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친화적인 공원시설 설치를 위한 정책방향 - 국립공원 공원시설의 자연친화성 평가를 근거로 -

        박창석,배민기,김태진,Park, Chang-Sug,Bae, Min-Ki,Kim, Tae-Jin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공원 내에 자연친화적인 공원시설의 설계와 설치를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국내 외 친환경건물 인증제도와 관련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입지, 설계와 설치, 운영과 관리부분별로 자연친화성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개 국립공원의 26개 공원사무소에서 실제 시설을 관리하고 있는 공원관리자 7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연친화성 평가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분석, 집단간 평균의 차이분석, 다차원척도법, 요인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1) 자연친화성 평가지표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산정한 결과, 시설의 입지 관련지표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공원시설의 자연친화성 수준에 대한 평가 결과, 입지 관련 지표들의 자연친화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시설의 설계 및 설치 관련 지표들의 수준이 낮게 평가되었다. 특히, 에너지 효율화와 관련된 지표들의 평가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시설별로 보면, 대피소의 자연친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휴게소의 자연친화성이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4) 전반적으로 볼 때, 설악산, 오대산,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공원시설에 대한 자연친화성 수준이 높게 나타난 반면, 경주와 속리산 국립공원의 자연친화성 수준은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자원절약 및 자연생태계와 공원자원을 보존하고 탐방객의 편리한 이용을 위한 자연친화적인 공원시설 설치를 위한 권고기준을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pose policy directions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nature-friendly park facilities (PF) in national parks. In order to do that, nature-friendliness evaluation indicators(NEIs) used in green building rating systems and related articles were reviewed. After the initial literature review was complete, NEIs for park facilities based on location, design,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sectors were developed. Data was obtained through a questionnaire completed by 79 managers at 19 national parks in Korea in 2008. The answer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a t-test, a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a factor analysis. This research found that: 1) The results indicated that based on relative weight calculation, the location condition was evaluated as the most important; 2) The evaluation results regarding the degree of nature-friendliness of park facilities showed that location condition was ranked higher than design and construction--in addition, the evaluated values of indicators related to energy efficiency were ranked the lowest; 3) the level of nature-friendliness of shelter was given the highest level, but resting facility was the lowest level; 4) Overall, park facilities at Mt. Seorak, Mt. Odae, and Taean Coast national parks showed high levels of nature-friendliness. But park facilities at Mt. Gyeongju and Mt. Songni national parks showed low levels of nature-friendlines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a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ailor-made management policies, the development of detailed guidelines for increased energy efficiency and visitor satisfaction, and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s and natural resources in Korea's national parks.

      • KCI등재

        서울숲 공원관리조직의 사회 연결망 분석

        최선주,황원실,김선희,박창석,Choi, Sun-Ju,Hwang, Won-Sil,Kim, Sun-Hee,Park, Chang-Sug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3

