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시각장애 아동의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도와 위생습관 실태 연구

        박중휘 ( Joong-hui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5 No.4

        본 연구는 시각장애 아동과 정안 아동의 구강보건의 지식도와 위생습관에 대한 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앞으로 우리나라 시각장애 아동들의 구강보건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제작과 실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시각장애 아동 106명과 정안 아동 315명을 대상으로 2004년 9월부터 10월 사이에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을 정리하면, 첫째, 시각장애 아동과 정안 아동의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도에는 차이가 있으며, 전반적으로 시각장애 아동이 정안 아동에 비해 지식도가 낮은 경향이 있다. 둘째, 전맹 아동과 저시력 아동 그리고 정안 아동의 세 집단간의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도에는 전맹 아동과 정안 아동간, 저시력 아동과 정안 아동간에는 차이가 있으나, 전맹 아동과 저시력 아동간에는 차이가 없다. 셋째, 시각장애 아동과 저시력 아동의 구강보건에 대한 위생습관의 차이에서는 전반적으로 시각장애 아동이 정안 아동에 비해 좋지 않은 위생습관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시각장애 아동의 구강보건 교육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본 연구가 시각장애 아동의 구강보건 교육에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present situations of knowledge level ondental health and oral hygiene practices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Sighted children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practice and production of systematic and efficient education program regarding dental health. To achieve the goal, The questionnaire were surveyed 106 the visually impaired children and 315 sighted children from September to October in 2004. The finding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on knowledge level of dental health between the visually impaired children and those of sighted children, children with visually impairment having low level of knowledge. Second, as for the level of knowledge on dental health among blind children, those of low vision children, and those of sighted childre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lind children and those of sighted children, those of low vision and sighted children, while no difference between blind children and those of low vision. Third, considering the difference of oral hygiene practices related to dental health between the visually impaired and those of low vision, visually impaired children showed worse oral hygiene practices than those of the sighted children.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tudies on education of dental health of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시각장애학생의 인터넷 사용 및 중독 실태

        박중휘 ( Joong-hui Park ),이효자 ( Hyou-ja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3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생의 인터넷 사용과 중독 실태를 파악하여 인터넷 중독에 대한 예방교육과 건전한 정보통신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며, 12개 시각장애학교 초등부 4학년 이상 중.고등부 학생 299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강문위(2003)와 이계원(2001)이 사용한 도구와 Young(1998)이 제작하고 윤재희(1998)가 번안하여 사용한 도구를 시각장애학생의 특성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학생의 변인별 인터넷 사용 실태를 보면, 하루 평균 이용 시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이용 시간이 많았으며, 인터넷 사용경력은 학년이 높을수록,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맹 학생보다 저시력 학생이 경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사용용도는 채팅,정보 및 자료검색, 게임, 전자우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과다 사용에 대한 절제 이유로는 부모의 꾸중과 학업에 열중하기 위한 비율이 높았다. 둘째, 시각장애학생의 인터넷 중독 실태에서 중독 평균점수는 44.93점이며, 학교급별과 시력정도에 따라서는 집단간 차이가 없으나, 성별과 거주형태에 따라서는 집단간 차이가 있었다. 인터넷 중독 정도에 대해서는 중독군이 8.0%로 나타났으며, 학교급별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없으나 성별, 시력정도별, 거주형태별에 있어서는 집단간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o what extent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used the Internet and were addicted to that in a bid to provide preventive education for those students to stay away from Internet addiction. And it``s also meant to lay the foundation for offering sound IT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use of the net among visually impaired students by school grade, sex, visual acuity and residential type, the boy students spent more mean daily time on the net than the girls did, and as for experience of accessing the Internet, those who were in the upper grades, who were boys and who had a low vision had more experience than those who were in the lower grades, who were girls and who were totally blind. Concerning what they used the net for, having a chat was most common, followed by searching information and data, playing gamesand sending e-mail. As to the time of logging on to that, they were on the Internet mainly during the day or in the evening. As for the place, they logged onto it mostly at school or home. In regard to the attitude of their parents toward their excessive use of the Internet, their parents let them access it at a fixed time or after they finished what they had to do. Concerning the reason why they controlled themselves not to be overly exposed to the net, a lot of the students did that not to be scolded by their parents or to concentrate their attention on studies. Second, the collective average of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Internet addiction was 44.93. There was no intergroup gap triggered by school grade and visual acuity, but the Internet addiction of the group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sex and residential type. 55.2% weren``t hooked on the net, and 36.8% were at risk, and 8.0% were addicts. Their school grade made no differences to their addiction, but their Internet addic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sex, visual acuity and residential type.

