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관광 상품 개발 연구

        박혜신 ( Hyeshin Park ),김지인 ( Jiin Kim ),김환영,이슬,송부경,오정은,김민정 서경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6 디자인 이노베이션 연구 Vol.1 No.0

        본 연구는 사회의 변화로 인해 전통적 형태의 시장이 축소되어가는 상황에서 시장의 특색을 반영한 상품을 개발함으로써 젊은이 층의 시장 유입을 확대하고, 전통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교수2인, 동아리 대학생 5인이 협업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대상 전통시장은 . 2016년 중소기업청이 지원하는 ‘2016년 전통시장 지원사업 대학 협력사업’에 선정된 방이시장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먼저 상품 소비의 타겟 연령대는 연구 목적에 맞추어 20대 대학생으로 선정했으며, 대학생들이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아이템을 1차적으로 선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조사 결과 소비자들은 전통시장이 젊은층을 유입하기 위해서는 시장만의 특색을 살려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은 의견을 차지했으며 구매 아이템으로서는 일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작은 크기로 휴대성이 강한 제품군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결과를 기반으로 3개의 주제로 시장의 정체성을 반영한 디자인 컨셉을 구성하고 관광 상품을 개발 했다. 본 연구는 시장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함과 동시에 20대의 젊은 연령대의 선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관광상품을 개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물이 전통시장 활성화에 기여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Under the circumstance which traditional form of markets are reduced due to changes in society,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increasing inflow of younger generation to the market and revitalizing traditional markets by developing products which reflect features of the market. Two professors and five university club students cooperated to conduct the study, and subject traditional market was chosen as Bangi Market according to ‘2016 Traditional Market Support Project University Cooperative Project’ which is support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irst, product consumption target age was selected as 20s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conducted a survey based on selected items which university students generally prefer. According to the survey, revitalizing market’s features was the majority suggestion for promoting inflow of younger generations to traditional markets, and small and portable products, which can be used daily, were preferred as purchased items. Based on survey results, a design concept was formed reflecting market’s identity in three topics, and developed a tourism product. The study has its meaning in both establishing identify of the market and developing tourism product which fulfills preference of younger generations in their 20s, and the study result is anticipated to be an opportunity for a contribution to traditional market revitalization.

      • KCI등재

        문화상품디자인을 위한 규방문화 디지털 콘텐츠 개발

        박혜신(Hae Shin Park),박상오(Sang On Park),이가나(Gha Na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21세기 세계화시대를 맞이하면서 문화는 한 나라의 역사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슬기와 역량을 보여주는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으며, 문화 자체가 우리의 삶과 산업을 좌우하는 시대가 되었다. 오늘날 경제와 문화적 가치는 시장 경쟁원리에 따라 상품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로 창출되어 문화상품에 생명력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세계 각국이 자국만의 전통과 문화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상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문화 축제나 이벤트 등을 통하여 해를 거듭할수록 문화상품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상품디자인을 위하여 우리나라의 앞선 문화유산들 중 규방문화를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한다. 선조들의 손길을 통하여 제작된 규방문화에서 우리의 삶과 지혜, 문화를 엿볼 수 있고 높은 창조적 특성과 미적가치를 지니고 있어 콘텐츠 개발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으며, 이러한 규방문화에 나타난 문양을 활용하여 현대적 감성에 맞는 문양 콘텐츠를 개발하고 패턴 콘텐츠로 전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한 고부가가치 문화상품디자인 개발을 하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및 범위로는 선행논문 및 관련 문헌을 통하여 규방문화와, 문화상품디자인의 개념과 현황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규방문화 디지털 콘텐츠 개발을 위하여 규방문화 중 자수, 매듭, 누비관련 문양 이미지를 DB화하고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Vector 그래픽 툴인 Adobe Illustrator CS3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문양콘텐츠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문양 콘텐츠는 One Source Multi-Use의 개념을 적용하여 상품적용이 가능하도록 패턴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규방문화 디지털 콘텐츠를 실제 문화상품에 적용시켜 제작해봄으로써 개발한 콘텐츠들의 디자인적 검증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문화상품디자인을 위한 규방문화 디지털 콘텐츠는 우리나라의 문화적 이미지를 대변할 수 있는 우수한 아이템으로 판단되며 앞으로도 연구결과를 활용한 다양한 문화상품이 개발·제작되기를 기대한다. Culture is capable to lead a history of country and contains a significant meaning that shows its wisdom and ability in the 21st centur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t is an era that culture itself now controls our lives and industries. Today, the values of economy and culture are crated as a new type of content to make cultural products aliv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market competition. While many countries develop and sell their own 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ir traditions and culture, the demands and interests on cultural products such as festivals and cultural events are also increasing in Korea. In this study, we`ll create digital contents through Gyubang culture, one of the Korean cultural assets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designs. It was decided that the Gyubang culture, which was created by ancestors, is suitable for developing contents since it contains wisdom of life, culture, creativeness, and esthetic valu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high value added designs of cultural products through creating pattern contents by using patterns in Gyubang culture. Previous researches and literature were analyzed to define the concept and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product designs and Gyubang culture. Moreover, some of parts of Gyubang such as embroideries, knots, and quilting were computerized and a vector graphic tool Adobe Illustrator CS3 was used for developing pattern contents. The pattern contents were developed with the concept of one source multi-use product. We have applied the digital contents, which are based on Gyubang culture, to actual cultural products to verify their possibilities as designs. It was concluded that the digital contents based on Gyubang culture are an excellent item that can represent Korea`s cultural imag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cultural products using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gital contents, will be developed and made.

