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과학기술과 사회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박희제,Bak, Hee-Je 기술경영경제학회 2017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5 No.3

        최근 혁신연구의 발전과정에서 두드러진 변화의 하나는 사회의 발견이다. 이에 본 논문은 혁신연구의 관점에서 과학기술자사회와 과학기술과 시민참여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을 정리하여 한국의 기술혁신 연구가 과학기술사회학 나아가 과학기술학과 접점을 넓히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한국의 과학자사회에 관한 다양한 경험적 연구들은 대학의 연구자들에게 집중되어 있었고 출연연 연구자들은 훨씬 적은 관심을 받고 있었으며, 기업의 연구자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다. 또한 연구의 관심이 서구의 연구를 한국에 이식하는 형태가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반면 업적 평가 제도의 변화, 대학 랭킹, PBS 제도 등의 영향이나 학벌 네트워크의 영향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오히려 한국 과학자사회의 독특한 특징을 보여주며 관련 연구에 기여할 여지가 큼에도 아직 이러한 연구는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다만 과학자사회에 대한 경험적 연구들은 한국사회에서 혁신을 담당하는 연구기관과 연구자들이 오랜 국가주도의 연구개발 경험과 국가주의적 시각으로 인해 정부의 지도에 순응하는 성향이 강하다는 한국적 특징을 보고하고 있다. 한편 시민의 과학기술 참여에 관한 연구는 주로 시민의 과학기술참여를 과학기술 민주주의라는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었고, 강한 실천지향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아직 이러한 시민참여가 어떻게 기술혁신의 방향과 내용에 영향을 미쳤는지 또 미치도록 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이다. 또한 기술혁신의 관점에서 볼 때 시민의 과학기술 참여가 지식생산과 기술혁신에 어떻게 기여하는지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따라서 그동안 과학기술의 민주주의를 강조하던 학자들이 실제로 다양한 방식의 시민참여를 실험해 온 것처럼, 시민들의 지식이 기술혁신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시민참여를 고안하고 구현하는데 혁신연구자들의 실천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reviewing the literature on the scientific community and also on science, technology & society to increase interactions between innovation studies and social studies of science and technology. Up until now, various empirical studies on Korean scientists and engineers have been concentrated on researchers at universities, while they have paid inadequate attention to researchers at state-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private companies. In addition, these studies have tended to use concepts in Western academia to elucidate Korean cases. On the other hand, recent empirical researches on the effects of the evaluation systems in universities, PBS system, and the network of school ties suggest that these topics may reveal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scientific community. Empirical studies on the scientific community have also shown that Korean research institutes and researchers who are in charge of innovation in Korea have demonstrated a tendency to conform to the government's guidance due to long experiences of state-led R&D and nationalism. Research o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has viewed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science and technology as a way toward science and technology democracy, and tended to have a strong practical orientation. However, there has been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research on how citizen participation influences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lso, although, from the viewpoi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how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science and technology can contribute to knowledge production and innovation is a critical issue, relatively small numbers of case studies on this subject have been conducted. Therefore, as the scholars who have emphasized the democracy of science and technology have actually experimented with various ways of citizen participation, innovation researchers may have to design and implement citizen participation through which citizens' local knowledge can contribute to technological innovation.

      • SCOPUSKCI등재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시민의 지지도와 정치의식: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를 중심으로

        박희제,김명심,Bak, Hee-Je,Kim, Myungsim 기술경영경제학회 2016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4 No.3

