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반복되는 두통으로 내원한 소아청소년 환자의 임상양상과 뇌파검사

        편정은(Jung Eun Pyun),변정혜(Jung Hye Byeon),은소희(So Hee Eun),김건하(Gun Ha Kim),은백린(Baik Lin Eun) 대한소아신경학회 2014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2 No.3

        Purpose: We compared clinical findings of headaches to find out important characteristics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headaches. We tried to find out specific electroencephalogram (EEG) findings according to the types of primary headach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EG findings by analyzing EEGs of migraine. Method: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by reviewing medical records of 275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of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from November 2010 to October 2013. The headach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II (ICHD- II). EEG was analyzed in relation to the type of headache. Results: 245 (89.1%) were primary headache patients, and 30 (10.9%) were secondary headache patients.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frequencies of abnormal EEG findings according to the type of primary headache (P=0.855), and epileptiform discharge was most common abnormal EEG finding in the primary headache. Comparing the patients with epileptiform discharges to the patients with normal EEG finding in migraine, the patients showing epileptiform discharge were younger (P=0.035) and presented with occipital and atypical (i.e., not pulsating or pressing) headache (P=0.005). Conclusion: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diagnosis of headache in childr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EG findings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primary headaches.However, we could find a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features of the migraine and its epileptiform discharge, so more studies correlating EEG findings to clinical features are needed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항-NDMA 수용체 뇌염:

        황지혜(Ji hye Hwang),변정혜(Jung Hye Byeon),김건하(Gun Ha Kim),은소희(So Hee Eun),은백린(Baik Lin Eun) 대한소아신경학회 2017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5 No.1

        의식 변화 및 반복적인 경련을 주소로 내원한 6세 11개월의 여아를 항-NMDA 수용체 뇌염으로 진단하였다. 환아의 혈장과 뇌척수액에서 높은 항체가를 확인하였다. 동시에 항-NMDA 수용체 뇌염과 동반될 수 있는 난소 기형종을 진단하였다. 항체 제거를 위하여 난소 기형종을 수술적 치료하였으며 항체 형성을 막기 위하여 혈장 교환술, 리툭시맙과 스테로이드 충격요법을 시행하였다. 난소 기형종 병리 조직소견에서 상당한 양의 신경 조직이 발견되었고 이는 뇌염 발생에 있어 주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생각하며 제거 및 rituximab 치료 후 항체가의 음전과 임상 증상의 호전으로 미루어 보아 질병의 진행을 관련성을 유추할 수 있다. 다학제적으로 접근한, 높은 항체가를 지닌 항-NMDA 수용체 뇌염 환아를 1례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nti-N-methyl-D-aspartate receptor (NMDAR) encephalitis is a disease that is characterized by acute psychiatric symptoms, seizures, and central hypoventilation. Patients with anti-NMDAR encephalitis exhibit speech alterations, insomnia, seizures, and movement disorders. We describe a previously healthy 6-year-old girl who presented with seizures, disorientation, and fever. Over the five weeks of treatment, the patient exhibited progressive neurologic symptoms, including a change in mental status. Her serum and cerebrospinal fluid contained high titers of antibodies against the NMDAR, and she was diagnosed with anti-NMDAR encephalitis. She was treated with plasmapheresis, steroid pulse therapy, intravenous immunoglobulins, and repeated doses of rituximab. After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a concomitant ovarian teratoma, a un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was performed. A histopathologic examination revealed that neuronal elements accounted for 60% of the resected ovarian teratoma. The patient’s clinical symptoms and antibody titers improved after the surgical treatment and rituximab therapy. These observations suggested that patients with high titers of anti-NMDAR antibodies should be examined for the presence and quantity of neuronal components in concurrent ovarian teratomas.