      • KCI등재

        텍스타일제품디자인 개발 및 관련 상품 체험 마케팅을 위한 3D 프로젝션 맵핑용 프로그램 프로토타입개발사전연구

        박혜신(Park, Hae Shin),윤수인(Yoon, Su In)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7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2 No.-

        소비자의 개성과 기호를 만족시키기 위한 맞춤형 디자인제공은 21세기 기업들이 주력하는 분야의 하나가 되어가고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이미지를 활용한 미리보기서비스는 소비자들에게 만족감과 구매욕구를 높여주는 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중에서도 3DPM(3D프로젝션 맵핑)은 실제사물에 디지털이미지를 맵핑하는 혼합 현실(MR) 연출기법으로 실제감이 높다는 점에서 제품의 연구개발 및 체험 마케팅의 관점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텍스타일제품에 특화된 3DPM용 프로그램 프로토타입 개발 사전연구를 실시하여 텍스타일제품의 연구개발 및 체험 마케팅의 용도도 활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하였다. 결과 이론고찰을 통해 텍스타일제품에 특화 된 3DPM용 프로그램 프로토타입 개발 시 고려해야 할 문제점이 조사되었으며, 문제점 해결을 위한 다섯가지(리핏디자인의 자동배열기능 및 크기조절기능, 마스크기능, 와핑기능, 블랜딩기능, 한 개의 프로그램안에서 위의 내용이 구현 가능한 시스템설계)의 중요개발사항이 연구되었다. 또한 앞의 중요사항들을 만족 시킬 수 있는 시스템설계도와 인터페이스디자인도 제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된 내용을 바탕으로 이어지는 후속연구에서는 실질적인 프로그램구현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며 나아가 텍스타일제품개발과 관련제품 체험마케팅에 활용되어 텍스타일제품디자인계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In order to satisfy the variety of consumers’ preferences and needs, customized design has become a crucial are for 21st century businesses. Preview services that use digital images have become one of the many ways to increase both desire for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for customers. 3DPM(3D Projection Mapping) is one of the more notable methods as it maps a digital image on the actual object using MR(mixed reality) stagecraft. This research will conduct prior research for a 3DPM prototype development for textile products, for the purpose of experiment marketing and research development. In conclusion, through theory analysis, the problems when developing 3DPM program prototypes for textile products was considered, 5 solutions for the problems(auto arrangement and size control of repeat design, the mask function, warping function, blending function, and designing one operating system within one program), and the system blueprint for crucial functions and the interface design was deducted. The content from this research will become the base for a subsequent research, which will hopefully develop a successful program, and furthermore, should be able to be used for other textile product development and experiment marketing for related products, and therefore contribute to the area of textile design.

