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리양육 조부모의 우울감과 양육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박화옥 ( Hwa Ok Park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3 社會科學硏究 Vol.39 No.1

        본 연구는 가저위탁제도 내이서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이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손자녀 및 양육특성을 파악하고, 조부모의 우울감과 양육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각 시도의 17개 가정위탁지원세터별로 10세대의 조손가족을 할당하여 전국표집을 수행하였고, 최종적으로 160명 조부모의 응답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신의 신체적 건강을 나쁘다고 인식하고, 손자녀의 내재화 문제 행동을 심각한 수준으로 생각하는 조부모일수록 높은 수준의 우울감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조부모가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는 우울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나타내 사회적 지지가 조부모의 우울감 완화에 주요한 요인임을 재확인 하였다. 한편, 배우자와 동거하는 조부모일수록, 손자녀가 남아인 경우, 손자녀이 내재화 문제행동을 심각하게 평가하는 조부모일수록, 의료경비 부족을 자주 경험하고, 손자녀이 친부모와 관계가 좋지 않은 조부모일수록 양육의지가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조손가족을 위한 가정위탁지원과 복지서비스의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grandparents, grandchild`s characteristics, and care circumstance as well as to investigate factors associated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and care retention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in foster care system. purposive and quota sampling procedure was ten cases each 17 regional foster care service center were assigned. Data from the total of 160 grandparents were analyzed, Results reveal that grandparents who reported poor or fair physical health and perceive internalizing problems of grandchildren are more likely to retort higher levels of depression. Grandparents` perceived social support is found to have a direct, negativ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Those who have a living-with spouse, raise a grandson, perceive internalizing problems of grandchildren, report lack of medical expenses, and report wors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grandchild in care are more likely to report unwillingness to care retention. Implications for foster care and welfare policy and practice are discussed to better serve grandparents and their grandchildren in foster care system.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조손가족 조모가 경험하는 손자녀 양육에 대한 질적 연구

        박화옥(Hwa-Ok Park),임정원(Jung-won Lim),김민정(Min Jung Kim)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4

        본 연구는 개별 심층면접을 통해 조손가족 조모의 손자녀 양육에 대한 경험을 확인하고, 양육자의 관점에서 어떠한 신체-심리-사회적 이슈들을 당면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에서 조모와 손자녀가 경험하는다양한 이슈와 변화 및 어려움을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동거가족 내 부모세대 없이 6개월 이상 손자녀를 전담 양육하는 7명의 조모이고, 자료수집은 반 구조화된 심층 면접을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1) 손자녀 양육에 대한 나의 느낌, 걱정, 그리고 대처, 2) 손자녀 양육의현실에서 부딪히는 어려움과 장애, 3) 자라면서 변화하는 손자녀와의 갈등 그리고 대처, 4) 조부모, 부모, 손자녀 그들 간의 관계와 감정, 5) 서비스 및 자원에 대한 욕구와 바람이라는 5개의 주요 범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들 범주에서는 총 16개의 주제어와 60개의 하위주제어가도출되었다. 전반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조모는 손자녀 양육에 대해 양가감정(보람과 부담감)을 갖고 있었고, 공통적으로 경제적 어려움과건강의 한계, 손자녀와의 소통 단절에 대한 어려움을 언급하였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손자녀가 조모와의 대화 없이 하루 종일 집에서컴퓨터와 게임에 몰입하면서 세대 간 갈등이 더욱 심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조모의 서비스 욕구는 손자녀를 위한 학습지원과 정서적·관계적 지원, 그리고 경제적 지원에 우선순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조손가족 지원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ing experiences among grandmother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from grandmothers’ perspective, and a variety of their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and social challenges they were facing in everyday life.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new issues, changes, and difficulties grandparents and their grandchildren were going through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even grandmother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without their cohabiting parents participated in an in-depth interview, and the qualitative date were obtaine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nalyses identified 5 main categories: 1) my emotion, worries, and coping with parenting grandchildren, 2) difficulties and obstacles facing in real life of the parenting, 3) conflicts and coping with growing grandchildren who showed new characters, 4) relationships and emotions among grandparents, parents, and grandchildren, and 5) needs and desires toward social services and support. Sixteen themes and 60 sub-themes were also derived. The majority of grandmothers expressed diverse difficulties in their daily lives including ambivalent emotions regarding grandchild-rearing(rewards and burden), economic hardships, physical health limitations, and a lack of communications with their grandchildren. Further, findings indicated profound generation conflicts which had been even deepened during school close period in COVID-19 pandemic and had been associated with increased hours of using internet and playing computer games. The top priority of the social service needs among interviewed grandmothers was learning support for their grandchildren. Emotional support and social support to cover their lack of family interactions, and financial support were the next of their desired social services. Implications to improve social services for grandparent-headed families are discussed.

