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철강산업 코일센터전용 통합 ERP시스템 구현 연구

        박중규 ( Joong-kyu Park ),황종선 ( Chong-sun Hw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철강산업의 광범위한 업무 프로세스를 하나의 모델로 통합시켜 코일센터전용의 맞춤형 ERP시스템의 구현으로 업무의 효율성과 기간산업으로서의 철강산업에 맞는 새로운 인터페이스 확장 모듈을 제안하였는데 그 결과 첫째, 검증된 S/W 개발 방법론 활용으로 CMM Level2기준에 의한 S/W 품질관리와 진행관리, 체계적인 방법론과 다양한 업무정의를 통하여 고객사의 업무 표준화를 제시하였다. 둘째, 충실한 기술이전으로 고객사의 참여실무자에 대한 다양한 교육과 기술이전을 통한 자체 운영 능력 강화와 개발 과정보다 완료 후의 운영에 최대한의 기술지원을 보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업무처리 속도의 향상이다. 우리가 하고 있는바 정형화된 업무혁신을 통해 표준화하고 시스템화하여 정형화함으로써, 사원들에게는 쉽고, 편하게 일할 수 있게 하고 속도와 효율을 올리자는 목적을 상당 부분 성취했다고 본다. 결산 리드타임이 종전 15일 정도에서 5일 이내로 줄어들었다.

      • 전반적인 스트레스평가 척도 한국판의 타당도 및 신뢰도

        고경봉,박중규,Koh, Kyung-Bong,Park, Joong-Kyu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0 정신신체의학 Vol.8 No.2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인자지각 척도인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의 한국판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는데 있다. 방법 : 이 척도에 대한 요인분석은 스트레스인자 8문항에 대한 maximum-likelihood factor analysis후 사각회전(oblique rotation)을 시행하였다. 이 자료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1개의 하위요인만이 추출되었다. 상기 척도의 신뢰도는 정상인 69명에게 2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를 시행, 분석한 결과 두 기간간의 8개 스트레스인자 점수의 상관계수가 .85~.95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한편 내적 일치도는 전체적인 스트레스접수를 제외한 7개 문항의 내적 일치도를 산출한 결과 Cronbach's $\alpha$는 .8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공존타당도는 스트레스반응척도,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PSQ), symptom checklist-9G-R(SCL-9G-R)의 신체화, 불안, 우울, 적대감척도, 전체지표의 총점과 본 척도의 각 8개 문항의 점수 및 척도 전체접수간의 상관성을 각각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별타당도는 환자군 242명(불안장애 71명, 우울장애 73명, 신체형장애 47명, 정신신체장애 51명)과 정상군 215명간에 스트레스인자척도 점수를 각각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졌다. 환자군은 정상군보다 질병 및 상해 영역과 전반적인 스트레스지각점수가 각각 유의하게 더 높았다. 불안장애군이 정상군보다 질병 및 상해 영역의 스트레스지각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고, 우울장애군은 정상군보다 전반적인 스트레스지각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한편 우울장애군은 정신신체장애군보다 대인관계 영역의 스트레스지각점수와 전반적인 스트레스지각점수가 각각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들은 전반적인 스트레스평가 척도가 신뢰도 및 타당도가 모두 유의한 수준으로 스트레스에 관련된 분야의 연구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도구임을 시사해 준다. 또한 우울장애군이 정신신체장애군에 비해 스트레스인자에 대한 지각이 더 높음을 시사해 준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validity and reliab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 developed for assessing the severity of current perceived stressors, and then to use the scale in clinical practice. Methods : Th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15 healthy subjects. A comparison was made regarding the perception of stressors among 242 patients(71 with anxiety disorder, 73 with depressive disorder, 47 with somatoform disorder, and 51 with psychosomatic disorder) and 215 healthy subjects. Factor analysis was done using oblique rotation after maximum-likelihood factor analysis. Results : Factor analysis yielded 1 subscale. Reliability was computed by administering the GARS Scale to 69 healthy subjects during a 2-week interval. Test-retest reliability for 8 items and the total score was significantly high, ranging between 0.85-.95. Internal consistency was significant(Cronbach's a for 7 items : .86). Convergent validity was computed by correlating the 8 items and the total score with the total score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SRI), th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PSQ), and the somatization, anxiety, depression, hostility subscales and general indices of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SCL-90-R). The correlations were all at significant levels. Discriminant validity was computed by comparing the 8 item scores of the patient and control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rea relevant to sickness or illness and the overill global area. The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rea relevant to sickness or illness than the healthy group, whereas the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erall global score than healthy group. The depressive disorder group was the highest in overall global score of the GARS scale among 4 patient groups, and showed a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verall global area than the psychosomatic disorder group.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GARS scale is highly reliable and valid, and that it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measure of perceived stressors for research in stress-related fields. It is suggested that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are more likely to perceive recent stressors than psychosomatic disorder patients.

