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문화에 따른 복지국가 유형구분 가능성에 관한 연구

        박해긍(Park, Hae-Geung),배은석(Bae, Eun-Suk),손지현(Son, Ji-Hyeo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더글라스(Douglas)의 이론에 기반한 홉스테드(Hofstede)이론의 적용모델을 통해 국가유형의 차이를 경험적으로 분석함으로서 문화에 따른 복지국가 유형화의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Hofstede분류기준을 적용하여 복지국가 유형화를 시도한 결과, 기존의 복지국가 유형화에 따른 결과와 대체적으로 일치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특히 지리, 문화, 경제적 여건이 비슷한 국가들로 군집이 형성되어, Hofstede의 문화지수에 따른 복지국가 유형화의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또한 각 군집별 복지에 대한 국가책임과 교육불평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군집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는 문화에 따른 복지국가의 유형구분의 가능성을 다시 확인해 주는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문화적 영향력을 규명함으로서 지금의 사회복지체제의 형성과정과 앞으로의 전개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제도와 정책의 발전에 관한 기존의 견해에 대한 보완 또는 대안을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nations through Hofstede"s theory, which based on Douglas"s theory and purposing to confirm of possibility of welfare states" typology by culture. Using Hofstede"s theory to try welfare state typology, the result confirmed that it is similar to original welfare state typology. Especially, formed clusters are similar in geographical, cultural and economical condition, so it proved the validity of Hofstede"s cultural index. Also the differences of national responsibility and education inequality of each cluster was significant. This helped to confirm about the possibility of welfare state typology by culture. Finally, the cultural effectiveness makes people to understand more about the forming process of welfare systems and further developing process.

      • KCI등재

        사회적 불평등으로 본 한국과 중국의 도농격차 연구

        박해긍 ( Haekeung Park ),배은석 ( Eunseok Ba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도농 간의 격차를 사회적 불평등 인식이라는 렌즈를 통해 도농 간 격차의 실태를 파악하여, 중국의 도농 격차의 해소를 위한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SSP데이터를 빈도분석, 독립집단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불평등의 차이가 검증되었다. 중국은 한국에 비해, 도시와 농촌 간의 격차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밝혀졌고, 도시와 농촌이라는 각 지역 내에서도 소득의 격차가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불평등에 대한 인식에서 중국과 한국 모두에서 몇 개의 문항이 도농 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소득격차, 실업, 기초생활보장 등의 해결에 대한 정부의 책임 인식의 차이에서 중국만 도농격차가 확인되었다. 넷째, 계층갈등에 대한 인식에서도 중국은 모든 문항에서 도농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중국의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는 첫째, 2차 자료를 활용하여 다소 피상적으로 사회적 불평등을 조명할 수밖에 없었던 점, 둘째, 사회적 불평등 인식을 측정하였으므로, 결과의 해석측면에서 다소 한계가 있다. 향후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sparities between Korea and China through the lens of social inequality. For this, ISSP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group t-tes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hina, th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s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Korea. Second, in the perception of inequality, some variables were found to show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ird, In china,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is income gap, unemployment, etc. Fourth, in the perception of hierarchical conflict, China showed differences in rural area in all item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lluminate the social inequality in a somewhat superficial way using the secondary data. Second, since the social inequality is measured, there is a limit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 Future research should be done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지역주민의 주거환경만족도가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 -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해긍 ( Park Haeke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2

        본 연구는 지역주민들의 주거환경만족도가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1인 가구와 다인가구의 차이를 중심으로 규명하여, 최근 급증하고 있는 1인 가구의 차별적 특성에 부합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정책방향 설정을 위한 실증적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경남 양산시에 거주하는 지역주민 633명으로부터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기반으로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인가구에서는 연령, 교육환경, 문화 및 여가, 복지서비스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다인가구에서는 결혼상태, 거주기간, 주택여건, 교통여건, 보건의료, 문화 및 여가, 복지서비스, 1인 가구 및 다인가구를 모두 포함한 회귀식에서는 결혼상태, 거주기간, 주택여건, 보건의료, 복지서비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주거환경관련 정책이 가구별로 차별화된 지방정책 패러다임으로 전환할 것, 동네가 소멸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서 도시재생 등의 마을 재건사업의 도입, 마지막으로 정주의식의 함양을 위한 복지서비스의 적극적인 확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양산시라는 제한적인 공간의 범위내에서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하므로, 양산시와 유사한 지역적 특성을 가진 도농복합지역에 제한적으로 일반화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으며, 향후 전국적 표본을 반영한 후속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sought to define the differentiated influence of residents’ satisfaction of living environment upon their consciousness of inhabitant betwee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s. To that end, 633 residents in Yangsan were survey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resultant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echniques of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utlined below: In single-person households, age, educational environment, culture and leisure, and welfare servic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ulti-person households, marital status, residence period, housing conditions, traffic conditions, healthcare, culture and leisure, and welfare servic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gression equation involving both single-person 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s, marital status, residence period, housing conditions, healthcare, and welfare servic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local governments’ policy on residential environment should have a differentiated paradigm by the type of household.