        본 연구는 공원관리 참여조직간의 사회적 연결망을 분석하고, 참여조직의 활동을 활성화하는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공원관리 참여조직 간의 신뢰, 참여, 정보교류의 실태를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서울숲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행정기관, 시민단체, 주민단체, 기업으로 구성된 15개 참여조직과 핵심인물 30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조직간 신뢰, 참여, 정보교류 및 연구 통계적 속성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분석은 사회 연결망 분석 프로그램인 UCINET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1) 신뢰, 참여, 정보교류의 연결구조에서 다른 조직에 비해 많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중추조직(HUB)는 서울숲 사랑모임과 서울숲 관리사무소로 나타났다. 2) 함께 일하고 싶은 조직과 향후 활발한 참여를 바라는 조직에 대한 연결망 분석에서는 환경 예술분야의 시민단체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3) 부녀회, 통장단 등 지역 주민단체 연결망을 살펴보면 중심성이 매우 낮으며 서로간의 연결관계도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와 함께 다양한 도시공원과 지역을 대상으로 공원관리 참여조직간의 사회 연결망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주민참여와 협력 이 활발한 공원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ise means to encourage participation for organizations taking part in "resident participation parks.", "Resident participation" has become increasingly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ans of park management in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networks for civic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park management with respect to their degree of participation, credibility and trust, and exchange of information. Among resident participation parks, "Seoul Forest Park"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a model example; accordingly this study designated Seoul Forest Park as its primary research focus. Thirty core members of resident participation organizations were selected as test subjects. Members of the resident participation organizations under review came from various backgrounds, including government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citizens' groups, residents' groups, and private businesses. Surveys were used to provide data on credibility and trust between organizations, levels of participation, and exchange of information, as well as statistics on demographic affiliation. Results were examined through UCINET, a program designed to analyze social networks.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1) The "Seoul Forest Park Conservancy" and the "Seoul Forest Park Management Office" constituted a hub within their social networks that maintained significantly more relationships than other organizations with regard to levels of credibility and trust, participation, and exchange of information; 2) Social networks for organizations wishing to work together, or desiring active participation in the future tended to center on citizens' organizations in the environmental and arts fields; and 3) Women's associations and meetings of neighborhood("tong") leaders had very little significance as a center in the social networks of local residents groups, and indeed very few connections amongst themselv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in the devising of proposals for encouraging participation in resident participation parks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networks between organizations engaging in park management activities for a diverse array of urban parks and other areas.

      • 기후변화 적응을 고려한 지역자원 관리 방안(II)

        박창석 ( Park Chang Sug ),강영은 ( Kang Youngeun ),신미정 ( Shin Mi Joung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16 No.-