      • KCI등재후보

        라코사마이드와 관련된 발프로산 독성 1례

        백지혜(Ji Hye Baek),김건하(Gun Ha Kim),변정혜(Jung Hye Byeon),은소희(So Hee Eun),은백린(Baik Lin Eun) 대한소아신경학회 201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4 No.2

        발프로산은 소아에서 널리 쓰이는 항경련제로 다양한 부작용과 약물 상호작용이 보고되어 왔다. 반면, 새로운 항경련제인 라코사마이드는 약물 상호작용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열성 질환 이후 나타난 라코사마이드와 관련된 발프로산 독성(고암모니아혈증)에 대해 보고한 두번째 증례이다. 라코사마이드를 증량한지 18일후 과도한 기면이 발생했으며 당시 혈중 발프로산 농도(>150 μg/mL)가 상당히 높았고 이후 3일뒤 혈중 암모니아 수치(232 N­μg/dL )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라코사마이드와 발프로산을 중단하고 엘카르니틴을 추가한 이후 4일만에 혈중 암모니아 수치가 정상화되고 환자는 의식이 명료해졌다. 발프로산의 독성이 새로운 항경련제의 추가나 발열과 연관되어 안정적인 치료 중에도 언제든 발생할 수 있어 약물 농도 및 부작용에 대한 주의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Valproic acid (VPA) is a widely used anticonvulsant drug having various adverse effect and drug interaction. In contrast, newer antiepileptic drug, lacosamide has been known to have minimal drug interaction. We report the second case of lacosamide-associated valproic acid toxicity presenting as hyperammonemia following febrile illness. Prior to hospital admission, this 13-year-old girl had been treated with multiple antiepileptic drugs including valproic acid for 11 years with no any adverse effect. Lacosamide had recently been added due to poorly controlled seizures. The patient presented with excessive drowsiness 18 days following an increase in lacosamide dosage up to 7.5 mg/kg/day. Laboratory tests revealed elevated levels of VPA(> 150 ug/ml) and hyperammonemia (232 N-μg/dL). Eight days prior to admission, the patient suffered a 1-day fever as a result of influenza A infection and did not take an antiviral agent. Lacosamide and valproic acid treatments were discontinued, while treatment with L-carnitine was added. After 4-days, ammonia levels decreased to 144 N-μg/dL, and the patient became alert. In conclusion, valproic acid toxicity may occur at any time during the stable course of medical treatment, though patients may be more susceptible following the addition of new anti-epileptic drugs or febrile illness.

      • KCI등재후보

        급성 출혈성 백질 뇌염에서 확산텐서영상 추적검사의 유용성 증례

        최원지(Won Jee Choi),변정혜(Jung Hye Byeon),은소희(So Hee Eun),은백린(Baik Lin Eun),김건하(Gun Ha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17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5 No.1

        급성출혈성백질뇌염 급격히 진행하는 염증성 탈수초 질환으로 진단과 추적관찰에 있어서 뇌자기공명영상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16개월 여아가 열성경련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후 의식은 혼미상태로 악화되어 뇌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으며, T2강조영상에서 고음영 병변과 경사에코에서 미세출혈이 확인되었다. 임상증상과 뇌자기공명 영상소견으로 급성출혈성백질뇌염으로 진단하였으며 면역글로블린과 메틸프레드니솔론을 투여하고 재활치료를 진행하였다. 발병 한달 후 이따금씩 웃는 모습 관찰되고 고개 돌리기 가능하였으나 고개 가누지 못하고 심부건 반사 증가 지속되었다. 재활치료 유지하였으며 발병 5개월 후 확산텐서영상을 포함하여 뇌자기공명영상을 추적관찰 하였으며, 확산텐서영상에서 발병 당시 시행한 영상보다 뇌백질 연속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저자들은 확산텐서영상을 포함한 뇌자기공명영상을 추적관찰하여 신경손상 호전상태를 시각화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cute hemorrhagic leukoencephalitis (AHLE) is an acute, rapidly progressing, fulminant demyelinating disease. It is a rare disease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with high mortality; survivors commonly present with significant neurological deficit. We report the case of a 16-month-old girl who survived AHLE and presented with the associated neurologic deficit. The patient came in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febrile seizure. She showed bilateral pinpoint-sized pupils and hyperactive deep tendon reflexes. Her mental status was initially drowsy and rapidly progressed to stupor. Extensive demyelination and microbleeds were found in the cerebral white matter, thalamus and left cerebellum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cans. Her mental status was improved by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immunoglobulin and methylprednisolone. Five months after being discharged, increased white matter connectivity was found on color-coded follow-up MR diffusion tensor imaging (DTI) as compared to previous MRI. We therefore suggest adding the DTI technique when a follow-up MRI is performed in patients with AHLE. It could be useful to visualize the status of axonal injury and to encourage patients and their parents to continue the rehabilitation program.

