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만 5세 조기취학 아동의 초등학교 3학년 적응도에 관한 연구

        백경순(Kyung Sun Back),이대균(Dee Kyun Lee) 한국아동학회 2000 아동학회지 Vol.21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daptability of 3rd grade children in Taejon who had started first grade at 5 years of age. Subjects were 64 third grade children, half of whom had started first grade at 5 years and half at 6 years of age. Thirty-four parents and 36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also sampled. The General Intelligence Test, the Learning and Thinking Ability Test, and the Socio-Emotional Development Checklist were administered to the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n the Adaptability of Early Entrance Childre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ho started first grade at 5 and those who started at 6 years of age in their Intelligence scores, Learning and Thinking Ability scores, and the Socio-Emotional Development scores. Parents as sell as teachers felt that the early entrance system was positive for children.

      • KCI등재후보

        유아문학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관련학회 학술지」와「어린이문학전문 학술지」-

        백경순 ( Kyung Sun Bac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유아문학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유아문학 연구의 수준 향상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유아교육연구』,『아동학회지』,『열린유아교육연구』,『미래유아교육학회지』,『유아교육학논집』와 『어린이문학교육연구』에 게재된 242편의 유아문학 관련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작성된 유아문학 관련 논문은 12편에 불과한데 비해 2000년을 기점으로 2008년까지 게재된 논문은 230편으로 늘어나 약 20배 정도의 괄목할만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연구유형은 『유아교육의 5개 학술지』의 경우 "양적연구"에만 치우치고 있으나, 『어린이문학교육연구』에서는 "양적연구"와 "문헌연구"가 서로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문헌연구의 등장은 그림책을 단지 교육 매개체로 활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양적 연구에서 벗어나, 유아문학의 원론적인 문학성과 예술성을 분석하려는 의도라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유아문학 관련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그림책(2041편)이었다. 구체적으로 "교육내용으로 활용"과 연관된 논문에서는 문학성에 대해 가장 많이 연구하였고, "교수활동으로 활용"과 연관된 논문에서는 그림책을 읽고 문학관련 활동을 경험한 후에 유아들의 언어발달(62편), 창의성발달(20편), 사회성발달(15편) 등의 효과 여부를 검증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유아교육의 5개 학술지』에서는 "실험법"과 "차이분석"을 많이 사용하였고, 『어린이문학교육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문헌분석이나 기술통계"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림책의 장르는 환상동화가 949편(46.5%)으로 가장 많았다. 결론적으로 양적 성장과 함께 다양한 연구주제와 관점으로 유아문학의 연구방법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의 필요성과 유아교육에서 유아문학의 공헌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42 piec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qualitative studies published by『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Child Studie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and 『Korea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thesis on young children`s literature between 1996 and 1999 is 12, the number between 2000 and 2008 is 230 and the increase is noticeable with 20 times. The type of study in 5 journ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leans on quantity research, but the study in young children`s literature is quantity research and books, so the number of book research is remarkable with other journals compared. The instrument of studies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was picture books, whose number was 2041. In details the study of literacy in case of using the picture books as a text was the most and the studies for language development(62), creative development(20), and social development(15) appeared strongly when it was used as activities. In 5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iments and difference analysis were methods of study, and books research and book analysis or statistics in the children literatures. In conclusion the study of children`s literature, the journal of young children literature published in 2000 has become an stimulating tool to develop and expand the research of young children` literature.

      • KCI등재

        유아문학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1995년~2003년을 중심으로-

        이대균 ( Dae Kyun Lee ),백경순 ( Kyung Sun Bac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5 No.1

        1980년대 들어 총체적 언어교육 이론이 확산되면서 유아교육에서 문학을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려는 노력이 확대되어왔다. 문학을 이용한 언어교육은 이미 오래전부터 시도되어왔으며, 최근 들어서는 문학을 활용한 과학교육, 문학을 활용한 수학교육 등 여러 방면으로 확산되어왔다. 그리고 2000년도부터는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에서 독립적으로 별도의 학회지를 출판하는 등 1990년대 후반에 비해 2000년도 들어서는 유아문학 교육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활성화 되어 논문 편수가 3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시점에서 유아문학교육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유아문학교육의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330 articles, such as master, doctoral thesises and journal.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mount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article, such as master, doctoral thesises and journal has increased three times than 5years ago. Second, young children`s literature is usually used as a resource of literature itself, as well as a tool to teach other subject. But the research trend should be changed to teach the contents of literature.

