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소아 상완골 내과 골절 부정 유합에서 시행한 조기 교정 절골술 - 증례 보고 -

        정홍준 ( Hong Jun Jung ),박호연 ( Ho Youn Park ),김윤아 ( Yuna Kim ) 대한골절학회 2022 대한골절학회지 Vol.35 No.1

        소아의 원위부 상완골 내과 골절은 매우 드물며 나이가 어릴수록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이는 관절내 골절이며 Salter-Harris IV형의 성장판 골절이므로 골절이 방치되거나 오진이 되면 불유합, 각편형, 관절 구축 등의 합병증 발생률이 매우 높고 예후가 불량하다. 저자들은 상완골 내과 골절 부정 유합으로 내원한 4살 소아 환자에서 조기에 교정 절골술 후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Fractures of the medial condyle of the distal humerus in children are very rare, and the younger the age, the more difficult it is to diagnose. These fractures include an intra-articular fracture and a Salter-Harris type IV growth plate fracture. Therefore, the prognosis is poor if the fracture is neglected or misdiagnosed because of the high incidence of complications such as nonunion, angular deformity, or joint contracture. This paper reports a case of a four-year-old child who presented with a malunion of the medial condyle of the humerus with good results after an early corrective osteoclasis.

      • KCI등재

        퇴행성 관절염을 가진 한국 여성의 슬개골 두께

        조우신 ( Woo Shin Cho ),우제호 ( Je Ho Woo ),박호연 ( Ho Youn Park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2

        목적: 슬개골 두께는 인공 슬관절에서 슬개 활주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여 슬관절 치환술을 시행하는 술자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본원에서 퇴행성 관절염으로 슬관절 치환술을 시행 받은 여자 환자 330명 538예를 대상으로 0.01 mm 단위의 계측기로 슬개골 골절제 전 슬개골 두께의 가장 두꺼운 부분을 측정하고 나이, 신장, 체중, 체질량 지수 및 Outerbridge 분류에 따른 골관절염 정도와 측정치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슬개골 두께는 평균 21.37±1.43 mm이었다. 슬개골 두께는 신장, 체중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관절염의 정도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하지만 나이와 체질량 지수와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퇴행성 관절염이 있는 한국 여성의 술 전 평균 슬개골 두께는 평균 21.37±1.43 mm였으며 신장, 몸무게, 골관절염의 정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Purpose: The patellar thickn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patellar tracking in patients who undergo total knee arthroplasty (TK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he surgeons who perform TKA by presenting basic data on the patellar thickness of the osteoarthritic Korean women.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6 to May 2007, we measured the patellar thickness of 330 patients (538 cases) who were undergoing TKA. The thickest portion of the patella was measured on a scale of 0.01 mm with using an electronic caliper before patellar osteotomy. We analyzed the data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tellar thickness and the patients` age, height, weight and BMI, and the osteoarthritic change of the patella. Results: The average thickness was 21.37±1.43 m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of patellar thickness with weight and height and a negative relation with the degree of osteoarthritis. Age and BMI were not related with the patellar thickness. Conclusion: The average thickness was 21.37±1.43 mm and it was closely relate with weight and height and the osteoarthritic change of the patella.

      • KCI등재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에서 경골 근위부, 요추, 대퇴골 근위부의 골밀도 및 하지 정렬과의 상관 관계

        조우신 ( Woo Shin Cho ),변화교 ( Hwa Kyo Byeon ),박호연 ( Ho Youn Park ),정홍준 ( Hong Jun Jung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of the proximal tibia,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and to determine out their correlations with the knee alignment in knee osteoarthritic (OA)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volved 203 patients (322 knees) with knee osteoarthritis and who had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from July 2005 to September 2006. The BMDs of the proximal tibia,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were measured and compared. The knee alignment was checked and its correlation with each BMD was analyzed. Results: The mean BMD of the medial proximal tibia, lateral proximal tibia,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were 0.857±0.180 g/cm2, 0.772±0.177 g/cm2, 0.940±0.174 g/cm2, and 0.721±0.126 g/cm2, respectively. The mean knee alignment was 10.2±4.7o varus and the deformity got severe as the BMD of the lateral proximal tibia,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were lower and that of the medial proximal tibia was higher. Conclusion: The BMD of the proximal tibia was lower than that of the lumbar spine and higher than that of the proximal femur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The BMDs of the lateral proximal tibia,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varus deformity, but that of the medial proximal tibia was positively correlated.