      • KCI등재

        패션 명품의 브랜드 차별화 전략 분석에 관한 연구

        박혜신(Hea Shin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변화하는 패션 산업계가 브랜드 차별화 전략을 세우는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패션 명품 브랜드의 차별화 전략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비자가 선호하는 패션 명품 브랜드에 대하여 고찰하고, 각 브랜드의 차별화 전략을 추출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패션 명품 브랜드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패션 명품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서 패션 명품 브랜드의 차별화 전략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브랜드 차별화 전략이란 타브랜드와 경쟁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최근에는 이미지 차별화 전략이 중요한 만큼 이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소비자태도를 분석하였다. 소비자가 패션 명품 브랜드를 구매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패션 명품 브랜드는 유행을 선도하는 디자인의 제품을 선보이고, 품질이 우수하며, 특히 트렌디한 색상의 상품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정 패션 명품 브랜드를 선택하는 요인에 대해서는 브랜드의 로고 및 심볼, 독특한 디자인, 로고를 활용한 패턴, 우수한 품질 때문에 패션 명품 브랜드를 선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디자인적 측면에서 차별화 전략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설문을 통해 1위에서 4위로 선별된 루이 뷔통, 샤넬, 프라다, 크리스찬 디올의 2000년대 이후 상품을 분석한 결과 패션 명품 브랜드는 로고를 디자인에 활용이고 있으며, 클래식한 디자인과 함께 브랜드 이미지에 맞는 트렌드한 상품을 선보임으로서 유행을 선도하고 있고,, 또 다른 하나는 브랜드의 확장을 통해 좀 더 젊은 감각의 상품을 디자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패션 업체가 브랜드를 런칭하거나 리뉴얼하는데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브랜드 차별화 전략을 제공한다. This study is to focus on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the changing fashion industry to establish brand differentiating strate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famous fashion brands that consumers prefer in order to analyze the brand differentiating strategy of famous fashion brands and to extract a differentiating strategy of each brand. With respect to the method of this study, I attempted to analyze brand differentiating strategies of famous fashion brands at the same time with considering those famous fashion brands theoretically and analyzing consumer`s behaviors for them. I analyzed consumer`s behaviors focusing on the study of this because an image differentiating strategy has currently become important considering the fact that brand differentiating strategies are a competing method with other bran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reasons why consumers buy famous fashion brands, this study shows that consumers prefer those brands because they show off stylish products with fashion-leading designs, have excellent qualities, and fulfill all the conditions with trendy colors. Especially, the results also show that with respect to the factors for which consumers choose certain famous fashion brands, they adopt those famous fashion brands because of their logos and symbols, unique designs, patterns using logos and excellent qualities. In the mean tim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ose products made by Louis Vuitton, Chanel, Prada and Christian Dior since 2000 which was ranked as the first or fourth through questionnaires in order to examine differentiating strategies in terms of design, I found that those famous fashion brands have been using logos on designs; have been leading a trend by showing trendy products which correspond to their brand images together with classical designs; and have been designing more youthful products through brand expansions. Conclus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fashion businesses with brand differentiating strategies for launching and renewing in order to obtain competitiveness.

      • KCI등재

        부티크 호텔의 텍스타일 코디네이션 경향연구 - 해외 부티크 호텔과 국내 부티크 호텔의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

