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역할과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

        방현희(Bang, Hyunhee),이미정(Lee, Mij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역할을 탐색하고, 그들의 역할 수행의 전문성 증대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교육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여 방문교육지도사를 위한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기초로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방문교육지도사들의 역할과 교육에 대한 인식을 그들의 활동경험에 의하여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방문교육지도사의 역할과 교육경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방문교육지도사의 역할은 업무의 특성상 다문화적 역량이 요구되므로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수용성 등의 다문화적 효능감을 바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둘째, 방문교육지도사는 교사로서의 역할과 함께 멘토(mentor)로서의 역할을 한다. 셋째, 방문교육지도사를 위한 교육에 대해서는 현실성 없고 실무활용도가 낮은 교육인 경우가 많다고 인식하고 있다. 넷째, 교육내용에 관해서 상담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으며, 보수교육에 대해서 장기적인 안목으로 체계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위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방문교육지도사의 교육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방문교육지도사의 역할과 교육은 다문화적 효능감을 기반으로 이행되어야 하므로 이와 관련된 교육프로그램과 교재의 개발을 제안한다. 교사로서의 전문성 증대 위하여 전문영역의 교차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다각적으로 확장된 사례연구를 통한 현장경험의 공유를 공식화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교육을 위한 전문 강사 풀(pool)의 마련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education experience through investigating the role that recognized by multi-cultural families' home educators and confirming their recognition for education that is being implemented to expand professionalism. To approach the purpose, researcher pursued an investigation through the depth interviews to multicultural families' home educators based on documentary research. And the researcher grasped their perceptions about the role and education's experience of home educators through their activity experience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drawn about the role of home seducators. First, understanding the role of them has to be based on multicultural self-efficacy like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receptive and so on. It is because the multicultural competency is required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Second, the home educators' role has to be played not only as a teacher but also as a mentor. Third, there were perceptions that the education for home educators is lack of practical use and reality in numerous cases. Further more, researcher suggests the cross training in expertise field to solve the role ambiguity and the formulation on sharing the local experience through the multilateral expanded case stud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as follows proposed for education of the home educators. The role and the education for home educator is based on multicultural self-efficacy. In this regard, the proposal as follows the development of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materials. Further more, researcher suggests the cross training in expertise field to solve the role ambiguity and the formulation on sharing the local experience through the multilateral expanded case study. Therefore the pool of expert instructo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has to be instituted for education of home visiting educators.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 대학원 유학생들의 진로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방현희 ( Hyun Hee Bang ),이미정 ( Mi Jung Lee ),레기영짱 ( Kieu Trang L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유학중인 대학원생들의 진로 방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들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있다. 진로관련 선행연구에서는 진로를 졸업 후 직업선택과 동일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진로결정을 인생 설계의 전반적인 과정으로 보고 있다. 연구의 분석틀은 Super, Ginzberg 등의 진로결정요인을 개인적 요인과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방법은 개방형 질문지를 준비하여 대학원 유학생들과 1:1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내용의 의미 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인천의 A대학 대학원에서 재학 중인 유학생 6명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생들의 진로 방향은 크게 진학과 취업으로 대별되었다. 학위 취득 후의 거취에 관해서는 한국 체류와 본국 귀환, 제3국으로의 출국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호하는 직업은 대학에서 한국어나 한국 관련 학과의 교수직 및 통역, 무역 관련 사업체에서 한국어를 활용할 수 있는 일을 원하고 있었다. 셋째, 진로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으로는 부모의 직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직업이 자녀의 유학과 장래를 결정하는데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환경적인 영향 요인에는 문화적 배경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환경에 따라 결혼적령기,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정 등이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부분의 유학생들은 진로가 결정된 상태에서 유학을 결심하였고, 유학이 그들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의 일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성공적인 유학생활로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강화되어, 이러한 인식이 유학생들로 하여금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have explor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career decisions after the acquisition of the graduate degree. And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school and the neighborhood on their career decisions. The analysis standard of the research has been settled by a literature research on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decision theory. Career direction of the students were divided ``enroll in PhD`` and ``getting a job``. The preferences of residence after achieving the degree were staying in Korea, returning home, and departing to the third-world. The preference of job is as follows: professor of Korean department or professor of Korean-related departments at universities, interpretation, and a job that can take advantage of the Korean in trade-related businesses. In determining the career, as a personal factor, the job of the parents have shown to be important in deciding the studying abroad and future career. Social·environmental factors included marriageable age based on cultural background, and social recognition of the profession.

