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입원 암환자의 피로와 삶의 질

        변혜선,김경덕,정복례,김경혜,Byun, Hye-Sun,Kim, Gyung-Duck,Chung, Bok-Yae,Kim, Kyung-Hye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0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3 No.2

        목적: 본 연구는 암환자의 삶의 질, 피로 정도를 확인하고 삶의 질과 피로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대상자는 D, Y, A시에 소재한 대학부속병원에서 암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는 입원환자 9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2007년 5월 8일부터 8월 10일까지 구조화된 설명지로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피로는 FACIT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 Illness Therapy, www.facit.org)에서 개발한 측정도구인 한국어판 FACIT-Fatigue Scale인 13개 문항과 삶의 질은 FACIT에서 개발한 한국어판 FACT-G (Version 4) 27개 문항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결과: 암환자의 피로 정도는 22.48로 중간 정도의 상태를 보였다. 암환자의 삶의 질 정도는 평균 55.52로 중간 정도였고, 삶의 질의 하위영역에서는 신체적 영역이 평균 15.96로 가장 높았고, 기능적 영역이 평균 11.3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암환자의 피로는 피로의 정도에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은 없었으며, 피로의 정도에 차이를 보인 질병관련 특성은 치료형태(F=3.216, P< 0.05), 체중변화(F=9.094, P<0.001), 일상생활 수행상태(F=7.297, P<0.001), 운동(F=5.919, P<0.05), 수면(F= 4.546, P<0.05) 등이었다. 암환자의 삶의 질 정도에 차이를 보인 질병관련 특성은 치료목적(F=4.392, p<0.05), 체중변화(F=23.118, P<0.001), 일상생활 수행상태(F= 9.886, P<0.001), 운동(F=7.699, P<0.001), 수면(F=5.893, P<0.001)이었다. 암환자의 삶의 질은 피로(r=-0.752, P<0.001)와 유의한 역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로는 삶의 질 하부 영역 중 신체적 영역(r=-0.834, P<0.001), 정서적 영역(r=-0.610, P<0.001), 기능적 영역(r=-0.560, P<0.001)과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암환자의 삶의 질에 피로가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고, 암환자의 삶의 질과 피로는 유의한 역 상관관계가 있음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암환자의 전반적인 삶의 질과 하부영역별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우선적으로 개발하고 적용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quality of life (QOL) of Korean cancer inpati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August 2007. Study subjects were recruited at D, Y and A university hospitals in Daegu and Kyungpook, Korea. The research instruments utilized in this study were fatigue (FACT-F) and quality of life (FACT-G) in Korean version 4.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using SPSS Win 12.0 program. Results: Fatigue of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treatment, change in weight, performance status, exercise, and sleep. The QOL of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reatment, change in weight, performance status, exercise, and sleep. The mean score of fatigue was 22.48 and the mean score of QOL was 55.52. The fatigue was negatively related to QOL, physical well-being, emotional well-being, and functional well-being.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e needs for intervention in order to reduce fatigue and to improve QOL of cancer inpatients.

      • KCI등재후보

        시뮬레이션 기반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미치는 효과

        변혜선(Hye-Sun Byun),권경희(Kyoung-Hee Kwon),서부덕(Boo-Deuk Suh)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8 No.4

        본 연구는 고충실도(High-fidelity) Simulator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을 간호학생에게 적용한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적용한 실험연구이며 40명의 간호대학생들이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20명씩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시뮬레이션 기반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은 강의, 술기교육, 팀기반 문제중심 학습법과 시뮬레이션, 디브리핑을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지식과 자기 효능감, 임상수행능력이 향상된 반면 전문심장소생술 관련 문제해결과정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고충실도(High-fidelity) Simulator 를 이용한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이 지식, 자기 효능감, 임상상황의 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임을 확인해주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간호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regarding care in a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emergency care using high-fidelity simulator in nursing students. Forty nursing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20 nursing studen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nursing students for the control group. The simulation-based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emergency care education included lecture, skill training, problem-solving learning, team-based simulation practice, and debriefing. The results showed that a simulation-based education using high-fidelity simulator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improve knowledge, self-efficacy,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ursing students learning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emergency care. However, a simulation-based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emergency care education program and research to promote the problem solving process needs to be more developed.

