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퍼지이론에 기초한 유비쿼터스 교통시대 첨단차량 운전자의 불안감도 산정

        박희제(Park Hee Je),배상훈(Bae Sang Hoon),김영섭(Kim Young Seup)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8 No.1D

        현재 첨단차량 분야의 기본 기술 중 기 개발된 추종모형은 운전자 및 운행 환경적 요소 등을 배제하고 오직 두 차량사이의 물리적 상관관계에 의해서만 거동하도록 개발되어져 있다. 그러나 추종거동의 현실적 적용을 위해서는 차량 운전자의 특성 및 운행 환경적 요소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다 현실적용이 용이한 추종모형의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로서 차량 운전자가 주행 중 느끼는 불안감의 정도를 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운전자의 불안감도(Measure of Alarmness ; MOA)는 유비쿼터스 교통 하에서 첨단차량이 추종거동을 하고 있을 때 추종차량과 선행차량 간의 상대적 관계 및 환경적 요인과 운전자의 특성에 의해 측정되는 수치이다. 운전자 MOA의 일반적이고 객관적인 측정을 위하여 운전자 불안감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MOA 측정 퍼지로직모형을 구축하였다. 시나리오에 의해 정의된 입력값으로 MOA를 산정하여 구축한 퍼지로직모형의 타당성을 입증하였으며, 본 논문의 결과는 주행 중 관여하는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 추종상태에서 느끼는 운전자의 불안감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함으로서 기존의 추종거동모형을 보다 현실화시키기 위한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불안감도는 운전자의 주행 중 안전성과 안락함을 평가하는데 주요한 척도로 적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Currently, existing car following models among several basic systems of advanced vehicle systems are almost developed related to the physical relation between two vehicles except for the driver's behavior or environmental factors. But the consideration of driver's character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driving are very essential factors for actual application. Hence, we suggested calibrating the degree of driver's discomfort on driving that is the former study to develop a new car following model of advanced vehicle to use in actuality. The degree of driver's discomfortness (Measure-of-Alarmness; MOA)is measured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lowing vehicle and the preceding vehicle,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driver's characters in ubiquitous traffic. We made up questions to drivers to obtain the general and the objective measurement of driver's MOA. And the fuzzy logic model for measurement of MOA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 We verified the suitability of fuzzy logic model through the computation of MOA with several scenarios. And we measured the quantitative degree of driver's discomfortness on car following related to several factors which affect drivers. In accordance with this study, development of car following model applying driver's MOA will promote the actual application of advanced vehicle more effectively than the existing models. Finally, we thought the measurement of driver's MOA will be applied significantly to evaluate safety and comfort of drivers on driving.

      • KCI등재

        LPS로 자극한 RAW264.7 세포에서 강활 추출물의 염증성세포활성물질의 억제효과

        박희제 ( Hee Je Park ),배기상 ( Gi Sang Bae ),김도윤 ( Do Yun Kim ),서상완 ( Sang Wan Seo ),박경배 ( Kyung Bae Park ),김병진 ( Byung Jin Kim ),송제문 ( Je Moon Song ),이경용 ( Kyung Yong Lee ),나철 ( Chul Na ),신병철 ( Byung Chul 대한본초학회 2008 大韓本草學會誌 Vol.23 No.3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Ostericum koreanum (OK) could regulat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vitro and in vivo. Methods: To evaluate of anti-inflammatory effect of OK, we examined Nitric oxide (NO), proinflammatory cytokines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Furthermore, we checked molecular mechanism especially in the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nd the degradation of inhibitory kappa B a (Ik-Bα) using western blot and also investigated survival of mice in LPS-mediated endotoxin shock. Results: 1. Extract from OK itself have weak cytotoxic effect on RAW264.7 cells. Extract from OK inhibited LPS-induced NO,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leukin (IL)-1β, IL-6 and IL-10 production in RAW264.7 cells. 2. OK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MAPKs, such as p38, extracelluar signal-regulated kinase (ERK1/2) and c-Jun NH2-terminal kinase (JNK) and also the degradation of Iκ-Bα in the LPS-stimulated RAW264.7 cells 3. OK did not inhibit LPS-induced endotoxin shock. Conclusions: OK down-regulated LPS-induced NO and cytokines production through suppressing activation of MAPKs and degradation of Ik-Bα. Our results suggested that OK may be a beneficial drug against inflammatory diseases.