        기후변화와 관련한 일련의 연구에서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지역 단위의 계획과 지역사회의 주도적인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적응 계획을 개발하여 이를 지역 단위에서 참고하고 활용할 목적에 기반을 둔 기초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기후변화 영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지역자원 간의 영향 관계, 지역사회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구조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첫째는, 문헌 연구 부분으로서 기후변화적응 정책의 현황 및 특징과 국내외 사례를 연구하여 향후 적응 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지역자원 관리의 해외 사례를 고찰하고, 이를 우리나라 기초지자체 및 지역사회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둘째는 실증적 연구 부분으로서, 전라남도 순천의 순천만, 전라남도 보성의 녹차밭 2개 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기후 동인은 `해수면 상승` 및 `한파`로 설정하였고, 이들의 시나리오별 차이점과 적응옵션별 영향 관계 및 이들의 영향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전문가 포커싱 그룹(focusing group) 회의 및 전문가 설문조사를 활용하였다. 셋째는 앞의 두 가지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한 결과를 분석하고 이에 근거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는 부분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결론에 해당한다. 위의 연구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순천만의 영향 관계 분석에서 인구의 전입량 감소, 관광객/관광 소득의 감소, 생태환경의 악화, 어업 생산량의 감소, 농업 생산량의 감소에 대한 최종 사회·경제적 영향은 단기적으로 농업 생산량과 어업 생산량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순천만의 `해수면 상승`은 장기적으로 관광객/관광 소득 감소로 이어져 지역사회의 소득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 관광 계획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피해 저감 효과 비교에서는 호안 및 제방 건설과 같은 구조적이고 물리적인 환경 개선으로의 접근은 단기적으로는 피해 저감에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장기적으로는 피해 저감 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자원에 대한 영향관계 비교에서 해수면 상승에 따른 직접적 피해의 영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므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직접 피해를 보완하고 이를 저감할 수 있는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한파`에 따른 보성 녹차밭의 영향 관계 분석을 관광객/관광 소득 감소, 재배 농가감소, 녹차 생산량 감소, 영농 비용 증가와 같은 4개 부문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단기적으로는 녹차 생산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 장기적으로는 관광객/관광 소득 감소에 미치는 악영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성 녹차밭의 사회·경제적 영향 부문 간비교에서는 재배 농가 감소와 녹차 생산량 감소, 녹차 생산량 감소와 영농 비용 증가 등의 상관 정도가 높기 때문에 연쇄적인 악영향 관계로 해석된다. 적응 옵션의 유형에 따라 변동하는 사회·경제적 부문의 영향 정도를 분석한 결과, 단기적으로는 한파로 인한 직접 피해저감 및 적응 옵션의 설정이 더욱 요구되고, 차나무 회복 저하에 따른 녹차 품질 저하가 전체 영향에 미치는 정도가 크므로 장기적으로는 차나무 회복을 위한 기술 개발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의 영향에 따른 지역 단위에서의 자원 관리를 위한 중·장기적 방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자원 간의 영향 관계, 영향 수준, 사회·경제적 영향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지역자원 간 영향 관계 및 수준을 시나리오별로 구체화하여 그 결과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응 옵션의 적용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전략적인 지역자원 관리 및 적응 계획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most important points in the research field of Climate Change is to reflect regional identity on the regional planning process and add strong roles from regional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duce an effective adaptation plan and create fundamental research areas to support regional sectors who need these research materials as their text references. Therefore, the author analyzes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resources, and the socio-economic impact of the regional society by Climate Change awareness.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major parts. At the beginning, the author studied literature materials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current circumstance of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into two parts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for deducting future policy implications. Also, the author considers three major international cases with its management tools for protecting regional resources in term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cess, and searching for the possibilities to adapt these deducted tools to Korean local government and regional societies. The second as an empirical part of this study, the author select two target areas as Sunchonman in Sunchon JeonNam and a Green Tea Farm in Boseong JeonNam. Climate cofactors set up as `Sea level rising` and `Cold wind`, and then analyzes its differences between scenarios, influencing relationships between adaptation options and its influencing standards. The major research methodologies chosen by `Expert Focusing Group Discussion` and `Expert Questionnaire Survey`. The third as a conclusion part of this study, the author analyzes the outcome from two former major research methodologies and then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The final results from this empirical study come out as follows. From the results of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nalysis caused by the `Sea level rising` with Sunchonman, decreasing population, reducing tourists and income from tourism industry, getting worse from eco-friendly environment, reducing out-put from fishing industry and agriculture industry are the major factors for influencing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in total production of fishing and agriculture in the short run process. Also, Sunchonman`s the `Sea level rising` influences to the reduce on tourists and incom from the tourism industry in the view from long term perspective. Therefore, the regional society need to develop new alternative plans to cover from the great loss. Comparative study form reduction efficiency of damage, such as structural approaches as shore protection or dike construction is effective to contribute on damage reduction in the short term process. But in the long term process, structural approaches are not as effective. The comparative study about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resources, the direct damage from the `Sea level rising` appeared as one of the affectable factors, so to supplement and reduce the threat from the `Sea level rising` are the most urgent measures. From the results of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nalysis caused by the `Cold wind` from the green tea farm in Boseong, the author analyzes the effects from the `Cold wind` into four major part such as reducing tourists and incom from tourism industry, decreasing the number of farmers in the region, reducing the total production of green tea, increasing cost from agriculture activity. As a result, decreasing the total production of green tea is the strong influence especially to the mid and short term process. On the other hand, decreasing tourist and income from tourism industry can be negatively influenced in the long term process. The comparative study in term of socio-economic influ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ducing the number of farmers in the region and reducing the total green tea production, increasing the cost from agriculture activity are in strong connectivity and it is understood as a chained relationship. The result from the variable socio-economic influence depend on the pattern from adaptation options, set up for reducing the damage from the `Cold wind` is needed as urgently as in the short term process. In the long term process, the quality deterioration of green tea production from damaged green tea plants caused by the`Cold wind` is the most affectable factor among the total relative influences. So, to develop recovery techniques for the damaged green tea plants from the `Cold wind` should be developed on a preferential basis. This is the study about approaching and developing the mid-long term adaptation options for managing regional resources from the negative influences of Climate Change. Therefore, the author compares the results from influencing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regional resources, its influencing standards, and its socio-economic effects. As conclusions of this study, the result shown are not only for clear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regional resources and its standards analysis by each scenarios. But also, there are clear results of socio-economic influences depending on each applications of adaptation options. So, this study will expected to be used as effective and strategic importance with during the further study in management of regional resources and adaptation planning.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우리나라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및 적응 대책 논의

