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코로나 시대의 신앙생활과 가톨릭 교회의 역할: 수원교구를 중심으로

        변미리(Byun, Miree),최영균(Choi, Youngkyu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1 이성과 신앙 Vol.70 No.-

        이 연구는 코로나19시대의 가톨릭 신앙인들의 신앙과 공동체의 현실을 살펴보고 교회론적 전망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의 가톨릭신자들의 신앙 인식과 코로나19 이후 교회의 역할과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제시한다. 먼저 수원교구 신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의 결과에 근거해, 신자들의 종교인식은 세대 간 어느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신자들은 자신의 삶에서 신앙생활이 중요하며, 특히 가톨릭 신자들은 종교의 사회적 영향력이 크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종교를 믿는 이유는 ‘개인의 영적 평안과 질서’가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교회를 통해 맺는 관계성이나 공동체 규범 등의 이유는 상대적으로 크게 역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시기에 가톨릭 신자들은 ‘신앙과 교회 공동체의 소중함을 더욱 깊이 인식’하고 ‘일상생활에서 신앙실천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유투브나 다른 소셜네트워크 매체를 통한 의례와 공동체 생활을 접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이후에도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형식의 신앙생활은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코로나19시기와 향후 교회의 역할에 대해 신자들은 교회의 사회적 역할(‘신자들이 환경, 인권, 경제, 정의 등 사회생활과 관련된 문제)을 적극적으로 행사해야 한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신자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개인의 일상생활에서 신앙이 중요하다고 느낄수록, 그리고 교회공동체의 소중함을 더 깊이 인식할수록 신자들의 행복감이 커진다는 분석을 통해 향후 신앙과 교회공동체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전망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신자들의 신앙생활 조사 분석에 근거해 가톨릭교회의 미래 와 관련된 세 가지 성찰적 전망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회와 신자 사이의 약한 유대(weak tie)가 증가하며 이는 전통적 교회공동체의 형태가 변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이는 교회공동체의 역할 변화와 관련한 성찰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둘째, 종교의 공공성 혹은 사회적 책무가 더 요구될 것이라는 점이다. 가톨릭교회 신자들은 교회의 사회적 영향력이나 사회적 역할에 대해 강조하는 경향이 높은 편이다. 마지막으로 교회운영과 공동체의 민주주의적 합리성의 요구이다. 신자들이 교회나 사제의 리더쉽에 바라는 요소들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교회 공동체의 운영에 대한 변화를 요구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교회는 코로나19 이후 변화의 흐름을 성찰하고 대안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faith of Catholics and the reality of the communi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presents some ecclesial perspective. The conclusion is presented in the following two categories: that of faithful sense and ecclesial role. First, according to the survey looking at the believers' perceptions of religious faith in Diocese of Suwon, although some differences among generations were shown, they generally considered faith as a significant part in their lives. The survey shows that especially Catholics have stronger perception of religion’s social influence. The most common reason for faith was to obtain ‘individual spiritual peace and order’, and relationships and community norms themselves were did not have much significance to individual faith. Nonetheless,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faith and the church community during the pandemic, and thought that ‘practicing faith is important in everyday life’. They became familiar with rituals and community activities through YouTube or other social network media, and are expected to constantly lead and develop such diverse forms of religious lives even after the end of the pandemic. In terms of the church's role, believers responded that the church should actively practice and play a significant role in issues concerning the society, such as environmental issues, human rights, the economy, and justice. Finally, we could have a positive outlook regarding the future faith and church community, since the study shows that people who could gain happiness through faith were more deep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faith and the church community in their daily lives. This study suggests three reflective prospects related to the future of the Catholic Church post pandemic. First, weak ties between the church and the believers will increase and the traditional form of the church will change. The advent of modern society leads to an increase in sociality (extension of social networks) of the individual, which leads to the enhancement of individualism. Second, religion's public role or social responsibility will be required more than missionary work to increase religious strength. Third, demand for democratic rationality in church’s management and communities will be higher than ever before.