      • 국내·외 교통기술 R&D 연구동향 및 발전방향

        박희제(Park, Hee-Je),연지윤(Yeon, Ji-Yun),강연수(Gang, Yeon-Su)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59 No.-

        21세기는 지식기반사회로의 도래로 인해 설비투자 또는 원가에 의해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시대를 지나 R&D투자 및 인적자본에 기반을 둔 기술이 국가경쟁력을 결정짓는 기술 · 지식 경쟁시대로 진입하였다. 또한 정보통신, 바이오 및 환경기술과 함께 첨단교통기술시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현재 미국, 일본,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는 교통기술을 중점개발이 펼요한 과학기술중의 하나로 선정하여, 교통시설투자뿐만 아니라, 교통기술개발에도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반면, 국내에서는 연간 20조원 내외의 막대한 건설교통부분 투자에도 불구하고 교통기술개발 투자에는 소홀한 실정이다(국토해양부, 2008). 따라서 국민생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교통기술의 질적 향상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금까지 양적성장에 치중하던 교통산업을 상호연계성 및 신뢰성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교통기술정책과 기술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 설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환경행동 결정요인으로서의 지역사회의 집합적 효능

        박진홍(Jin Hong Park),박희제(Hee-Je Bak) 한국환경사회학회 2012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6 No.2

        이 연구는 한국의 일반사회조사(KGSS) 자료를 사용해 환경행동의 결정요인을 살펴본다. 이 연구의 초점은 공동선(the common good)을 위해 개입하려는 지역사회 주민들의 의지와 이에 대한 상호적인 신뢰의 결합물로 정의되는 지역사회의 집합적 효능이라는 개념을 동원해 거주지의 환경문제가 심각할수록 환경의식이나 환경행동에 참여하는 정도가 커진다는 반영이론을 재검토하고, 이를 통해 환경행동 연구에서 이 개념의 유용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집합적 효용 이론에서 추론하듯 지역사회의 집합적 효용은 주민들의 친환경행동을 증가시키고 있었고, 거주 지역의 환경오염 정도가 환경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고 있었다. 즉 집합적 효능이 높은 거주지에 사는 사람들은 환경오염의 정도에 상관없이 환경 행동에 참여하는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집합적 효능이 낮은 거주지의 경우 사람들은 반영이론의 예측대로 거주지역 환경오염정도에 영향을 받아 환경행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이러한 발견은 그동안 경험적 연구에서 반영이론이 기각된 중요한 이유들 중 하나가 억제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집합적 효능을 고려하지 못했기 때문임을 시사한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발견들이 환경행동 연구와 집합적효능 개념에 주는 함의가 논의된다. Analyzing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this study examines determinants of environment behavior. In particular, using the concept of collective efficacy defined as social cohesion among neighbors combined by their willingness to intervene on behalf of the common good, this study attempts to re-evaluate the reflection theory that people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environmental behavior as a response to the deterioration of environmental quality of their residential area. In so doing, this study also evaluates the utility of the concept in studies of environmental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ollective efficacy of neighborhood promotes environmental behavior and mediates the effect of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roblem in local communities on environmental behavior, as the theory of collective efficacy expects. That is, those who live in the community with high collective efficacy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environmental behavior, regardless of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community, while those who live in the community with low collective efficacy tend to participate in environmental behavior in proportion to the level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flection theory could not obtain empirical evidence partly because it failed to consider the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which functions as a suppressor variable.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ill be discussed in co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