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품행장애 아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연구

        박채진 ( Chae Jin Park ),서석진 ( Seok Jin Seo ),도명애 ( Myung Ae Do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품행장애 아동 지도시 느끼는 어려운 점과 대처방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구지역의 초등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결과는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품행장애 아동의 지도시 가장 어려운 점은 또래에 대한 폭력행동이었고, 다음으로 학급규칙 위반, 교사에 대한 폭력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차원에서 품행장애 아동의 대처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특수교육 연수 유무와 품행장애 아동의 지도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수교육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강화, 보상, 자기관리, 가족상담,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품행장애 아동의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차별강화, 가족상담,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셋째, 학교적 차원에서 품행장애 아동의 대처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특수교육 연수유무와 품행장애 아동의 지도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수교육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과 품행장애 아동의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들 모두 외부전문기관 의뢰제도 마련, 전문적 지원체계 수립,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사들은 품행장애 아동의 지도에서 폭력행동에 대해 큰 어려움을 느꼈고, 이에 대한 개인적, 학교적 차원의 대처방안으로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difficult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ile guiding children with conduct disorder and how the teachers deal with such children. To accomplish the objective, 2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gu region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frequency analysis through SPSS 18.0 program.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challenge of guiding children with conduct disorder was violence against peers, followed by violation of classroom rules and violence against teacher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teachers toward handling children with conduct disorder on a personal level,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had received speci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whether they had worked with such children before. The teachers who had received special education and training had high perceptions of reinforcement, compensation, self-management, family counseling, and positive behavior support. Meanwhile, teachers who had worked with such children before had high perceptions of stronger discrimination, family counseling, and positive behavior support.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eachers toward handling children with conduct disorder on a school level,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had received speci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whether they had worked with such children before. All teachers who had received speci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ose who had worked with such children before had high perceptions of special system established by external organization, specialized support system, and positive behavior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e behavior of children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guide for violent behavior felt great difficulty, for it personally, and troubleshooting of dimension of school to support positive behavior showed a high awareness.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 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아동의 기능적 의사표현에 미치는 효과

        박채진(Chae-Jin Park),권명옥(Myung-OK Kwon) 한국언어치료학회 2007 言語治療硏究 Vol.16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for a child with autism to increase functional communicative expressions. One 9 years old girl with autism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subject. This study used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behaviors. Data was collected for 30-minute observation session of education activities using event recording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increased all the targeted functional communicative expressions of the subject. As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to the subject, all the targeted functional communicative expressions including the behaviors of asking permission, asking another task, and asking help of the child were improv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increasing functional communicative expres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ended number of subjects and natural environment based intervention to increase functional communicative express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would be recommended in the further and future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일반교사의 정서,행동장애학생에 대한 이해 및 인식 연구

        배내윤 ( Nae Yoon Bae ),박채진 ( Chae Jin Park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초ㆍ중등학교 일반학급에서 정서ㆍ행동문제를 지닌 학생에 대하여 일반교사가 이해하고 지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정서ㆍ행동장애의 이해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전 및 수도권지역내 일반 초ㆍ중등학교들 중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그리고 일반 특수교사 총 5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응답자의 기초 자료 및 집단변인은 성별, 교육경력, 연령, 자격증 소지, 최종 학력, 특수교육경력, 학교 소재지, 학교유형, 근무 학교 내 특수학급이나 통합학급 존재여부 등의 질문을 통해 정서ㆍ행동장애 학생에 대한 이해정도의 차이를 각각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이해와 인식정도가 보통수준에 머물러 있다 할 수 있다. 그리고 집단별 차이에서 남녀 간의 인식차이도 존재하고, 정서ㆍ행동장애 학생의 이해정도의 경우 교육경력 간의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ㆍ행동장애 학생에 대한 인식의 경우에 있어서도 교육경력 간에서와 연령별에서 인식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ㆍ행동장애 학생의 이해정도의 경우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집단, 일반교사와 일반 특수교사 집단 간에는 이해정도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학력 간의 인식차이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eachers understand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schools, and to provide teachers with basic data of them. In this study, 511 teachers participated on questionnaires. They were the primary school teachers and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215 male, 287 fem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and T-test techniq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analyz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ll the teachers seem to understand it on ordinary level. There are difference between male teachers and female ones. And educational career with 20 to 30 years, the senior teachers, special and general special teachers, the teachers having finished graduate courses, the teachers with special education experience have more understanding level than any other teacher. Second, in analyzing the recognition of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all the teachers seem to understand it in ordinary level, but especially, the teachers with a little educational career and junior teachers have higher recognition level than any other teacher.