      • KCI등재

        통합교육 유치원에 소속된 특수유아의 자유놀이 실제에 대한 질적 연구

        이대균(Lee Dae-Kyun),백경순(Back Kyung S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일반유치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특수유아의 자유놀이 특성 그리고 자유놀이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요인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특수유아의 장애유형은 다운증후군, 자폐아, 지체부자유, 정신지체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교실에서 특수유아들이 보이는 자유놀이 특성으로는, 교사의 개입이 있을 때와 없을 때로 구분할 수 있는데, 특수유아들은 교사개입이 없이는 일반유아들에게 수용되지 못하는 외톨이이었고, 교사의 개입이 있을 때에는 일반유아들의 놀이 행동을 관찰하면서 모방하거나, 놀이수준은 더 어린 연령의 수준으로 낮았으며, 익숙한 것에서 놀이 방법을 예측할 수 있었고, 그들에게도 잘 할 수 있는 놀이가 있었으며, 놀면서 배울 수 있고, 놀이에서 오는 성취감은 자신감을 갖게 하여 다른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일반교실에서 특수유아들의 성공적인 자유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특수유아들의 흥미를 찾아 존중하기, 특수유아들의 발달수준에 적합한 놀이 제공하기, 놀이로 연결하는 다리 역할 해주기, 일반유아들이 특수유아의 놀이상대자가 되어주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들은 일반교실에 소속되어 있는 특수유아의 놀이참여를 유도하는 교수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lay andthe factors of the achievement of play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ith inclusive education in a kindergarten. The children's types of disorders were Down's syndrome, autism, physical disabilities, and mental retardation. The researchers guided teachersto lead children to participate in a play. Also, children had their authority whether or not they ought to take part in a play without compul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play were divided into two parts, one with teacher's intervention and one without teacher's intervention.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ere treated distantly by other children without teacher's intervention. With teacher's intervention,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observed and imitated other children's playing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playing level was below their age level and we could predict them how to play with familiar play materials. Also, there were some plays which they could paly welland they could learn when they were playing. There was positive effective from the accomplishment of play and it enabled them took active parts in other activities with self-confidence. Second, there were factors in children's success play. They were searching and respecting children's interests, providing appropriate level of play, mediating children to play, and children who do not need special education play with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se factors could be applied as teaching strategies to guid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o participate in play in a regular classroom.

      • KCI등재

        상품화된 조작 교구를 활용한 유아 수학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 능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대균(Lee Dae Kyun),백경순(Back Kyung Sun),홍영희(Hong Young 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상품화된 조직 교구를 활용한 유아 수학 교육 프로그램’을 유아에게 적용하였을 때 유아들의 수학능력 발달(사물의 규칙성, 수개념, 기하, 측정)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3세 55명, 만 4세 52명, 만 5세 54명으로 총 161명이었다. 실험집단은 ‘상품화된 조작 교구를 활용한 유아 수학 교육 프로그램을 32주 동안 층 32회(1회 30~40분) 적용하였으며 비교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교사가 제작한 조작 교구’를 활용한 수학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6주간 적용한 후의 1차 사후검사에서는 만 3세의 사물의 규칙성, 수개념, 기하 능력, 만 4세의 사물의 규칙성, 측정 능력 만 5세의 사물의 규칙성, 수 개념, 기하, 측정 능력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32주간 적용한 후의 2차 사후검사에서는 만 3세의 사물의 규칙성, 수개념, 기하, 측정 능력, 만 4세의 사물의 규칙성, 수개념, 측정 능력, 만 5세의 사물의 규칙성, 수개념, 기하, 측정 능력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상품화된 조작 교구를 활용한 유아 수학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능력 발달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In this paper, we applied the 'Kinder Math Program utilizing commercially-produced materials' to young children to verify the mathematical effect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was 77 3-, 4-, and 5-year aids at W kindergarten in Daejeon. The control group was 84 3-, 4-, and 5-years old at M, P and D kindergarten in Daejeon, Using the statistics program (SPSS), we analyzed the effects of Kinder Math Program utilizing commercially-produced materials as the mathematical ability improvement of 3, 4, and 5-years old young children. From these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3-years old, we found that the rule of matters, mathematical concept, measurement ability and geometrical ability improv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led group. 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4-year aids, we found that the rule of matters, mathematical concept and measurement ability improved, bur geometrical ability did not improve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5-year olds, we found that the rule of matters, mathematical concept, geometrical concept, and measurement concept improv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Kinder Math Program utilizing commercially-produced material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athematical ability of 3-, 4-, and 5-year old children. Consequently, these research results can be help to develop a commercialized mathematical tool for the growth of young children and increase of the use of the Kinder Math Program utilizing commercially-produced materials in education field.