      • KCI등재

        퇴행성관절염 노인의 일반적 특성 및 운동 단계에 따른 통증, 운동 장애성 지각

        변혜선(Byun, Hye Sun),김경혜(Kim, Kyung Hae) 한국노년학회 2006 한국노년학 Vol.26 No.1

        본 연구는 퇴행성관절염 노인의 일반적 특성 및 운동단계에 따른 통증, 운동 장애성 지각 정도를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설계의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D시에 거주하는 퇴행성관절염을 가진 60세 이상의 노인 101명으로 편의표집 하였다. 자료수집은 2003년 12월부터 2004년 2월까지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특성 중 성별, 교육, 종교, 직업, 관절염 유병 기간, 최근 한 달 이내 관절염 약물 복용정도, 현재 건강상태에 따라 대상자가 느끼는 통증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특성 중 동거상태, 최근 한 달 이내 관절염 약물 복용 정도가 운동 장애성 지각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단계별로는 통증과 운동 장애성 지각 모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퇴행성관절염 노인의 운동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운동단계에 따른 통증, 운동장애성 지각 정도의 차이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퇴행성관절염을 가진 노인의 운동 실천률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퇴행성관절염 노인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s of pain and perceived exercise barrie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xercise stage in the elderly with degenerative osteoarthrit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1 elderly with degenerative osteoarthritis. Data was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 during the period from December, 2003 to February, 200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Pain score was 8.73. Perceived exercise barrier was 26.13. According to sex, education, religion, job, duration of illness, patterns of drug medication within the latest 1 month and exercise stage, it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ain degrees. According to living together status, patterns of drug medication within the latest 1 month, it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exercise barrier. According to exercise stage, it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ain degrees and perceived exercise barrier.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give useful information to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 so as to increase exercise adherences in the elderly with degenerative osteoarthriti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분노표현 대인관계 및 우울 간의 관계

        변혜선(Hye-Sun Byun),김경혜(Kyung-Hae Kim),이다겸(Da-Gyeom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분노표현, 대인관계 및 우울 간의 관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참여자는 경북지역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209명이었다. 자료는 2016년 12월 1일부터 2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t-test, ANOVA, Pearson 상관분석과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분노표현 방식은 4점 만점에 분노표출 평균 2.07, 분노억제 평균 2.24, 분노조절 평균 2.80 이었다. 대인관계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4 이었다. 우울 정도는 0∼3점 범위의 평균 0.98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분노표출과 분노억제, 분노억제와 우울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분노조절과 우울, 대인관계와 우울은 유의한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정도는 전공만족도, 지원동기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변수들의 우울에 대한 설명력은 39%이었으며,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분노억제, 분노조절, 대인관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위한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인 분노억제 방식을 감소시키고, 분노조절과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켜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of anger ex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in nursing student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09 nursing students recruited from two colleg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gathered between December 1st and December 20th, 2016.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19.0 program.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for anger ex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in the nursing students. The total explanation of depression was determined to be 39.0%. The anger-in explaining (β=0.506, p=0.000), anger-control explaining (β= -0.342, p=0.000),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β= -0.286, p=0.000) were significant factors of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a requirement for strategies to decrease trait anger-in, and promote anger-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유방암 환자의 피로, 통증, 불안,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변혜선(Byun, Hye Sun),김경덕(Kim Gyung Duck) 대한종양간호학회 2012 Asian Oncology Nursing Vol.12 No.1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mpact of fatigue, pain, anxiety and depression on the quality of life (QOL)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12th to July 20th, 2010. One hundred and fifty breast cancer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D city in Korea.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fatigue, pain, anxiety, depression and the quality of life scales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12.0 program. Results: The quality of life for cancer patient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fatigue, pain, anxiety and depression.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were fatigue, pain, anxiety and depression that explained 65.6% of the variance. Conclusio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experienced fatigue, pain, anxiety and depression which led to a negative effect on quality of life. Th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 programs to reduce fatigue, pain, anxiety and depression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breast cancer patient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암 치료를 받은 유방암 여성의 성기능 영향 요인

        변혜선(Byun, Hye Sun),정복례(Chung, Bok Yae),김경덕(Kim, Gyung Duck),김경혜(Kim, Kyung Hae),최은희(Choi, Eun Hee) 대한종양간호학회 2013 Asian Oncology Nursing Vol.1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exual function in breast cancer women after receiving cancer treatmen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52 patients treated at medical cente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October 4th to December 30th’, 2011.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sexual function, pain, fatigue, body image, 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spousal support.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18.0. Results: The mean score of sexual function was 14.37. The lowest score among sexual function was arousal. The scores of sexual fun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menopause, tumor stag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xual function, pain, body image, fatigue and depression.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affecting sexual function were identified as age, tumor stage, pain, body image and fatigue that explained 62.5%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re effective sexual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for breast cancer women after receiving cancer treatment.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다문화 수용성과 범문화 효능감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변혜선 ( Hye Sun Byun ),박미경 ( Mikyung Park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20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5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on cultrual competency among nurse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ranscultural self-efficacy. Methods: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using convenience sampling.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of 136 nurs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1.0 Program. Results: Total mean score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as 4.24±0.51 out of possible 6, Total mean scores of transcultural self-efficacy was 2.65±0.35 out of possible 4, Total mean scores of cultural competence was 5.04±0.71 out of possible 7. Cultural competence wa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acceptability (r=0.61, p<0.001), transcultural self-efficacy (r=0.71, p<0.001). In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ranscultural self-efficacy, ag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participating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nd explained 61.2% of cultural competenc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ranscultural self-efficacy a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nurses. The findings suggest a need to development cultural competence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ranscultural self-efficacy for nurse.