      • 알코올 의존 환자군의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리기 검사) 반응 특성

        박호연,박경 서울여자대학교 2010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0 No.2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responsive characteristics that both patient group with alcohol dependence and normal group show in the PPAT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and examine what difference in response the patient group with simple alcohol dependence, the patient group with comorbid alcohol dependence and normal group show in the PPAT. For this study, the PPAT was individually performed for patients who were in the J-alcohol special hospital and the W-alcohol special hospital that were located at the In-cheon. Patients who had different mental disorder such as schizophrenia, bipolar disorder, depression and personality disorder were also included in the patient group with alcohol dependence. AUDIT (Alcohol Use Disorder Inventory Test) questionnaire and PPAT were individually performed to the normal. Only data that the AUDIT score does not exceed the alcohol dependence level of 20 point was us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male and female adults whose age was between 19 years and 69 years, and were 200 total persons consisted of 100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and the normal of 100 persons. FEATS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was used as a scoring system to analyze formal factors of the picture, and contents of the picture were treated through Contents Scale. The test was scored by 4 art therapists.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scored for 14 FEATS, and chi-square test was scored for 13 questions on the Contents Scale. A Scheffe test was performed to particularly examine relative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 group with simple alcohol dependence, the patient group with comorbid alcohol dependence and the norma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as the results of analyzing FEATS of the patient group with alcohol dependence and the normal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14 FEATS items such as prominence of color, color fit, implied energy, space, integration, logic, realism, problem solving, developmental level, details of objects & environment, line quality, person, rotation and perseveration. Of them, most highest difference of level appeared from the 13 remaining items except for rotation.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FEATS on the patient group with simple alcohol dependence, the patient group with comorbid alcohol dependence and the norma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 group with simple alcohol dependence and the patient group with comorbid alcohol dependence but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in all 14 items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other two groups. Thi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 group with alcohol dependence and the normal group by using the Contents Scale,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in numbers of the colors used in the whole picture, colors used in the whole picture, person, numbers of the colors used for person, colors used for person, sex, actual energy of person, direction of the face, age, clothes of person, existence or not of the apple tree, trunk of the apple tree, crown of the apple tree, the color of apple tree and detailed description. In conclusion, the PPAT showed the value as a drawing test that can complement limitations of the existing evaluation tools in evaluation of the patient group with alcohol dependence using the excessive defense mechanism. 본 연구는 알코올 의존 환자군과 정상군이 PPAT(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사과 따는 사람 그리기 검사)에서 보이는 반응 특성을 살펴보고, 단순 알코올 의존 환자군과 공병 알코올 의존 환자군, 그리고 정상군이 PPAT에서 어떠한 반응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인천 지역에 소재한 알코올 전문 병원에 입원중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PPAT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는 만 19세에서부터 69세사이의 성인 남·여로 알코올 의존 환자 100명,정상인 100명으로 총 200명이다. 그림의 형식적인 요소를 분석하기 위하여 FEATS(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형식 척도)를 채점의 체계로 사용하였으며 Contents Scale(내용 척도)을 통하여 그림의 내용적인 면을 다루었다. 평정은 총 4명의 미술치료사가 실시하였으며, FEATS 14개는 독립 표본 t-검증을 하였고, Contents Scale 13개의 문항은 각각 x2 검증을 실시하였다. 단순 알코올 의존 환자군, 공병 알코올 의존 환자군, 정상군 각각의 상대적 차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알코올 의존 환자군과 정상군의 FEATS를 분석한 결과, 색칠정도, 색적절성, 내적 에너지, 공간, 통합, 논리성, 사실성, 문제해결력, 발달단계, 세부묘사, 선의질, 사람, 변환성, 보속성의 총 14가지 FEATS 항목 중 14가지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 중 변환성을 제외한 나머지 13개의 항목에서 매우 높은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알코올 의존 환자군, 공병 알코올 의존 환자군과 정상군에 따라 FEATS를 분석한 결과, 단순 알코올 의존 환자군과 공병 알코올 의존 환자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정상군과 나머지 두 집단 간에서는 14문항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Contents Scale를 통한 알코올 의존 환자군과 정상군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그림 전체에 사용된 색의 수, 그림 전체에 사용된 색, 사람, 사람을 그리는데 사용된 색의 수, 사람을 그리는데 사용된 색, 성별, 사람의 실제적 에너지, 얼굴 방향, 사람의 나이, 옷, 사과나무의 유무, 사과나무의 기둥, 사과나무의 수관, 사과의 색, 세부묘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PPAT는 과도한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알코올 의존 환자군의 평가에 있어서 기존의 평가 도구들이 가지는 한계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그리기 검사로서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