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아 학습행동 관련변인의 인과적 구조 분석

        박희숙(Park Hee Su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가정환경 자극, 유아의 학습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경제적 배경과 가정환경 자극 변인이 유아의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에 위치한 만 5세 유치원 유아 237명과 그 어머니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분석 및 모형 적합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학습행동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가정환경 자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은 유아의 학습행동에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환경 자극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학습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of children's learning behavior, socio-economic status, and stimulated environment in home. Subjects were 237 preschoolers, 110 boys, 127 girls(ages 5) and their mothers in G provinc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 correlations a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by using SPSS and AMOS, a statistical program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behavior was associated with socio-economic status and stimulated home environment. Second, the results confirmed the pathway from socio-economic status via stimulated environment in home to learning behavior showing a significantly good model fit. The paths from socio-economic status to child learning behaviors were mediated by stimulating home environment.

      • KCI등재

        유아기 정서능력이 취학 후 아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희숙(Hee Suk Park)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3

        본 연구는 유아기 정서능력이 취학 후 아동의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유아기 유아 106명을 대상으로 정서능력을 1차 조사한 후, 이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한 후 학업성취도를 2차 조사하였다. 연구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기 정서능력과 초등학교 취학 후 학업성취도 간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유아기 정서능력의 하위 영역들은 초등학령기 산수 점수 전체의 58%를, 언어점수를 38%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업성취도의 만족지연에 대한 설명력은 47%로 나타났으며, 두 번째 단계에서 타인 관심이 추가됨으로써 55%를, 세 번째 단계에서 조망수용 요인이 추가됨으로써 57%를 설명하였으며, 네 번째 단계에서 정서적 갈등해결 요인이 추가됨으로써 5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indergartners`` emotional competences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when they became first grader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6 young children. The Emotional Competence (Test Park, 2015), and Emotional Intelligence (Test Lee, 1997) were used to analyze young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Emotional competence tests were measured by researchers and 2 research assistants via one-to-one interview. Statistical methods in this study were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via SPS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ners`` emotional competences in kindergarten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their first school year. (2) Delay of gratification, interest on others, empathy, resolution of emotional conflict among emotional competence variables kindergartener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ir academic achievem ent in their first school year. In su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kindergartners`` emotional competences in kindergarten are related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their first school year.

      • KCI등재

        유아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교사-유아 관계가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박희숙(Park Hee Su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1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교사-유아 관계가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직무 스트레스, 교사-유아 관계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 D시에 근무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 17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상관분석,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은 교사-유아 간 친밀감과는 정적 상관을 보이는데 반해 갈등적 관계, 의존적 관계 그리고 직무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유아 관계, 그리고 직무 스트레스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설명력은 32%으며, 교사-유아 관계 중 친밀감, 의존성이 유아교사의 전체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의 관련 변인 그리고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교육적 함의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associations between preschool teachers’ job str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their resilience and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teachers’ job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ir resilience. For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178 preschool teachers working in C and D c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ers’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association with teacher-child intimacy, whereas i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onflicting relationships, dependent relationships, and job stress. Seco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the teachers’ job stress on their resilience was 32%, and intimacy and dependence among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overall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late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resilience were discussed.

      • KCI등재

        가정 연계 모델 중심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박희숙(Park Hee-Su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5

        본 연구는 가정 연계 모델 중심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부모들의 환경교육에 관한 인식과 실천 정도는 어떠한지, 가정-유치원 간 연계를 위한 환경교육 방안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가정연계 모델 중심 환경교육 방안에 대한 부모의 인식으로 구성된 질문지 225부를 배부한 후 183부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의 환경에 대한 관심도와 필요성에 대한 의지 점수는 높은데 반해 환경보전 실천 정도의 점수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들은 가정-유치원간 연계에 기초한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정연계 방법으로 ‘가정에서 유치원과 연계된 환경교육 활동하기’, ‘교사와 의사소통하기’를 ‘의사 결정하기’와 ‘자원봉사 활동하기’보다 적절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t offering basic data to connect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family-kindergarten links model for young children. The study questions were given as follows. First, how does parents' awareness and practices affect on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parent's awareness about method of family-kindergarten links?.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183 parents who sent their children to kindergartens. Th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ased on prior literature and research and used to collect the data. Data gathered from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SA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believed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was necessary and were very interested in the subject of environment. The parents' awaren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high, but parents' practice for environment was relatively low. Second, it was found that parents believed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family-kindergarten links was necessary. Also, parents preferred to do parenting, communicating, and learning at home rather than do volunteering, decision making, and collaborating with community. The conclusions found through this study regarding the parents' awareness and require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research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family-kindergarten links.

      • KCI등재

        동화를 활용한 유아 과학․미술 융합교육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미술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희숙(Park Hee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를 활용한 유아 과학·미술 융합교육 활동을 개발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유아 과학·미술 융합교육에 관한 관련 문헌 및 선행 연구를 토대로 융합교육 활동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처치는 2017년 7월 24 일부터 8월 18일까지 총 4주간 매주 2회 진행되었으며, 실험집단은 동화를 활용한 유아 과학·미술 융합교육활동을, 비교집단은 생활주제에 기초한 미술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동화에 기초한 유아 과학·미술 융합교육 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탐구 능력과 미술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discus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he science-ar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storytelling. Subjects were 34 five-year-old young childre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wo times a week for four weeks from July 24th to August 18th, 2017. Scientific inquiry capacity and art ability scale were used in the data collection. The science-art convergence education was us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art education based on the theme was used with comparative group. Covariance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o the data.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ildren’s science-art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he storytell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art ability.

      • KCI등재

        유아 학습준비도 관련 변인 탐색 : 가족의 외적환경과 가족관계 요인을 중심으로

        박희숙(Hee, Suk Par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가족의 외적환경(사회경제적 환경)과 가족관계 요인(양육행동)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G시, K시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원한 만5세 유아와 부모 202명으로 부모의 양육행동과 학습준비도 검사지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학습준비도와 가족의 외적 환경인 경제적 환경, 부 학력 그리고 모 학력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학습준비도와 가족관계 요인인 부모의 애정적, 반응적, 한계 설정하기, 합리적 지도하기와 같은 양육행동도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대한 부모의 학력을 포함한 사회경제적 요인인 가족 외적 환경과 가족관계 요인의 설명력은 각각 34%와 29%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중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1 모형으로 모 학력은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대한 영향력이 58%로 나타났으며, 2 모형으로 모 학력과 양육행동의 학습준비도에 대한 영향력은 74% 그리고 3 모형으로 가족 외적환경인 모 학력, 경제적 환경 그리고 가족 관계 요인인 양육행동은 전체 변량의 76%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는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변인을 이해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효과적인 부모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 among socio-economic status,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parenting behaviors and school readiness of the preschool-aged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202 children and their parents, 11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from the teachers and parents of 5-year-old children (N=202).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school readiness correlated positively with socio-economic status,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parenting behaviors. Second, in predicting children’s school readiness, analysis of the explanation of the socio-economic status,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showed that socio-economic status, education level of father have a more powerful explanation than that of the education level of mother. And analysis of the explanation of the parenting behaviors showed that logical guidance have a more powerful explanation than that of the affection, acceptance, limit setting.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