      •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의 개발

        고경봉,박중규,김찬형,Koh, Kyung-Bong,Park, Joong-Kyu,Kim, Chan-Hyu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9 정신신체의학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4가지 스트레스반응 즉 감정적 신체적, 인지적, 행동적 반응들을 측정할 수 있는 스트레스반응지각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일차로 성인 193명(정신과외래 내원환자 84명, 정상인 109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반응지각 척도 예비설문을 시행하여 109문항을 추출하였다. 2차로 이 문항들이 포함된 설문을 환자군 242명(불안장애 71명, 우울장애 73명, 신체형장애 47명, 정신신체장애 51명)과 정상대조군 2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자료들을 감정, 신체, 인지, 행동 4가지 영역에서 요인 분석한 결과 8개의 하위요인 즉 부정적 감정, 일반적 신체증상, 특정 신체증상, 인지기능저하 및 일반적 부정적 사고, 자기비하적 사고, 충동공격적 사고, 수동반응적 및 부주의 행동, 충동공격적 행동이 추출되었다. 상기 척도의 신뢰도는 130명(환자군 68명, 정상대조군 62명)에게 2주 간격으로 검사 재검사를 시행, 분석한 결과 8개 하위척도 점수와 척도 전체 점수 간의 상관계수가 .83~.93으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한편 내적 일치도는 8개 하위척도의 Cronbach' s alpha가 .79~.96. 척도 전체의 Cronbach's alpha가 .98이었다. 공존타당도는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PSQ). symptom checklist-9D-R(SCL-9D-R)의 전체지표 각각의 총점과 본 척도의 8개 하위척도의 점수 및 척도 전체점수 간의 상관성을 각각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별타당도는 환자군과 정상군 간에 척도의 총점과 8개 하위척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충동공격적 행동을 제외한 7개 하위척도 점수와 총점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스트레스반응지각 척도가 신뢰도 및 타당도가 모두 유의한 수준으로 정신신체의학을 비롯한 스트레스에 관련된 분야의 연구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도구임을 시사해 준다. The perceived stress response inventory(PSRI) was developed to measure 4 types of current stress responses : emotional, somatic, cognitive, and behavioral responses. 242 patients with psychiatric disorders(71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s, 73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47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51 patients with psychosomatic disorders) and 215 healthy subjec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including the PSRI.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PSQ) and symptom checklist-90-revised(SCL-90-R) were also administered at the same time. Factor analysis for each of 4 types of stress responses yielded 8 factors :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general somatic symptoms, specific somatic symptoms, lowered cognitive function and general negative thinking, self-depreciative thinking, impulsive-aggressive thinking, passive-responsive and careless behavior, and impulsive-aggressive behavior. Both test-restest reliability(r= .83 -.93) and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alpha : .79 -.96 for each of 8 subscales and .98 for total items of the scale) were all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s. Total scores of the PSRI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otal scores of GARS scale, PSQ, and global indicies of SCL-90-R, respectively. The patient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healthy subjects in each of all the subscales except impulsive-aggressive behavior subsca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SRI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stable over time which may be effectively used for the research in stress-related field including psychosomatic medicine.