        이 논문은 전국적인 설문조사자료를 분석하여 과학연구에 대한 한국인의 지지도가 어떠하며, 어떤 집단이 이러한 지지를 견인하고 있는지를 순수 기초 연구, 산업발전을 목표로 하는 응용연구, 일반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로 나누어 살펴본다. 분석결과 사회적 정치적 가치 지향에 따라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를 포함한 연구 유형별 지지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주관적 정치성향이 진보적일수록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를 다른 유형의 연구들에 비해 지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보수적일수록 기초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높아졌고 신자유주의적 가치지향에 가까울수록 응용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높아졌다. 한편 한국사회에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가 지나친 응용연구에 대한 비판으로 대두된 반면, 일반시민들은 이를 응용연구보다 기초연구와 대비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가 전문가주의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반면, 과학자의 권위와 전문성에 대한 신뢰도 수준이 높을수록 오히려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다른 두 유형의 연구에 대한 지지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y analyzing a nationwide survey on Korean publics,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determinants of public support for three types of scientific research-basic research aimed at pure knowledge, applied research toward industrial application, and research for social problem-solving which aims to enhance ordinary citizens' quality of life. The present study finds the differential effects of social- and political value orientations on the level of public support for respective types of research. As ones have more progressive in their subjective political orientations, they are more likely to support research for social problem-solving than other types of research, while conservatives tend to support basic research and those with neo-liberal ideology tend to support applied research. The Korean public also tends to perceive research for social problem-solving as a counter to basic research while it has been developed against the conventional emphasis on applied research in Korea. Also, the level of support for research for social problem-solving increases with the higher level of trust in scientific authority and expertise, while it has been developed against expertism and included public engagement in science as an important element. Finally, those who have lower income tend to support for research for social problem-solving than other types of research.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전문성은 광우병 위험 인식의 결정요인이었나?: 전문가와 일반시민의 광우병 인식 차이 비교

        박희제(Hee Je Bak) 한국농촌사회학회 2013 農村社會 Vol.23 No.2

        위험인식에 대한 논의들은 흔히 전문가와 일반시민의 위험인식이 다르고 그 차이는 위험에 대한 전문성(과학지식)의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전제해왔고, 이러한 위험정보격차를 해소하는 것이 위험커뮤니케이션 정책의 주된 목표가 되어왔다. 이 연구는 미국산 수입 쇠고기의 광우병 위험과 관련된 일반시민과 전문가의 인식을 설문자료를 통해 비교분석하여 광우병 인식에서 전문가 집단과 일반시민들의 인식 차이가 정말로 존재하는 지 그리고 존재한다면 그 차이가 정말 전문성 차이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검토한다. 이 연구는 실제로 전문가들과 일반시민들의 광우병 인식은 차이가 있으나 그 차이는 전문성-과학지식수준-의 차이라기보다 많은 부분 두 집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차이에서 비롯되며, 전문가들과 일반시민들의 인식차이는 미국산 수입 쇠고기의 광우병 위험에 대한 평가에서 더욱 두드러지나 이 역시 전문성의 차이로 설명할 수 없고, 광우병 위험에 대한 전문가 집단에서의 이견이 일반시민들의 경우보다 오히려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밝힌다. 나아가 이러한 발견을 통해 이 논문은 위험갈등해소를 위한 정책적 목표가 과학적 위험인식의 확대 이상으로 위험인식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이들을 민주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토론의 장을 형성하는 것이 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The literature on risk perceptions often assumes that there exist differences in risk judgements between experts and lay people and that the differences are stemming from the differences in expertise between the groups. Therefore, reducing the risk information gap has become the goal of risk communication policies. By analyzing two survey data of BSE risk perceptions among experts and lay people,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BSE between experts and lay people really exist and, if so, whether they are resulted from differences in expert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xperts do view BSE risks and related issues differently from members of the lay public but that the different view is due to socio-demograph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rather than differences in expertise on BSE. Also, while the differences in risk perceptions are salient in their judgements of scientific evaluations of BSE risks, they cannot be explained by expertise either. Finally, risk perceptions among experts show higher levels of variations than those among lay people. This findings suggest that risk policies should focus more on acknowledging diversity of risk perceptions and encouraging discussion to coordinate them democratically than on reducing risk information gap.

