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창의적 문제해결 기반 수업모형 개발

        방선희(Sunhee Bhang)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0 학습과학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매체언어교육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창의적 문제해결 기반의 실제적 수업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메체언어교육의 의미와 목적, 그리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미디어의 특성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 기반의 수업모형 도입의 필요성을 짚어보았다. 또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되기 위한 요소를 제시하였으며,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CPS)을 기반으로 한 수업모형과 활동 및 준비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매체언어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에 중점을 두어 글의 논리를 전개하고자 한다. 첫째, ‘인터넷 시대’의 매체언어교육이라는 점이다. 이에 따라 현재의 ‘인터넷 시대’가 가지는 의미를 생각해보고 이를 반영한 수업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둘째, ‘창의적’ 매체언어교육이라는 점이다. 이에 따라 교사가 ‘창의적’으로 그리고 학생이 ‘창의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수업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창의적 매체언어 교육이 고려해야 할 요소와 교수학습 모형을 설명하고 실례를 들어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actical instructional model for media language education based on Creative Problem Solving (CPS). For this, the needs for using CPS instructional model in search of the meaning and purpose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s explored. In this case, we particularly consideredew media, which is based on Web 2.0 and social media. Also, this study suggested elements and an example of instructional model for CPS. This study focused on the following: First, media language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 differences among the media of today and it is should be reflected in instructional model for media language education. Second, it should be ‘creative’ media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found that media language education has to focus on fostering creativity of students by using media actively and creatively. In this paper, we suggested an instructional model that a teacher can use to stir creativity from students.

      • 박물관 교육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설계 원리 및 프로토타입 개발

        방선희(Sunhee Bhang),이효진(Hyojin Lee),정효정(Hyojung Jung)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2 학습과학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경험학습 이론에 기반을 두고 박물관 교육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설계 원리를 도출하고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경험학습 이론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진행하였고, 기존에 박물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였다. 총 29개의 어플리케이션 분석 결과 박물관 홍보를 위한 전자 브로셔형이 20개로 가장 많았으며, 사용자 중심적 기능과 다양한 형태의 학습자료를 제공하는 학습 박물관형과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활용해 다양한 방식의 정보 교류를 지원하여 공동체 형성을 촉진하는 학습 공동체형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박물관에서의 경험학습을 촉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준에 따른 차별적 경험의 제공, 다양한 경험의 제공, 관찰의 유도, 성찰과 평가의 기회 제공, 상호작용의 기회 제공을 설계 원리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mobile learning application for museum education based on the theory of experiential learning. This study aims to suggest design principle for the mobile learning application as the first step of study in broader range of educational application for experiential learning. Hereupon, literature study of museum education and experiential learning was preceded, deriving design principles for the promotion of meaningful learning at the museum. Design principles which derived from experiential learning are as follows: provide individual and rich experience, support of retrospective thinking and practice, and promotion of social interac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design principles of mobile education application so that these elements are offered via mobile education application to promote meaningful education at the museum.

      • KCI등재

        사이버 대학에서의 커리어 e-포트폴리오 (Career e-Portfolio) 활용을 위한 인식 조사 연구

        방선희(Sunhee Bhan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0 평생학습사회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yber university students’ view on the career e-portfolio and suggest implications to develop this at the cyber university level. Through the examination of most recent literature and actual university cases, the current status of e-portfolio and career e-portfolio were identified. The researchers derived principles of career e-portfolio and surveyed 77 cyber university students to find the students' view on this. Through the study, we have learned the significance of career e-portfolio for cyber university students. Students especially answered the strong need to record students' information, purpose of scholarship, and achievement. On the contrary, the students reported a lesser need in recording the students' group work experience and volunteer experience. In the open-ended questionnaire, the students answered that guidelines for building a career e-portfolio is necessary.

      • KCI등재
      • 통섭의 관점에서 바라본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과 교육공학의 역할