      • KCI등재후보

        뇌전증을 가진 소아청소년의 복용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방용현(Yong Hyun Bang),황지현(Ji Hyen Hwang),변정혜(Jung Hye Byeon),김건하(Gun Ha Kim),은백린(Baik Lin Eun),은소희(So Hee Eun) 대한소아신경학회 201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4 No.4

        목적: 뇌전증의 발작 조절에 항경련제에 대한 순응도가 중요하다. 소아청소년 뇌전증 환자의 항경련제에 대한 복용 순응도와 이에 영향을 주는 임상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5년 2월 1일부터 2월 28일 동안 고려대학교 안산 및 안암병원 소아신경 클리닉을 방문한 소아청소년 뇌전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최근 1개월, 6개월의 약물 복용에 대해 파악하고, 약물 순응도와 임상인자와의 연관을 분석하였다. 결과: 총 191명의 대상 환자 중 129명(67.5%)이 최근 1개월 동안 항경련제를 빠짐없이 복용하였다. 정기적으로 환자가 직접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 받은 횟수가 순응도와 관련되었고(adjusted odds ratio[AOR]: 5.78, P=0.000), 항경련제 단일요법 복용 환자들이 복합요법에 비해 순응도가 좋았다(AOR: 3.14, P=0.006). 복약 누락 횟수가 많을수록 발작 빈도가 높았다(r=0.374, P=0.000). 결론: 소아청소년 연령에서 환자가 직접 방문하지 않고 보호자가 대신 진료를 받는 환자들과 항경련제 복합요법을 시행하는 환자들에 대한 보다 면밀한 약물 순응도 파악과 관리가 필요하다. Purpose: Medication compliance is crucial for optimizing seizure contro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epileptic drug (AED) compliance and clinical factors in pediatric population. Methods: We interviewed all epileptic patients who visited the epilepsy clinic at Korea University Ansan and Anam Hospitals during a period of one month and reviewed their medical charts. Drug compliance was evaluated in terms of the number of missed AEDs during the recent 1 and 6 month in this stud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rug compliance and clinical factors was analyzed. Results: The study included 191 patients. Of these, 129 (67.5%) patients reported taking each AED regularly, without missing a dose for recent 1 month. A history of patient’s regular clinic visits was associated with good compliance (adjusted odds ratio [AOR]: 5.78, P=0.000). And, patients who received AED monotherapy had better compliance than those who received AED polytherapy (AOR: 3.14, P=0.006). Spearman correlation was detected for seizure frequency and the number of missed doses (r=0.374, P=0.000). Conclusion: More careful monitoring the patients who skipped their clinic visits and prescribing the possible minimum number of AEDs would be helpful to increase the drug compli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epilepsy.