      • KCI등재

        『열린유아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 1996-2005

        이대균(Lee Dae Kyun),백경순(Back Kyung Sun),김현수(Kim Hyun So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열린유아교육연구』 1권 1호부터 10권 4호까지 10년 동안 게재된 총 415편의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논문들은 연도별로 연구유형, 연구주제, 자료수집 방법, 자료분석 방법, 연구자수, 사례수, 표집대상으로 나뉘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연구유형별로는 양적연구가 61.2%, 문헌연구가 27.7%, 질적연구가 11.1%를 차지하였으며, 연구주제별로는 교수방법이 21.7%, 발달심리가 19.0%, 교육과정이 15.9%의 분포를 보였다. 그리고 자료수집 방법에 있어서는 질문지법이 25.8%, 실험법이 19.3%, 검사법이 7.2%로 나타났으며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차이분석이 33.5%, 두 가지 이상의 자료분석 방법을 사용한 다중분석이 15.2%의 비중을 보이고 있었다. 한편 연구자의 수는 단독 연구가 49.4%, 2인 연구가 36.7%, 3인 연구가 10.4%를 차지하였으며 연구대상의 사례수는 50인 미만이 19.5%, 50인 이상-100인 이하가 15.7%, 101인 이상-200인 이하가 13.7%의 순서를 보였다. 그리고 표집대상으로는 성인이 32.0%, 5세아가 15.2%로 나타났다. 10년간의 연도별 변화에 있어서는 양적연구 선호 경향이 지속되고, 교수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자료수집 방법에 있어서는 질문지법이 지속적으로 선호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료분석에 있어서는 두 가지 이상의 자료분석 방법을 사용하는 다중분석이 증가하고 있으며 2인 이상의 공동 연구가 증가하여 심층적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사례수는 100인 이상의 연구가 증가하고 있고 표집대상은 성인의 비중이 점차로 높아지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resent the research tren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415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1996 through 2005. The 415 articles were analyzed by research type, research subjects, data collection methods, data analyzing methods, the number of researchers, and the number of samples and age ranges within the samp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ajority of research types were quantitative study, and the largest number of study subjects were related to teaching methods. Most of the data instruments were questionnaires and data analysis were multi analysis. Approximately one half of dissertations were studied in collaboration with other researchers. The number of samples were generally less than 300 samples and more than 300 samples were 11.6%. Also, adult participated studies were 38.0%.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are as follows: Foundation studies are essential to establish unique identity in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Furthermore, the additional studies would be required to facilitate developing administration syste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by the quality of Korea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ould be improved.

      • KCI등재

        그림책 반복적 읽어주기에 따른 유아의 문학적 반응 연구

        이대균 ( Dae Kyun Lee ),백경순 ( Kyung Sun Bac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만3-5세를 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그림책을 동일한 유아에게 반복적으로 읽어주고, 그 횟수에 따라 유아가 어떠한 문학적 반응을 보이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그림책으로의 재방문을 통하여 그림책 속에 포함된 문학적 요소들을 단편적에서 종합적으로, 또는 심층적으로 이해하거나 새로운 발견을 통해 글의 맥락을 엮어갔다. 유아들의 문학적 반응은 개별적인 차이가 있었지만, 대부분의 유아들은 읽어주기의 횟수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한번읽기에서 얻을 수 없는 긍정적인 혜택을 얻는 공통점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literary response as read a picturebook repeatedly. It results that children have more chances to read picturebooks, compile a communication of story through integration of literary functions from the fragmentary, and obtain a fascinated understanding and more discovery. The literary response of young children shows diversity one after another, but the most of children have a positive advantage commonly as increase the number of reading and as increase the age of children.

