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의 행복에 관한 직업재활사의 인식

        박혜전 ( Hye Jeon Park ),김정임 ( Jeong Im Kim ),정세영 ( Se Young Jeo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Q방법을 사용하여 직업재활사가 생각하는 장애인의 행복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54명의 직업재활사로부터 진술문을 수집하여 Q 모집단을 구성하고 이를 유목화 하여, 40개의 진술문을 추출하여 Q 표본을 구성하였다. Q 분류를 위해 47명의 직업재활사가 참여하여 진술문을 9단계로 분류하였으며, 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직업재활사의 장애인의 행복에 관한 인식 유형은 3가지로 나타났으며, ``사회변화 요구형``, ``기본인간권리 요구형``, ``취업기회확대 요구형``으로 분류되었다. 사회변화 요구형의 직업재활사는 장애인 정책과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기본인간권리 요구형의 직업재활사는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기본적인 사항들이 잘 갖추어야 한다고 인식하였으며, 취업기회확대 요구형의 직업재활사는 장애인의 일할 권리와 고용 기회의 확대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행복에 대한 직업재활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되며, 향후 장애인의 행복과 역량강화를 위해 필요한 직업재활현장에서의 지원내용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ype of perception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on happin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Q-methodology. The Q-population of this study consisted of 54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in Pusan and Kyungnam area. Among the extracted Q-population, 40 Q-samples were collected by categorizing Q-sorting was conducted by 47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program. As a result, there were three main types of perception on happin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ype 1, which we labeled it as "demands for social changes", realized that we needed to change the policy and the way we treat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Type 2, which we labeled it as "demands for basic human rights", recognized that having a precondition for life is essential in becoming happy. Type 3, which we labeled it as "demands for employment increase", recognized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right to work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disabled people must exp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distinct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perception of happin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y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research perception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Which could help to suggest methods of capability reinforcement and educational support.

      • KCI등재

        노령 장애인의 취업 및 재취업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박혜전 ( Hye Jeon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령 장애인의 취업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고, 취업욕구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 가설모형을 확정하는 데 있다. 그를 위해 LISREL을 이용한 공변량 구조분석 연구로 설계되었으며, 노령 장애인 집단과 비교집단(비장애노인 집단, 50세미만 장애인 집단)간의 차이를 밝혔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 고찰 및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추출된 가설적 이론모형을 연구가설을 세워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척도들 간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적합도 지수에서 모두 허용된 범위 안에 있기 때문에 취업욕구를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을 집단별로 검증한 결과, 노령 장애인 집단에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9개의 연구가설중에서 7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따라서 노령 장애인의 취업 및 재취업에 대한 앞으로의 정책결정 및 서비스에서는 본 결과를 바탕으로 한 이러한 변인들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employment needs among elderly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preparing rehabilitation and welfare policies.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the effect of employment needs among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to predict a path model establish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Hypothetical path models established by current researcher were examined using linear multiple regression methods and the LISR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Verifying the hypothetical path model, it showed that the model was appropriate and statistically sound and could predict the employment need. Furthermore, the model was best fitted to and could predict the employment need more highly because the goodness of fit index in the whole model was within the allowed range. In conclusion, the following research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First, due to the number of increasing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it is required that the rehabilitation counselors focus on the magnification, the construction and the provision of social supports as an instrumental infra for vocational functioning among th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further studies should focus on the relationship patterns between the personal character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the labor market and studies concerning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일반 : 기독교 대학 학생들의 자아 정체성에 관한 연구