        박혜신 ( Hae Shin Par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3 No.-

        연구배경 부티크 호텔은 개성 있는 디자인을 통해 고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면서 고객을 유치하는 특성에 따라 디자인 전략이 매우 중요한 유형의 호텔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 내·외 부티크 호텔의 인테리어 경향, 그 중에서도 텍스타일을 중심으로 코디네이션 경향을 살펴봄으로써 중·소형 호텔의 규모에 적합한 디자인 전략의 방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해외 호텔 11개, 국내호텔 13개의 객실 이미지를 수집하여 총 24개 부티크 호텔의 텍스타일 인테리어 코디네이션 특성을 분석했다. 분석 방법은 선행연구자의 분류 기준에 따라 컬러, 패턴, 소재 코디네이션 방법을 중심으로 객실 내 텍스타일 코디네이션 방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해외의 부티크 호텔의 경우 바닥재와 러그, 침구를 중심으로 다양한 패턴과 소재의 코디네이션이 시도되고 있는 반면, 국내의 경우는 색채를 활용한 코디네이션이 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패턴을 활용한 코디네이션은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재 코디네이션을 통한 연출의 시도도 빈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른 인테리어 요소보다 코디네이션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침구류의 코디네이션에서 대부분 백색 일변도와 색채 및 동일 소재 코디네이션의 경향을 보이고 있어 부티크 호텔의 디자인 차별화를 위해 개선의 필요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 부티크 호텔의 경우 텍스타일 코디네이션의 다양한 방법 중에서도 패턴과 소재를 활용한 코디네이션 방법에 대한 연구 및 시도가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Background Boutique Hotels are uniquely designed to provide special experiences for customers; the design strategy for Boutique Hotels is extremely important in attracting customer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seeks to identify the most ideal design strategy for small to medium sized hotels by analyzing local and foreign interior design trends of hotels, with a focus on those that demonstrate textile coordination trends. Methods To do this, images of hotel rooms across 24 hotels (11 foreign hotels, 13 local hotels)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interior textiles coordination of boutique hotels. The method was to analyze each of the rooms based on color, pattern, material and coordination method, in reference to categories identified by a previous researcher. Result Upon analysis, it was discovered that foreign boutique hotels implemented a variety of different patterns and materials on their beddings, rugs and in particular, their flooring. Contrastingly, local boutique hotels did not make various use of interior textiles. For local hotels, the coordination method was heavily focused on color with very little use of patterns and prints. In addition, attempts to coordinate with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were also found to be weak. Especially, coordination of beddings, which is relatively easier than the other interior constituents, mostly tended to lean heavily on white beddings and use single color or materials. This only highlighted that improvements need to be made in interior textiles design for local boutique hotel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realized that of all the multiple types of textile coordination methods available, pattern and material related coordination methods must be explored and attempted in particular by local boutique hotels.

      • KCI등재

        친환경 섬유소재를 활용한 국내 침구브랜드에 관한 연구 -"이브자리", "박홍근홈패션", "세사리빙", "우먼로드"를 중심으로

        박혜신(Hae Shin Park),정명진(Myung Jin J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4

        현대사회는 빠른 경제성장으로 인해 인간에게 물질적 풍요와 삶의 질을 향상시켰지만 여러 가지 환경문제를 야기 시켰다. 특히 환경에 기인한 다양한 질병이 나타나고 환경의 유해성 논란이 계속해서 일어나면서 친환경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인간에게 직접적인 접촉을 주는 섬유소재 분야 중 침구분야의 환경성에 대한 고려는 이제일반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확립하고 친환경 침구 제품을 브랜드별로 분석하여 파악 함으로서 새로운 친환경 침구 제품 개발을 위한 정보제공 및 관련 학문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범위로는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을 통하여 친환경의 개념을 이해하고 친환경 섬유소재의 종류 및 특성을 식물성소재, 동물성소재, 광물성소재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또한 국내 침구 브랜드의 시장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 침구 브랜드별 친환경섬유소재 사용현황을 분석하였다. 그에 따른 침구브랜드선정방법으로는 매출액 상위 10위안에 드는 브랜드중 친환경 섬유소재를 활용하지 않는 브랜드를 제외한 브랜드인 ``이브자리``, ``박홍근홈패션``, ``세사리빙``, ``우먼로드``로 총 4개의 브랜드를 선정하여 소재, 기능, 디자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국내 침구브랜드에서 친환경 섬유소재를 활용하여 제품이 제작되어지고 있었으며 주로 친환경 소재 중 식물성섬유소재인 ``텐셀``, ``모달``이 공통적으로 활용되어지고 있었고 그 외에는 식물성섬유소재인 ``대나무``, ``시셀``과 광물성섬유소재인 ``황토``, ``숯`` 등이 단일 소재로 활용되고 있었고 ``마이크로모달``, ``텐셀모시``, ``이집트면``, ``모달콤펙트면`` 등 결합된 친환경 합성소재로도 친환경 침구제품이 제작되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가 향후 친환경관련 제품 및 개발에 이론적 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친환경 침구분야뿐만 아니라 친환경 소재 개발에 일익을 담당하여 섬유산업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Modern society has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and prosperity of material for humans due to the rapid economic growth, but it has caused several environmental problems. Especially various diseases appeared related to the environment, in return the demand for eco-friendly products increased sharply due to the continuous controversy for the environmental hazards. As a result, fiber in the field of direct contact to humans for bedding, its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have now become commonplac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eco-friendly bedding products by brand and to provide a theory tha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related academic research as well a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w eco-friendly bedding products that are provided with information. The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eco-friendly system on the plant textile material, animal textile material, and mineral textile material by it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domestic market brand of bedding, and analyze the eco-friendly textile material usage in the domestic bedding brand. Accordingly, the selection method of bedding brand was to choose the top 10 brands in sales and exclude those do not use the eco-friendly textile material, the total of four selected brands ``Yibeujari``, ``Park Hong-Gun Home Fashion``, ``Cesaliving``, ``Womanload`` were classified by its material, function, and design. Analysis of the results, the product was manufactured utilizing the eco-friendly textile material in domestic bedding brands. Mainly the plant textile materials ``Tencel`` and ``Modal`` were commonly utilized, and in addition to that ``Bamboo``, ``Sisel`` and ``Red clay``, ``Charcoal`` were utilized as a single material from the plant textile material and the mineral textile material. Also the eco-friendly synthetic materials combined with the eco-friendly material such as Micro modal, Tencel ramie, Egyptian cotton and Modal compact cotton were manufactured. This study looks forward to being used as theoretical data for development of eco-friendly product and not only for eco-friendly bedding but also to take a part in developing a new eco-friendly material in order to help the textile industry to be invigorated.