      • KCI등재

        대리양육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손자녀의 학교생활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양육태도와 외현화 문제행동의 매개효과

        박화옥 ( Hwa Ok Park ),김민정 ( Min Jung Kim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社會科學硏究 Vol.4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리양육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손자녀의 학교생활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손자녀가 인식한 조부모 양육태도와 외현화 문제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전국의 17개 가정위탁지원센터별로 대리양육 조손가족을 할당표집하고, 지역복지 센터와 학교를 기반으로 유의표집된 총 186 대리양육위탁가정의 조부모-손자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경로분석 결과,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손자녀가 인식하는 조부모의 양육태도와 외현화 문제행동에 매개되어 학교생활적응도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손자녀가 지각한 적대ㆍ거부적인 양육태도에 매개되어 학교적 응도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권위ㆍ통제적 인 양육태도로 인식되어 매개되는 경우 손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완전 매개되어 학교적 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리양육 세대 손자녀의 학교 적응력 향상과 조부모를 위한 서비스 및 프로그램 개입과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foster grandparents`` parental attitudes and grand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grandparents`` parental stress and their grandchildren``s school adjustment. Specifically,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grandparents`` parental stress increase negative parental attitudes, which increases the risk of grandchild’s externalizing problem.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is, in turn, hypothesized to reduce the likelihood of school adjustment among grandchildren living with foster grandparents. The analysis sample consists of 186 forster grandparents and their grandchildren drawn from the 17 regional foster care service centers across the nation. Findings from path analyses reveal that grandparents`` parental stress predicts a lower level of grandchild school adjustment. Parental attitudes and externalizing behavior also predict school adjustment among grandchildren, and fully mediates the effect of parental stress. Both parental stress and negative parental attitudes have negative influences for grandchildren that increase externalizing behavior while reducing school adjustment. Implications for the programs and social services of foster grandparents and their grandchildren``s school adjustment are discussed.

      • KCI등재

        지역 특성이 손자녀 전담양육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박화옥(Park, Hwa-O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5 비판사회정책 Vol.- No.49

        본 연구는 거주지역 특성이 손자녀 전담양육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전국 16개 시도에서 표집된 223가구 내 조부모-손자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개인수준 변인들을 수집하였고, 시·도 단위의 기초수급자 비율과 범죄 건수, 조부모가 인식한 동네무질서와 사회적 지지의 지역평균치를 지역수준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조부모와 손자녀의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을 통제한 이후 지역 특성이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타 지역보다 동네무질서 평균치와 범죄 건수가 높은 지역 그리고 사회적지지 평균치가 낮은 지역에 거주하는 조부모일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손자녀가 자신의 외현화 문제행동을 심각하게 보고할수록, 같은 지역 내에서 동네무질서 수준을 심각하게 인식하는 조부모일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손자녀 전담양육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Based on a social ec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examine effects of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on the parental stress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For Level 1 variables, the current study surveyed 223 grandparent-grandchild dyad across all 16 provinces of South Korea. For Level 2 variables, data on crime incidence and a rate of people receiving welfare cash assistance were collected and aggregate scores of neighborhood disorder and social support were created for each province by calculating the average disorder or support scores of grandparents living in the same province. Findings from HLM analysis indicate that residence in neighborhoods characterized as being higher disorder, higher crime incidence, but lower support was associated with greater likelihood of parental stress in multilevel models adjusting for grandparent’s age, marital status, self-rated health, and economic hardship, and grandchildren’s age, sex, and behavioral problem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are discussed.

      • KCI등재

        IoT 센서 기반 돌봄서비스를 이용한 독거노인의 일상생활 변화와 만족도 연구

        김수완(Soo Wan Kim),박화옥(Hwa-Ok Park),윤수인(Su-In Y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9

        본 연구의 목적은 IoT 센서 기반 돌봄서비스를 이용한 독거노인의 일상생활 변화를 분석하고 사용자 만족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룬 IoT 센서 기반 돌봄서비스는 IoT 기술과 돌봄코디네이터의 대인 · 대면 서비스를 접목한 통합적 돌봄서비스이다. 수도권 3개 도시의 지역복지관을 통하여 65세 이상 독거노인을 연구대상자로 모집하였고, 비동일 통제집단 전후 비교조사 설계를 적용하였다. 실험집단(32명)은 레이더 센서를 통해 수집된 자신의 건강정보와 환경정보 데이터를 앱으로 확인하며 스스로 자신의 일상생활 습관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였고, 돌봄코디네이터는 정기적으로 데이터 기반 상담 등의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였다. 통제집단(32명)은 댁내 장비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코디네이터의 일반적인 안부 확인과 말벗 서비스만 제공받았다. 3개월간의 서비스 이용 전후 설문조사 분석 결과, 실험집단 참여자들은 식사 패턴과 충분한 수면시간, 하루 중 활동 시간의 적절성과 관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인식 변화를 보였다. 반면 통제집단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IoT 센서 기반 돌봄서비스는 조도, 습도, 온도 등의 실내 환경을 이해하는데 유용성이 높았으며, 돌봄서비스에 대한 전반적 만족 수준과 코디네이터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앱 서비스의 만족 수준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독거노인을 위한 ICT 기반 돌봄서비스를 구성할 때 대인·대면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hanges in daily life and user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ttributable to IoT sensor-based care services. The care service subject of this study was an integrated service that combined IoT technology with interpersonal and face-to-face contact with care coordinators.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living alone were recruited in three cities; a non-equivalent group design was applied. The experimental group (n=32) had regular contact with a coordinator who had access to health and environmental data collected using radar sensor equipment. The control group (n=32) received only regular safety checks and chatting service contact with a coordinator. Analysis after 3 months of servic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self-perceptions of eating patterns and sleep adequacies and daily activity times in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no such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The IoT sensor-based care service, as assessed by subjects, was considered very useful for understanding indoor environments, including illumination, humidity, and temperature. Overall user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coordinator service usefulness and app service satisfac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combine ICT-based services and face-to-face services for elderly living alone.