      • 미래서울 2030, 도시생활양식과 도시공간 변화

        변미리(Miree Byun),김묵한(Mookwhan Kim) 서울연구원 2012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Vol.- No.-

        Making Future Cities calls for understanding and evaluating the contemporary urban social system, its recent history, its present dynamics, and its possibilities. Recently, Crisis and uncertainty are increasing surrounding the Korean and global society, and policy forecasting based on future research should be needed and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The socioeconomic polarization and social exclusion has been the most important social challenges in contemporary cities. Cities are called upon to appropriately respond to this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restructuring. Seoul Metropolitan City has faced same challenges. In the past decades, Seoul has experienced dramatic changes derived from unprecedented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unfettered economic globalization. These changes undoubtedly have delivered substantial improvements in the lives of peoples in Seoul. Seoul has developed 10 times in economic growth of GRDP during the past 40 years. In the same period, the social and economic polarization also has increased rapidly. Social exclusion, generational unemployment, material poverty, wealth inequalities and ageing population has continued to deteriorate. Fast development brought economic wealth to Seoul, but it gradually disintegrated the kinship neighborhood, shared local identities, and communal traditions as well. What are the policies currently applied and how can there be a more comprehensive, resource-minded urban development? The main aim of this study was to highlight the main challenges for Seoul over the following two decades and to identify the main objectives, instruments and methods Seoul can deploy when tackling them. These questions have been discussed within three methods with the participatory citizen survey(townhall meeting survey), expert survey and empirical data analysis on Seoul’s future. We cover the 20 years of Seoul’s social and economic features, so the temporal scope of this study is by 2030 and its metropolitan area is the spacial extent. In chapter 2, we review the methodology of future study and history of future research. In chapter 3, we analyse future study of cities including Tokyo and United State and recent future trends in Korea. In chapter 4, we propose four mega-trends affecting Seoul, such as population reconfiguration, generation conflict, the mega city region and the climate changes. In chapter 5, we analyse the Mayor’s inaugural address with the text analysis method and issued the enhancing of social quality as the aim of Seoul’s future. In chapter 6, we conduct the citizen participatory survey using the town hall meeting and conduct the expert survey based on the frame of social quality. Finally, we propose the scenarios of social quality in Seoul at the year of 2030. These are the Social Tribe, Me Gray Senior, Nomadingles and Passive Silver.

      • KCI등재

        서울 시민의 행복 메커니즘: 시민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변미리 ( Miree Byun ),최정원 ( Jeong Won Choi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6 조사연구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행복 연구에서 밝혀진 다양한 행복의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서울 시민들의 행복 메커니즘을 실증 분석하였다. 기존연구들에서 논의되는 개인의 행복 결정 요인은 소득(income), 개인적 속성(personal characteristics), 사회적 속성(socially developed characteristics), 여가활동(leisure activities), 자아/타인/삶에 대한 태도와 믿음(attitudes and beliefs towards self/others/life), 관계(relationships), 경제·사회·정치적 환경(the wider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 등 크게 7가지이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과 행복 사이의 상관성은 일관적이기보다 분석 대상과 공간에 따라 달라지는 가변성을 보여준다.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그 영향력은 대상과 공간에 따라 달라진다는 특성을 전제로, 본 연구는 두 가지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 시민들을 행복하게 만드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두 분석의 공통된 결과는 다양한 독립 변인들을 통제했을 때 서울 시민들의 행복지수인 주관적 행복감에 학력, 소득, 직업 등 개인에게 부여된 인적, 물적 자본이 갖는 영향력은 제한적이라는 점이다. 반면 개인이 생활환경에서 느끼는 만족감, 특히 경제상황에 대한 주관적 만족감이 행복지수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다. 서울 시민의 행복이란 이들이 소유한 다양한 인적, 물적 자본의 직접적 투영이라기보다 그러한 자본이 만들어내는 경제 환경에 대한 주관적 태도가 자신의 행복감정도의 판단 기준으로 작용하는 인지의 대응 결과이다. This paper reviewed a wide range of literature which identified varying determinants of happiness and analyzed empirically the mechanism of happiness of people in Seoul.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following seven factors-income, 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ly developed characteristics, leisure activities, attitudes and beliefs towards self/others/life, relationships, and the wider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were identified to assume a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happiness. Their influences on happiness, however, were rather inconsistent, varying from subject to subject and place to place. That is, as much as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are multifaceted, their relationship with happiness are not consistent. This paper, therefore, using two survey data sets, investigated the mechanism of happiness at work for Seoulites. Controlling for varying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two data sets suggested in common that the happiness of Seoulites is mainly determined not by the objectified human and economic capitals they possess such as education, income, or occupation, but by the subjective satisfaction they feel in life, especially with respect to materialistic and economic circumstances including job stability, finance, achievement, living standard as such. This, put differently, indicates that the happiness of Seoulites is not an objective reflection of capitals that they possess in reality, but a re-evaluation of subjective satisfaction they feel toward socioeconomic conditions that their human and economic capitals have created: hence, a communication between cognition and cognition, not between reality and cognition.

