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DPPC Liposome에 미치는 고들빼기 추출물의 DSC 연구

        배송자(Song-Ja Bae),김남홍(Nam-Hong Kim),노승배(Sung-Bae Roh),정복미(Bok-Mi J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세포막의 유동성이 막의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는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성질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첨가물을 가함으로써 인지질 이중층(liposome)의 물리ㆍ화학적 성질이 변화에 따라 막 유동성에 미치는 고들빼기 첨가물의 영향을 열시차 열량 분석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인지질 liposome에 미치는 고들빼기 첨가물의 유동성 증가 여부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DSC 법에 의한 고들빼기 hexane 추출물과 분획물의 막유동성 증가경향은 DPPC 단독 liposome의 경우 상전이온도에서 아주 뾰족한 thermogram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것은 결정 상태의 인지질이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액상 결정 상태가 되면서 생긴 상전이 과정으로서 고들빼기 추출물 및 분획물을 농도별로 가하였을 때, 그 정도에 따라 전반적으로 상전이온도는 서서히 저하되고, thermogram은 넓게 됨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따라 ΔHcal의 변화가 일어나고 고들빼기 추출물 및 분획물의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ΔHcal가 저하되었으며 ΔH_(VH)/ΔHcal의 비가 감소되어 협동단위의 저하가 일어나므로써 고들빼기 hexane 추출물 및 분획물에 의한 막유동성 증가를 비교 검토 할 수 있었다. Liposomes have been widely employed as biomembrane-mimetic system and drug-delivery system. In these applications, the low stability of liposomes has been the most serious problem. They have relatively short half-lives and are easily lysed through interactions with biological compon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odulbaegi extracts on the fluidity of phospholipid liposomes. We used dipalmitoyl phosphatidylcholine(DPPC) liposomes which make most stable liposomes among the other phosphatidylcholines. The thermograms of the DPPC liposomal bilayers incorporated with the hexane extract of godulbaegi(Ixeris sonchifolia H.) were obtained, and the enthalpy changes and the sizes of cooperative unit of the transition were calculated. The incorporation of the Ixeris sonchifolia H. into the liposomal bilayers effectively reduced the transition temperature at which the transition from gel state to liquid-crystalline state occurs, broadened the thermogram peaks, and reduced the ratio of van't Hoff to calorimetric enthalp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odulbaegi extracts (Ixeris sonchifolia H.)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fluidity of biological membranes.

      • SCOPUSKCI등재

        고들빼기 잎추출물이 흰쥐의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배송자(Song-Ja Bae),김남홍(Nam-Hong Kim),하배진(Bae-Jin Ha),정복미(Bok-Mi Jung),노승배(Sung-Bae R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고들빼기를 분획별로 나누어 수층, butanol층, hexane층, ethyl acetate층 분획물들을 1주일간 흰 쥐의 복강내 주사 후 마지막날 사염화탄소를 복강내 1회 투여하여 간손상을 유발시킨 쥐의 간중량, 과산화지질, 항산화효소활성 및 간조직을 관찰하였다. 체중에 대한 간중량 백분율은 간손상군중에서 n-hexane 분획물 투여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혈청 중 GPT활성 역시 n-hexane 분획물 투여군이 거의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졌다. 간 중 MDA함량은 고들빼기 분획물 투여군들이 모두 낮은 경향이었으며 그중에서도 n- butanol 분획물 투여군과 n-hexane 분획물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 중 GST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간손상군이 떨어졌으며 간손상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ethyl acetate 분획물 투여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간조직 관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간손상군의 조직에 염증 및 괴사가 뚜렷이 나타났고 고들빼기 n-hexane 분획물 투여 후 간독성 유발 쥐의 간조직에서는 염증 및 괴사가 확실히 감소한 경향을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odulbaegi leaf extracts on detoxication of liver injury in CCl₄-treated rats. We divided normal group(S) and CCl₄-treated group and then CCl₄-treated group was divided into 6 groups; only CCl₄-treated group(CS), aqueous extract pretreated group(CSA), n-butanol extract pretreated group(CSB), Tween 80 pretreated group(CT), n-hexane extract pretreated group(CTH) and ethyl acetate extract pretreated group(CTE). The ratio of liver weight per body weight and the activity of GPT in hexane extract group(CTH) were lowest, similar to the results of S. Godulbaegi n-hexane extract(IS) groups intoxicated by CCl₄ had lower values of MDA than CS and CT which are control groups. Histological finding of liver tissue revealed less of necrosis in IS extracts groups than in control groups(CS, CT). From these results, IS extracts could predominently prevent hepat-otoxicity of rats. Especially, hexane extract was effective on the detoxication of liver injury among the other extract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감자 껍질 분획성분의 항발암 효과