      • KCI등재

        과학기사 속의 과학자와 과학의 정치화 -2008년 광우병 논쟁 사례

        박희제 ( Hee Je Bak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1 담론 201 Vol.14 No.2

        The BSE controversy in 2008 demonstrated that Korean mass media constructed news stories reflecting their own political positions even when they reported on scientific knowledge, which has been known as the most objective knowledge. While news reports cited experts to deliver objective knowledge with authority, Korean media generated news from a specific position in the controversy by determining who they would use as information sources. That is, in the BSE reports, experts were used as supporters of a specific position in the controversy rather than as neutral information sources. At the same time, while scientific knowledge on BSE as an example of post-normal science has suffered from many uncertainties, experts also tended to express a specific position in the controversy as objective and indisputable knowledge rather than acknowledging uncertainties. That is, experts tended to speak for one side of the controversy as objective knowledge, while the media tended to cite selectively experts in a specific position. As the result, the media and experts failed to think over the uncertainties and limits of scientific knowledge reflexively and lead social discussion for consensus based upon them.

      • KCI등재후보

        더 나은 사회를 위한 과학을 향하여

        박희제(Bak, Hee-Je),성지은(Seong, Ji Eun) 한국과학기술학회 2015 과학기술학연구 Vol.15 No.2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와 혁신(RRI)은 과학기술을 단지 경제성장의 도구를 넘어 더 나은 사회(better society)를 위한 도구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이론적 · 방법론적 프레임워크로 한창 논의중인 개념이다. RRI는 연구와 혁신에 수반되는 책임의 범위를 연구과정뿐 아니라 연구의 목적과 동기 나아가 연구결과에 대한 책임으로까지 확장한다. 또 이러한 책임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방법론적 프레임워크로 예견, 성찰, 숙의/포괄성, 책임이라는 네 가지의 상호 연관된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RRI는 단지 이론적 논의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이미 다양한 수준에서 실천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STIR와 SPICE라는 두 연구프로젝트와 영국의 EPSRC, 네덜란드 MVI, 한국의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과 같은 사례를 통해 RRI가 어떻게 기존의 혁신정책 및 연구개발사업을 성찰적으로 반성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방향타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논의한다.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 is a concept emerging rapidly as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ramework to shape science for better society, instead of merely for economic growth. While the responsibility of science usually means ethics of researchers in the process of research, RRI extends the concept of the responsibility by claiming that researchers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purpose and outcome of research as well. In addition, RRI proposes four interconnected concepts of anticipation, reflectivity, deliberativeness/inclusiveness, and responsibility as a methodological framework to achieve these tasks. However, RRI is not merely a theoretical concept but has been already practiced at many levels in real world. We discuss how RRI has been practiced and played important roles in reflecting on research and innovation policies in the past and guiding new policies by examining two research projects, STIR and SPICE, and three national R&D programs, EPSRC’s embracement of RRI in the Britain, MVI in the Netherlands, and R&D for social problem-solving in Korea.

      • KCI등재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수용도

        박희제(Hee Je Bak) 한국농촌사회학회 2013 農村社會 Vol.23 No.1

        학자들은 새로운 지식을 생산하고 이로부터 파생되는 위험을 통제하는 제도에 대한 신뢰를 과학기술 관련 위험에 대한 일반시민의 인식을 결정하는 주요요인으로 강조해왔다. 이에 이 논문은 전국적인 설문조사자료를 분석하여 과학과 정부에 대한 신뢰가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인식과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인식과 그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한국인의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인식은 편익인정이나 위험에 대한 우려 어느 한쪽이 지배적이라기보다 상반된 인식이 공존하는 양면가치적(ambivalent) 성격을 띠고 있었고, EU시민들과 비교할 때 우려 정도는 유사한 반면 편익인정에서는 상대적으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과학과 정부에 대한 신뢰수준은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인식과 수용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찾아본 경험이 많을수록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커졌다. 한편 정치성향은 유전자변형식품 수용도나 구매행동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나 식품안전문제와 같은 위험정치의 경우 전통적인 진보 대 보수의 정치 갈등을 넘어서는 삶의 정치로 이해해야 한다는 주장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Scholars have emphasized public trust in institutions which produce new knowledge and are responsible for controlling risks associated with it as a crucial determinant of public perceptions of science-related risks. Analyzing a nation-wide survey results, this paper examines how Koreans perceive GM food and what determine it with an emphasis of the effects of trust in science and the government on the perception. Perceptions of GM food were ambivalent in Korea, so recognition of benefits and concern about risks exist hand in hand. Compared with EU citizens, Koreans show higher levels of recognition of benefits of GM food while they show similar levels of concern about risks of it. It turns out that the levels of trust in science and the government have direct effects as well as indirect effects through perceptions of GM food on the acceptance of GM food. Also, as people look for information on GM food more, they tend to have negative perceptions of it. Political orientation has little effect on the acceptance level and consumer behavior of GM food and only limited effect on the perceptions of GM food. These findings support the claim that risk politics on food safety should be understood as life politics which goes beyond the conventional conflict between progress and conservative political ideologies.