        박혜전 ( Hye Jeon Park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1 No.-

        본 연구는 기독교 대학 학생들의 자아 정체성을 파악하여 오늘날 기독교 대학의 학생들이 기독교인으로서 어떠한 자기 인식을 지니고 있는지를 파악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기독교 대학이 기독교 대학으로서의 정체성을 얼마만큼 확고히 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며, 기독교 대학 학생들의 자아 정체성 연구는 기독교 대학이 존립하는 이유를 분명히 하고 그 나아갈 방향을 검토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갖게 될 것이다. 또한 기독교 대학이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기독교적 가치관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의식 하에 다음과 같이 연구가 진행되었다. 먼저 기독교 대학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대학 이념 및 교과목의 기독교 자아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 하였으며, 다음으로 기독교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의 기독교적 자아 정체성과 신앙적 가치관을 파악하였고, 마지막으로 기독교적 자아 정체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변수들을 파악하였다. 기독교 대학 학생들의 자아 정체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대학의 이념과 가치의 자아 정체성 도움 정도로 나타났고, 성경과목의 기독교 자아 정체성에의 영향정도가 그다음으로 나타나고 있다. The study aims to grasp self-recognition of students these days at Christian universities by understanding their self-identity as Christians. This attempt can become an indicator showing to what extent Christian universities get established as Christian institutions. An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make clear the reason why Christian universities exist and examine the future directions for them. It can als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in order that they recover Christian values. With these purposes,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o know about the actual situation of Christian universities, I analyzed the effect of university principles and subjects on development of Christian self-identity, then, investigated self-identity, Christian self-identity and religious belief of students at Christian universities. Lastly, I examined variables that had influence on Christian self-identity.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been shown that university principles and value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self-identity formation, followed by courses covering the Bible.

      • 노령 장애인의 직업재활 욕구와 태도에 관한 연구

        박혜전(Hye-Jeon Park),이달엽(Dal-Yob Lee),이승욱(Seung-Wook Lee) 한국직업재활학회 2003 職業再活硏究 Vol.13 No.2

        본 연구는 노령 장애인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다시 일반요인, 경제상황, 보건생활 실태, 직업적 특성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요인이 노령 장애인의 직업재활에 대한 욕구와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노령 장애인의 직업재활 욕구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밝혀, 그 결과를 바탕으로 노령 장애인의 직업재활 서비스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전국에 있는 만 50세 이상의 노령 장애인을 대상으로 방문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210명에 대한 연구결과와 함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40대 이후의 중ㆍ고령에서의 장애발생이 52.3%톨 차지하였고, 후천적 원인에 의한 장애발생도 83.8%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경제적 상태에서는 월평균 소득이 50만원 미만이 56.5%를 나타내 1995년도 한국인구보건원 조사에서의 44%에 비교해 과거 보다 더욱 열악한 경제상태임에 처해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보건생활면에서는 자신의 건강에 별 지장이 없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은 것이 특이할만한 차이점이다. 취업 면에서 노령 장애인이 가장 선호하는 근로형태는 시간제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리고 가장 바라는 것은 취업알선이며, 취업알선 기관에 바라는 사항은 직종의 개발로 나타났다. 그리고 의료비용의 과다한 지출을 위해서 취업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하는 장애인의 취업욕구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하나의 일거리를 다수의 사람들에게 시간제로 골고루 취업시켜 일을 분배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본다. 둘째, 노령 장애인의 직업재활 욕구에 가장 영향을 크게 미치는 변수로는 연령과 장애급수, 그리고 취업경험과 장애인종합복지관과 같은 기관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다. 또 노령 장애인의 높은 취업의사와 취업알선에 대한 욕구에 부응하도록 다양한 직종의 개발과 직업훈련이 이루어져야 힐 것이다. 나아가 노령 장애인의 취업을 위하여 직업훈련 보조금 지급 등의 활발한 경제적 유인정책이 마련되어져야 한다. 끝으로, 사회가 인구고령화에 따른 노령 장애인 증가에 대한 관심과 계속적인 후속연구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체계적 사회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In our society,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has remarkably increased due to the extensions of life-expectancy and the improvement of health services. Korea is now entering in aging society. Therefore, elderly persons will be expected to continuously increase. This segment of society is currently comprising about 8.3% of the total population, numbering about 3.97 hundred peopl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persons who acquired disabilities in the life process have been increasing due to the accidents and disease. 210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in Daegu, Gyeongsang-do, Seoul, Gyeonggi-do, Jeolla-do, Gangwon-do, Chungcheng-do, Ulsan, Kwangju, Busan and Juju-do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package of survey items included a cover letter and a questionnaire devised by the author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e following five basic areas: ① 12 demographic items, ② 7 economy-related items, ③ 9 health-related items, ④ 24 occupation-related items and ⑤ 18 vocational rehabilitation needs and attitudes items. From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data, in the ares of disability related traits, and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indicated that several policy strategies to deal with the significant problems of the disabled elderly should be embarked in timely manner.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elderly for preparing rehabilitation and welfare policies of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onset of disability, above forty-years is composed of 52.3% of the total participants. Those who acquired disabilities in the life process due to the accidents and disease are composed of 83.8 %. The monthly income level of below 500 thousand won is 56.5%. In particularly, the participants who replied that the health condition would not interrupt for working are composed of 71.4%. The preference of working among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is a part time job. Second, the results of t-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needs and attitudes based on the health-cost, registration of disability and the recognition of welfare facilities. Third,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needs and attitudes based on the age, needs of The Olden Act, the purpose of job, the purpose of job-training. Also, the results of factorial ANOVA showed the economy situation, the health condition, the type of vocation cause reciprocal action are being significant statistically. Fourth, based on th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important predict variabl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needs is identified as the age. The class of disability, vocational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welfare facilities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are the next in the order of importance. In conclusion, the following research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First, various works development and job-training efforts corresponding with the needs of elderly people should be pursued. Second, strong employment policies for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prepared. Third, studies concerning for planning for rehabilitating th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continued. Fourth, further investigation should be concentrated on people who are home-bounded as well as the users of welfare fac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specialized rehabilitation policies and servic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disabled elderly, by consider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ir handicapped condition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교회의 장애인식 및 장애수용(장애인 편의시설 포함)에 관한 연구