      • KCI등재

        리조트 호텔과 비즈니스 호텔의 텍스타일 코디네이션 경향연구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박혜신 ( Park Hye Sh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의 리조트 호텔과 비즈니스 호텔의 텍스타일 코디네이션 경향을 분석해 호텔의 유형에 적합한 코디네이션 가이드라인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월드 트래블 어워드(World Travel Award)에서 2016년 리조트 호텔 분야, 비즈니스 호텔 분야에서 노미네이트 된 호텔으로 하였다. 그 결과 총 14개의 리조트 호텔에서 77개, 11개의 비즈니스 호텔에서 42개의 이미지가 수집되었다. 연구 내용은 앞서 수집한 두 유형의 호텔 객실 텍스타일 코디네이션 특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텍스타일의 색상과 문양 코디네이션 특성을 중심으로 연구했다. 연구 방법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사례분석의 방법적 토대를 마련하고, 이를 활용해 수집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결론을 도출했다. 구체적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색상 분석방법은 pccs컬러시스템을 근거로 한 하마마 시게요시 분석 기준을 따랐으며, 문양분석방법은 선행연구자와 연구자의 기준을 보완해 분석체계를 수립했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리조트호텔의 배색 코디네이션 특성은 동일, 인접, 유사, 중차, 대조 색상 코디네이션이 대부분 유사한 비율을 차지했으나 바이컬러 코디네이션은 단 2건으로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비즈니스 호텔 배색 코디네이션은 동일, 유사, 바이컬러 코디네이션이 유사한 비율을 차지했으나 대조색상 배색은 단 1건에 불과했다. 2)리조트 호텔의 문양 코디네이션은 대조문양 코디네이션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나 비즈니스 호텔의 경우 유사문양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코디네이션 경향 분석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리조트호텔의 경우 여가를 주목적으로 하는 방문객들이 주로 이용하는 호텔이므로 화려하고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사용해 지역적인 특색을 반영한 텍스타일 연출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비즈니스 호텔은 업무를 목적으로 하는 방문객들이 주로 이용하는 호텔이므로 화려하고 다채로운 연출보다는 안정적이고 모던한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해외 호텔의 경우 호텔의 목적과 유형에 맞는 텍스타일 코디네이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추후 국내의 리조트 호텔, 비즈니스 호텔의 코디네이션의 방향의 가이드라인으로 삼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trend of textile coordination of resort hotels and business hotels in overseas and to provide a basis for coordination guidelines that are appropriate for each type of hotel. The hotels nominated as the resort hotels and business hotels in `World Travel Award` in 2016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As a result, 77 images were chosen from 14 resort hotels and 42 images were collected from 11 business hotels. The research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ile colors and patterns of the two types of hotel rooms that collected. The study concluded the conclusion of the case study by examining the methodological foundations of a case study and analyzing the collected cases. Specific methods are as follows. The color analysis method followed the Hamasima Sigeyisi method based on PCCS color system, and the pattern analysis method was established by complementing the criteria of the previous researchers and this researcher oneself.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The color coordin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esort hotels were the identical, adjacent, similar, moderate, and contrast color coordination in most cases at similar rates but there were only two cases of bicolor coord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color coordination of the business hotels was made up with identical, similar, and bicolor coordination at similar rates with only one case of contrast coordination used. The pattern coordination of the resort hotel was dominated by contrast pattern coordination, in the case of business hotels, however, similar patterns took up a larger propor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e analysis of coordination trends. 1)The resort hotel is mainly used by leisure visitors, so the hotels seem to use brilliant colors and various patterns which reflect the unique local characteristics. 