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 및 양육효능감이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박화윤(Park, Wha-Yun),마지순(Ma, Ji-S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과 양육효능감이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G시의 어린이집 영아와 영아의 어머니 18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 구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 양육효능감, 영아-어머니 상호작용은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 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과 영아-어머니 상호작용은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특히 민감한 반응과 정적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냉담은 영아-어머니 상호작용 전체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영아-어머니 상호작용은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특히 민감한 반응과 정적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의사소통, 전반적 양육효능 감은 민감한 반응과 정적상관이 존재하였다. 교육과 통제는 양육자의 언어적 모델링과, 정적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 다. 넷째, 영아-어머니 상호작용에 미치는 요인은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의사소통, 통제, 전반적 양육효능감이었으며,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에서는 접촉추구, 결속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maternal attachment of infant and parenting efficacy on infant-mother’s interaction. The subject were 180 infant and their mother who wer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rvice in G city. Data analysed with Pearson correlation,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howed tendency of normal level that mother’s attachment and parenting efficacy to infant, infant-mother’s interaction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mother’s attachment of infant and infant-mother’s interaction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infant-mother’s interactions. Fourth, the mother’s attachment of infant and parenting efficacy has effect on the infant-mother’s interactions.

      • KCI등재

        유아의 놀이성과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관한 연구

        박화윤(Park WhaYun),마지순(Ma JieSoon),천은영(Chon EunYe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유아들의 놀이성과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의 놀이성과 상호작용적 또래놀이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놀이성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놀이성의 요소인 유머감각에서만 남아가 여아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둘째,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서 놀이 상호작용 행동과 놀이단절 행동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놀이방해 행동은 남아가 여아보다 의의 있는 차이로 높았다. 셋째,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차원을 잘 예측해 주는 놀이성 요소를 각각 보면 놀이상호작용에는 사회적 자발성과 인지적 자발성이, 놀이방해에는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유머감각이, 놀이 단절에는 사회적 자발성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their interactive peer play. the subjects were 152 five-year-old children of 5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cities of Jeonbuk provinc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and interactive peer play, two instruments were used: Barnett’s children's playfulness scale(1990) and the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developed by Fantuzzo, Sutton-Smith, Coolanhan, Manz, Canning, & Debnam(1995).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t a any significance difference in children’s playfulness according to their sex. But, boy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girls in only humor sense of playfulnes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ruptive behavior of interactive peer play, that is, boys are significantly higher disruptive behaviors than girls. Third, physical spontaneity among playfulness qualities showed to predict well play disruption as well as play interaction. And playfulness quality that predicted play disconnection well was a negative social spontaneity.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휘력, 언어 이해력 및 표현력에 영향 미치는 사회 인구학적 변인

        박화윤 ( Wha Youn Park ),조진희 ( Jin Hee Choug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5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휘력과 언어의 이해력 및 표현력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인구학적 변인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4세와 5세 다문화유아 284명이다. 자료 수집은 장영애(1981)의 4-6세 유아용 언어능력검사의 수정에 의해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t, F검증 및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아의 어휘력은 연령, 성별, 교육기관, 가정방문교육경험, 어머니 국적에 따라 다르며 언어이해력은 연령, 교육기관, 가정방문교육경험, 어머니 국적에 따라 다르고, 언어표현력은 연령, 생활지역, 교육기관, 어머니 국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휘와 언어이해 및 표현력 모두에서 영향력을 가진 주변인은 연령이고 그 다음 상대적인 중요도는 어휘력은 어머니국적, 성별, 교육기관 순이고, 언어이해력은 어머니국적, 언어표현력은 생활지역, 어머니국적, 교육기관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유아의 언어발달을 위한 교육이나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할 때 연령은 물론 언어형태에 따라 사회 인구학적 변인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demographic variables affecting the oral language abilities comprising vocabulary,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analyzing data from 284 participating children aged four and fiv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Jeonbuk province. The language ability assessment developed by Jang Young Ae (1994) was revised for this study and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Findings reveal firstly that the oral ability levels of the subjects are affected by demographic variables in the following ways: a) vocabulary abilities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age, preschool type attended, home-visit teacher education, and mother`s nationality: b) understanding of oral language differed by age, preschool type attended, home-visit teacher education ,and mother`s nationality while c) language expression differed according to age, location in province, preschool type attended, and mother`s nationality. Secondly, analysis finds age to be the most common correlating variable in all oral language areas. After age however, each language area was affected by correlating variables in different descending orders: a) vocabulary was affected in descending correlative order by mother`s nationality, child`s gender and preschool type attended b) understanding of language was affected in descending correlative order by the mother`s nationality and c) language expression was affected in descending correlative order by child`s residential district, mother`s nationality, and preschool type attended.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 실행에 관한 연구