      • 반복적인 천음과 호흡곤란을 보인 영아에서 진단된 선천성 심, 폐기형 3례

        남효경 ( Hyo Kyoung Nam ),라경숙 ( Kyong Suk La ),변정혜 ( Jung Hye Byeon ),최익선 ( Ic Sun Choi ),장기영 ( Gi Young Jang ),유영 ( Young Yoo ),정지태 ( Ji Tae Choung ),손창성 ( Chang Sung Son ),함수연 ( Soo Youn Ham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200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9 No.2

        Although laryngomalacia is the most common cause of congenital stridor in infancy, it is a benign, self-limited disease which usually resolves by the age of 18 months with no long-term sequelae. Nevertheless, infants who suffered from recurrent stridor and respiratory distress should be evaluated for other causes of stridor such as cardiopulmonary anomalies. We report 3 cases of infants who had recurrent stridor and respiratory distress from their early infancy. Case 1 had a double aortic arch and a tracheomalacia, case 2 had a hypoplasia of the right lung, and case 3 had a horseshoe lung as well as scimitar syndrome. Physicians should be alert for the possibility of the congenital cardiopulmonary abnormalities in infants with recurrent stridor and/or respiratory distress.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9; 19:183-190]

      • Analysis of Interictal Epileptiform Discharges in the Benign Childhood Epilepsy with Centrotemporal Spikes: Prediction of Seizure Outcome

        김미경(Mi-Kyung Kim),김민상(Min-Sang Kim),박철(Cheol-Park),변정혜(Jung-Hye Byeon),김건하(Gun-Ha Kim),홍영숙(Young-Sook Hong),이주원(Joo-Won Lee),은백린(Baik-Lin Eun) 대한소아신경학회 201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0 No.3

        목 적 : 중심 관자 극파를 동반한 양성 소아 뇌전증(Benign childhood epilepsy with centrotemporal spikes; BECTS)은 아동기에 가장 흔한 양성뇌전증 중의 하나로 3-13세 사이에 경련발작이 시작되어 16세 이전에 저절로 소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하지만 경련발작 기간이 길어지거나 경련발작 발생빈도가 빈번하고 한가지 항경련제로 조절되지 않는 비전형적인 경우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BECTS 환자에서 발작간기 뇌파소견이 질병의 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5년부터 2010년까지 고대구로병원 소아신경 클리닉에서 BECTS로 진단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약물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실시한 발작간기 뇌파를 분석하여 수면과 각성 중의 발작간기 뇌전증 양파의 횟수와 전압을 측정하였으며, 추가적인 요소로서 경련발작 시작 연령, 항경련제 복용 유무와 기간, 항경련제 복용 후 경련발작 횟수, 뇌파가 정상화되는 시기와 마지막 경련 연령을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 과 : 74명의 환자들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수면 중 발작간기 뇌전증 양파의 횟수가 많은 그룹에서 경련발작 발생 연령이 더 낮았고(P=0.004), 항경련제 복용 시작 연령도 낮았으며( P=0.022), 마지막 경련연령 또한 어렸고(P=0.027), 각성 중 발작간기 뇌전증 양파의 횟수가 많았다( P=0.006). 그리고 수면 중 발작간기 뇌전증 양파의 횟수가 많은 그룹에서 항경련제 복용 후의 경련발생 빈도가 높았다( P=0.043). 결 론 : BECTS 환자에서 수면 중 발작간기 뇌전증 양파의 횟수가 많은 환자들은 항경련제 복용 후의 경련 횟수가 많을 수 있겠다. 그리고 이는 BECTS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 The benign childhood epilepsy with centrotemporal spikes (BECTS), commonly affecting children between 3 and 13 years of age, is focal epilepsy with the presence of centrotemporal spikes on electroencephalography (EEG). The aim of our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EEG findings and clinical prognosis in patients with BECTS. Methods : From 2005 to 2010, patients with a diagnosis of BECTS with a follow-up period of over one year after the diagnosis were included in our study. We analyzed their first interictal EEG: frequency of interictal discharges and average voltage in each waking and sleep phase. In addition, multiple factors were reviewed from the medical records: the age at the time of seizure onset, frequency of seizures, use of antiepileptic drugs (AEDs), duration of AED therapy, age at the time of EEG normalization and age at the time of last seizure. Results : Seventy-four patients were included in our study. Frequent interictal epileptic form discharges during sleep correlated with younger age of seizure onset (P=0.040), earlier onset of AED therapy ( P=0.022), younger age at the time of seizure cessation (P=0.027), greater frequency of interictal epileptic form discharges during wakefulness (P=0.006), higher average voltage ( P=0.001) and higher frequency of seizures after AED initiation (P=0.043). Conclusion : In BECTS patients, frequent interictal epileptic form discharges during sleep could be correlated with higher seizure frequency, even after cessation of AED. These findings would be helpful in predicting the prognosis of children with BECTS.