      • KCI등재

        대학생의 다문화 멘토링 활동 경험에 의해 나타난 다문화지식에 관한 연구

        방현희(Hyun-hee Bang),김영순(Young-soon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7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멘토링에 참여한 대학생 멘토의 경험을 중심으로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다문화지식을 지식의 개념적 측면에서 고찰하는 데 있다. 다문화지식이 사회의 보편적 윤리에 기초한다는 전제 아래 다문화지식을 이해하는 것은 다문화사회의 시민들에게 중요한 일이다. 지식이란 단순한 학습을 넘어, 앎이며 경험이고, 느낌이나 감정이다. 또한 지식은 공유되는 환경의 영향을 받아 변화한다. 따라서 다문화사회 구성원의 경험에 의해 변화ㆍ발전된 지식은 다문화사회의 가치에 부합하는 지식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사회에 부합하는 지식을 대학생 다문화 멘토링 활동 경험에서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다문화학생 멘티와의 관계에서 문화다양성을 인지할 수 있었으며, 공감과 소통에 의한 관계형성으로 멘토링 활동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들은 상호 인정, 타자의 존중과 배려 타문화와의 공존을 위해 노력하는 성숙된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멘티의 사회적 소통을 돕고,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민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전반적으로 자신이 지닌 배경지식을 다문화지식으로 발전시키고 있었다. 다문화지식은 시민들의 자기비판과 사회적 성찰을 통하여 다문화사회의 관념 및 규범에 어울리는 시민성으로 발전, 확산되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다문화지식을 지닌 다문화시민의 모습이다. 다문화시민은 타자와의 공존을 위해 문화다양성을 인식하고, 상호 문화 간의 소통과 공감으로 타자에 대한 이해와 존중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ion multicultural knowledge from the viewpoint of knowledge concept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mentor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multicultural mentoring.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citizens, understanding multicultural knowledge is important because it is based on the universal morals of society. Knowledge is knowing, experience, feelings and emotions, and is more than just learning. And Knowledge changes are influenced by the shared environment. Therefore, knowledge is developed and changed by the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society members, it is a knowledge that meets the values of a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examined the knowledge of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experience of multicultural mentoring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ble to recognize cultural diversity in relation to multicultural student mentees, and contributed to the activation of mentoring activities through the formation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They also showed a mature attitude of mutual recognition and respect for others and efforts to coexist with other cultures. In addition, they tried to improve their social communication skill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researchers were developing their background knowledge into multicultural knowledge, as a whole. Multicultural knowledge should be developed and spread to citizenship that conforms to the notions and norms of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citizen"s self-criticism and social reflection. Through this study, what we can see is a multicultural citizen who have multicultural knowledge. Multicultural citizens should try that recognize cultural diversity for coexist with others, to understand and respect other people through mutual cultural communication and empathy.

      • KCI등재

        다문화대안학교 특성화 교과과정 분석 연구: 인천한누리학교와 새날학교를 중심으로

        오영훈 ( Young Hun Oh ),방현희 ( Hyun Hee Bang ),정경희 ( Kyun Ghee Jung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5 다문화와 평화 Vol.9 No.3