      • 신체화 평가 척도의 개발

        고경봉,박중규,Koh, Kyung-Bong,Park, Joong-Kyu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2 정신신체의학 Vol.10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화 평가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는 데 있다. 방법: 일차로 성인 정상인 109명을 대상으로 신체화 평가 척도 예비설문을 시행하여 40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2차로 이 문항들이 포함된 설문을 정상인 2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이 자료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5개의 하위요인 즉 심장호흡기 및 신경계 반응, 신체적 과민반응, 위장관계 반응, 일반적 신체반응, 비뇨생식기 눈 및 근육계 반응이 추출되었다. 상기 척도의 신뢰도는 정상인 62명에게 2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를 시행, 분석한 결과 5개 하위척도 점수와 척도 전체 점수 간의 상관계수가 .86~.94로 모두 유의한 상관성올 보였다. 한편 내적 일치도는 5 개 하위척도의 Cronbach's ${\alpha}$가 .72~.92, 척도 전체의 Cronbach's ${\alpha}$가 .95이었다. 공존타당도는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GARS) scal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 (PSQ), 스트레스반응척도 총점, symptom checklist-90-R(SCL-90-R)의 신체화 척도를 비롯한 하위척도와 전체지표 각각의 총점과 본 척도의 5개 하위척도의 점수 및 척도 전체점수 간의 상관성을 각각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별타당도는 환자군 242명(불안장애 71 명, 우울장애 73명, 신체형장애 47명, 정신신체장애 51명)과 정상군 215명 간에 척도의 총점과 하위척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5개 하위척도 점수와 총점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각 장애군이 정상군보다 척도 전체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으나, 우울장애군만이 하위척도 점수 및 척도 전체점수 모두에서 정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신체적 과민반응에서는 우울장애군만이 정상군보다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고 일반적 신체반응에서는 우울장애 및 신체형장애군만이 정상군 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대상자들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척도 전체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들은 신체화 평가 척도가 신뢰도 및 타당도가 모두 유의한 수준으로 스트레스 및 신체화에 관련된 분야의 연구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도구임을 시사해 준다 또한 우울장애 및 신체형장애군이 불안장애 및 정신신체장애군에 비해 더 광범위한 신체화 경향을 보임을 시사해 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omatization rating scale (SRS), and then to use the scale in clinical pracitice. Methods: First,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or 109 healthy adults to obtain 40 response items. Secon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15 healthy subjects. Third, a comparison was made regarding somatization responses among 242 patients (71 with anxiety disorder. 73 with depressive disorder, 47 with somatoform disorder, and 51 with psychosomatic disorder) and 215 healthy subjects. Results : Factor analysis yielded 5 subscales : cardiorespiratory and nervous responses, somatic sensitivity, gastrointestinal responses, general somatic responses, genitourinary, eye and muscular responses. Reliability was computed by administering the SRS to 62 healthy subjects during a 2-week interval. Test-retest reliability for 5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was significantly high, ranging between .86-.94. Internal consistency was computed, and Cronbach's ${\alpha}$ for 5 subscales ranged between .72-.92, and .95 for the total score. Convergent validity was computed by correlating the 5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with the total score of the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GARS) scale, th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 (PSQ), and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The correlations were all at significant levels. Discriminant validity was computed by comparing the total score and the 5 subscale scores of the patient and control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5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Only the depressive disorder group was sigi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in all the subscale scores and total scores of SRS among 4 patient groups. In somatic sensitivity, only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rmal controls, whereas in general somatic subscale, depressive disorder and somatoform disorder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rmal controls. In total scores of the SRS, femal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s.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RS is highly reliable and valid, and that it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measure for research in stress- and somatization-related fields. The depressive disorder and somatoform disorder groups showed more widespread somatization than the anxiety and psychosomatic disorder groups.

      • 분노반응척도의 개발과 임상적 적용

        고경봉,박중규,김찬형,김도훈,Koh, Kyung-Bong,Park, Joong-Kyu,Kim, Chan-Hyung,Kim, Do-Hoo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4 정신신체의학 Vol.12 No.2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분노반응 척도를 개발하고 임상에 적용하고자 하는 데 있다. 방법: 성인 정상인 123명을 대상으로 분노반응 척도 예비설문을 시행하여 16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그 다음에 이 문항들이 포함된 설문을 정상인 25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척도의 임상적 적용은 환자군 189명(불안장애 59명, 우울장애 72명, 신체형장애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이 자료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4개의 하위요인 즉 공격성반응, 짜증반응, 도피반응, 분노억압반응이 추출되었다. 상기 척도의 신뢰도는 정상인 53명에게 2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를 시행, 분석한 결과 4개 하위척도 점수와 척도 전체 점수간의 상관계수가 .53-.71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한편 내적 일치도는 4개 하위척도의 Cronbach's ${\alpha}$가 .62-.72, 척도 전체의 Cronbach's ${\alpha}$가 .76로 유의한 수준을 보였다. 공존 타당도의 평가는 공격성질문지 (Aggression Questionnaire) 총점, 상태-특성분노표출척도(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스트레스반응척도(Stress Response Inventory)의 분노 및 공격성 하위척도,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의 적대감 하위척도를 사용하였다. 환자군과 정상군 간에 척도의 전체 점수와 하위척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도피반응과 분노억압반응 하위척도에서만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공격성 및 짜증반응, 척도 전체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도피반응 하위척도 점수에서 우울장애군과 신체형장애군은 각각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들은 분노반응 척도가 신뢰도 및 타당도가 모두 유의한 수준의 도구이고, 특히 도피반응은 우울장애군 및 신체형장애군의 특징적인 분노반응일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Anger Response Scale(ARS), and then to use the scale in clinical practice. Methods First,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or 123 healthy adults to obtain 16 response items. Secon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58 healthy subjects. Third, a comparison was made regarding anger responses among 189 patients(59 with anxiety disorder, 72 with depressive disorder and 58 with somatoform disorder) and 258 healthy subjects. Results : Factor analysis yielded 4 subscales : aggression, irritability, avoidance and anger suppression. Reliability was computed by administering the ARS to 53 healthy subjects during a 2-week interval. Test-retest reliability for 4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was significantly high, ranging between .53-.71. Cronbach's ${\alpha}$ for 4 subscales ranged between .62-.72, and .76 for the total score. Convergent validity was computed by correlating the 4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with the total score of Aggression Questionnair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anger and aggression subscale of Stress Response Inventory and hostility subscale of Symptom Checklist-90-Revised. The disorder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group in scores of the avoidance and anger suppression subacale. The depressive disorder and somatoform disorder group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the avoidance subscale than the normal 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RS is highly reliable and valid. In addition, avoidance response is likely to be a characteristic anger response of the depressive disorder and somatoform disorder groups.