      • KCI등재후보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Basic Literacy Education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 시각장애 성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으로의 기초문해교육 가능성 탐색

        박중휘(Park Joong-hui),김미선(Kim Mi Sun),권회연(Kweon Hoe Yeon)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9 시각장애연구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시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한 기초 문해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및 방안을 살펴보고, 향후 시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한 문해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서 맹인과 저시력인, 시각중복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기초문해교육의 현황 및 방법은 어떠한지에 대해여 국내외 문헌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다양한 시각장애 정도에 따른 개별적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시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한 문해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유형을 고려한 맞춤형 문해교육 체계 구축이다. 둘째, 생애주기에 맞는 실생활 적용 가능한 현실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시각장애 성인으로서 자율성 향상 및 사회활동의 참여를 증진 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시각장애인 평생교육 기관의 전문성 증진 및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넷째, 시각장애인의 문해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보급 및 확산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향후 시각장애 성인의 평생교육 기초문해 프로그램의 질을 향상시켜 시각장애인의 독립적인 생활과 삶의 질을 증진 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ituation and plan of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the visually impaired adults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and to search the direction of th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the visually impaired adults. Based on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current status and methods of basic literacy education for blind and low vision disabled persons with visual disabilities were examine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studies. The result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individual basic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depending on the level of visual impair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oblem solving process, the direction of th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the visually impaired adults is as follows. First, it is building a customized literacy education system considering the type of blindnes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utonomy and participation of social activities as an adult with visual impairment by preparing a practical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the life cycle.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professionalism and educate specialist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visually impaired. Fourth, systematic programs for literacy educ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should be spread. This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life-long learning literacy program for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 in the future, thereby improving the independent living and quality of life of the visually impaired.

      • KCI등재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전략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 및 인식

        권회연(Kweon Hoe Yeon),박중휘(Park Joong Hui),김미선(Kim Mi Su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4

        본 연구는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한 특수교사의 수행 현황 및 개별 중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아, 향후 효과적인 교사 연수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의 행동관리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는 22.9%가 높은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보통 정도라고 응답한 특수교사는 66%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필요한 정보를 구하는 곳은 서적이나 연수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요도 평가 에서는 대부분의 중재가 4점 이상으로 평가되었으나,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중요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하였다. 중요성과 적용 가능성이 모두 높은 중재는 선행사건 중재, 대체기술 중재, 후속결과 중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행동지원의 각각의 중재를 사용한 비율은 전체 교사의 70% 이상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중재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과 적이라고 응답한 중재방법은 모두 23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평가를 위한 자료 수집이나, 강화 효과 평가 등에 있어서는 낮은 결과를 보여 체계적인 중재를 위한 평가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의 어려움을 시사하였다. 향후 행동 평가 및 모니터링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관찰 시스템의 개발과 보급 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basic information of teacher training through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esent execution status and awareness on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 support for the student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teachers having high concern on students behavioral management was 22.9%, and the rate of teachers taking median concern was 66%. And the teachers obtained the information on problem management includ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by publications or teacher training. Second,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interventions valuated significantly which presented mostly more 4 point. But relatively the point of application possibility was lower than the point of importance evaluation. Third, the rate of application as 70% among total research participants presented to be used the most in all individual interventions on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on the effectiveness, the teachers answered that 23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But, on the facts of monitoring and assessment of behavior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gativel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Results are discussed with previous research, contributions to futur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in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시각장애학생의 점자 읽기 발달 및 뇌의 가소성에 대한 문헌 고찰

        권회연(Hoe-yeon Kweon),박중휘(Joong-hui Park)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생의 점자 읽기 발달 특성을 정안학생과 비교해 고찰하고, 이러한 차이를 선행연구에서 밝힌 뇌의 가소성 차원에서 파악하여 점자 학습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시각장애학생의 점자 읽기 능력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점자 읽기 과정을 뇌의 가소성 차원에서 알아본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장애학생의 점자 읽기 능력은 정안학생들과 다른 발달 경향성을 보이며, 특히 점자 읽기 이해력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각장애학생들이 점자 해독 기술을 배운 이후에도 주로 음성에 의존한 읽기를 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읽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뇌의 활성화 정도에서 정안학생들과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기도 한다. 즉 모든 연령에서 유능한 독자들은 1차 시각피질과 측두엽을 연결하는 후두-측두 영역이라는 뇌의 좌측 뒷부분에 의지하여 읽기를 하지만, 시각장애학생과 난독증 학생들은 뇌의 가소성이 발현되는 과정에서 뇌의 뒷부분이 아니라, 브로카 영역과 전두엽에 의지하여 읽기를 하기 때문에 작업기억력의 과부하와 전두엽이 담당하는 읽기의 전략적 역할이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읽기 이해에 몰두할 가용자원이 부족하여 점자 읽기 학습에서 정체와 지체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관점에서 시각장애학생의 점자 읽기 능력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점자 읽기 전략의 활용, 스스로 점자 학습의 유용성을 인식하여 동기 수준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raille reading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compared to those of straight eyes students, and to approach and understand these differences in terms of brain plasticity by reviewing the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understand this, we systematically analyze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 braille reading ability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the previous research that investigated the braille reading process from the neurological level of the brain. The braille reading ability of blind students shows a different developmental tendency than those of straight eyes students, and in particular, it is reported that braille reading comprehension is poor. This is partly because visually impaired students read mainly relying on voice even after they learn Braille decoding skills. However, looking at the degree of brain activation in the reading process, competent readers at all ages showed that the left posterior part of the temporal region to read, the left ventral occipitotemporal area(vOT), which connects the primary visual cortex and the temporal lobe, is activating. But visually impaired children and dyslexic students show an overload of Broca's area, frontal lobe, and working memory in the process of brain plasticity. This can lead to congestion and delays in the learning process of reading Braille because there are not enough resources available to focus on reading comprehens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pproach and understand the reading ability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particular, the teacher who will be in charge of the Braille reading instruction should develop an appropriate Braille reading program and reading strategy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an effective Braille learning program and a successful experience of using it can be continued even into adolescence.