      • 장바이러스 수막염 환자에서 뇌척수액 백혈구증가증 유무에 따른 임상양상의 비교

        허태훈(Tae Hoon Heo),김건하(Gun-Ha Kim),변정혜(Jung Hye Byeon),은백린(Baik-Lin Eun) 대한소아신경학회 2014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2 No.2

        목적: 장바이러스 뇌수막염에서 RT-PCR을 통해 장바이러스가 검출되었지만 뇌척수액에서 백혈구증가증(pleocytosis)이 보이지 않는 증례들이 종종 있는데 백혈구증가증을 보이는 경우와 보이지 않는 경우에 임상적인 차이점에 대한 연구들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 무균성 장바이러스 뇌막염으로 진단받았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백혈구증가증이 있었던 환자와 백혈구증가증이 없었던 환아로 분류하여 증상 및 검사 소견 등의 임상적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3년 3월부터 8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과 구로병원에서 뇌수막염 및 뇌염이 의심되어 뇌척수액 검사를 받은 16세 미만 환자 중 장바이러스 감염으로 확진된 49명의 환자를 뇌척수액에서 백혈구증가증을 보인 그룹과 백혈구증가증을 보이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어 임상적인 차이 유무를 비교하였다. 나이, 발열기간, 입원일수, 항생제 사용기간, 경부강직 유무, 두통 유무, 구토 유무 등의 임상 양상과 말초혈액 백혈구 수, 절대 호중구 수, 뇌척수액 단백질량, 뇌척수액과 혈청 당 비율 등의 검사 소견을 분석변수로 하였다. 결과: 장바이러스 수막염으로 진단된 49명의 환아 중 8명(16.3%)에서 뇌척수액 백혈구증가증이 동반되지 않았다. 뇌척수액 백혈구증가증이 있는 군과 없는 군 간의 임상증상의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으며 말초혈액 검사 및 뇌척수액 백혈구 수, 뇌척수액/혈청 당 비율에 있어서도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Table 3). 그러나 뇌척수액 단백질 농도의 경우 뇌척수액 백혈구증가증이 없었던 그룹은 평균 18.9±4.3 mg/dL로 백혈구증가증을 보였던 그룹(34.9±18.3 mg/dL)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02). 결론: 장바이러스 수막염에서 뇌척수액 백혈구증가증이 동반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의심이 되는 경우에는 PCR을 시행하는 것이 추천된다. 그리고 이는 정확한 진단과 더불어 불필요한 입원기간이나 항생제 사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clinical features among patients with enteroviral mengiti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cerebrospinal fluid (CSF) pleocytosis.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patients' data diagnosed with enteroviral meningitis by CSF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children younger than 16 years who visited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and Guro Hospital for meningitis or encephalitis between March 2013 and August 2013. Clinical and laboratory variables were compared with regard to the presence of CSF pleocytosis. Results: Among 49 patients with enteroviral meningitis, eight of 49 (16.3%) did not have pleocytosis. The enteroviral meningitis patients without pleocytosis had lower CSF protein level than patients with pleocytosis (18.9±4.3 vs 34.9±18.3 mg/ dL; P=0.002). Age, duration of hospital stay, severity of clinical symptom, peripheral white cell blood counts, absolute neutrophil counts and CSF/serum glucose ratio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Enteroviral meningitis could manifest without pleocytosis. We therefore think that CSF RT-PCR is helpful for the diagnosis, especially in suspected cases, which leads to shorter hospital stay and minimal use of antibiotics.

