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의 도덕과 관련교과의 내용구성에 대한 실태 연구 -바덴-뷔르템베르그와 헤센을 중심으로-

        변순용 ( Sun Yong Byu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8

        한국의 도덕교과에 대한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외국 사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독일에서 이뤄지고 있는 철학 및 도덕 교과의 실태를 내용구성이라는 측면에서 대표적인 바덴-뷔르템베르그 주와 헤센 주의 경우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의 도덕과 내용 구성에 있어서 관계 중심의 축과 내용 중심의 축을 근거로 해서 중심 내용 영역과 주변 내용 영역으로 구분하여 도덕 교과의 내용영역 구성을 제안한다. 그리고 주변 내용 영역 구성의 기준으로는 이슈중심의 선정 원칙과 자유로운 선택의 원칙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슈중심의 선정 원칙에서는 학생들이 직면하고 있는 도덕적인 문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것인지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자유로운 선택의 원칙에서는 학교급별, 지역별 특성을 고려해야 하고,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개발자뿐만 아니라 교사들도 선택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두 원칙은 도덕과의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데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한국의 도덕교과의 내용 구성에 있어서도 새로운 축의 개발, 교과내용의 이원화, 교과내용 구성에 있어서의 자유의 원칙을 제안하고자 한다. It is necessary to look at foreign cases in order to study the subject "Moral" in Korea.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teaching materials in Germany, especially in Baden-Wuertemberg and Hessen. As a result, two axes of the relation and the contents are proposed. And there are another separation of core area and peripheral area. In the peripheral area there must be issues-oriented selection and free choice-oriented selection. In the principle of issues-oriented selection it is important to search out the present moral problems of students which have social important meaning. In the principle of free choice-oriented selection it must be considered the differences of level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ese two principles are in complementary relations. Through this analys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new axes, to divide two areas of teaching materials, to propose the principle of free choice in the construction of contents in the subject "Moral" in Korea.

      • KCI등재

        특집논문 : 지속가능한 식사의 윤리적 의미에 대한 연구

        변순용 ( Sun Yong Byun ) 한국환경철학회 2014 환경철학 Vol.0 No.17

        이 연구는 현대 한국사회에서 음식윤리의 의미와 필요성을 지속가능한 식사의 윤리적 의미를 통해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현대인의 식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유기농음식과 유전자변형식품의 문제를 중심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음식정의운동과 관련된 음식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정크푸드와 패스트푸드(고칼로리 저영양분), 프랑켄푸드(Frankenfoods)로 대변되는 나쁜 음식(malbouffe)은 음식으로부터 맛, 건강 그리고 문화적, 지역적 정체성을 박탈해버린다. 실제로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먹느냐의 문제는 우리의 삶과 직접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그 당연함으로 인해 그것이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을 망각하고 지내기 마련이다. 따라서 음식영역의 고도의 산업화로 인해 탈맥락화, 탈자연화되고 있는 우리의 먹거리에 대한 진지한 고려와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음식윤리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자연화된, 지역화된, 그리고 신선한 먹거리 접근권은 우리에게 반드시 필요한 기본적인 권리로 인식되어야 하며 음식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제기되어야 한다. This study has tried to suggest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meal ethics, on the one hand with the analysis on the problems in organic foods and GMOs(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the other the problems in food justice movement. Malbouffe, for example, junk food, fast food, Frankenfood, deprives food of taste, health, cultural and regional identities. What and how we actually eat is connected with our concrete daily life, but we forget its meaning and importance. So we need to develop meal ethics which could deal with these problems of our decontextualized and denaturalized food. In order to do this, we insist the right of local and fresh food access and food welfare.