      • KCI등재

        점자학습기를 활용한 점자 문해 교육 프로그램이 시각장애 학생의 점자 읽기 능력 및 읽기.쓰기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 일반 유.초등학교 시각장애학생을 중심으로

        권회연(Kweon Hoe-yeon),박중휘(Park Joong-hui)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점자학습기를 활용한 점자 문해 교육 프로그램이 일반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시각장애 학생의 점자 읽기 능력 및 읽기·쓰기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일반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시각장애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16주에 걸쳐 점자 문해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점자 읽기검사, 점자 지식검사, 읽기․쓰기 태도 및 흥미검사, 정서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에 대하여 t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중재 프로그램을 담당한 멘토 6명에 대한 면담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점자학습기를 적용한 점자 문해 교육 프로그램이 기본적인 점자 지식 습득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읽기 태도와 쓰기 태도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정서지능 중 정서조절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멘토을 대상으로 한 면담 결과, 시간적 한계로 인해 낱말 읽기와 문장부호 습득에서는 본 프로그램의 효과가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나서 약자를 포함한 낱말 등의 학습을 하는 데는 멘토의 방문 시간 외에도 점자 학습을 위한 추가적 시간이 필요함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n reading-writing attitud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well as braille reading abilities after implementing a literacy education program using a braille learner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receiving inclusive education in general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braille literac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quisition of basic Braille knowledge and abilities.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reading and writing attitude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regul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s. Finally, as a result of interviews with mentor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was very limited in reading words and learning punctuation marks, so it was reported that braille learning was necessary in addition to the tutor s visiting time to learn words reading and abbrevi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시각장애 학생의 점자 문해력 발달 및 관련 예측변인 탐색

        권회연(Hoe Yeon Kweon),박중휘(Joong Hui Park)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2 시각장애연구 Vol.38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 학생의 점자 읽기 이해력이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발달적 변화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 점자 읽기 이해력과 시각장애 특성 및 읽기 하위기술 간 관련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전국 시각장애학교에서 1년 이상 점자를 학습한 학생으로 초등학생 38명과 중학교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시각장애 학생의 점자 읽기 하위기술(점자 받아쓰기, 점자 읽고 쓰기, 점자 읽기 유창성, 점자 읽기 이해력)은 학년에 따라 발달적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각장애 학생의 특성 및 점자 읽기 하위기술 간 상관은 점자 받아쓰기와 읽고 쓰기(베껴쓰기), 읽기 유창성 간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읽기 이해력과의 상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읽기 유창성의 경우, 학년과의 상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각장애 학생의 특성 및 점자 문해력 하위기술에서 점자 읽기 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변인은 국어성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읽기 이해력의 26%를 국어성적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하고 점자 읽기 교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braille reading ability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shows developmental changes according to the school year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other sub-skills of reading. Method: A total of 71 blind students, 38 of whom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33 were middle schools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ll of them learnd Braille for more than a year.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sub-skills of Braille reading(Braille dictation, Braille transcription, Braille reading fluency, Braille reading comprehension) showed developmental changes according to grade levels. Second,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the sub-skills of reading Braille, the correlation between dictation, transcription, and reading fluency was significantly high, but the correlation between three sub-skills of rea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was low. However, in the case of reading fluency,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 with the students’ grades was the highest. Third, in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the sub-skills of reading Braille, the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 affecting reading comprehension was Korean language performance, and Korean language scores were found to account for 26% of reading comprehension. Conclus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presented.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의 교육용 어휘목록』Ⅰ, Ⅱ단계의 어휘에 나타난 말소리 특성

