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내용 : 측정 영역의 핵심 교수·학습 요소에 의한 좋은 수학 수업 분석

        방정숙 ( Jeong Suk Pang ),김정원 ( Jeong Won Kim ),김혜정 ( Hye Jeong Kim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2 初等 數學敎育 Vol.15 No.2

        Considerable efforts have been attempted to identify what makes high-quality mathematics instruction, including diversity and variability across different educational systems and cultural contexts. As the instructional elements related to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can be commonly applied to different content domains, they may be efficient in selecting such teaching. However, such elements may not reflect on the specific but essential features of each domain. This paper compared and contrasted two sets of measurement teaching practices, which were recognized as good instruction, in terms of how the key elements of measurement domain were implemented. As such this paper is expected to accumulate significant knowledge about elements of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that are specialized in a particular content domain of measurement. This paper suggests that domain-specific approach be considered in studying good mathematics teaching.

      • KCI등재

        예비 초등 교사의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인식

        방정숙 ( Jeong Suk Pa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2 수학교육 Vol.51 No.2

        Prospective teachers need to have an opportunity to critically examine their intial perception with regard to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during the teacher education period.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in relation to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by a total of 265 prospective teachers from four institutes for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using a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regarded learn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election of content, and construction of curriculum as important for high-quality mathematics instruction. However, they revealed relatively low levels of agreement against the importance of instructional materials, classroom environment and atmosphere, and assessment. On the basis of teachers` perception on each element of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this paper raises issues for discussion and includes som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 초등학교 수학 수업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수학 수업 평가 기준의 활용 사례-

        방정숙 ( Jeong Suk Pang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2 초등교과교육연구 Vol.15 No.-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최근 수학 수업 분석이나 비평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실제 초등학교 수학 수업과 관련해서 무엇을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나 구체적인 분석 사례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소개된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평가 영역과 요소를 바탕으로 초등 교사의 수학 수업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사례를 자세히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연구자에게는 초등학교 수학 수업 분석 기준에 대한 담론의 장을 형성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 교사에게는 수학 수업의 계획, 실행, 반성에 이르기까지 수업과 연계하여 무엇을 어떻게 분석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수업 전문성을 향상하는 데 미력하나마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패턴 지도방안에 대한 분석

        방정숙 ( Jeong Suk Pang ),선우진 ( Woojin Su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6 初等 數學敎育 Vol.19 No.1

        패턴을 다루는 여러 가지 활동은 초등학생들의 대수적사고를 신장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기대수(early algebra)적 관점에서 패턴을 지도하는 세 가지주요 활동인 패턴의 구조를 분석하는 활동, 패턴에서 두변수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는 활동, 패턴의 일반화된 규칙을 추론하고 표현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현행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패턴 지도방안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패턴의 구조를 분석하는 활동은 교과서 상에서 명시적으로 고려되지 않았다. 반면 패턴에서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는 활동은 주로 대응표를 활용하여 전 학년에서 다루어졌고, 패턴의 일반화된 규칙을 추론하고 표현하는 활동은 저학년에서는 패턴의 규칙을 비형식적으로 표현하는 활동을 통하여, 고학년에서는 패턴의 규칙을 수식이나 기호를 사용하여 형식적으로 표현하는 활동을 통하여 다루어졌다. 한편 다른 수학 내용과의 연계성 측면에서 패턴의 지도방안을 분석한 결과, 현행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는 패턴 활동이 규칙성 영역에 해당하는 일부 단원에서만 한정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대수적 사고를 신장하기 위한 패턴 지도방안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Patterns are of great significance to develop algebraic thinking of elementary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teaching methods of patterns in current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series in terms of three main activities related to pattern generalization (i.e., analyzing the structure of pattern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and reasoning and representing the generalized ru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uch activitie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patterns are not explicitly considered in the textbooks, whereas thos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in a pattern are emphasized throughout all grade levels using function table. The activities to reason and represent the generalized rules of patterns are dealt in a way both for lower grade students to use informal representations and for upper grade students to employ formal representations with expressions or symb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illustrated that patterns in the textbooks are treated rather as a separate strand than as something connected to other content strands. This paper closes with several implications to teach patterns in a way to foster early algebraic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예비 초등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학 수업 사례 분석

        방정숙 ( Pang Jeong Suk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9 초등교과교육연구 Vol.11 No.-

        최근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많아지는 반면, 정작 초등학교에서 각 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평가 기준이나 이를 적용하여 수업을 분석한 사례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논문은 초등학교 수학 수업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한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한 사례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각 교과의 특색을 반영한 평가에 대한 이론적·실제적 담론의 기초를 형성하고, 예비교사에게는 초등학교 수학 수업을 바라보는 안목의 형성과 전문성 향상의 기초를 쌓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교육 목적 인식 실태 조사

        방정숙 ( Jeong Suk Pang ),정유경 ( Yoo Kyung Jung ),김상화 ( Sang Hwa Kim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1 初等 數學敎育 Vol.14 No.3

        수학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기대되는 학습 목표를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수학을 왜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지에 대한 교사의 올바른 인식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학교육의 목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합리적·논리적 사고 발달, 실용성, 도구 교과로서 수학을 인식하는 비중이 높은 반면에 세계에 대한 이해, 심미성, 의사소통 및 사회성 발달로서의 수학을 인식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편 학문적 가치와 관련해서는 교사가 직접 서술한 수학학습의 이유에는 별반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리커트 척도에 의한 응답에서는 높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었다. 교사의 인식은 성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5년 미만의 교육경력을 가진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집단에 비해 대체적으로 수학교육 목적을 긍정하는 비율이 낮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교사의 수학교육 목적 인식에 따른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It is necessary for the teacher to understand why teach mathematics in order to implement the visions and expectations of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n her actual classroom.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examining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might understand the purpose of teaching mathema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eachers` conceptions of the purpose of teaching mathematics were related mainly to the development of Logical thinking, practical use of mathematics in everyday Life, and a tool for studying other subjects or disciplines. However, teachers did not perceive much other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such as understanding the world, appreciating aesthetic value of mathematics, and developing communicative ability as well as sociality. Whereas teachers did not think of the significance of mathematics as an intellectual field when asked to write down how they would explain students why they had to Learn mathematics, they tended to strongly agree it in the Likert-scale responses. Teachers` conceptions were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ender but teach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teaching experience were relatively negative than others with more experience. Give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issues and implications of teachers` conceptions of the purpose of teaching mathematics.

      • KCI등재

        범자연수와 연산에 관한 수학 교과서 분석 -일반화된 산술로서의 대수 관점을 중심으로-

        방정숙 ( Jeong Suk Pang ),최지영 ( Ji Young Choi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1 수학교육 Vol.50 No.1

        Given the importance of algebra in the early grades, this paper analyzed the contents of whole numbers and their operations from the perspectives of generalized arithmetic. In particular, the focus of analysis was given to the properties of 0 and 1, those of operations such as commutativity, associativity, and distributivity, and the relations between operations. As such, this paper analyzed in detail how such properties and relations were introduced and expanded across different grades. It is expected that many issues in this paper will serv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instructional materials in a way to fostering students` algebraic thinking in the elementary gra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