      • KCI등재

        온종일 돌봄체계 선도사업 지역에 대한 사례연구 : 실무자가 경험한 제도의 분절성을 중심으로

        박해긍(Park, Hae-keung),류지선(Ryu, Ji-sun),배은석(Bae, Eun-seok)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1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7 No.3

        본 연구는 현 정부의 온종일 돌봄 생태계 구축 선도사업을 살펴보고, 기존의 초등돌봄의 분절성을 극복하고, 지역사회 내 통합적인 초등돌봄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도사업에 참여한 지역 중 지역의 유형을 고려하여 선정된 실무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인적요인과환경요인, 운영차별성요인으로 범주화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한 결과, 설립과운영 과정에서의 성과요인으로 관리책임자의 의지, 돌봄교사의 소속감, 시설의 접근편의성, 초등교사와 돌봄교사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탄력적 예산 운용 가능, 소득으로 구분하지 않는 이용자, 다양한 마을자원 연계 등의 소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분절성 주체들의 강점과 분절성의 영향, 분절성 극복을 통한 성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온종일돌봄체계의 지역사회내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overnment s project to build an all-day care system, to overcome the fragmentation of the existing elementary school care, and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to provide integrated elementary care services in the local community.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working-level officials selected by considering the type of region among regions participating. As a result of conducting interviews by categorizing human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operational differentiation factor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performance factors in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operation were the will of the manager, the sense of belonging of the caregiver, the convenience of access to the facilities, and the care with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mall categories such as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flexible budget management, users who do not discriminate by income, and connection with various community resources were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the success of the all-day care system in the community.

      • KCI등재

        아동돌봄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아동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박해긍(Park, Hae-Keung),류지선(Ryu, Ji-Sun)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1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41

        본 연구는 현재 다양한 정부부처에서 다차원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아동돌봄과 관련한 제도의 문제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돌봄 관련 전문가 22명을 대상으로 전문가인터뷰를 진행하고 내용분석하였다. 내용분석 결과 첫째, 아동돌봄제도의 분절성 둘째, 격차에 취약한 아동돌봄제도 셋째, 공급자 중심 행정으로 인한 서비스 이용자의 불편 넷째, 미흡한 돌봄인력 관리 다섯째, 정보의 양은 많지만 체감도는 낮고 이해하기 어려움 등의 5개의 대범주와 그에 따른 12개의 중범주로 아동돌봄제도의 문제점을 구분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통합적 돌봄체계 구축을 위한 중간지원조직 구축 및 활성화, 돌봄종사자 역량강화를 위한 표준화된 교육과정 개발, 지역별・영역별 격차 해소, 서비스 이용자 중심의 정보전달체계 개선 등 아동돌봄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는 연구대상자의 선정에서 아동돌봄제도의 실수요자가 아닌, 실무자와 연구자들의 관점이 반영되었고, 실수요자의 관점을 담아내지 못했다는 점이다. 향후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한 후속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rdy was to analyze the problems of child care and related policies and systems currently in multi-dimensional process, and to suggest improvement strategies accordingly. For this purpose,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2 experts in child care and their cont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First, the fragmentation of the child care system; Second, the child care system vulnerable to disparities; Third, the inconvenience of service users due to the provider-centered administration; Fourth, insufficient management for child carer; Fifth, difficulties to understand because of voluminous information, It was divided into five major categories and 12 medium categori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roposed to establish and activate an intermediary organization for the integrated care system, to develop a standardized curriculum for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care workers, to reduce the gap by region and area, and to improve the personnel relationship focused on service user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perspectives of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not actual users of the child care system such as parents, are not reflected in this study.