        배송자(Song-Ja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5

        일상생활에서 애용되고 있는 감자는 조리 시 껍질이 거의 폐기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폐기 농산물의 재활용의 측면에서 감자껍질(Solanum tuberosum Peel)을 수거하여 추출, 분획한 후 항균 및 항발암 효과를 살펴보았다. 항균성 검사로는 5가지의 균주에 대한 감자껍질의 분획물의 농도별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SPMEE에서 가장 큰 항균력을 보였으며, 특히 Pseudomonas aeruginosa 균주에서는 앞서 4가지 균에서는 활성이 없던 수층인 SPMA에서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감자껍질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MTT assay로 실험한 결과, 3종류의 암세포 HepG2, HeLa 및 MCF-7 세포주에서 모두 ethylether 분획층인 SPMEE층에서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MCF-7의 경우는 저농도 첨가 시부터 SPMB층에서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또 HepG2세포를 이용한 감자껍질의 분획물의 암예방 QR 유도 활성효과를 본 결과, butanol 분획층인 SPMB에서 괄목할 만큼 높은 QR 유도 활성이 증가되었다. 본 실험 결과, 감자껍질에는 전반적으로 SPMEE층에서 높은 항균성을 보여 항균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이 충분히 엿보이며, 나아가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도 SPMEE층에서 아주 컸다. SPMB와 SPMEA층에서도 그 효과가 돋보인다. 암을 예방하는 inducer는 SPMB층에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폐기 감자껍질을 이용한 단계적인 생리활성 물질의 분리 동정이 계속 이루어져 폐기식품 활용 및 건강 대체 식품개발의 연구 대상으로서 기대가 되는 바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the Solanum tuberosum Peel (SP) on several microorganisms and human cancer cell lines. Among the various solvent fractions of SP, the ethylether partition layer (SPMEE)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ethylacetate partition layer (SPMEA) and butanol partition layer (SPMB) resulted in good antimicrobial activity. We also determined the effect of SP extract and fractions on cytotoxicity, and chemopreventive effect on human cancer cell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cytotoxicity of SP partition layers on HepG2, HeLa and MCF-7 cells by MTT assay. Among the various partition layers of SP, SPMEE and SPMB were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s on all cancer cell lines. The quinone reductase induced activities of HepG2 cell, the butanol partition layer (SPMB) at a does of 40 μg/mL was 8.49 times more effective compared to the control value of 1.0. This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revious results using the other materials. Therefore, based on these studies, SP may be developed into a potentially useful antimicrobial and anticarcinogenic agents.

      • KCI등재

        홍경천의 항산화ㆍ항발암 효과 연구

        배송자(Song-Ja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9

        중국, 일본 및 한국에서 약용으로 이용되는 홍경천을 시료로 하여 추출,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생리활성 물질을 검색하였다. 4종의 암세포주인 HeLa, MCF-7, HT-29 및 HepG2를 이용하여 암세포성장억제실험을 한 결과 홍경천의 ethylether층인 RSMEE에서는 다른 층에 비해서 비교적 높은 암세포성장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HepG2 세포주에서는 시료 최고첨가농도인 500 ㎍/mL을 첨가하였을 때 90%의 비교적 높은 암세포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MCF-7 세포주에서도 비슷한 결과였다. 한편 HepG2 세포주에 대한 홍경천의 QR 유도활성 효과는 분획물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증가하였으며 특히 hexane층인 RSMH에서는 시료 최종첨가농도인 200 ㎍/mL에서 3.5배의 높은 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한방에서 여러 가지 약용으로 쓰이는 홍경천은 ethylether층 즉 TSMEE에서 암세포 성장저지효과가 제일 컸고, 암예방 지수인 QR 유도활성은 hexane층인 RSMH이 제일 높았으며 RSMEE층은 그 다음으로 효과가 있었다. 홍경천의 항산화효과는 이미 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진 Vit. C의 효과와 비슷하였으며 200 ㎍/mL의 홍경천 첨가시 첨가전보다 암세포수 감소와 더불어 형태학적으로 괴사가 일어나기 시작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여러 실험결과에 의하면 예로부터 민간요법에서 애용되어 온 홍경천은 암예방 및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력도 매우 좋은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 추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carcinogeni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hodiola sachalinensis (RS). Hexane (RSMH), ethylether (RSMEE), ethylacetate (RSMEA), butanol (RSMB), aqueous (RSMA) frac- tions and methanol extract (RSM) were screened for their growth inhibition effects using 3-(4,5-dimethyl- 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on HepG2, HeLa, MCF-7 and HT-29 cells. The anticarcinogenic effects of RSMEE was most significant when tested on MCF-7 and HepG2 cell lines at the concentration of 500 ㎍/mL which resulted about 84% and 90% on MCF-7 and HepG2 cells, respectively. The quinone reductase (QR)-inducing activity of RSMH on HepG2 cells was 3.5 times higher compared with the control at the concentration of 200 ㎍/mL.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SM, RSMEE, RSMEA and RSMB showed about 80% of electron donating activity (EDA) which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vitamin C as a control. We observed morphological changes of shrinking and the blebbing of HepG2 cancer cell membrane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RSMEE.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雜穀混食時 흰쥐 血漿中의 遊離 鹽基性 아미노酸(Lys His Arg) 含量에 對하여

