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석정 이정직 괴석도(怪石圖)의 조형적 특성

        박지예(Park, Ji-Y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4

        석정 이정직(1841-1910)은 구한말에서 한일강제합병이 이루어지는 19C전후를 살았던 철학자이자 서화가였다. 그는 500여년을 이어온 조선왕조가 크게 흔들리는 매우 어려운 시기를 살았으며 그가 28세 되던 해에 연경을 다녀온 것 외에 평생을 거쳐 전북을 떠났던 기록이 없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벼슬을 해왔던 양반 집안 이였고 부친이 김포에서 김제로 거처를 옮겨 석정은 김제에서 출생하였다. 이정직의 학문과 철학은 시문을 완성하는데 뚜렷한 스승은 보이지 않아 독학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서화에 있어서도 특별한 사승관계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당대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인물들의 작품을 통해 공부하였음은 그가 남긴 자료에서 잘 나타나있다. 그는 소치 허련의 모란을 모사한 ≪소치 목단법≫과 오원 장승업의 작품을 모사한 ≪오원화여≫와 ≪오원 재현첩≫등을 남겨 선배화가들의 작품을 통해 공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가하면 그는 괴석도를 공부하기 위하여 『개자원화전』을 임모하였다. 또한 이 화첩을 바탕으로 해석을 곁들이기도 한 ≪석정가묵≫이라는 화첩을 남기고 있다. 그리고 그의 사군자는 강세황과 같은 조선후기 명망 있는 선비화가들의 문인화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되며 괴석도를 공부함에 있어 동시대에 한양에서 유명하였던 몽인 정학교의 괴석도도 공부한 흔적이 보인다. 그가 그림을 공부하기 위해 조선 후기 대표적인 화가들과 중국의 화보를 임모하기도 하면서 자신의 화풍을 이룩해 갔다. 이처럼 선배화가들의 화풍을 다양하게 연마한 것은 그의 학문적 가치관에서 기인한 것으로 옛 선인들이 남긴 문장을 읽고 실천하여 고법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그는 당대에 매우 뛰어난 문인화가였다. 그것도 김제라는 매우 한정된 지역에서 이룩한 업적이라는 데서 더욱 의의가 있다고 본다. 물론 지금 남아있는 대부분의 작품은 동학혁명 때 집이 불에 탄 이후의 학습 과정과 작품이다. 그는 이런 안타까운 상황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전주에서 김제로 이사해 세상을 떠날 때까지 저술에 힘써 전집 『연석산방미정고』을 이루었다. 이 기록은 그의 제자 송기면이 쓴 「석정선생행장」에 쓰여 있다. 현재 이 30책들은 지방 문화재 제149호로 지정 되었다. 이정직은 유학자이며 실용주의적 철학자였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문물과 사상에도 지극한 관심을 기울인 개화된 인물이였다. 그가 연경에 갔을 때 접한 서양철학을 깊이 있게 연구하고 자신의 철학과 비교한 「신구절충론」을 남기고 있는 데서 확인된다. 「신구절충론」은 베이컨과 칸트의 철학을 한국 최초로 정리한 글이다. 그의 작품에서 매우 근대적 시각이 돋보이는 배경을 짐작케 한다. 그의 문인화는 사군자에서 화조, 영모까지 전통적인 문인화소재로 다양하다. 그 중 가장 돋보이는 것은 역시 괴석도라 할 수 있다. 그의 사군자는 필법이 매우 정갈하고 단아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괴석도를 비롯하여 여타 문인화의 소재들에서 매우 독자적 학습과 특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사군자의 형식과 운필에서는 매우 전통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한편으로 독창적 시각으로 바라본 괴석도는 이정직의 회화의 백미 라 할만하다. 그의 괴석도는 전형적인 문인화형식을 보이기도 하고 또한 정학교와 같은 괴석 중심의 괴석도를 보여 주기도 한다. 돌의 형태에서는 구멍이 많은 태호석을 그렸는가 하면 정학교나 이하응과 같은 관념적 형식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러나 이정직은 양식화된 관념성을 뛰어넘어 자신만의 독창성을 확보하여 한국적 괴석도를 보여주고 있다. 그 특징으로 돌의 윤곽선을 배제하고 화면을 평면화 시킨 모더니즘을 구사하고 있다. 그리고 돌의 윤곽선은 투박하고 무거워 육중한 특유의 돌의 이미지를 잘 드러내고 있기도 하다. 또한 표현에 있어서 발묵을 적절히 구사하여 음영의 효과로 돌에 입체감을 살려주었다. 어느 작품은 가느다란 필선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며 전통적 준법을 완전히 벗어나 현대적 드로잉의 묘법을 보이기도 한다. 수직적인 필선으로 그려내는가 하면 둥글둥글한 곡선으로만 사용하기도 하였다. 필선은 농담이 풍부한 묘법으로 그리기도 하고 아예 농담을 완전히 배제한 돌도 있다. 돌의 형태를 그리고 태점을 운용하는 데에도 무겁고 가볍게 또는 어떤 작품은 태점이 아예 들어가지 않은 작품도 있다. 돌의 모양에 있어서 마치 커다란 비석을 세워놓은 듯하며 어떤 돌은 투박한 형상과 둥글둥글하기도 하다. 또한 매끈하고 날씬하게 그려 세련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책을 비스듬히 쌓아 올려놓은 듯 사각입방체로 묘사하기도 하였는가 하면 구름덩어리가 피어오르는 모양을 그리기도 하였다. 그는 실험적이고 다양한 화법의 표현으로 독자적 세계를 열어갔음을 알 수 있다. Seokjeong Lee Jeongjik(1841-1910) was a philosopher and a painter, who lived before and after 19C, during which the end of Joseon transfered into Korea-Japan compulsive merge. He lived very difficult time in which Joseon Dynasty which had last for 500 years was shaken greatly, and he never been out of Jeonbuk province in his life except visiting Beijing at the year his age 28 years old. His family was in noble class with government positions through generations, his father moved out to Kimje from Kimpo, so Seokjeong was borne in Kimje. It looks like that the study and philosophy of Lee Jeongjik to accomplish poetry and prose has been achieved by his own efforts because no master was shown in his records. And there is no particular teacher and student relationship in painting. But the records he left shows that he studied through works of various people, which he could come into contact at that time. It was confirmed that he studied through senior painters works, because he left ≪Sochi Mokdanbeob≫ which copied peony of Sochi Heoryeon, ≪Owonwhayeo≫ and ≪Owon jaehyuncheop≫ which copied works of Owon Jang Seungeob. And more, he copying 『Gaejawonwhajeon』to study Guiseokdo. He left a sketchbook titled ≪Seokjeonggamook≫ in which interpretation was added based on this sketchbook. And his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was assumed to be influenced from paintings in the literary artist style of famous Confucian scholar artists like Kang Sewhang in late Joseon, and in studying Guiseokdo, there is a trace that he studied Mongin Jeong Hakgyo s Guiseokdo who was famous in Hanyang at that time. He had formed his own painting style by copying works of representative artist in late Joseon and Chinese pictorial book to study painting. The reason he studied the various painting styles of senior artists was from his academic values, he tried to faithful to classical painting style by reading the writings of old ancestors and carrying them out. He was very excellent painter in literary artist s style. And its meaning is much greater because that was achieved in limited area of Kimje. Of course most of his works left until now are the process and works after his house was burned during Donghak Revolution. He accomplished book series 『Yeonseoksanbangmijeonggo』until he passed away without frustration in this hard situation after moving out from Jeonjoo to Kimje. This was recorded in 『Personal History of Master Seokjeong』which was written by his student Song Kimyeon. Currently this book 30 volume was designated as local culture asset number 149. Lee Jeongjik was a Confucian and a practical philosopher. Adding that, he was also a civilized person who paid strong attention to the new culture and ideology. This is confirmed in his writing 『singu Jeolchungron』in which he studied western philosophy and compared it with his philosophy, which he contacted in Beijing. Singu Jeolchungron』was the first writing which summarized the philosophy of Baconianism and Kantism. We could assume modern eyes at the background of his work. His paintings of literary artist’s style are being used in various material for paintings of traditional literary artist’s style from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to flower and birds, animal painting. Most outstanding work among them could be of course Guiseokdo. His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has a characteristic of very neat and elegant in brush stroking sty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elf educated learning was shown in other materials of paintings of literary artist’s style including Guiseokdo. But the form and brush stroking of his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shows very traditional style. Meanwhile the Guiseokdo in creative eyes could be the highlight of Lee Jeongjik paintings. Sometimes his Guiseokdo shows the form of traditional literary artist’s style, and sometimes it also shows the Guiseokdo focused on uniqueness of rocks like Jeong Hakgyo.