      • 도시경쟁력과 문화가치

        변미리(Miree Byun) 한국문화정책학회 2014 문화정책 Vol.1 No.-

        많은 도시들은 도시경쟁력 제고를 위해 어떻게 도시가치를 높일 것인가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세계화의 지속적인 확산은 글로벌한 단일 문화권으로서의 인류공동체의 형성이라는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피할 수 없는 전 지구적 경쟁 환경을 초래했다. 이러한 환경 변화 속에서 도시의 가치를 높이는 방안으로 물리적 환경, 양화될 수 있는 경제적 요소들 이외에 사회적 관계나 사회적 행위의 결과로서의 사람과 문화 등의 무형적 가치에 대한 강조가 두드러지고 있다. 지금까지 도시경쟁력의 주요 척도였던 GDP 등의 경제지표 이외에 사회적 시스템이나 문화적 수준, 도시의 생활스타일 등 도시가 갖고 있는 소프트한 측면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발전 패러다임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에서는 이에 대한 실증적 논의나 분석적 연구는 그리 활발하지 않다. 도시경쟁력 개념, 창조도시론, 소프트파워론 등이 사회과학의 이론적 논의로 발전하기보다 정책개발의 실용적 목적으로 도출된 때문이기도 하고, 이러한 논의를 뒷받침할 실증적 사례들을 일관되게 제시하기 어려운 이유도 있다. 이글은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도시경쟁력 제고를 위한 문화적이고 소프트한 파워현황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도시가치를 평가하는 도시경쟁력 평가체계 현황을 리뷰하고, 도시경쟁력 평가영역에서 문화가치를 포함한 무형의 부문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밝힌다. 또한 도시경쟁력 제고의 주요 요소로서의 창조문화부문과 소프트파워부문에서 아시아 도시들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서울을 포함한 아시아 도시국가에 대한 실증 자료에 근거해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에 기반해 도시경쟁력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문화자본을 포함한 삶의 질 가치를 제고하는 방안이 중요하며 이는 각 도시간의 맥락적 유사성과 차이성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밝힌다. 동시에 특정 지역의 문화가치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문화정책이라는 협의의 수단 뿐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의 사회문화적 토대를 강화하는 포괄적인 접근방식과 정책접근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다. In the past two decades, general and conflicting trends have characterized the situation of many urban areas across the world. The same processes driving an increase in the competition among cities at the global scale have played a role in creating tensions in the social sphere. The concept of competitiveness has grown significantly in the past decades and it is now common for cities, regions and nations to assess, improve and publicize their competitive standings toward other places. Yet it remains rather unclear just what competitiveness is when applied to places, which have objectives distinct form those of private sector organizations, for whom share price and profitability serve as common metrics. By the way, social and cultural values are more important for raising the urban competitiveness than any other factor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mainly reviewed the global urban competitiveness evaluation system conducted by severa consulting firm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Based on the comparing several urban competitiveness evaluation systems, we analysed the key indicators of cultural value and soft-power to enhance the urban competitiveness.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urban competitiveness theory and soft-power theories and analysed the empirical data of soft-power capacity among several cities. As the results of our analysis, we addressed that the importance of cultural value and soft-power capacity in regions’ competitiveness. We also insisted that we could enhance the urban competitiveness not only by the direct cultural policy but also by the general social and cultural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