        박혜전 ( Hye Jeon Park ),김정임 ( Jeong Im Kim ),조영길 ( Young Kil Cho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2 신앙과 학문 Vol.17 No.1

        이 논문은 한국 교회내의 장애를 바라보는 장애인식 및 장애수용의 정도를 밝히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소외되어 온 한국 교회내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태도 현황을 파악하고 자 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경남 지역 소재 교회 교인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연구문제에 따라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로서는 한국 교회내의 장애인식과 편의 시설 등을 포함한 장애수용에 대한 실태를 살펴보았고, 질적 연구에서는 교회에 다니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교회 내에서의 장애인식 등에 대한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 조사대상자는 총 279명이었으며, 장애인 대상 설문과 면접의 질적 연구에는 26멍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로 장애인식과 장애수용이 교회설립연수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비장애인 교인들의 장 애인에 대한 인식은 상당히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는 데 반해, 장애인의 비장애인들의 장애인식 에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교회 내 설치되어 있는 편의시설로는 엘리베이터와 장애인 화장실 비 율이 높게 나타났고 교회 내에 장애인에게 필요한 지원(편의시설)으로는 엘리베이터와 경사로 등을 들고 있다. 장애인 면접조사 결과에서는 장애인을 하나의 인격체로 동등하게 대우하여 줄 것을 토로하고 있어 장애인도 하나님이·창조하시고 사랑하시는 성경적 장애인관을 가져야 함을 일 깨워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앞으로의 한국 교회 내 장애인 사역에 대한 과제 및 방향에 우 선하여 장애인에 대한 더 본질적이고 중요한 성경적 가치관을 다루어야 함을 말하고 있다. This thesis is to do reveal the degree of disability awareness and accommodation in the Korean Church. This study Busan and Gyeongnam local church to target research on disability awareness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was carried out. Quantitative study subjects were a total of 279 people, the disabled target surveys and interviews 26 people were involved in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ult of impaired expression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in the church appears to be correlated with established training and awareness able-bodied members of the disabled appears to be quite positive, whereas, non-disabled with disabilities have shown differences in expression of the Disabled. Installed an elevator in the church facilities and disabled toilet ratio was higher, the necessary support to people with disabilities within the Church (facilities) are held and include elevators and ramps. Based on the results for future disability in the Church`s mission and direction for ministry will be able to off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s future ministry in the church about disability issues and direction prior to the more essential and importa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to deal with biblical values that are talking.

      • KCI등재

        시각 장애인용 온라인 적성검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반재훈,박혜전,Ban, Chae-Hoon,Park, Hye-Je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0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3 No.6

        직업재활은 장애인이 직업을 통하여 비장애인과 같은 삶을 영위하게 돕는 과정으로 정확한 직업평가를 통해 수행된다. 이러한 직업평가의 전통적인 방법은 평가도구 사용, 상담 등을 이용하는데 웹을 이용하여 직업평가를 수행하게 되면 장애인에게 매우 효율적일 수 있으나 웹접근성을 지원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논문에서는 상대적으로 웹접근성이 취약한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직업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온라인 적성검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전 세계적으로 진로지도와 상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홀랜드 검사를 이용하며 기존의 웹 사이트에서 제공되고 있는 홀랜드 검사와 구현된 적성검사 시스템의 웹접근성을 비교 평가하여 개발된 시스템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Vocational rehabilitation is defined as a process which helps people with disabilities to maintain life of non-disabled people and vocational assessment is a part of it. Traditionally, vocational assessment is performed through using of assessment tools, vocational counseling and so on. It is very efficient to apply vocational assessment to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the internet, but we should provide them with web accessibility.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the aptitude test system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supporting web accessibility. We develop the aptitude test system using the Holland Test which is the assessment tool of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We also show that the aptitude test system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supports web accessibility more than previous Holland Test which is served in the internet.