      • KCI등재

        생태적 지속가능성의 실천적 의미에 대한 연구

        변순용 ( Sun Yong Byun ),김나영 ( Na Young Ki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0 초등도덕교육 Vol.0 No.33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규정하기 위해서, 지속가능성 개념의 등장 배경을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보고 ‘지속가능성’과 ‘발전’ 개념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그 구분을 명확히 하도록 해 보았다. 이에 따라 발전을 보는 두 가지 패러다임을 비교하였는데 여전히 인간중심주의적인 시각이 그 바탕에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지속가능성이란 시간적 계속과 유지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개념이라는 점에서 그 시간 관련성은 더욱 명백하다. 그러므로 지속가능성의 시간 틀은 지속가능성을 현재 상태의 유지라는 측면에서 보느냐 아니면 현 상태에서 긍정적인 변화로 보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진다 하겠다. 생태적 지속가능성은 존재, 존재의 본질, 시간, 생태적 관련성을 기본적인 요소로 갖는다. 지속가능한 사회를 인간 중심적인 관점에서 논의하는 것은 이미 그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들을 고려해 보면, 지속가능성은 크게 자연, 인간, 사회, 경제라는 4 요소의 관계를 전제로 논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인간의 지속가능성, 사회의 지속가능성, 경제의 지속가능성이 서로 밀접하게 작용하면서 그 토대에 자연의 지속가능성이 위치하고 있는 개념구조로 이해되어야 한다. 지속가능성의 시간 틀은 지속가능성을 현재 상태의 유지라는 측면에서 보느냐 아니면 현 상태에서 긍정적인 변화로 보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진다 하겠다. 존재의 본질과 존재의 현상 사이의 관계에서 지속가능성은 현상의 유지까지 포함하고 있지는 않을 것이며, 존재의 본질 그리고 존재 관계의 유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존재의 본질과 그 본질의 실현을 하고자 하는 존재의 속성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존재론에 근거해서 생태적 지속가능성 개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속가능성에 대한 가치판단은 존재의 비존재에 대한 우월성에 기초해있다. 인간 삶의 여러 측면에서 제기되는 지속가능성은 21세기의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다양한 지속가능성의 가장 일반적인 공통점은 자연이나 생태계와의 관계를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이고, 이런 의미에서 환경윤리교육에서 지속가능성은 환경문제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당위적 요청들을 정당화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The basic factors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are existence, nature of existence, time and ecological relevance. It is nothing but revealing the limits for us to discuss the sustainable society from the anthropocehtric viewpoint.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se discussions,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sustainanility can be discussed on the premise of relationship among the 4 factors at large, such as the nature, human beings, society and economy. In short, it shall be understood as a conceptional structure, on which the natural sustainability is located, as the human sustainability, social sustainability and the economic sustainability are interacting closely. The meaning of time framework of sustainability varies according to whether the sustainability is regarded as maintaining a present status, or a positive change in the present status. The sustainability in a relationship between a nature and phenomenon of existence would not include the maintaining present status, so it shall be focused on the nauture of existence and the relationship of existence. Based on the Aristotle`s ontology as to the nature of existence and the attribute which tries to realize the nature, the concept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shall be comprehended. And also, the value judgment as to the sustainability is based on the superiority of existence over nonexistence. The sustaiability raised in many aspects of human life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the 21st century. What the various sustainabilities have in common is that it has taken the relationships of nature or ecological system as the premise. For this reason, the sustainability in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s expected to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justifying the various and unavoidable requests raised in environmental ethics.

      • KCI등재

        인공지능로봇을 위한 윤리 가이드라인 연구 - 인공지능로봇윤리의 4원칙을 중심으로 -

        변순용 ( Byun Sun-y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8 윤리교육연구 Vol.0 No.47

        이 연구는 인공지능 및 로봇의 개발과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거나 발생 가능한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및 로봇에 대한 윤리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윤리 가이드라인은 로봇과 관련된 사람들을 위하여 윤리적 기준이나 원칙들의 제시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인공지능 로봇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어떠한 지위를 가져야 하는 지를 규정하고, 이를 통해 윤리적인 책임들이 산출될 수 있도록 인공지능로봇윤리를 제안하고자 한다. 아시모프의 로봇 3원칙과 같은 역할을 하면서도 이를 시대적인 변화에 맞추어 새롭게 해석하고 제안되어야 할 윤리 가이드라인에서는 인간의 존엄성과 인류의 공공선이 기본적인 가치이념으로 제시되고, 이러한 가치의 실현이라는 테두리 내에서 인공지능로봇의 존재적 가치는 인간의 행복실현을 위한 도구적 가치임이 강조되어야 한다. This study proposes the ethical guidelin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that may arise or occur in the proc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 development and use. This ethical guideline does not focus on the presentation of ethical standards or principles for people involved with robots, but rather on what role and status the AI robot should have, and through which ethical responsibilities can be calculated. We need an ethical guideline that serves as the three principles of Asimov's robot and presents new ethical standards in line with the changes in the times.

      • KCI등재

        음식윤리의 내용체계 연구

        변순용 ( Sun Yong Byu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47

        음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면서 다양한 학문적 접근이 이뤄지고 있으며, 음식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된 문제들의 윤리적인 성격이 부각되면서 음식윤리에 대한 연구들이 행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적 맥락에서 음식윤리의 의미를 살펴보고, 음식관련 이슈들을 중심으로 내용체계를 구성해보고자 한다. 음식의 정신적 측면, 문화적 측면을 고려하면서 음식윤리는 무엇을 먹어야 하는가의 물음과 어떻게 먹어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추구하면서 결국 좋은 음식과 식사에 대해서 묻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의 다른 실천윤리분야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사회적 이슈들에 대한 담론들이 형성되고 이를 음식윤리의 내용영역으로 가지게 된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음식의 안전성, 로컬푸드, 슬로우푸드, 유전자 변형 내지 재조합식품의 건전성, 음식정의, 비만과 다이어트 등의 문제를 살펴보았고, 이러한 논의들을 범주화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음식윤리는 음식 내지 식사와 직, 간접적으로 관련된 현상적인 문제들에 대한 윤리학적 분석을 토대로 좋은 음식이 무엇이고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적인 음식 및 식사 규범을 도출해내고 이를 정당화하는 작업이다. 음식과 식사의 책임은 그것을 생산, 분배, 소비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음식의 안전성, 건강성, 윤리성을 요청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안전성, 건강성, 윤리성은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토대로 하여 강조되어야 한다. As social concerns about food grew increasingly and academical approaches are taken to these issues about food, the ethical characters of the direct and indirect problems of food is highlighted. So this study analysed the meaning of food ethics, and tried to make its categories of contents with taking issues of food ethics into consideration. Food ethics aims at answering questions, like as what and how we should eat, and what a good food should be. Like another practical ethics, many discussions about social issues on food would compose the contents of food ethics. In this study are reviewed the problems of food safety, local food, slow food,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food justice, fatness and diet, and presented categorizing methods. Food ethics analyses the problems of food related issues, and justifies what a good food should be and what norms of food should be. The responsibility of food or meal demands safety, healthiness, morality of food, and these should be emphasized based on the ecological sustainability.