        박화윤(Park WhaYon),마지순(Ma JiSun),최인숙(Choi In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자기장학 실행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유치원 교사들의 자기장학 실행의 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치원 교사들이 실행하는 자기장학 내용과 자기장학 실행의 방법 그리고 자기장학 실행 후의 적용이 어떠한 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유치원 교사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고 x2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보면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 실행의 내용으로는 교수-학습활동 및 평가를 가장 많이 실행하였다. 유치원 교시의 자기장학 실행 방법은 관련출판물(47.6%)과 대중매체의 활용(43.3%) 현장견학(42.1%), 교육연수(41.7%)를 대체로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는 자기장학 실황을 통하여 습득한 지식을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suppor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 supervis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e as follows: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supervision for teaching-learning & evaluation activities had been higher participan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at the self supervision behaviors had done more than reading literature(47.6%), mass media utilization(43.3%), field-trip(42.1%), in-service program(41.7%). Early childhood teachers adaptation that have been learned by self-supervision.

      • KCI등재

        5세 유아의 성별에 따른 리더십과 자아개념의 관계

        박화윤(Park Wha-Yun),마지순(Ma Ji-Sun),조진희(Chough Ji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리더십과 자아개념이 성차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며 리더십과 자아개념은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 I, G시에 소재한 5곳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5세 유아 137명이다. 유아의 리더십 측정은 이은미(2006)가 제작 사용한 것으로 담임교사에 의해 체크되었고, 유아자아개념은 송인섭(2004)이 개발한 것에 기초하여 이경화, 고진영(2006)이 보완한 도구로 유아와의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리더십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요인인 친사회적능력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의의 있게 높게 나타났다. 자아개념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하위요인인 친구관계 자아개념, 언어적 자아개념, 일반적 자아개념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리더십과 자아개념의 관계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성별에서는 여아의 리더십과 자아개념이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리더십과 자아개념과의 관계를 통한 유아교육프로그램발달에서 성별의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five-year-old children's leadership and self concept were related by their gender and w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leadership and self concept 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7 five-year-old children involved in 2 kindergartens and 3 daycare centers of Jeon-buk province. For this study, teachers checked leadership checklist(Eunmi Lee, 2006) and researcher interviewed young children with their self-concept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Kyunghwa Lee and Jinyoung Go(2006).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test,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t any difference in leadership by children's sex. But girls' scores were higher than that of boys in pro-social leadership among leadership factors. Girls' self concept was generally higher than boys', especially in friendship, language ability, and general self-concept among self concept sub-a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leadership and self concept was positively correlated. Especially, family relation self concept and language ability self concept were highly related to leadership.

      • KCI등재

        가족 친화적 남편 및 아버지의 역할수행을 위한 문화조성방안

        박화윤 ( Wha Yun Park ),마지순 ( Ji Sun Ma ),안라리 ( Ra Ri A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3 No.2

        여성의 사회 참여 증가와 핵가족화로 인해 자녀 양육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약화는 심각한 수준의 출산율저하를 가져오게 하는데 이르렀다. 이는 전통적인 성별분업에 의한 역할구조상의 변화가 없는 현실과 자녀의 발달을 도모하는 자녀양육에 대한 여성의 책임이 부모 양쪽의 공동책임으로 해야 하는 시대적 요구를 실현하지 못하는 데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즉, 가정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사참여나 자녀 양육에 있어서 남편 및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논의는 물론 이에 대한 실천이 보편화될 수 있는 생태학적 환경의 배려가 따라가지 못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의 사회 참여가 불가피해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가족 친화적인 남편 및 아버지의 역할을 이루기 위한 가정, 기업, 사회의 측면에서 그 방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한국 가정이 당면하고 있는 다양한 욕구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같이 일하고 같이 키우는 성 평등에 기초한 양성평등적인 가정 문화의 조성이 되어야 하고 이의 실천을 위해 근로자들의 일-가족 관련 욕구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해주는 가족 친화적인 기업문화가 조성되어야 한다. 또한 남성을 사회의 기초 구조인 가정에서 남편 및 아버지로서의 역할을 찾게 하는 가장 중요한 근간이 되는 사회의 패러다임 변화가 조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향에서 접근되고 실천이 이루어질 때 일과 가정을 양립하는 가족친화적인 아버지로서 남편으로서의 역할이 보편화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upport methods that family, company, and society help man enact the role as a husband and father in family. The results were as follow: In family, a man has to be aware that man should enact such things as child care and housekeeping among the husband`s and father`s roles and a woman has to support of such roles as the husband and father, and child care in the father`s role should be respected. In company, the family intimated policy should be organized and enacted in order to support husband`s and father`s role in the family. In society, social recognition of husband`s and father`s role in the family should be changed, and social prejudice and parent education supports of father`s role.