      • KCI등재

        여대생의 암에 대한 지식과 암의 예방적 건강행위

        정복례 ( Chung Bok Yae ),변혜선 ( Byun Hye Sun ),김경덕 ( Kim Kyung Duck ),김경혜 ( Kim Kyung Hye ) 경북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0 경북간호과학지 Vol.14 No.1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암에 대한 지식과 예방적 건강행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에 있는 여대생 154명으로 자료의 수집은 2009년 9월 8일부터 10월 16일까지이었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7문항, 암에 대한 지식 측정 도구 30문항, 암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 측정도구 1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이다. 암에 대한 지식 측정 도구는 김선경(2004)이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암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 측정 도구는 김영숙(2010)이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최대값과 최소값, t-test와 ANOVA 및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암에 대한 지식은 평균 19.07(SD=2.79)이었으며, 일반적 특성별 암에 대한 지식은 유의한 차가 없었다. 항목별 암에 대한 지식의 정답율은 ‘음식을 짜고 맵게 먹거나 탄 음식을 먹으면 위암에 잘 걸린다’, ‘자궁 경부 세포를 정기적으로 검사하면 자궁경부암을 빨리 발견할 수 있다’, ‘유방암을 스스로 조기 발견하기 위해서는 유방자가검진을 해야 한다’의 순으로 높았다. 항목별 암에 대한 지식의 정답율은, ‘대장암을 조기발견하기 위해서는 최소 1년에 한번씩 검사를 받아야 한다’, ‘폐암을 조기발견하기 위해서는 최소 6개월에 한 번씩 검사를 받아야 한다, ’간암을 조기 발견하기 위해서는 최소 6개월에 한번씩 검사를 받아야 한다‘의 순으로 낮았다. 암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는 평균 66.36(SD, 9.46)이었으며, 항목별 암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는 ‘담배를 절제 한다’, ‘곰팡이가 핀 것은 먹지 않는다’, ‘심하게 탄 음식은 먹지 않는다’, ‘몸을 청결하게 보존한다’ 순으로 높았고, ‘맵고 짠 음식을 먹지 않는다’, ‘인스턴트 음식을 먹지 않는다’, ‘기름기 많은 음식을 먹지 않는다’ 순으로 낮았다. 일반적 특성별 암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는 가정경제 수준, 암에 대한 염려와 건강에 대한 지각에서 유의한 차가 있었다. 암에 대한 지식과 암 예방행위는 암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암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 수준은 낮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ncer knowledge and the preventive health behavior of cancer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at D city in Korea. Date were gathered from September 8 to October 16, 2009 using th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in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he scale of cancer knowledge developed by Kim Sun Kyung(2004), and the scale of preventive health behavior developed by Kim Young Sook(2010). Date were analyzed by percent, mean, SD,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using SPSS/WIN 1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score of cancer knowledge were 19.07(SD=2,79). Cancer knowledge did not show the difference significantly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highest mean score items in cancer knowledge were ‘easily come down with gastric cancer as a result of taking hot and salty foods or burned foods’, ‘discover cervical cancer easily with regular examination’, and ‘to do the self-check of one's breast to discover breast cancer in its early stage. The lowest mean score items were ‘to detect large intestine cancer in its early stage, one should get a test at least once every year’, ‘to detect lung cancer in its early stage, one should get a test at least every 6 months, and ’to detect liver cancer in its early stage, one should get a test at least every 6 months‘. 2. Mean score of preventive health behavior were 66.36(SD=9.46). The highest mean score items in preventive health behavior were 'do not smoke', 'do not eat musty foods', 'do not eat foods burnt black'. The lowest mean score items were 'do not take hot and spicy foods', 'do not take instants. Avoid fatty foods'. The preventive health behavior showed differences significantly by economic status, worry of cancer, and self perception of health status i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3. Cancer knowledge were correlated to preventive health behavior negatively. But it was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level of cancer knowledg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as low. It means the education to improve the cancer knowledge and to do preventive health behavior by themselves would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