      • 유중가스분석을 통한 유입변압기 내부고장의 이해

        박정우(Jeong-Woo Park),이용길(Yong-Gil Lee),오재권(Jae-Kweon Oh),박지군(Ji-Kun Park),박채진(Chae-Jin Park),조승기(Seung-Ki Cho)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본 논고에서는 현재 K-water 충주 수력발전소에서 운전 중인 NO.1 변압기에 대해 2010년 3월까지 총17회의 절연유 유중가스분석(Dissolved Gas Analysis, 이하 DGA라 함.)과 내부 정밀분해점검(3회)을 통해 대용량 유입변압기의 내부고장을 이해하고자 하며 유입변압기의 내부이상 현상에 따른 DGA 결과 분석과 향후 대응방안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KCI등재

        텔레프리젠스 로봇 활용 중재를 통한 정서,행동장애 위험 아동의 공감 및 조정시도에 대한 반응 연구

        신윤희 ( Yun Hee ),박채진 ( Chae Jin Park ),이효신 ( Hyo Shin Lee ),김진희 ( Jin Hee Kim ),김수진 ( Su Jin Kim ),강정배 ( Jung Bae Kang ),김창걸 ( Chang Geol Ki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텔레프리젠스 로봇 활용 중재 전·후 자유시간마다 정서·행동장애 위험 아동에게 자발적으로 공감과 조정시도가 주어질 때, 아동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그 반응유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 4명을 대상으로 로봇을 활용한 덕목중심의 사회적 기술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기초선 보다 중재회기에서 공감 및 조정적 시도가 증가하였고, 공감시도보다 조정적 시도를 받은 아동들에게서 모두가 기초선 회기보다 중재회기에서 반응행동이 증가하였다. 또한, 반응행동유형에 있어서도 하나의 방식으로만 반응하던 아동들이 내적표현 및 평가, 수긍 및 호응, 승낙, 불호응 및 거부/거절 등을 고르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find the linguistic behavior and behavior’s pattern of the children at risk for EBD when they got empathic and negotiatory initiations from their peers during their break tim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yunggi, South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their behaviors through video records and transcript after each sessions by the telepresence robot assisted intervention which has 24 sessions, and analyzed using event recording on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empathic and negotiatory initiations of participants increased and all of participants more communicated with their peers on the intervention session than baseline session. The frequency of their non-response behavior decreased. They also more used various expression when they got negotiatory initi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showed that robot assisted intervention which focused group activities help the children at risk for EBD to improve their social skill. Telepresence robot also could be a medium for various and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on negotiation with peers.

      •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도명애(Do Myung Ae),서석진(Seo Seok Jin),박채진(Park Chae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은 2017년 9월부터 11월까지 두 달 동안 이루어졌다. 분석 논문은 총 104편이었고, 학술 분야, 연구방법, 스마트폰 중독을 발생시키는 원인,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해 발생하 는 결과를 분석 변인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사회과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양적연구가 101편으로 가장 많았는데 그 중에서 조사연구가 92.3%를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을 발생 시키는 원인은 개인 정서 및 행동 관련 요인에서 낮은 자기 통제력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결과는 개인 관련 요인의 비율이 가장 높았는데 그 중에서 우울 발생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를 제시한 후,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융복합 연구, 스마트폰 중독 중재 실험연구, 스마트폰 중독 조기진단 연구, 스마트폰 중독 치료를 위한 다중체계적 접근 연구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n a university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 Data collection & analysis were done for two months from September until November, 2017. The number of the papers for analysis was 104 in total, and this study set the academic area, research method, cause of addiction to Smartphone, and effect of addiction to Smartphone as analysis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university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 was found to be researched the most in social science field, and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found to be the most with 101 papers, among which a survey research accounted for 92.3%. Second, concerning the cause of addiction to Smartphone, low self-control was found to be the most in personal emotion and behavior-related factors. Concerning the effect of addiction to Smartphone, the proportion of individual-related factor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mong which the occurrence of depression was found to be the most. After presenting the research results as above, this study presented the convergence research, Smartphone-addiction intervention experimental research, Smartphone addiction early diagnosis research, and multi-systematic approach research for Smartphone addiction therapy, etc. as a proposal for follow-up resear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