        한국의 다문화사회를 주도하는 결혼이주자 가족의 증가는 중도입국자녀를 포함하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증가를 동반하며, 이들로 인해 사회적 문제 발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 부적응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일반학교 부적응 또는 진입 전 단계에 있는 학생들의 수용을 위하여 ‘인천한누리학교’와 같은 ‘기숙형 다문화 공립대안학교’가 설립되었다. 그러나 다문화대안학교의 수는 많지 않고, 더욱이 공립다문화대안학교의 수는 더욱 부족한 실정이며, 다문화대안학교의 교과과정은 상당 부분이 학교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특히, 다문화 교과과정의 편성은 다문화대안학교의 교과과정에서 중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학교 특성에 따른 다문화 교과과정의 분석은 다문화대안학교의 특성 파악과 대안학교의 대안교과과정 편성에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대안학교의 교과과정을 확인하고, 다문화대안학교들이 공통으로 채택할 수 있는 다문화 교과과정의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인천한누리학교와 새날학교의 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인천한누리학교와 새날학교의 교과과정의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대안교과과정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안학교는 학생들의 상급학교 진입을 대비하여 학력 신장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와 한국 사회적응을 위한 한국어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중언어교육을 시행하여야 하겠다. 넷째, 진로교육과 함께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생활적응을 위한 심리상담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iculum of public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Incheon Hannuri School and private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Saenal School in order to examine the alternative curricula of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The Incheon Hannuri School puts its efforts in complementing the basic curriculum including Korean education, and is also considerate of multicultural students`` adaptation in school and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Saenal School only categorizes Korean and Taekwondo within the alternative curriculum. As a public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the foundation purpose of the Incheon Hannuri School is the adapta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within Korean schools, while the Saenal School is a private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which focuses on students`` adaptation to the Korean society as a whole. However, in spit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chool``s founding purpose, the Hannuri School considers students`` adaptation to our society through native language education, counseling, and other means compared to the Saenal School, which only includes Korean and Taekwondo inside the alternative curriculum; there is a definite need for improvement in the proportion of class lesson.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n the curriculum of Incheon Hannuri School and Saenal School, we propose the following improvements in alternative (specified) curricula. First,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need to complement and educate basic subjects in order to prepare students for educational transition. Second, Korean education has to be reinforced. Especially, immigrated students are in need of systematic Korean education for the sake of adaptation to the Korean school and society. Third, bilingual education needs to be implemented through native language education. Native language education enables multicultural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mother``s country and establish identity, and moreover, their bilingual capacity will be greatly necessary in a multicultural society. Fourth, career education and psychology consultation needs to be carried out to prevent multicultural students`` maladjustment at school and help them plan their future,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as a means of alternative education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ublic schools within the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y and foster global leaders. Through alternative education, equal education opportunities should be guaranteed to multicultural students in order for them to coexist with other Korean students and enable all students to grow as competent leaders of our society.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 학습 멘토링 참여 대학생 멘토의 열린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김영순(Kim Young soon),방현희(Bang Hyun hee),홍정훈(Hong Jung ho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 학습 지원 멘토링에 참여한 대학생 멘토가 멘토링 활동을 통해 다문화인식과 자아존중감의 자기인식이 어떻게 열려 가는지에 대하여 그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멘토링의 기능이 멘티만이 아닌, 멘티와 멘토 상호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멘토링 프로그램에 멘토로 참여한 대학생들을 참여관찰하고 이들에 대하여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멘토와의 심층인터뷰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멘토링 프로그램이 멘토가 멘티를 지원해 주는 시스템이지만, 오히려 멘토가 멘티들로부터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소중한 경험이라고 하였다. 첫째, 다문화인식의 측면에서, 멘토들이 말하는, 소위 '다문화'에 접한 경험은 매우 다양했으며 다문화가족은 우리가 도와주어야 할 대상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멘토들은 다문화 가족에 대해, 본질적으로 모두 같은 인간으로서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여야 한다는 민주주의적인 다문화인식을 보이고 있다. 둘째, 자아존중감 측면에서는 대학생 멘토들에게 멘티와의 만남은 '나를 되돌아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멘토로서 멘티와의 관계는 단순히 학습적인 도움을 주는 관계가 아닌 형과 언니, 선배로서 안내자, 후원자, 조력자 기능을 하는 멘토 본연의 역할을 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멘토들은 다문화가정 자녀인 멘티와 함께 배우고 노력하면서 '소통의 중요성'을 깨달았으며, 다문화가족에 대한 편견이 감소되고 타문화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멘티를 위한 멘토의 노력이 멘토링의 상호작용에 의해 오히려 멘토의 심리와 정서, 학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ways the mentors experience a shift in their multicultural awareness and their self-esteem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mentoring program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was assumption that interaction function of mentoring has positive effects not only on mentee, but on mentor as well. For this study, we executed in-depth interview and observed mentor(university student) who were participated in mentoring program. And this study produced a result based on in-depth interview. As a results, the mentoring program is a support system for the mentees, but it is more valuable experience for mentors by learning something from mentees. First, in terms of multicultural awareness, it was very diverse experience facing the so-called 'multicultural', and they has been found that multicultural family is not a people which needs our help and support. Mentors are deeply aware of showing a democratic multicultural awareness that we should be recognized and respected to cultural differences as a same human being essentially. Second, in terms of self-esteem, the experience of mentoring program was an opportunity to look back mentors themselves. Mentors are trying to acts the role of the mentor as sponsor, assistant, guide with brother, sister and senior, over the study helper relationship. As a result, mentors realiz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by learning and making effort with mentees in this mentoring program. The experience in the mentoring program decreases the mentors' prejudice about multicultural children while it develops positive attitudes towards to the contact with other cultures. The efforts of the mentor for the mentee w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sychological, emotional, and learning of the mentor by the mentoring' interaction.

      • KCI등재

        유아교재의 다문화교육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오영훈(Oh Young Hun),방현희(Bang Hyun Hee),박미희(Park Mi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8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 있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활용한 질적 연구로,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 교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여 실무자들의 경험을 근거한 실질적인 유아 다문화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이해에 관한 내용은 세계문화에 대한 지식전달에서 벗어나, 문화 적 차이를 이해할 수 있도록 보강되어야 하며, 차별금지 및 반편견 등과 관련한 내 용은 평등성과 관계 형성 등의 실질적인 내용을 포함하도록 하여야 하겠다. 정체성 과 다양성에 관한 내용에는 다문화가정에 대한 이해 등 한국 다문화사회의 현실에 맞는 내용이 포함되어야겠으며, 유아들의 취학 후 초등교육과 연계를 염두에 둔 교 재 활용 방안도 마련되어야 하겠다. 더불어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개선 노 력이 필요하다. 다문화교육은 다문화사회에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사회성교육을 기반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또한 유아기 다문화교육은 모든 유아를 대상으로 모든 장소에서 자연스 럽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사회의 유아교재에는 전반적으로 다양성과 정체성, 평등성 등 다문화교육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겠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utilizing interviews with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education field. In this study, identify the awareness of teachers about teaching, we try to provide direc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multi-cultural education is simply focused on knowledge delivery of global culture and accommodating other culture. Education to understand difference of culture is necessary. Second, a broader approach towards various problems such as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nd anti-bias, that have been made in the process of multi-cultural socialization, is required. It must include practical contents like equality and relationship formation, and must caus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nd anti-bias to naturally blend in the life of children. Thir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households must be included. Education about identity and diversity must be performed in a way that suits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Fourth, a casebook that deals arbitration of multi-cultural household problems, is required.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requires continuous and multilateral improvements to solve its problems. It will also show us the right direction for education, which we must have in long te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