        권회연(Kweon Hoe-yeon),박중휘(Park Joong-hui)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2 No.2

        이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교육용 어휘목록으로 권회연 등(2017)의 연구에서 제시한 100개의 어휘를 대상으로 음소, 음절, 단어 등의 언어학적 단위에서 말소리의 특징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어휘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100개의 어휘에 나타난 자음자의 활용실태를 살펴보면, ‘ㄷ’의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이 ‘ㄴ’, ‘ㄱ’, ‘ㄹ’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성으로 사용된 자음자로 한정한 경우, ‘ㄷ’의 출현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종성으로 사용된 자음자의 경우에는 ‘ㄹ’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다. 경음의 경우, ‘ㅃ’이 초성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종성에서는 ‘ㅆ’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겹받침의 경우에는 ‘ㄵ’, ‘ㄶ’, ‘ㄺ’, ‘ㅀ’, ‘ㅄ’이 각각 1회씩 나타났다. 둘째, 모음에서는 ‘ㅏ’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모음자뿐만 아니라, 자음자를 포함하여도 가장 출현빈도가 높은 음운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ㅣ’, ‘ㅓ’, ‘ㅜ’, ‘ㅗ’, ‘ㅡ’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모음은 전체적으로 출현빈도가 높지 않았다. 셋째, 음절 유형에서는 자음자와 모음자로 구성된 2유형의 음절 유형이 전체의 43.5%로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다. 다음은 자음과 모음, 자음으로 구성된 4유형 음절 유형이 36.4%로 나타났다. 넷째, 음절수 측면에서는 2음절 어휘가 전체의 6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음절의 어휘가 19.0%이고, 1음절 어휘는 18.0%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장 많이 사용된 음운현상은 경음화로 16회 나타났으며, 다음은 받침법칙으로 11회 나타났다. 그 외 ‘ㅎ’ 축약이 4회, 마지막으로 연음화가 1회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어휘교육의 함의를 도출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a list of educational vocabulary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ffective vocabulary education. Among the 1,000 vocabularies presented in the study of Kweon et al(2017), 100 vocabulary which is the most functional and most urgent as educational vocabulary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se of consonants in 100 vocabularies shows the highest occurrence frequency of c . The following appeared 26 times as ㄴ and 25 times as a and appeared at the same frequency. Next, 22 cases of ㅁ and ㅅ appeared. The next one was f , i , o .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ㄷ was the highest when it was limited to the consonants used as the beginning. In the case of ㅃ appeared 3 times in the beginning, ㅆ appeared 3 times in the final consonants. Second, the frequency of a appeared the highest, so it was used 101 times. This result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 phonemes included not only vowels but also consonants. Next, ㅣ and ㅜ were used 25 times, followed by ㅓ and ㅜ respectively 16 times. Next, ㅗ and ㅡ were 15 times and 14 time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double vowels as a whole was not high. Third, two types of syllables composed of consonants and vowel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43.5%. The four types of syllables consisted of consonants, vowels, and consonants shows the highest occurrence frequency as 36.4%. Fourth, in syllable number, two syllables was the highest at 60% of the total. Fifth, the most frequently used phonological phenomenon appeared 16 times as a result of tense conson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of vocabulary education were derived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follow up study.

      • 시각장애인 경력 특수교사의 교육 경험과 인식

        김미선(Mi Sun Kim),박중휘(Joong Hui Park)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본 연구는 맹학교에 근무하는 시각장애인 경력 특수교사들의 교육 경험과 인식을 토대로 시각장애인 경력 특수교사가 당면하고 있는 교육현황을 파악하고 시각장애 교육의 발전을 위해 어떤 노력이 이루어져야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맹학교에 근무하는 시각장애인 경력 특수교사 11명을 대상으로 집단 면담과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수집된 자료를 전사하고 질적 내용 분석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연구 참여자의 확인과 외부 감사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을 통해서 5개의 대주제와 16개의 하위주제로 정리되었다. 5개의 대주제는 ‘무엇이 경력인가’, ‘있지만 없는 교육과정’, ‘맹학교는 이대로 좋은가?’, ‘그래도 나는 교사이다’. ‘우리 나아갈 길’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장애인 경력 특수교사의 교육경험이 학교 안을 넘어서서 학교 밖의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어 보다 풍성하게 활용되어야할 것과 교육과정과 학교 체제 및 학교 역할 등이 시각장애인의 요구에 맞게 재구성되어 실효적인 교육 성과로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맹학교에 재직 중인 시각장애인 경력 특수교사의 견해를 통해 시각장애 교육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서 다면적 방향을 제시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