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삼척 가곡일대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식물자원 현황

        윤주은 ( Ju Eun Yun ),변준기 ( Jun Gi Byun ),장정원 ( Jeong Won Jang ),양종철 ( Jong Cheol Yang ),오승환 ( Seung Hwan Oh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강원도 삼척군 가곡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조사를 직접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가곡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은 103과 354속 630종 4아종 72변종 14품종 총 720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구실바위취, 덕우기름나물, 참배암차즈기 등 24분류군이 한반도 특산식물이었고, 끈끈이장구채, 바늘명아주, 개병풍 등 33분류군은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5등급 4분류군, 4등급 22분류군, 3등급 35분류군, 2등급 41분류군 그리고 1등급 42분류군 등 144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35분류군이었으며, 또한 조사된 식물들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 275분류군, 섬유용식물 9분류군, 약용식물 214분류군, 관상용식물 80분류군, 목초용식물 246분류군, 공업용식물 4분류군, 염료용식물 16분류군, 목재용식물 26분류군 등 870분류군이 자원식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scular plants of the Gagog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Samcheok-Gun in Gangwon-do. The result of this survey revealed 720 taxa in total, comprising 103 families, 354 genera, 630 species, 6 subspecies, 72 varieties and 14 forms. In the flora of this area, 24 taxa( Saxifraga octopetala, Salvia chanryoenica, Peucedanum insolens etc.) were Korean endemic plants and 33 taxa( Silene koreana, Chenopodium aristatum, Astilboides tabularis etc.) were rare and endangered plants of Korea.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144 taxa comprising 4 taxa of grade V, 22 taxa of grade IV, 35 taxa of grade III, 41 taxa of grade II and 42 taxa of grade I. Naturalized plants in Korea numbered 35 taxa. In addition, 870 taxa were categorized by usage into 8 groups, as follows: 275 edible, 9 fiber, 214 medical, 80 ornamental, 246 pasturing, 4 industrial, 16 dyeing and 26 timer plants.

      • 서울 도심공원과 국립수목원 내 목본 수종의 개화 특성

        정종빈 ( Jong Bin Jung ),장정원 ( Jeong Won Jang ),변준기 ( Jun Gi Byun ),황희숙 ( Hee Suk Hwang ),윤주은 ( Ju Eun Yoon ),오승환 ( Seung Hwan Oh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기온 차이에 따른 서울 도심공원과 국립수목원 내 주요 목본 수종들의 개화 특성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위치한 느티울근린공원과 경기도 포천시에 위치한 국립수목원 내 전시원이며, 두 지역에 공통적으로 식재된 개나리, 단풍나무, 벚나무, 산수유, 산철쭉, 진달래 등 6분류군을 대상으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매년 개화시작일과 낙화완료일, 개화기간 등을 기록하였다(Day of Year, DOY). 또한 두 지역에서 수집된 기온 자료를 이용하여 Nuttonson의 온량지수(Tn)와 일적산온량지수(YDI)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지역 모두 산수유(도심공원: 평균 86 ± 1일, 수목원: 평균 98 ± 3일)가 가장 빨리 개화하였고 그 다음 개나리, 진달래, 벚나무, 단풍나무 순이었으며 산철쭉(도심공원: 평균 112 ± 4일, 수목원: 평균 124 ± 3일)이 가장 늦게 개화하였다. 개화시작일의 경우 도심공원 내 조사 대상들이 평균 12-14일 정도 빨리 개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화기 무렵인 DOY 100일 때 도심공원의 지난 3년 간 평균 Tn은 76.1 ± 7.9인 반면 수목원의 경우 평균 34.4 ± 5.2로 개화기 무렵 도심공원 내 Tn이 높게 측정되었다. YDI도 Tn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지난 3년 간 수종별 개화기간은 산수유는 평균 26일(수목원: 21일), 개나리는 평균 28일(20일), 진달래는 14일(17일), 벚나무는 15일(10일), 단풍나무는 17일(14일), 산철쭉은 19일(11일)로 도심공원에서 평균 3-8일 정도 길게 지속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henological differences among six woody plants (Forsythia koreana, Acer palmatum,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Cornus officinalis,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R. mucronulatum). We monitored flowering dates of each species in two regions, in Seoul Neutiul urban park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for three years from 2011 to 2013. Also, Nuttonson`s index (Tn) and Year Day Index (YDI) were calculated from daily temperature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arliest flowering species was C. officinalis (urban park: DOY 86 ± 1, arboretum: DOY 98 ± 3) followed by F. koreana, R. mucronulatum, P. serrulata var. spontanea, A. palmatum, while R. yedoense f. poukhanense was the late blooming species (urban park: DOY 112 ± 4, arboretum: DOY 124 ± 3). Flowering dates in urban park were earlier than that in arboretum by 12-14 days in average. On DOY 100, average Tn was higher in urban park (76.1 ± 7.9) than in arboretum (34.4 ± 5.2). YDI showed same tendency with Tn. The blooms in urban park seemed to last longer than in arboretum by 3-8 days. Flowers last 26 days (21 days in arboretum) in C. officinalis, 28 days (20 days) in F. koreana, 14 days (17 days) in R. mucronulatum, 15 days (10 days) in P. serrulata var. spontanea, 17 days (14 days) in A. palmatum, 19 days (11 days) in R. yedoense f. poukhanense.