        배송자(Song-Ja Bae),김성로(Sung-Ro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7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6 No.1

        The male rats after weaning were fed with the mixed diets of rice and some cereals for three weeks in a ad-libitum method.<br/> The growthgain of rats were determined by feeding those diets and the contents of free basic amino acids level in plasma were analyzed by amino acid analyzer.<br/> The results were as follows;<br/> 1. Rice diets group was highest in growthgain and weightgain, the second was the mixed of 80% rice-20% barley, and the last was the 80% rice~20% wheat group.<br/> 2. It was similar in the contents of plasma free basic amino acids of every diet group.<br/> The contents of Lys was highest and Arg, His were low in order. The mixed diet of 80% rice-20% barley group was higher than the rice only diet group in the contents of Lys and His. but rice only group was highest in Arg.<br/> The mixed of 80% rice-20% wheat diet group was lowest in the contents of Lys, His, Arg.<br/> Therefore feeding mixed diets of rice and cereals. the contents of Lys was highest, the second was Arg and the last was His in the plasma free basic amino acids level.

      • KCI등재

        농산 부산물 분획성분의 항균 활성

        배송자(Song-Ja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6

        일상적인 식생활에서 흔히 애용되고 있는 감자와 양파의 껍질은 농산 부산물로서 거의 폐기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폐기 농산물의 재활용의 측면에서 또 환경 친화적인 면에서 본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감자껍질(Solanum tuberosum Peel, SP)과 양파껍질(Allium cepa L. Peel, AP)을 수거하여 추출, 분획한 후 각 균주에 대한 생육억제 효과를 paper disc법에 의하여 살펴보았다. 각 균주에 따른 실험 결과를 보면 여러가지 균들 중에서는 Psedomonas aeruginosa균에서 가장 큰 항균활성을 볼 수 있었으며, 감자껍질에 비해 양파껍질이 대체적으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양파의 ethylether 층인 APMEE와 butanol층인 APMB는 2000 ㎍/mL 농도에서는 17.72 및 16.35 ㎜의 높은 균 생육억제대가 나타나 본 연구실에서 이미 행한 여러 다른 시료를 이용한 연구결 과중에서도 아주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Streptococcus mutans균에서는 초기 농도에서는 SPM에서 균 생육억제대가 서서히 형성되었으나 APM의 경우는 거의 활성이 보이지 않았지만 최종농도 2000 ㎍/mL에서는 ethylether층인 APMEE층에서 매우 높은 균생육 억제대인 11.00 ㎜로 나타나 같은 농도의 SPMEE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보여주었다. Staphylococcus aureus균의 경우 양파의 butanol층인 APMB를 1500과 2000 ㎍/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10.65, 12.28 ㎜의 높은 생육억제대가 나타났다. 이외의 균들에서는 각 용매 분획별로는 미약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4가지의 균주에 대한 감자껍질과 양파껍질 분획물의 농도별 각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두 시료 모두 ethylether 층에서 가장 큰 항균력을 보였으며, ethylacetate 층과 butanol 층에서도 비교적 높은 항균력을 보였다. 특히 감자껍질의 경우 Pseudomonas aeruginosa 균주에 대해 수층에서의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농산 부산물인 양파와 감자껍질을 이용한 천연 항균제 및 식품 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이 평가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waste food fractions, the Solanum tuberosum Peel (SP) and Allium cepa L. Peel (AP) on several microorganisms. The methanol extracts (SPM, APM) of SP and AP were fractionated to five different types, which were hexane, ethylether, ethylacetate, butanol and water. Among the various fractions, ethylether and butanol fractions of AP (APMEE, APMB) showed stronge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and Staphylococcus aureus than the other fractions. The ethylether fraction of SP (SPMEE) also showed the highe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scherchia coli than the other 4 frac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aste food fractions, SP and AP may be developed into bioactive antimicrobial health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