      • KCI등재후보

        청각장애인 진로성숙 경로모형 연구

        이승욱(Seung-Wook Lee),박혜전(Hye-Jeon Park) 한국직업재활학회 2005 職業再活硏究 Vol.15 No.2

        청각장애인들이 자신의 특성에 알맞는 직업분야에서 능률적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릴 때부터 체계적인 직업발달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준비교육을 충실히 제공받아야 한다. 따라서 청각장애인의 직업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진로교육에 필요한 조기개입을 실시 할 수 있도록 하는 진로성숙 진단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진로성숙을 구성하는 변인들을 규명하고, 이러한 개별 변인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조사한 다음,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진로성숙에 관한 이론적 가설모형을 검정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청각장애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직업개념과 희망직업에 대한 정보정도가 더 성숙한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이 높아질수록 작업준비태도와 희망직업에 대한 정보정도가 더 높아졌다. 둘째, 경로모형에서 청각장애인의 진로성숙도는 희망직업에 대한 정보수준. 직업인식, 진로상담 경험정도, 연령, 직업개념, 작업준비태도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직 업인식과 직업개념 간, 그리고 진로상담 경험정도와 작업준비태도 간에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h model of career maturity for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 A questionnaire using a 4-point Likert scale and a checklist were distributed to about t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unselors who provide career counseling services to their clients and students through the rehabilitation programs in their community as well as a special education setting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area. Final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95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five sections, the demographic information, occupational concept (CONCEPT), vocational preparation behavior (JOBBEHAV), occupational awareness (JOBAWARE). desired occupational information (HOPEJOB). and career counseling experience (COUNSEL), The variable. CONCEPT. was derived by combining several items from the questionnaire and the checklist. To accomplish the purposes of this study, chi-squares, t-tests, correlation analyses, factor analyses, and path analyses (LISREL) were carried out. LISREL is a computer program that perform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assessing the measurement properties of psychometric sc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career maturity for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 are ① HOPEJOB. ② JOBAWARE. ③ COUNSEL. ④ age. ⑤ CONCEPT. and ⑥ JOBBEHAV in the order of significance. Second, the results of ANOVA showed that female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higher career maturity levels than male counter parts, indicating much higher needs for pursuing jobs and expecting immediate future career life. Third. age and years of formal education seemed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variables for career maturity among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s. Forth. two career maturity path models were examined using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first model revealed to be inappropriate for predicting parsimonious career maturity effects. The second model was best fitted to the statistics related. such as Chi-square (4.37) and Comparative Fit Index etc. (GFI=.98. AGFI=.99. RMSEA=.001). In conclusion. the following research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First. professionals should put more efforts to vocational preparation activities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and to the creation of a good working environments for vocational development. Seco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should have close relationships for preparing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o the smooth transit from school to work.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must be started as early as middle school ages and should be included in the regular class room activities.

      • KCI등재

        산재근로자 직업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이승욱(Lee Seung Wook),박혜전(Park Hye Jeon) 한국직업재활학회 2007 職業再活硏究 Vol.17 No.1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들의 직업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구명하고 그에 따른 상대적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보다 실질적인 직업복귀 모형을 구성하여 산재근로자 재활서비스와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05년도에 치료를 종결한 사례관리대상 산재근로자 499명을 표집하여 4대 사회성 보험 전산자료들의 조합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생태학적 요인들 전체가 직업복귀에 미치는 영향은 나이가 어릴수록 0.034배 높아지고, 건설업종에서 종사하지 않았으면 3.055배 높아지고, 재요양을 하지 않으면 3.216배가 높아지고, 사회적응 만족도가 높을수록 1.32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는 재요양여부에 가장 큰 영향을 받고, 다음으로 건설업종여부, 사회적응 만족도, 그리고 나이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return to work among persons with industrial injuries. The secondary data were obtained from the registry of injured workers at Korean Labor Welfare Corporation and are analyzed to hav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isabled workers. Data were gathered from 499 persons with industrial injuries who completed medical treatment after their work injury in 2005. The data were finalized and refined using dummy coding procedures. The dependent variable. return to work was operationalized by 4 social insurance data combining all together: Workers Compensation. Unemployment Benefits, Health Insurance, and National Pens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test, cross tabulation, and binomial logistic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based on the contextual factor, the intervention factor, the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individual factor.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rom the ecological perspectives, the age, the type of industry, re-hospitalization experienc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social adaptation were important predicting variables for returning to work. The prediction indicated the increase of a rate of 0.034 fold for younger people, a 3.055 fold for not being under the construction area, a 3.216 fold for not being re-hospitalization, and a 1.320 fold for the satisfaction for social adaptation.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인 지역사회 적응기술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이달엽(Dal-yob Lee),박희찬(Hee-chan Park),김동일(Dong-il Kim),박혜전(Hye-jeon Park) 한국직업재활학회 2004 職業再活硏究 Vol.14 No.1