      • 라이프스타일 샵의 공간구성요소를 통한 VMD전략

        박지예(Park, Ji-Ye),한혜련(Han, Hae-Ry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5

        As the per-capita gross national income of Korea surpasses $30,000, the increased income level has caused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The demand for products that could express their own lifestyle started increasing. Regarding the housing culture, 1-2person households and the lease/monthly rent-based housing are increased, so that the lifestyle shops are rapidly growing. Therefore, global lifestyle shops with diverse concepts have entered Korea while multiple lifestyle shops are created to meet this trend in Korea. Under this condition, the establishment of brand identity and strategies differentiated from other brands would work as an essential poin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VMD strategies. This study used the case research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focusing on VMD strategies through the spatial composition elements of lifestyle shops. In detail, examining the concept and development factors of lifestyle shop, the definition and roles of VMD were studied. Also, experiencing the lifestyle shop applying the VMD composition elements, a checklist was completed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Through this consideration,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and analyzed.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effective and competitive VMD strategies of lifestyle shops by analyzing VMD strategies through the spatial composition elements of lifestyle shops and then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results.

      • KCI등재
      • LabVIEW를 이용한 배터리 자동 충ㆍ방전 제어 테스트 장치 설계

        박병주(Byeong-Ju Park),문채주(Chae-Joo Moon),정문선(Moon-Seon Jeong),박지예(Ji-Ye Park),김이윤(Yi-Yoon Kim),김영중(Yeong-Jung Kim) 전력전자학회 2011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7

        최근 전기자동차와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전기 저장장치로 고용량 2차 전지의 개발 및 상용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술 연구 또한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배터리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배터리의 성능평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abVIEW를 이용하여 배터리 자동 충·방전 제어 테스트 장치를 구축하여, 원격제어 및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데이터 분석 및 저장이 가능하며, 다양한 배터리의 성능 평가를 설정 값 변경으로 손쉽게 평가 할 수 있도록 장치를 개발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