        강영은(Kang, Youngeun),신지영(Shin, Jiyoung),박창석(Park, Chang Su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2

        기후변화 연구는 광범위한 영향 범위와 불확실성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후변화 리스크를 평가하고 예측하여 효율적으로 대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1990년대 이후 기후변화 영향 관련 신문기사 4,150건에 대해 연관되는 기후변화 리스크 항목을 매칭하고, 리스크 항목별 매칭 빈도 및 피해 크기(피해액)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요 리스크 항목들의 기후 동인들은 태풍/호우에 의한 영향이 많았으며, 피해 유형에서는 인명 피해, 인프라 시설 파괴 및 훼손, 농경지 피해 등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 수행된 리스크 평가의 주요 리스크 항목과 비교에서는 42.4%의 중복 비율이 도출되었으며, 중복되지 않은 항목분석 결과, 본 연구의 결과가 직접적인 피해(1차적인 리스크)에 보다 집중되고 있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한계점으로 제기되었던 리스크의 ‘발생가능성’과 ‘결과의 크기’ 의 과학적 증거 부족을 보완했다는 측면에서 충분한 의의가 있다. 향후 기후변화 적응 대책 반영을 위한 바람직한 리스크 평가를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도출한 내용과 전문가 평가결과가 절충되어 리스크 평가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 and related studies have played a major role in reducing the risks of climate change. The studies,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assess and predict the long run influence of climate change risk on society, the economy, and the environment in the long run, due to its extensive impact and uncertainty. This study evaluates the consequences and probability of climate change risk based on 4,150 newspapers articles after the 1990s related to climate change impact through text-mining.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limate drivers causing high recorded climate change risks include typhoons, heavy rains, and others. In addition, risk consequence categories were focused on casualties, damages to infrastructure and agricultural land. The percentage of risk overlapping between this study and the previous studies was 42.4%. The risks, that did not overlap, illustrate that this study has a tendency to focus on direct rather than indirect risks like social group vulnerability, social disparities, and so on. This study’s originality is illustrated through its supplementary concrete evidence for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From this step forward,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 have to reflect not only the result of observed climate change risks like those identified in this study but also experts’ survey based risk for minimizing uncertainty.

      • KCI등재

        기후재난 관리를 위한 적응대책 네트워크 분석

        김나윤(Kim, Na yoon),박창석(Park, Chang Sug)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1

        본 연구는 물관리, 건강, 재난재해 부문의 기후변화 적응대책 상호연계성을 파악하였다. 분석을 위해 전문가 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Netminer 4.0을 이용하여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물관리, 건강, 재난재해 부문의 기후변화 적응대책이 상호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부문의 기후변화 적응대책들 이 상호연계될 시 기후위험 대응에 효과가 있을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기후 리스크를 고려한 기후변화 적응대책 마련의 근거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기후변화 적응대책 클러스터를 도출하였음에 연구의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connectivity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in the water management, health, and disaster sectors. A survey encompassing inputs from 94 experts was conducted for the analysis. Then a social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using Netminer 4.0. The findings confirmed that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in the water management, health and disaster sectors are interconnected. In additi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daptation measures across these sectors are effective at addressing interconnected risks of climate change. Findings from this study have value as they can be used to prepare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that reflect climate risk. It is also significant that cluster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have been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자연자원에 기반한 지역유형분류와 발전방안

        박종준,윤기란,박창석,Park, Jong-Jun,Yoon, Ki-Ran,Park, Chang-Sug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2