      • KCI등재

        한국 대학에서의 과학연구의 성격과 변화

        박희제(Hee Je Bak) 한국사회이론학회 2006 사회이론 Vol.- No.30

        이 논문은 과학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관심이 각 국가별 과학 활동의 특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요인이라는 밴 데이비드의 논의에 기초하여 한국사회에서 대학의 연구활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대학연구에 대한 국가와 사회의 지원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나아가 이것이 우리나라 대학연구에 어떤 특징을 만들었는지를 살펴본다. 해방이후 정부와 정책결정자들은 한결같이 과학적 연구를 국가경제발전을 위한 수단으로만 인식해왔다. 이러한 기준으로 볼 때 초기 대학연구자들의 연구조건과 순수연구 지향성은 불만족스러운 것이었으며 이는 1980년대까지 대학연구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지체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반면 1980년대 후반부터 나타난 대학연구의 외형적 급성장은 거의 전적으로 정부의 연구비지원 증가에 기인한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흔한 설명은 우리나라의 산업발전에 따라 이제 대학이 주로 담당하던 기초연구의 중요성이 증가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는 우리나라 정부와 정책결정자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은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대학연구에 대한 정부의 연구비지원 증가는 대학연구를 응용 및 개발연구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친환경행동의 결정요인과 구조: 친환경행동의 다차원성과 환경의식의 영향을 중심으로

        박희제 ( Hee Je Bak ),허주영 ( Ju Young Huh ) 한국환경정책학회 2010 環境政策 Vol.18 No.1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SEM), this study has analyzed the structure of pro-environmental behaviors among Seoul citizens. The levels of environmental concerns turn out to have effects on both the high-burden and low-burden individual environmental behaviors. Unlike the low-cost strategy hypothesis,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concerns on two types of individual environmental behavior. Also, the younger generation a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pro-environmental behaviors. This pattern, being contradictory to the expectation of the post-materialism thesis, is consistent with not only individual environmental behaviors but also collective environmental behaviors. In addition to age, income has positive effects on collective environmental behaviors. The levels of environmental concerns, however, do not influence them. The levels of satisfaction to natural environment of residential area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environmental concerns and indicate positive effects on the low-burden environmental behaviors. But they do not have effects on neither high-burden environmental behaviors nor collective environmental behaviors.