        타 전문영역과 마찬가지로 장애인 직업재활 분야에서도 평가는 서비스 효율성을 극대화시켜 주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 정신지체인을 포함하는 발달장애인의 직업적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탐색하고, 직업개발, 고용창출 및 고용 유지에 필수적인 적응기술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읽기 능력이 결여되어 있거나 지연된 정신지체를 포함한 발달장애인에게 사용할 수 있는 비언어적 검사가 결여되어 있다. 이런 비언어성 검사는 전적으로 검사자의 관찰과 판단에 의거하는 체크리스트와는 달리 검사 자와 피검자 사이에 상당한 정도의 상호작용, 예를 들면 시법을 포함하는 구두지시를 요구하기 때문에 재미있고 능동적인 검사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정신지체인과 발달장애인은 직업전 단계에서 기능파악과 지역사회 통합을 위해 지역사회 적응기술 훈련이 매우 강조되고, 동시에 적합한 비언어성 적응행동 검사가 없는 실정에서 평가척도의 개발은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임상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그림을 이용한 지역사회 적응기술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SSSQ와 ABS의 문항들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문항들을 첨가하여 우리나라의 형편과 일상생활 및 직업생활 기술정도의 평가에 알맞은 척도를 개발하여 장애인의 지역사회 적응능력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이들 기술들을 7개 영역으로 재구성하고, 직업생활과 대인관계 및 여가생활의 새로운 영역문항들을 추가함으로써 지역사회 적응기술을 총 9개 영역 179개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이 179문항 그림 평가도구의 측정학적 적합도는 수용할 만하였으며, 내담자의 지역사회 적응과 직업 관련 특성들도 훌륭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 적응점수들이 중요한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았다.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a community living skill s inventory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289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ing mental retardation and 1,356 elementally school children. For the specific goals of the study to suggest proper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efficiently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mportant variables for community living skills a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ategory of CLIN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9 areas; ① the basic concept, ② the functional signs and symbols, ③ the house management, ④ the health and security, ⑤ the public services, ⑥ the time and measurement, ⑦ the budgeting, ⑧ the career life, ⑨ the personal relations and leisure life. The numbers of items for each category pre-determined are ranged from 18 to 24 scale items totaling 179. Secondly,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ranged from .6672 to .9699: The basic concept is .8905, and the personal relations and leisure life is .9699. As a results of the validity examination of CLIN, each category of the scales shows high relationships with other criteria. For the content validity purpose, several conference meetings by 3 professors at S university, C university in Seoul and at D university in Daegu, and 9 experienced field practitioners were organized. Criteria-referenced validities are established with IQ scores, social ages, and BRS scores of the participants. Also, construct validities were established using factor analyses. As results of this research study, the rehabilitation services that improve the intelligence level and community living skill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successful vocational rehabilitation. To improve adaptation skills which should be acquired, the rehabilitation service delivery system has also to be improved. The CLIN can be an important tool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to assess their skills at work as well as in community. When someone puts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into operation, he or she must consider how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goes according to the functional levels of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In addition, because human resources are very important, performing vocational evaluation should be practiced appropriately during training courses and counseling sessions. Also it is necessary for the vocational evaluators to have an positive attitude and good motivation. These changes will develop and enable to maintai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chances for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to live in their community independently. Rehabilitation practitioners thoughts and attitudes toward vocational rehabilitation should be innov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