      • KCI등재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자본이 문화활동에 미치는 영향

        권현정(Hyun-Jung Kweon),박화옥(Hwa-Ok Park)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고령사회의 예비노인이라 할 수 있는 베이비붐세대(출생연도 1954년부터 1968년까지 출생자)를 대상으로 노인의 여가활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이 초점을 둔 소득수준, 문화시설의 접근성, 건강상태뿐 아니라 Bourdieu(1977)에 의해 주장된 문화자본을 함께 고려하여 베이비붐세대의 문화활동 참여경험의 영향요인을 살펴보는 데 있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베이비붐세대를 대상으로 성별과 학력을 기준으로 할당표집방법을 활용하였고, 총 292부의 설문응답이 최종분석의 대상이 되었다. 분석결과, 문화활동 8개 영역(문화예술 관람, 문화예술 창작 및 발표활동 등)의 참여여부에 있어 성별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문화시설 접근성이 높을수록, 혼인 상태에 있을수록, 경제자본이 높을수록, 문화자본이 높을수록 각 영역의 참여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속문화자본과 획득문화자본의 영향력은 각각의 문화활동 8개 영역과 전반적인 문화활동 참여경험 총합에서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규명되었다.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노인의 여가활용 실태와 비교하면, 베이비붐세대의 문화활동 참여는 다양한 영역에서 비교적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으며, 이는 현재 노인들의 단순 여가활동 수준에서 벗어나 문화자본을 많이 소유한, 미래의 노인인 베이비붐세대의 욕구에 부응하는 문화복지 정책과 서비스의 활성화가 시급함을 시사해 준다. From a cultural capital perspective, developed by Bourdieu(1977),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of the cultural capital with the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among Korean baby boomers, defined as individuals born during 1954-1968. A quota sampling procedure was used to consider gender and educational levels in Seoul and suburb areas, and a total of 292 responses were analyzed. Results from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gender and the levels of inherited and acquired cultural capital a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activities (e.g., attend a professional concert or performance, do any cultural and visual art). Overall, those with better physical health conditions, having greater accessibility to facilities, being married, and having higher incomes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each area of cultural activities during the past year. Contrary to the low participation level of individuals aged 65 or older in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the baby-boomers appear to have a wide variation in their cultural capital and a diverse cultural interest. Th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and cultural policy designed for prospective aging population need to go beyond simple and passive activities and are expanded in the culture-related education and services from the life course and cultural capital perspectives.

      • KCI등재

        여성 사이버멘토링 발전 방안을 위한 연구

        이홍직(Lee Hong-Jik),김예성(Kim Ye-Sung),배정현(Bae Chung-Hyun),박화옥(Park Hwa-Ok)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26 No.3

        전문인력 활용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사이버멘토링은 여성들의 잠재력을 계발할 수 있는 효율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여성 사이버멘토링 프로그램인 위민넷 사이버멘토링 프로그램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Q 방법론을 통해 이들의 주관적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여성 사이버멘토링을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위민넷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다양한 분야의 멘토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제시하였으며, ‘직간접적인 소통을 원하는 유형’, ‘기술적인 운영 부분에서의 변화를 추구하는 유형’, ‘전문적이고 질 높은 교육을 원하는 유형’이라는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여성 사이버멘토링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온오프라인 사이버멘토링 연결망의 활성화, 기술적인 운영에 대한 지원,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수준 높은 교육 제공 등의 방안을 제시하고 구체적 실천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Under the situation of importance of female resources are increased, a cyber-mentoring system has been taken an attention to be an effective method for developing women's potential abilitie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perception types about cyber-mentoring program of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Women-Net cyber mentoring program which is a national cyber-mentoring system for women and suggest methods for improving cyber-mentoring syste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dopted Q-methodology which is developed mainly to study on the subjective conceptualization of related people on research theme. The results showed that recruiting large numbers of mentors from various fileds is the primary subject of cyber-mentoring system pointed out commonly by participants. And this study found out three major types of perception on cyber-mentoring program, which are the types of desiring for frequent communication with other participants, pursuing change in techniques through the management system, expecting to receive professional and high-quality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various methods for activating on-off lined network, supporting technical operations and offering high level of education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