      • KCI등재

        한국 제주도 한란의 생태 진단에 기초한 보전 및 서식지 복원에 관한 연구

        정지영 ( Jung Ji-young ),신재권 ( Jae-kwon Shin ),김한결 ( Han-gyeoul Kim ),변준기 ( Jun-gi Byun ),피정훈 ( Jung-hun Pi ),구본열 ( Bon-yeol Koo ),박정근 ( Jeong-geun Park ),서강욱 ( Gang-uk Suh ),이철호 ( Cheul-ho Lee ),손성원 ( S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2016 생태와 환경 Vol.49 No.1

        한란은 불법 채취 및 서식 환경 변화에 의해 지속성 확보가 위협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의 분포 변화, 개체군 및 자생 특성, 그리고 이에 따른 서식지 복원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제주도 일원의 한란자생지 탐사를 통하여 확인된 27개의 한란 자생지를 대상으로 분포 면적의 변화, 개체군 및 자생 환경을 분석하였으며, 한란의 종 특성을 고려한 대체 서식지 조성 전략을 마련하였다. 조사된 한란은 제주도 해발 200 m~700m 사이에 위치하였다. 2004년과 비교하여 한란의 분포 범위는 크게 감소 (-82%)하였다. 한란은 사면형 (예, 선돌지역) 및 계곡형 (예, 따라비오름) 서식지, 그리고 졸참나무 및 개서어나무가 우점하는 낙엽활엽수림 (선돌) 및 구실잣밤나무가 우점하는 상록활엽수림 모두에서 자라고 있어 특정한 서식 환경 선호성은 관찰되지 않았고, 공중습도가 높은 계곡부에서 보다 많이 관찰되었다. 조사된 총 96개체의 한란의 평균 밀도는 942.6 개체 ha<sup>-1</sup>로 조사되었고, 모두 소형(평균 잎 길이=10.7±1.1 cm 및 촉 수=1.2±0.2) 개체였으며, 개화 및 결실 개체는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제주 한란은 멸종위기 (Critically Endangered, CR) 식물로 분류된다. 한란의 표현형 유연성 (Phenotypic plasticity)은 한란이 그늘진 서식지 환경에서 지속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되며, 최근의 닫힌 임과 및 낮은 광환경은 한란의 생활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한란 서식지 복원은 초지 또는 낮은 관목수종의 개방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Cymbidium kanran Makino is being threatened in its own habitats due illegal collecting and habitat changes by vegetation growth along historical landuse change.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habitat restoration model for conservation of C. kanran based on ecological diagnosis. Through exploration to Jeju Island in 2014 and 2015, we identified 27 unknown habitats of C. kanran and in there, abiotic variables and vegetation structure and composition were quantified. Altitudinal distribution of C. kanran was between 200m ~700 m a.s.l. and compared to distribution in 2004, Area of Occupation (AOO) decreased at 82%. Specific habitat affinity was not observed by evenly found in mountain slope and valley and summergreen and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but likely more abundant in valley habitats with higher soil and ambient moisture. Total of 96 individual of C. kanran was observed with an average density of 942.6 individuals ha<sup>-1</sup>. The plants showed relatively short leaf length (average=10.7 cm±1.1 cm) and small number of pseudo bulbs (1.2±0.2). Flowering and fruiting individuals were not observed in field. C. kanran was classified into endangered plant species as CR (Critically Endangered) category by IUCN criteria. Phenotypic plasticity of C. kanran was likely support to sustain in more shaded habitat environment and recent habatat changes to closed canopy and low light availability may exhibit negatively effects to C. kanran`s life history. Restoring C. kanran habitat should create open environment as grassland and low woody species dens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부산시 나무섬 생태관광 자원화를 위한 식생구조와 관속식물상

        천광일(Kwang-il Cheon),정성철(Sung-Cheol Jung),유주한(Ju-Han You),변준기(Jun-Gi Byun),주성현(Sung-Hyun Joo) 한국산림휴양학회 201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부산시 나무섬의 생태관광 자원화와 생물종 다양성 보존을 위한 생태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식생구조와 관속식물상을 분석하였다. Cluster분석한 결과 나무섬은 3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도깨비쇠고비와 털머위, 밀사초; 큰천남성과 미국자리공, 곰솔; 억새와 보리밥나무가 높은 정의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갯 기름나물과 미국자리공은 부의 상관관계로 이질적인 지위로 나타났다. 종다양도의 경우 1.4507~1.4962, 최대 종다양도는 1.5798~1.6628, 균재도는 0.8998~0.9183로 나타났다. 전체 출현한 관속식물은 42과 70종 5변종 1품종으로 나타났으며, 귀화도는 13.2%이며 식물구계학적 1등급 식물의 경우 15과 17종, 3등급식물의 경우 3과 4종이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ecological resources which is need for ecotourism resource, species diversity at Namu island in Busan. As a result of analyzing cluster of the Namu island wa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communit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yrtomium falcatum and Farfugium japonicum, Carex boottiana; Arisaema ringens and Phytolacca americana, Pinus thunbergii ; Miscanthus sinensis and Elaeagnus macrophylla and weak negative correlation were showed between Peucedanum japonicum and Phytolacca americana. Species diversity index(H') of investigated groups ranged from 1.4507~1.4962, H' max ranged from 1.5798~1.6628, Evenness(J') ranged from 0.8998~0.9183. The vascular plants were listed 70 taxa; 42 families, 5 varieties and 1 form. Percent of exotic plant species was 13.2% and The specific plants which is categorized to Degree by Ministry of Environment appeared as 15 taxa, Degree I was 15 families 17 species and Degree Ill was 3 families 4 spe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