        방선희(Sunhee Bhang)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09 학습과학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환경과 이에 따른 유비쿼터스 학습이라는 새로운 환경으로의 진입을 앞 둔 현 시점에서 그 동안의 교육공학에 대한 비판점을 돌아보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통섭의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응용학문으로서 교육공학은 대상에 대한 올바른 파악과 이를 통한 유의미하고 현장 적용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데 그 의무가 있다. 교육공학에 대한 비판은 그동안의 교육공학의 연구가 현장중심적이지 못하며 현실에 적용되지 못하는 연구가 많았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의 발전 역사를 통해 교육공학 연구에서 대상에 대한 전방위적 시선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시선이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에서는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대안으로 통섭의 관점을 가질 것을 제안한다. 통섭의 관점은 대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학문간 소통을 해야 하며, 이를 통해 나온 연구결과가 올바른 판단과 시대를 위한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낼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공학 연구가 대상에 대해서 어떻게 접근하고 어떻게 기여해야 하는 지,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통섭의 개념은 또한 사회 전체를 조망하고 그 안에서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것들과 마지막으로, 사회의 요구에 맞는 학습 목표와 교육공학의 역할에 대해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reviews criticism of educational technology made so far at this point in time as we are entering into a new environment of ubiquitous learning and a ubiquitious environment. And it proposes consilience as an alternative. Educational Technology as an applicable study is responsible for properly understanding its subjects and extracting research results that are meaningful and applicable. Criticism of educational Technology points out that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that is neither field-centered nor applicable. To this, this study proposes the need to have a rounded view of subjects by studying the development history of the media. In particular, it suggests that such a view is all the more important in a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proposes the perspective of consilience as an alternative. A perspective of consilience means that different fields of study shoul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or proper understanding of subjects and that meaningful research results for proper judgment befitting the era can be acquired. In view of this, consilience suggests how educational Technology should approach its subjects of research, how to contribute and the research direction to take. The concept of consilience suggests how educational Technology should grasp its subjects and apply theories. Also, it suggests the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view the entire society and to support learning in it. Last, it proposes the goal of learning befitting social demand and the role of educational Technology.

      • Teaching with Technology

        Sunhee Bhang(방선희)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1 학습과학연구 Vol.5 No.2

        테크놀로지의 발달을 통한 학습환경의 변화는 더 나은 교육과 더 편리한 학습에 대한 장밋빛 기대를 가져다 준다. 또한 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학습방법이 논의되곤 하지만, 이러한 변화의 주체가 교사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다시 말하면 테크놀로지를 도입하고 사용함으로써 학생으로부터 변화를 이끌어내는 주체는 항상 교사였던 것이다. 그러나 실상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교육환경의 변화 이전에 학습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테크놀로지의 도입을 통한 교육환경의 변화보다도, 학습자의 변화에 따른 교육환경의 변화가 더 크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교실 환경에서 테크놀로지를 도입하여 사용한 연구학교의 사례를 되짚어봄으로써 변화된 학습환경과 학습자를 고려한 교사의 역할의 변화에 대하여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Learners we meet nowadays don’t put down their cell phones and spend hours before a computer every day. As much as speaking face-to-face, they prefer to talk with their thumbs. They say that studying at a computer screen is more effective than books. Introverted and quiet students may on the Web become very active and popular people. If we still keep a picture of a traditional school life whereby teachers evaluate studying according to the teacher’s teaching, then these new phenomena would be disturbing. What is clear is that this flow cannot be reversed and is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is generation. How shall we deal with these students? What is the position and role of a teacher here?

      • KCI등재

        Changes to the Educational Paradigm and Smart Learning

        권성호(Kwon Sung-Ho),방선희(Bhang Sunhee)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2 평생학습사회 Vol.8 No.2

        How to use network recourses based on the lates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for school education is highly debated nowadays. An integrated environment to use cutting-edge devices with built-in smart functions and a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social network communities are forming making smart learning possible away from the existing standardized and uniform education focused on the college entrance exam.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 in the educational paradigm from smart technologies and discusses the concept of smart learning and how to view it. In addition, it discusses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learning, and the kind of standards we should hold and use for it to help develop true learning among students.

      • KCI등재

        스마트워크(Smartwork)로 인한 개인생활과 업무 변화 인식에 관한 연구

        성민경(Minkyung SUNG),방선희(Bhang Sunhee),권성호(Sungho Kwon)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1 평생학습사회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due to smartwork and perception of smartwork through narratives of smartwork participants. Smartwork is an alternative way of working that allows employees to work anywhere and anytime with flexibility through network connection. Smartwork has benefits of cost reduction, productivity raise,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realization of Green IT, and more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women and the old.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kinds of changes smartwork systems brought to personal and working environment. Furthermore, perception about increased workload due to smartwork and unique features of jobs carried out during smartwork were discussed. Those who currently participate in smartwork joined the study to share their experience of smartwork in terms of changes in parenting, time management and environment, differences in perception about smartwork between self and others, and unique features of smartwork regarding task types and communication. Results show that smartwork participants feel relaxed due to decrease in childrearing costs and commuting time, and increase in time with children. Improved working environment enables them to engage in tasks and get more time for personal development. As for perception of smartwork, face-to-face communication is valued more than communication used in smartwork. Participants also experienced difficulty in communication due to lack of instant feedback and absence of nonverbal communication. Also, smartwork played a positive role in carrying out tasks that do not require intentiv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Overall, smartwork participants feel satisfied with time saving as they spend less time in commuting and more time at home, but uncomfortable with negative perception due to conflicts between the smartwork environment and the existing office environment. Thus, for smartwort to become an alternative work style, thoughtful observation and further research as well as changes in perception of smartwork is needed. There should be a change in perception that smartwork is not a vacation or a system only for women, but another type of working that can achieve productivity raise by working effective and efficient in anytime and anywhere.

