P in their leaves, and of N, P, and K in tubers under AT+2.8C700. In contrast, elevated $CO_2$ and drought stress tended to increase the tuber Mg concentration under AT+2.8C700DS. Plants grown in AT+2.8C700 had lower protein contents than plants grown under ATC450 (30-year average temperature at $400{\mu}mol\;mol^{-1}$ of $CO_2$). However, plants grown under AT+2.8C700 showed higher tuber bulking than those grown under AT+2.8C700D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crease in $CO_2$ concentrations and drought events in the future are likely to decrease the macronutrients and protein concentrations in potatoes, which are important for the human diet.

      • KCI등재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벼 품종과 재배기술의 적응성에 관한 고찰

        서명철,김준환,최경진,이윤호,상완규,조현숙,조정일,신평,백재경,Seo, Myung-Chul,Kim, Joon Hwan,Choi, Kyeong Jin,Lee, Yun-Ho,Sang, Wan-Gyu,Cho, Hyeon Suk,Cho, Jung-Il,Shin, Pyeong,Baek, Jae Kyeong 한국작물학회 2020 한국작물학회지 Vol.65 No.4

        In recent years, the temperature of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ing due to global warming. Over the past 40 years, the temperature of Korea has risen by about 1.26℃ compared to that in the early 1980s. By region, the west region of the Gangwon Province was the highest at 1.76℃ and the Jeonnam Province was the lowest at 0.96℃. As the temperature continues to rise, it is expected that the rice yield will decrease in the future using the current standard cultivation method. As a result of global warming, the periods in which rice cultivation could be possible in regions each year has increased compared those to the past, showing a wide variety from 110 days in Taebaek to 180 days in Busan and Gwangyang. In addition, the transplanting time was delayed by 3-5 days in all regions. The average annual yield of rice showed an increasing trend when we analyzed the average productivities of developed varieties for cooked rice since the 1980s, especially in the early 1990s, which showed a rapid increase in productiv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erage temperature at the time of development and the rice yield was divided into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1996. The higher the average temperature, the lower the yield of the developed varieties until 1996. However, since 1996, the increase in the average temperature did not show a trend in the productivity of the developed varieties. The climate change adaptability of developed rice varieties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growing crops nationwide from 1999 to 2016 and the change in the annual yields of developed varieties and recently developed varieties as basic data to investigate the growth status of the crops in the country. As a result of annual comparisons of the yields of Taebongbyeo (2000) and Ungwangbyeo (2004) developed in the early 2000s for Odaebyeo, which was developed in the 1980s, the annual yields were relatively higher in varieties in the 2000s despite the increase in temperature. The annual yields of Samgwangbyeo (2003) and Saenuribyeo (2007), which were recently developed as mid-late-type variet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an earlier developed variety called Chucheongbyeo, which was developed in the 1970s. Despite the rapid increase in temperature, rice cultivation technology and variety development are well adapted to climate change. However, since the biological potential of rice could reach its limi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inuous response technology.

      • 유기물 종류별 연용에 따른 벼 재배시 토양탄소 함량 변화에 관한 연구

        서명철(Myung Chul Seo),상완규(Wan-Gyu Sang),조정일(Jung-Il Cho),김준환(Jun-Hwan Kim),백재경(Jae-Kyeong Baek),권동원(Dong Won Kwon)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작물 재배기간 토양 탄소의 대부분은 유기물로 존재하며 토양양분 공급, 토양물리성 개선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토양에 탄소를 저장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에 역할을 하여 그 역할이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다. 토양탄소의 축적은 단기간 이루어지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 지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기초자료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벼 재배 조건에서 7년간 볏짚, 헤어리베치, 가축분퇴비, 유박을 연용하였을 때 토양 탄소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초기 토양의 탄소함량은 7.9이었으며 볏짚을 연용하였을 경우 서서히 증가하여 11.5, 헤어리베치는 11.6, 가축분퇴비는 15.9 및 유박은 11.6 g/kg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유기물의 투입량에 따라 증가속도는 차이가 있었으며 가축분 퇴비가 토양탄소 축적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토양탄소 유기물 형태를 풀빅산, 휴믹산, 휴민으로 구분하여 평가한 결과 세가지 형태의 변화는 일정 범위에서 변동성을 가지며 증가 또는 감소 추세는 보이지 않았다. 지난 7년간의 유기물 연용에 따른 토양탄소의 변화량을 보았을 때 토양탄소의 중장기적 축적을 위해서는 퇴비의 시용이 필요하며 유기물의 연용을 통한 유기물 축적과 분해의 연차간 수지를 조절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향후 토양탄소 축적을 위한 토양관리 방법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옥수수 포장에서 깊이센서 카메라를 활용한 생육측정기술 개발

        서명철(Myung Chul Seo),상완규(Wan-Gyu Sang),조정일(Jung-Il Cho),김준환(Jun-Hwan Kim),백재경(Jae-Kyeong Baek),권동원(Dong Won Kwon)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농업 분야에 디지털 기술의 융복합 연구 및 실용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래에는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작물의 생육 분석과 관련하여 영상, IoT 등의 하드웨어와 AI, 컴퓨터비전 등의 소프트웨어가 결합한 기술이 유망하며 특히 ToF(Time of Flight) 등과 같은 깊이 센서의 활용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깊이센서 카메라(MS kinect)를 활용하여 옥수수 포장에서 옥수수 생육에 따른 군락 초장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옥수수 품종은 광평옥과 일미찰을 이용하였으며 센서는 MS Azure kinect를 사용하여 3m, 5m 직각 위치에서 1시간 간격으로 depth와 RGB 촬영을 하였으며 point cloud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입체 데이터와 RGB 영상을 정합하여 일사에 의한 방해가 최소화된 시간인 촬영된 날짜의 5-6시, 7-8시의 영상을 대상으로 각 영상별 직접 20점씩 포인트를 지정하여 수동으로 초장을 측정하였으며 영상에서 Z 값에 대한 이상 데이터를 제거하고 상위 1%, 10%의 값을 추출하여 초장 분석을 하여 상호비교를 수행하였다. 초장은 수동으로 측정한 결과값과 상위 1%에서 측정한 값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군락의 생육상황을 상당히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RGB 영상의 분할을 통한 군락 엽면적을 평가한 결과도 군락 비율이 약 80~90%까지는 생육과정을 표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깊이 센서와 RGB 영상을 활용할 경우 초장, 엽면적 및 바이오매스까지도 추정한 보정계수를 확보하여 기존의 인력에 의한 수동 측정방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