2)The business hotel is mainly used for business purpose visitors, so it is emphasized to focus on creating a stable and modern atmosphere rather than brilliant and colorful one. Through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a textile coordination attempt is made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type of hotel in the case of overseas hotels, we hope to be able to guide the direction of textile coordination of resort hotels and business hotels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침구 디자인 특성 연구 -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박혜신 ( Park Hae Shin ),김지인 ( Kim Ji 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중국 직물시장의 빠른 성장으로 국내 침구 기업들은 중국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큰 성과는 거두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침구 디자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국내 침구 브랜드 기업의 성공적인 중국 시장 진출에 대한 전략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연구대상은 국내 침구 브랜드 3개와 중국 침구 브랜드 의 2018년에 출시된 신상품이며 2018년 3월 15일에서 30일, 보름간 각 브랜드의 홈페이지에서 국내 브랜드 94개, 중국 브랜드 65개의 이미지를 수집하였다. 디자인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텍스타일 문양의 모티브 종류, 표현 방법, 배열 방식, 배색의 분석 체계를 수립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은 기하문을, 중국은 식물문과 복합문을 침구디자인 모티브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2) 한국은 양식적 표현을, 중국은 사실적 표현을 주된 문양 표현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3) 모티브 배열 방식은 양국 모두 규칙 배열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나 중국은 한국과 비교해 고정배열방식을 월등히 자주 사용했다. 4)배색 방법은 양국 모두 유사색과 동색 배색이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나 유채색과 무채색을 함께 배색하는 빈도가 높은 한국에 비해 중국은 무채색을 사용한 배색을 거의 시도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국내 브랜드의 성공적인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1)단일한 모티브의 반복보다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모티브 2) 사실적이면서 섬세한 표현 3) 비비드하고 화려한 색상 활용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중국 침구디자인의 특성과 상징성을 중시하는 중국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중국 침구시장의 규모와 가능성에 비해 부진했던 중국침구 디자인 연구를 통해 국내 침구 디자인과 차이점을 도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Due to the rapid growth of the Chinese textile market, Korean bedding companies are actively pursuing to enter the Chinese market, but they have not made much progres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a strategy for successful entry into the Chinese marke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bedding designs of Korea and China. The target is a new product launched in 2018 by three domestic bedding brands and Chinese bedding brands, and I collected 94 local brands and 65 Chinese brands from each brand's webpage from March 15, 2018 to March 30, 2018. For design analysi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establishing an analysis system of the motif type, expression type, layout, and arrangement type of colo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Geometric patterns showed the highest rate of use for design motif in Korea, while Chinese brand used plant patterns and complex patterns the most. 2)Korea used formal expressions and China used realistic expressions as the main way to express motif of pattern design. 3)Both countries used the most regular layout. However, compared to Korea, China used a fixed one motif arrangement much more often. 4) While both countries were trying to use the same color scheme or similar color scheme, China rarely attempted neutral color arrangement compared to Korea. The conclusions that can be made from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or Korean brands to successfully enter the Chinese market, a strategic approach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Chinese bedding design is needed. The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1)various and complex motifs rather than a single, repetitive motif 2)realistic and detailed expressions 3)vivid and fancy color arrangement and traditional Chinese culture of regarding symbolism as import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derived the design and difference of domestic bedding by researching the Chinese bedding design.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