      • KCI등재

        국내 거주 외국인을 위한 교회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요구분석

        이준(June Lee),황지연(Ji-joun Huang),방선희(Sunhee Bhang)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2 기독교교육정보 Vol.35 No.-

        최근 노동자부터 유학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국내 거주 목적이 다른 외국인들이 대거 유입됨에 따라, 교회교육도 사회의 다양한 계층을 아우르는 훈련과 양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국내 거주 외국인을 어떤 방식으로 양육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구체적인 고민과 실행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국인과 같은 형식으로 예배와 교육, 양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국내 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교회 프로그램의 참여 여부 및 관련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외국인들에게 보다 적절한 교회 교육프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외국인 예배와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는 O교회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교회에 출석하고 있는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교회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As Korea’s sociocultural status is rising from economic development, the number of foreigners coming into Korea is continuously increasing. As such, Korean churches have continuously shown interest in and provided support to foreigners from their initial entry into Korea based on Christian love for marginalized people and with the purpose of turning them into Christians. The missionary work of Korean churches for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has been carried out by improving the human rights of foreign workers, supporting multicultural families and holding services for foreigners in Korean churches. Whereas the missionary work so far has been focused mainly in foreign countries, the importance of missionary work within Korea has become all the more important with the rapid rise in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The evangelism of foreigners in Korea is a different kind of missionary work from the work carried out so far in foreign countries. But christian education programs in Korean churches for foreigners are still at a basic stage.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needs to be considered when drawing up christian education programs at Korean churches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foreigners in Korea.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foreigners currently going to O church on their reason for their participation in the church"s christian education programs and their opinion on them. The main reason for their attending church was the recommendation of acquaintances from the same country. The participation as new believers was also the most influenced by the recommendation of others. Furthermore, participation in Bible studies was still low and there is high demand for the usage of their native languages in the christian education programs, one-to-one discipleship education and online educ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eed to enhance the activities of churchgoers from the same country in the christian education programs, to develop programs where they can use their native languages, and provide online programs for easy access.

      • KCI등재

        비판적 사고 교육의 국내 연구동향과 시사점

        방선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1 평생학습사회 Vol.7 No.1

        비판적 사고 능력의 중요성은 교육에서 오랫동안 강조되어온 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하여 지금까지 이루어진 국내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비판적 사고 교육의 현황과 미래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2000년부터 2011년까지 12년간 이루어진 비판적 사고 교육 관련 논문 114편이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의 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가 이루어진 환경, 연구가 적용된 전공영역의 5가지 기준에 따라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 결과와 함께 비판적 사고 교육에 관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로 초등교육과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령에서 비판적 사고 교육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연령별 학제별 특징을 반영한 비판적 사고 교육 연구가 확충될 필요가 있다. 둘째, 비판적 사고 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수업모형과 정의 및 개념 정립에 대한 연구의 비율이 높았으며 특히 비판적 사고 능력 신장을 위한 특정 교수방법의 제안에 관한 연구가 많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양적, 질적 검증 연구가 확충될 필요가 있으며 교수 방법 제시에 앞서 적용되는 영역의 특수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셋째, 비판적 사고 성향 또는 비판적 사고 교육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에 대한 연구가 확충될 필 요가 있다. 넷째, 현재까지의 비판적 사고 교육은 주로 오프라인 교육을 중심으로 연구 되었으며 따라서 온라인을 통한 비판적 사고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확충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다양한 교과목에서 비판적 사고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으며 따라서 각 교과목별 비판적 사고 교육의 목적을 재고하고 비판적 사고 교육 방법에서 영역의 특수성 반영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The importance of critical thinking has long been emphasized in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trends in Korean research so far on this subject and to present the current state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proposals. For this, 114 papers related to critical thinking published for 12 years from 2000 to 2011 were analyzed and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according to five standards such as the research subjects, research theme, research methodology, the environment in which research took place and the fields on which research was carried out. The study presents the results together with the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 on critical thinking education. This study has found out, first, that research on critical thinking education for various age groups from primary school to universities is being carried out. Accordingly, more research on critical thinking educatio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ge group and school system is necessary. Second, studies organizing the definition and concepts, teaching methodologies and class models for critical thinking education were most prevalent. In particular, much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proposing special teaching methodologies to foster the ability to critically think. As such, more research verifying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studies so far carried out on critical thinking is necessary. Before presenting teaching methodologies, a consideration of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s is necessary. Third, more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on evaluation tools to measure the achievements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and the critical thinking trends. Fourth, research so far on critical thinking education has mostly been focused on off-line education and as such, more research needs to be carried out on on-line education for critical thinking. Fifth, various subjects have shown the need for critical thinking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by subject should be surveyed and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each field should be reflected when discussing teaching methodologies for critical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