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토드 헤인즈의 〈캐롤(Carol)〉의 영화적 공간: 멜로드라마적 과잉과 억압된 주체성을 중심으로

        최민정(Choi, Minjeong),배상준(Bae, Sangjun)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8

        본 연구는 ‘영화적 공간’을 영화의 서사 진행을 위한 연출적 배경인 ‘영화 속 공간’과 구분되는 일종의 영화적 형식언어로 바라보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영화적 공간은 영화의 물리적 실체이자 정서적 심층을 구현하는 토대로서 개인과 집단의 내면화된 공간성을 내포하는 메타적 개념이다. 이는 규범적인 장소의 특성과 캐릭터의 정서 그리고 감독의 미적 양식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한 결과이며, 이를 독해하는 관객의 경험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성’이라고 할 수 있다. 더글라스 서크(D. Sirk)는 이러한 영화적 공간의 다층적 구조와 그로부터 파생된 의미생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멜로드라마적 과잉’을 장르의 표현양식으로 승화시켰다. 본 연구는 서크의 연출미학, 즉 멜로드라마의 양식적 과잉의 관점에서 토드 헤인즈(T. Haynes)의 〈캐롤(Carol)〉(2015)의 영화적 공간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캐롤〉의 양식화된 영화적 공간은 그 주제의식은 물론 개인의 내면화된 서사를 구체적으로 시각화하는 영화적 장치로 기능한다. 즉, 개인의 희생을 종용하는 이데올로기의 억압을 폭로하는 동시에 그 전복의 가능성까지 영화적으로 양립시키며, 사적 그리고 사회 · 문화적 현상을 징후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영화적 공간을 서사의 직접적인 발화자로 포섭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의 분석을 통해 영화적 공간이 영화의 물리적 구조일 뿐 아니라, 다층적 미장센 요소들이 내리티브와 상호작용하며 자의적으로 의미를 생성하는 메커니즘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awareness of ‘Cinematic Space’ as a formal language of cinematography that is distinguishable from ‘space in the film’ that forms the background of narrative structure and its progression. As a meta-concept, ‘Cinematic Space’ is a physical substance of a film as well as a foundation of emotional layers that connotes the internalized spatial sensibility of individuals and social groups. ‘Cinematic Space’ is the consequence of close interactions between the attributes of normative places, sentiments of characters, and the visual aesthetics of directors and can be referred to as a ‘changing-spatiality’ depending on the audiences’ experiences those who comprehend them. D. Sirk had made good use of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Cinematic Space’ and the generation of meaning derived from it to sublimate ‘melodramatic excess’ into an expression style of the genre(melodrama).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inematic space of T. Haynes’ 〈Carol(2015)〉 from a Sirkian aesthetic perspective, that is to say, the stylistic excesses of melodrama. Stylized ‘Cinematic Space’ in Carol functions as a cinematic device that materially visualizes an inner narrative of characters moreover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a film. In other words, it exposes compatibly the oppression of ideology that urges individual sacrifices and the possibility of subversion cinematically and embraces the cinematic space as a direct narrative speaker by revealing personal and socio-cultural phenomenon symptomatically. Analysis from this perspective reveals that ‘Cinematic Space’ is not only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film but also a semantic-mechanism where the multi-layers of mise-en-scene elements interact with a narrative and generate its meaning arbitrarily.

      • KCI등재

        한국어 위키피디아 기반 질의어 중의성 해소 및 확장 자질 추출 기법

        김성호(Sungho Kim),배상준(Sangjun Bae),고영중(Youngjoong Ko)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7 No.3

        사용자는 자신의 원하는 정보를 얻으려면 사용자의 의도, 즉 정보 의도(information need)를 질의어로 정확하게 표현하여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인터넷 사용자들의 질의어는 매우 빈약하고, 짧아서 사용자의 정보 의도를 명확하게 표현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 검색(information retrieval) 사용자의 빈약한 질의어에 대한 중의성을 해소하고, 질의어에 대한 개선 및 확장 자질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리는 빈약한 질의어에 대한 처리를 온라인 공개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를 외부 자원으로 사용한다. 위키피디아의 유용한 정보를 기반으로 언어 자원 집합을 구성하고, 구성된 언어 자원 집합을 기반으로 질의어에 대한 중의성 해소 및 확장을 실시한다. 제안한 기법을 평가하기 위해 중의성을 가진 질의어 20개를 선정하고, 평가한 결과 P@5 수준에서 63%의 정확률을 보였다. In order to get the desired information from the Web, users should carefully input the queries in which their information needs are accurately represented. However, most queries are too short and poor to describe the specific information needs clearly.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method to solve the word ambiguity problems in users' queries. Our method improves the queries by expanding feature sets. We use the Wikipedia, an online free encyclopedia, as an external resource for feature expansion. we construct a language resources set using the useful information in Wikipedia. We then conduct word sense disambiguation and query expansion based on those language resource sets. To evaluate the results, we select twenty ambiguous queries. Our experiments show a precision of 63% in p@5(precision of top 5).

      • KCI등재

        Performance of DF Protocol for Distributed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in Cognitive Radio

        Mingrui Zou(추명예),Sangjun Bae(배상준),Kyungsup Kwak(곽경섭) 한국통신학회 2009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4 No.2A

        Cognitive radio has been proposed to mitigate the spectrum scarcity problem by allowing the secondary users to access the under-utilized frequency bands and opportunistically transmit. Spectrum sensing, as a key technology in cognitive radio, is required to reliably detect the presence of primary users to avoid the harmful interference. However, it would be very hard to reliably detect the presence of primary users due to the channel fading, shadowing. In this paper, we proposed a distributed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scheme based on conventional DF (decode-and-forward) cooperative diversity protocol. We first consider the cooperation between two secondary users to illustrate that cooperation among secondary users can obviously increase the detection performance. We then compare the performance of DF based scheme with another conventional AF (amplify-and-forward) protocol based scheme. And it is found that the proposed scheme based on DF has a better detection performance than the one based on AF. After that, we extend the number of cooperative secondary users, and demonstrate that increasing the cooperation number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detection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