        전 세계적으로 자연자원의 이용 및 관리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자연자원의 보전 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지역발전의 기회요인으로 활용하겠다는 현명한 이용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자연자원을 활용한 지역발전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자연자원의 분포와 이용 잠재력 등에 따른 지역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별 지역발전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자연자원을 생물종 자원, 생태계 경관자원, 무생물자원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총 27개의 세부 분석 지표를 설정하였다. 분석의 공단 단위는 165개 지자체의 행정구역으로 설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각 지자체별 자연자원 공간자료를 구축하였다. 지역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지역별 자연자원의 세부 지표를 요인분석한 후 이를 군집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요인분석 결과 산림자원요인, 경관자원요인, 연안생태자원요인, 내륙수자원요인, 지형자원요인, 생태탐방자원요인 등의 6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요인분석 결과를 근거로 군집분석한 결과 산림생태지역, 내륙수자원지역, 연안생태 경관지역, 지형 생태지역, 복합자연자원지역, 도시 근교 생태탐방지역, 생태경관지역, 기타지역 등 총 9개 지역유형을 도출하였고, 각 유형별로 지역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자원을 활용한 지역발전 정책 및 계획에서 대상 지역의 선정과 지역의 발전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The paradigm of the use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is changing. Wise use of natural resources can be achieved by enhancing their conservation value and, at the same time, taking them as an opportunity for regional development. It leads to an idea of pursuing regional development by making good use of natural resources. In this paper, natural resources were classified as living species resources, ecosystem and landscape resources, and non-living resources. The resources were divided into 27 detailed analysis indices.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of 165 municipalities in Korea were defined as spatial analysis units. Finally, a spatial database of natural resources was built. To classify the regional types, we conducted factor analyses with a detailed index of natural resources and a cluster analysis with the factor value. As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six factors have been deduced as follows: forest resources, landscape resources, coastal ecology resources, inland water resources, landform resources, and ecology visit resources. In addition, the cluster analyses were conducted for the points of the factors drawn. The final classification consists of nine groups, and appropriate methods for each regional development have been suggested.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fundamental materials for site selection and objective-setting for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and planning in consideration of natural resources.

      • KCI등재

        연대별 아파트 단지 옥외공간의 변화와 주민인식비교 - 대전광역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

        김대현,박창석,박춘석,주신하,신지훈,변재상,Kim Dae-Hyun,Park Chang-Sug,Park Chun-Sug,Joo Shin-Ha,Shin Ji-Hoon,Byeon Jae-Sang 한국조경학회 2005 韓國造景學會誌 Vol.33 No.3

        Much has been made of the changes over time to apartment complexes during the era of rapid development in Korea.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chronological changes since the 1970s in the laws and regulations governing outdoor space and the residents' appreciation of outdoor space in Daejeon's apartment complex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imilar changes can be found throughout Daejeon's apartment complexes. As time has passed, the building-to-land ratio and the floor-to-land ratio have deceased. The high density trend of apartment complexes has continued until very recently. 2. Although residents' satisfaction with outdoor space around apartments has improved, land for athletic and commercial spaces still remains at its lowest level. Therefore, these kinds of spaces need improvement. 3.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outdoor space in apartment complexes from the 1980s to present indicates that current apartment residents are much more satisfied with the outdoor space, but are conscious of the lack of adequat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handicapped people, and of the hiか density of their apartment complexes. Therefore, these essential consciousness should also be further improved. 4. The residents are gradually becoming aware of changes to the outdoor space that have occurred over time in the apartment complexes, such as in the areas allowed to parking, pedestrians, and athletics. 5. These chronological changes relate to the residents' interest in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to the outdoor space, especially the convenience of parking, the color of the buildings, the form of the buildings, and the shape of the roofs.

      • KCI등재

        기후변화 적응 전략 중요도 분석 및 유형화

        강영은 ( Youn Geun Kang ),안윤정 ( Yoon Jung Ahn ),박창석 ( Chang Sug Park ) 한국환경정책학회 2016 環境政策 Vol.24 No.1