      • KCI등재

        모바일 인테이크 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해긍(Hae Keung, Park)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0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0 No.1

        1인가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새로운 사회복지대상층이 늘어나고 있다. 더불어 IT 혁신과 맞물린 개인 대면 소통방식이 변화,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기술적, 내용적 개편 등의 빠른 트랜드는 미래 사회복지실천현장에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모바일 인테이크’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모바일 인테이크는 ‘특정 공간이나 시간대를 초월, 클라이언트가 모바일 매체(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를 매개하여 사회복지사와 연결될 수 있으며 사회복지사는 모바일 환경에서 클라이언트의 문제와 욕구를 확인하여 접수여부를 판단하고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연계하는 과정’으로 개념정의하였다. 모바일 인테이크의 도입 필요성을 입증하기 위해 인테이크 과정, 청소년 사이버 상담, 복지상담센터 129 상담 등의 기존 사례와 모바일 인테이크를 다차원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더불어 대상자 발굴시스템의 주요원칙을 선행연구를 통해 제안하였으며 주요원칙에 따라 각 기존 사례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인테이크의 체계도와 가상사례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모바일 인테이크의 개념을 공론화하고 이의 실현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현장 접근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considers the times of social welfare by current situation such as the rapid expansion of the social welfare targets to single households such as the youth and middle-aged people. The mobile intake can be connected to the social worker through a mobile device that transcends any space or time, and the social worker checks the client s problems and desires in the mobile environment. It is defined as a process of determining and connecting services required by clients, and mobile intake and existing cases such as intake process, cyber counseling for youth, welfare counseling center 129, etc. Mobile intake is needed in the following dimensions. First, strengthening locality in information delivery. Second,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for finding centered targets that responds to the government s strategy. Third, it is necessary to find the crisis target among young and middle-aged people. Finally, it is necessary to follow-up research with empirical evidence

      • KCI등재
      • KCI등재

        돌봄서비스 종사자의 소진 결정요인 -코로나 19시기, 민간과 공공기관 종사자의 차이를 중심으로-

        박해긍(Hae Keung Park),박상미(Sang Mi Park)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2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돌봄서비스를 제공하였던 돌봄서비스 종사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감정노동과 업무부담으로 상정하여 인과관계를 분석한 연구이다. 덧붙여 감정노동과 업무부담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민간기관과 공공기관으로 구분하여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상남도 김해, 창원, 양산, 진주 등에 소재한 민간과 공공의 돌봄서비스 제공기관의 종사자 30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최종적으로 232부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 및 민간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 업무부담, 소진은 차이가 있었다. 둘째, 민간기관 종사자의 소진영향요인은 감정노동, 업무부담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소진영향요인은 월평균소득, 감정노동, 업무부담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반적 돌봄종사자의 소진영향요인은 연령, 경력, 감정노동, 업무부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감정노동, 업무부담을 줄이기 위한 대안, 감정노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신건강서비스 연계방안, 소진 예방프로그램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ausal relationship by assuming that emotional labor and work load are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are service workers who have provided care services in the context of the spread of COVID-19. In addition, the factors affecting emotional labor and work load on burnout were classified into two models, a private and a public agency, and the difference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self-reported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00 employees of care service workers located in Gyeong-nam. Of these, 232 cases were analyz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abor, work load, and burn-out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burn-out in private were emotional labor and work load.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affecting burn-out in public were average monthly income, emotional labor, and work load. Third, it was found that age, career, emotional labor, and work load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burnout of care worker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emotional labor, work load, mental health service linkage plan to solve emotional labor problems, and burnout prevention program were suggested.

      •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조직문화가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해긍(Park Hae geung),신원식(Shin Won shik) 한국지방정부학회 2014 지방정부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조직문화 유형을 파악하고 조직문화와 직무만족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Quinn & McGrath의 경쟁가치모형을 이용하여 부ㆍ울ㆍ경 사회적기업 종사자 292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다층모형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회적기업의 조직문화 유형은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직무만족은 조직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조직요인은 직무만족의 총 분산 중 19.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조직요인들 중 집단문화와 인증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직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social enterprise workers' job satisfaction. Reseasch subjects consisted of 292 social enterprise workers working at the social enterprise. The data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jor organizational culture is group one. Second, 19.9%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job satisfaction is explained by the organization-level variables(ICC=.199). Third, the factor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are group culture and authentication typ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author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nd suggested effectiv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by job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