      • KCI등재

        한국 과학자들의 과학자 사회 규범에 대한 인식과 평가

        박희제(Bak Hee-Je) 한국과학기술학회 2007 과학기술학연구 Vol.7 No.2

        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물리학, 화학, 생물학 분야의 과학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머튼이 과학자사회의 규범구조로 정식화한 네 가지 규범들-보편성, 공유성, 탈이해관계, 조직화된 회의-과 국가주의 가치관이 실제 과학자사회에서 어느정도 작동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응답자들은 한국 과학사회에서 출신대학과 해외학위라는 귀속적 지위의 영향으로 보편성 규범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했고, 여성의 경우 성의 영향도 큰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공유성과 탈이해관계 규범의 경우 한편으로 공유성과 탈이해관계라는 전통적인 규범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비밀주의와 연구주제 선정에 있어서 산업적 응용성과 국가적 필요를 강조하는 국가주의적 가치가 공존하고 있었다. 조직화된 회의 규범의 경우 특히 과학적 증거 이외의 다른 권위들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견지해야 한다는 규범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다는 평가가 대다수였다. 과학자사회의 규범과 가치에 대한 평가는 각 과학자들의 연구환경에 따라 상이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특히 젊은 세대의 과학자들이 보편성과 조직화된 회의 규범의 위반을 더 강도있게 지적하는 반면 연구주제의 선정에 있어서 탈이해관계 규범은 부정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By analyzing a nation-wide survey of Korean scientists, this article examines to what extent Mertonian norms of science-Universalism, Communality, Disinterestedness, Organized skepticism-work in the Korean scientific community. Respondents tend to evaluate that Universalism does not work in Korea mainly due to the effects of the prestige of universities. Women scientists also tend to point out the effect of gender against Universalism. The result of this study also shows that contradictory norms and values-Communality and Secrecy, Disinterestedness and an emphasis of industrial application and national needs in selecting research topic-mexist among Korean scientific community. The norm of Organized skepticism, denying any authority but scientific evidence in particular, is also evaluated as being often violated. The evaluation of the extent to which scientists follow Mertonian norms of science tends to depend much on research environment where each scientist works. Younger scientists who work under greater competitions, for example, tend to deny Disinterestedness in selecting research topics while they tend to emphasize Universalism and Organized skepticism.

      • KCI등재

        누가 기후변화회의론자인가?

        박희제(Hee-Je Bak),허주영(Ju-Young Huh) 한국환경사회학회 2012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6 No.1

        이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그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단일문항에 의존한 기존의 연구들은 한국인의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과 우려정도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보고해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보다 신뢰도가 높은 척도를 이용해 측정했을 때, 응답자의 약 25%만이 기후변화의 옹호론자였고, 약 13%는 회의론자였으며, 절대다수는 중도적인 입장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한국인의 대다수는 기후변화에 대한 내용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지만 기후변화 문제 해결에 낙관적이고 따라서 지나친 산업규제는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다. 기후변화에 대한 정보획득노력은 회의론을 감소시켰는데, 일반적으로 옹호론자들이 회의론자나 중도적 입장의 응답자에 비해 적극적으로 정보를 찾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일반적인 추측과 반대로 과학일반에 대한 신뢰정도는 회의론을 증가시키고 있었는데, 이는 과학에 대한 높은 신뢰가 과학기술을 통해 기후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후변화에 대한 낙관적인 태도를 낳기 때문으로 보인다. 보수적인 정치성향 역시 회의론을 증가시켰다. 이는 기후변화정책에서 논의되어 온 정부의 산업규제나 경제적 희생이 시장자유주의를 강조하는 보수적 정치성향에 반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앞으로 기후변화극복 정책이 본격화될 때 한국사회 역시 기후변화문제가 정치적 쟁점으로 확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public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and determinants of the perceptions in Korea. Relying on a single question to measure public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Korea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oncern about climate change. However, utilizing a more reliable scale, this study reveals that only about 25% of respondents are categorized as proponents of climate change while about 13% as skeptics. The majority of Korean public is in the middle. In general, Korean do not deny the scientific claims on climate change but tend to be optimistic of and prefer modest steps for overcoming the problem. Efforts to seek information decrease the skeptical view of climate change, so proponents tend to actively seek information of climate change compared to the others, including skeptics. Unlike our initial expectation, the level of confidence in science-in general tends to increase the skeptical view. This finding may reflect that the higher level of confidence in science leads people to a belief that climate change can be overcome by adv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servative political orientation also tends to increase a skeptical view of climate change, because policy efforts for climate change are often perceived as the state regulation over industry and the sacrifice of economy for environment, which are against the conservative political ide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