      • The Comparison of the Ocular Compression Test and the Tilt-table Test in the Suspected Patient of Vasovagal Syncope in Children and Adolescence

        김민상(Min-Sang Kim),김미경(Mi-Kyung Kim),박철(Cheol-Park),변정혜(Jung-Hye Byeon),김건하(Gun-Ha Kim),은백린(Baik-Lin Eun) 대한소아신경학회 201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0 No.3

        목 적 : 혈관미주신경성 실신은 소아와 청소년에서 상대적으로 흔한 질환이다. 본 연구는 혈관미주신경성 실신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기립경사 검사(tilt table test)와 안구압박 검사(ocular compression test)의 유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9년 3월부터 2012년 3월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에 실신으로 내원한 환아 중 임상적으로 혈관미주신경성 실신이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기립경사 검사와 안구압박 검사를 모두 시행한 환자의 의무기록을 검색하였다. 기립성 저혈압, 기립성 빈맥 증후군 및 뇌전증으로 진단된 환자는 모두 제외하였다. 또한 혈구검사, 전해질 및 갑상선 기능 검사 등의 혈액검사를 통하여 기립경사검사와 안구 압박검사의 결과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질환을 제외하였다. 결 과 : 본 연구 기간 동안 임상적으로 혈관미주신 경성 실신이 의심되는 환자는 46명이었다. 평균 연령은 13.6±3.1세(3–21세)였고, 그 중 남아는 15명(32.6%), 여아는 31명(67.4%)이었다. 전체 46명 환자 중 18명(39.1%)은 기립경사 검사에서 양성이었고, 31명(67.4%)은 안구압박 검사에서 양성이었다. McNemar 검정 상 P 값이 0.029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이는 두 검사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립경사 검사에서 음성이었던 환자 중 안구압박 검사에서 양성인 환자는 22명이었다. 기립경사 검사를 하는 동안 43명(93.5%)의 환자가 구역, 구토, 어지러움, 유사 실신(near fainting) 등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검사가 중단되었으나 안구압박 검사를 실시하는 동안에는 가벼운 안구통증 외에는 합병증이 없었다. 결 론 : 본 저자들은 상대적으로 안전하면서 정확한 검사인 안구압박검사가 소아 및 청소년의 혈관미 주신경성 실신을 진단하는데 있어 기립경사검사와 더불어 유용한 검사라고 판단된다. Purpose : Vasovagal syncope (VVS) is a relatively common disease in children and adolesce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ilt-table test (TTT) and the ocular compression test (OCT) in patients who were clinically suspected to VVS. Methods : We search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were clinically suspected to VVS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2009 to March 2012 at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Orthostatic hypotension, postural orthostatic tachycardia syndrome and epilepsy were excluded. We also analyzed complete blood test, electrolytes and thyroid function test to exclude other medical conditions that could potentially affect the result TTT or OCT. Results : Forty-six patients who were clinically suspected to VVS were selected. The mean age was 13.6±3.1 years (range, 3–21 years). Fifteen (32.6%) patients were males and thirty-one (67.4%) females. Among the selected patients, eighteen (39.1%) patients were TTT positive and thirty-one (67.4%) were OCT positive. In the McNemar’s test, the P value was 0.02 ( P<0.05) which mean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wo tests to diagnose VVS. In addition, there were 22 patients who were positive for OCT and negative for TTT. During TTT, forty-three (93.5%) patients had to be stopped due to severe symptoms such as nausea, vomiting, dizziness and near fainting, but no patient had any complication during and after OCT. Conclusion : We suggest that OCT is a relatively safe and useful test for diagnosing patients with VVS in children and adolescence in addition to TT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