      • KCI등재

        사립유치원의 예산 운영에 관한 연구

        이대균(Lee Dae-Kyun),백경순(Back Kyung S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5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의 예산서를 대상으로 하여 첫째, 사립유치원 예산 편성의 효율성 측면에서 세입, 세출 내역을 분석하였으며 둘째, 사립유치원 예산서 작성의 정확성 측면에서 사학기관 재무회계 규칙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사립유치원 예산 편성의 효율성과 사립유치원 예산서 작성의 정확성올 도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대도시인 A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립유치원 중에서 무선 표집하여 예산서의 제공에 동의한 67개 유치원의 예산서였는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산 편성의 효율성 측면에서는 유치원에 따라 인건비의 비중이 세출 총액 대비 40%미만에서부터 80%이상에 이르기까지 그 차이가 극심하였으며 인건비 비중이 괴다한 유치원의 경우에는 유아들에게 학습 자료 등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관리 운영비 등이 부족하여 교육의 질이 위협받는 경우가 있어 사립유치원의 기본적인 관리운영비를 확보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교육부의 지침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공립유치원의 경우는 원당, 학급당, 원아수당 기본적인 관리운영비를 지정해 예산을 편성하고 있다. 둘째, 예산서 작성의 정확성 면에서는 예산서의 세부 항목의 누락, 세부 내역의 미기재, 비통합 예산 회계 운영, 전년도 이월금의 미계상, 계산상의 오류 등이 나타났는데, 사립유치원의 경우 서무 전담 직원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예산서 작성 및 회계 업무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유치원의 회계 담당 교원을 대상으로 학년도 초에 예산서 작성을 위한 실무 연수를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budgets of private kindergartens. First, this study analyzed revenues and expenditures of a compilation of private kindergartens' budgets based on efficiency.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accuracy of drawing up budgets based on private school financial and accounts criteria to provide research materials for improving drawing up a private school budge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7 budgets of urban area private kindergartens which consented to provide their budge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Based on the efficiency of the compilation of budgets, the personnel expenditure difference was huge depending on kindergartens from less than 40% through higher than 80%. In excessive personnel expenditure kindergartens' case, they were faced with the menace of low educational quality such as a lack of budget for providing children's educational materials. Ther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 guideline is necessary to ensure the basic budget. For example, to maintain high quality education, public kindergartens allocate the budget by kindergartens, classes, and children. Based on the accuracy of the budgets, most private kindergartens lacked staff for account. Therefore, most kindergartens had problems with budgets such as missing out details of budget, over earmark for a pension and a health insurance by mistake, and balance brought forward from the previous year was zero. During the beginning school season, the compilation of the budget training was recommended for teaching staffs in charge of the kindergarten account.

      • KCI등재

        유아교사의 그림책 선정과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이대균 ( Dae Kyun Lee ),정명자 ( Myung Ja Jung ),백경순 ( Kyung Sun Bac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림책 선정과 지도방법의 실제를 질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책에 대한 교사 자신의 이전경험이 교수실제에 반영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그림책에 대한 문학적·예술적인 가치를 평가하는 능력이 부족 하였다. 셋째, 그림책 선정은 주제와 관련된 그림책을 중심으로 교사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은 상황에 따라 경험적 방법과 분석적 방법을 활용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사들은 그림책을 통한 정서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과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강조하면서, 주의집중을 유도하는 데도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었다. 여섯째, 그림책 지도에서 어려운 점으로는 주제별로 질적으로 우수한 그림책이 그 종류와 수량에 있어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using a qualitative method researched the instructional practices of picture books by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The result of the instructional practices is as follows: First, previous experience of the picture books by the teachers was involved in the instructional practices. Second, the teachers had the lack of appreciating the value of the picture books related to literature and arts. Third, the selection of the picture books focused on themes was made by subjective decision of the teachers. Fourth, the ways of reading the picture books depending on situations were associated with an experienced method and an analytical. Fifth, the teachers used the picture books to develop concentration, emotion, cognition, use of language, and behaviors required for living. Sixth, the difficulties of instruction of the picture books related to theme were shown as shortage of quantity of the books and var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