      • KCI등재

        로봇윤리헌장의 필요성과 내용에 대한 연구

        변순용 ( Byun Sun-yong ),신현우 ( Shin Hyun-woo ),정진규 ( Jeong Jin-kyu ),김형주 ( Kim Hyeong-joo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7 倫理硏究 Vol.112 No.1

        이미 로봇은 우리의 일상생활과 매우 밀접하게 관계를 맺고 있으며,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할 수 있는 로봇을 거부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에 반하여, 인간과 로봇의 관계 설정에 대한 논의와 로봇의 설계, 제작, 그리고 사용에 대한 논의 또한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해서 2007년에 제정되기로 했던 미완의 로봇윤리헌장에 대한 수정의 필요성과 그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2007년 당시 산업자원부는 세계 최초로 로봇윤리헌장을 제정하려 했지만, 국가적 차원에서 로봇윤리헌장을 공식화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인간과 로봇의 공존을 위해 이 윤리헌장은 매우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현재의 로봇산업 발전에 발맞춰 앞으로 개정해야하는 로봇윤리헌장의 윤리적 근거를 제시함과 동시에 그 수정방향에 대하여 제시할 것이며, 로봇윤리헌장의 초안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인간과 로봇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설정과 로봇 설계자, 제작자, 그리고 사용자가 준수해야하는 윤리원칙에 대한 세련화와 명료화에 대하여 논의할 것이다. Robots are already very closely related to our daily lives, and no one will reject robots that can enrich our lives. On the other hand, discuss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robot are very inadequate. And also, discussions about the design, manufacture, and use of robots are insufficient at the same time.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clear guidelines for th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ecessity and implications of the amendment to the Chart of Robot Ethics, which was enacted in 2007. In 2007,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the world`s first established the Chart of Robot Ethics, but did not promulgate the Chart of Robot Ethics. However, in order to coexist human and robot in the future, the Chart of Robot Ethics is very meaningful. Therefore, this paper will present the ethical basis of the Chart of Robot Ethics which should be revised in the future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urrent robot industry, and simultaneously offer guidance on the direction of the corre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rt of Robot Ethics, we will discuss the clear setting of the relation between human and robot and refinement and clarification of the ethical principle that robot designers, manufacturer and users should comply with.

      • KCI등재

        로컬푸드에 나타난 음식의 윤리적 의미에 대한 연구

        변순용 ( Sun Yong Byun )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4 No.1

        이 연구는 음식에 대한 윤리적 접근으로서 로컬푸드에 나타난 음식의 윤리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한다. 이제는 먹거리 선택이 단순히 개인의 취향이나 식성에 따른 선택이 아니라 윤리적 선택이어야 함을 밝히고, 로컬푸드운동과 관련된 다양한 논의들을 중심으로 세계식량체계와 지역식량체계라는 분석 틀을 통해 글로벌푸드와 로컬푸드의 장단점을 살펴보았고, 구체적인 로컬푸드운동으로는 농민시장과 공동체지원농업, 그리고 학교급식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음식과 인간, 자연의 관계에서 생명부정과 생명긍정의 관계를 통해 규정되는 음식을 먹어야 하며, 생명을 살리는 음식과 그렇지 못한 음식의 구분은 인간의 기본적인 먹을 권리에 대한 존중에 근거하고 있다는 로컬푸드의 윤리적 의미를 찾아보았다. 그래서 먹거리의 자연화와 맥락화, 먹거리 생산자와 소비자의 인식전환을 통해 새로운 먹거리공동체 형성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has tried to analyse the ethical meaning of food in local food as an ethical approach to food. The choice of what we should eat has not only the dimension of personal tastes and appetites, but also the ethical and social dimension. In this study the global food system compared to the local food system with the analysis of versatile discussions about local food movements, i.e. farmers’ market, 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CSA), and school food. In the triad relation among food, human, and nature man should choose and eat food in according to life-affirmation and life-negation. Man should divid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od which encourage the life phenomenon and which negate the life phenomenon. The ethical meaning of local food lies in that this division is based on the human right of eating.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making new food community with the naturalization of food and the change of recognition of producers and consumers of foo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