      • KCI우수등재

        미술 작품 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화윤(Wha Youn Park) 한국아동학회 2001 아동학회지 Vol.22 No.2

        In this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art appreciation on children`s creativity, art appreciation activities were provided for 20 five-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over an 8-week period. Data collected with the use of the General Creativity Test for Children(Chon, 1995) were analyzed by t-test, ANCOVA and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art appreciation activities developed a higher level of creativity on all scales of creativity, including originality, fluency, flexibility, and imagination and in all areas of physical, linguistic, and diagrammatic creativity. Boys were more creative than girls in imagination, originality and physical creativity.

      • KCI등재

        지역사회체험에 기초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 및 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화윤(Park Wha-Youn),이연희(Lee Yeo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전통 및 산업 문화를 직접 탐색, 감상한 후 표현해 보는 미술활동경험이 유아의 미술표현 및 감상능력의 증진에 효과가 있는 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라북도 I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실험, 비교 두 집단 사전 사후설계에 의해 실험집단에게는 지역사회의 전통 및 산입문화를 중심으로 체험주제와 관련된 자료의 탐색 및 감상 등의 사전활동을 한 다음, 현장체험에서는 직접 탐색 및 감상, 사후활동에서는 미술표현 및 감상활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역사회체험에 기초한 미술활동은 유아의 평면미술 및 입체미술표현능력과 미술감상능력을 증진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rt activities based on community culture experience affected young children's ability of art expression and art appreciation. The subjects were 40 five-year-old children of Y day care center in Iksan city of Jeonbuk province. For this study, 20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reated 12 sessions of art activities based on Iksan community culture, where themes were composed of pottery, stone sculpture, and jewelry. The experimental group did such activities by observation, appreciation, and expression of it. In order to measure the children's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bilities, three dimensional expression assessment developed by Jongsook O, drawing expression ability developed by Sungae JI, and aesthetic development developed by Sookyoung Lee were used for pre-test and post-te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n both two dimensional and three dimensional art expression and art appreciation, children's abiliti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mproved significantly.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지도관련 학술지연구의 내용분석

        박화윤(Park Wha-Yo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7

        본 연구는 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한 놀이지도행동 연구의 내용분석을 통해 교사의 놀이교수능력 발달 및 놀이증진을 위한 교사의 놀이지도연구의 방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유아교육관련 6개 학술지에 게재된 놀이지도행동연구 29편이며 연구내용은 교사행동범주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논문의 분석 결과, 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신념, 교수효능감을 주제내용으로 하는 인식론적 연구와 교수행동을 주제내용으로 하는 경험론적 연구로 대별할 수 있었고, 경험론적 교수행동 연구가 인식론적 연구보다 많았으며 놀이지도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2000년부터 이루어졌다. 연구내용을 구체적으로 보면, 인식론적 연구내용은 놀이지도에 필요한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인식, 신념과 교수효능감의 측정도구 개발 및 놀이지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내용이었고 경험론적 교수행동 연구내용은 놀이시간의 현상학적 교수행동분석과 교수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분석, 놀이증진에 영향을 주는 교수행동과 교사개입의 효과를 분석하는 내용이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general trends of the research contents of teacher's play guide behavior in the play research ar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total 29 articles of teacher's play guide were selected from the 6 Korean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the first published year of every journal to July, 2008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analyzing criteria of the research contents was based on subcategory classifying teacher behavior artic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classified with the two kinds of research contents in the teacher's play guide behavior researches, which are teacher's teaching behavior research and epistemological research of teacher's play. Teacher's teaching behavior research is more than epistemological research of teacher's play. Second, in the epistemological research of teacher's play, there are teacher's perception, beliefs, and teaching efficacy of play. Teacher's perception research of play was studied the most, while teacher's belief research of play was studied the least. Third, in the researches of teacher's play guide behavior, there are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that shows teacher's teaching styles and the variable research that effects teaching behavior during play time, and also there are the variable research related to teaching behavior that effects the play development, and the teacher's intervention research that conducts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lay.

      • KCI우수등재

        부모역할, 자녀양육과 양육태도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박화윤(Wha Yon Park),최재숙(Jae Suk Choi),마지순(Ji Sun Ma) 한국아동학회 2002 아동학회지 Vol.23 No.5

        In this study, 354 college student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parental roles, and their parents` and their own attitudes about childrearing. Data were analyzed by SPSS. Findings were that most college students perceived instrumental reasons for becoming a parent, and the parental role as consultant and provision of financial support. Most college students thought that mothers and fathers gave equal responsibility for raising children, that information on childrearing is to be found among friends and other adults, and that pre-parenthood education is important. They perceived their own parents to be satisfied with their parental roles, and they perceived both their patents and themselves to hold favorable attitudes about childrearing. Students` attitudes about childrearing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ir perceptions about their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