        국내외적으로 기후변화 적응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국외 대표적인 적응 전략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적응 전략별 시기별 중요도 분석, 전략 체계화를 수행하여 우리나라 기후변화 적응 대책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 분석을 통해 국제적인 흐름을 반영할 수 있는 24개의 기후변화 적응 전략이 도출되었으며, 중요도 분석 결과 현재 관점에서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 분석, 재난/재해 위험(Risk) 관리 등에 대한 내용의 중요성이 높았다. 반면, 미래 관점에서는 지역 수준의 대응(상향식 발전 등), 지속가능한 에너지 및 자원 관리(생태계 서비스 등), 적응 공적 자금 확보 등이 상대적으로 강조되는 특성을 보였다. 종합적으로 국제적인 기후변화 적응 전략은 ``자원 관리 및 경제적 수단 마련``, ``지역 단위 대응 강화 및 인식 제고``, ``최신 기술 확보 및 적용``, ``사회/생태 취약지역 보호 전략``, ``위험(Risk) 관리``, ``기후 스마트 개발 전략``의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현재 제2차 기후변화 적응 대책에서 제안한 시기별 적응 대책 마련, 통합적 적응 추진체계 구축 및 전략 보충 등에 직접적으로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ing the significance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the Korea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by analyzing the importance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ies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survey of experts.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ies reflecting global trends were deduct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In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y importance analysis, climate change impact, vulnerability analysis and disaster risk management showed higher values at present. In the future, however, among other things counterplanning at local level (e.g. bottom-up development), sustainable energy and resources management (e.g. ecology services), and budget expansion for adaptation were highlighted. Overall,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global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ies can b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resource management and budget expansion``, ``strengthening counter-planning at local levels and climate perception``, ``applying advanced technology``, ``protecting socially/ecologically vulnerable regions``, ``risk management``, and ``climate smart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directly applied to some areas of the 2nd Korea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such as adaptation strategies, considered time frame, and integrated adaptation system/strategy supplementation, etc.

      • KCI등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 완화 및 적응 계획요소의 연계화 전략과 중요도 평가

        강영은(Kang, Youngeun),박창석(Park, Chang Su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5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서 탄소 완화 및 적응 계획 요소의 연계화 전략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연구로, 기후변화 대응 선진 사례인 미국 대표 도시의 기후변화 전략 방안 조사, 기후변화 대응 마련을 위한 전문가 검증 및 설문조사로 구분되었다. 연구 결과,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위한 34개의 주요 계획 요소가 도출되었다. 선정된 항목별 상대적 중요도가 높았던 주요 계획요소는 ‘산림지 보전’, ‘그린웨이, (도시)숲 조성’, ‘태양열 에너지 사용’, ‘홍수 대비 건축/구조물 계획’, ‘공원 조성 및 확장’, ‘나무 심기’의 항목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탄소 완화 및 적응 계획간 연계성 측면에서 중요성이 높았던 계획 요소는 ‘옥상녹화’, ‘그린웨이, 도시(숲) 조성’, ‘산림지 보전’, ‘공원 조성 및 확장’, ‘나무 심기’, ‘고단열 자재 사용’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 대응의 선진 사례를 심층적으로 조사ㆍ분석하여 탄소 완화 및 적응의 측면에서 요구되는 주요 계획 요소를 도출하는 동시에, 중요도 평가를 통하여 탄소 완화 및 적응의 연계화 방안을 고려했다는 데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기후변화 전략 마련에 있어서 이행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며, 여러 가지 계획 요소 중 반영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데에도 전략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focused on combining a mitigation strategy and an adaptation strategy for developing a climate change plan. The authors investigated climate change strategies of representative cities in USA and conducted expert verification and an expert survey on climate change strategies. As a result, 34 factors were found to be the main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a climate change strategy. The factors that recorded comparatively high on the importance were “Forest preservation”, “Green way and (Urban) forest”, “Solar thermal energy”, “Flood protection construction plan”, “Park Creation” and “Tree planting”. Furthermore, the importance scores among the factor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itigation strategy and the adaptation strategy were derived by the expert survey.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d the trend of the climate change strategies in USA, which has consolidated its position as a leading climate change strategy expert, and identified the main planning factors required to cope with climate change in both mitigation and adaptation strategies. These results can contribute to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a climate change plan and selecting priority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plan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