      • KCI등재

        4-10 Hz 빛과 소리자극 후 단기기억력 및 자율신경심장기능의 변화 - 예비연구 -

        이승환,김진환,박중규,이경욱,양대현,홍근영,채정호,Lee, Seung-Hwan,Kim, Jin-Hwan,Park, Joong-Kyu,Lee, Kyung-Uk,Yang, Dae-Hyun,Hong, Keun-Young,Chae, Jeong-Ho 대한수면의학회 2004 수면·정신생리 Vol.11 No.1

        목 적 : 본 연구는 $4{\sim}10\;Hz$의 빛과 소리자극이 인체의 단기기억력 및 긴장이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관찰하기 위한 예비연구로 시행되었다. 방법:총 10명의 대상을 무작위로 동기화된 파형의 빛과 소리를 가한 처치군(R 군)과 동기화되지 않은 무작위 파형의 빛과 소리를 가한 허위군(P 군)으로 분류하고, 하루 15분씩 5일간 빛과 소리 자극을 가하였다. 단기기억력을 측정하기위한 척도, 불안 척도 그리고 자율신경심장 기능 검사 등을 시행하였다. 2일간 휴식 후 R군과 P군을 교차하여 5일간 같은 실험을 반복하였다. 결 과:R군에서 빛과 소리자극 1회 적용 후 단기기억력의 유의미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자율신경심장기능 검사에서는 R군에서 유의미한 이완 효과가 관찰되었다. 결 론:이 연구 $4{\sim}10\;Hz$의 빛과 소리자극이 단기기억 및 긴장이완과 연관됨을 암시한다. 향후 실험대상수를 늘려 예비연구결과를 확인함이 필요하다. Objectives: Sound and light (SL) stimulation has been used as a method to induce some useful mental states in the fields of psychology and psychiatry. It is believed that sound and light entrainment device (SLED) has some specific effects through synchronization of EEG in patients who use it. Theta frequency is believed to stimulate deep relaxation and short term memory process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if 4-10 Hz SL stimulation can induce relaxation and improve short term memory function. Methods: Ten medical students with no medical or psychiatric problem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applied with real SLED was applied to one group (R group) and pseudo SLED to the other group (P group). The two groups were exposed to SL stimulation with SLED 15 minutes a day for 5 days, and after two days rest the two groups were switched over. The 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K-WAIS), Academic Motivation Tests (AMT), Test Anxiety Scale (TAS), Korean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K-AVLT), and digit span were used to evaluate short term memory.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test were used to evaluate degree of relaxation. Results: Compared with S group, R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K-AVLT and digit span after a single application of SL stimulation. But 5-day long application did not reveal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 significant change in HRV was observed in 5-day long application of SL stimulation after being switched over to other SLED. Conclusion: This pilot study suggests that 4-10 Hz SL stimulation has some positive influences on short term memory and relaxation.

      • KCI등재후보

        신경계에서 Ras-like GTPase 활성화의 신호전달계에 대한 연구

        김도형(Do-Hyung Kim),박중규(Joong-Kyu Park),배기원(Kee-Won Bae),박환태(Hwan-Tae Park) 대한해부학회 2001 Anatomy & Cell Biology Vol.34 No.1

        신경연접의 성숙과 기억의 생물학적인 기전으로 알려져 있는 신경연접 가소성의 분자적 기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Ras 유사단백질인 Rac과 Rho, 그리고 이들의 상위신호전달인자라 여겨지는 proline-rich tyrosine kinase 2 (PYK2)와 focal adhesion kinase (FAK)의 활성화 기전을 PC12 세포와 흰쥐 뇌를 이용하여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C12 세포에서 탈분극에 의한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의 활성화는 관찰되었으나 Rac과 RhoA의 활성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2. 전기충격으로 야기시킨 전신성 경련이후 ERK의 활성화 및 c-fos의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Rac과 RhoA의 활성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3. 전기충격으로 야기시킨 전신성 경련이후 PYK2의 활성화는 관찰되었으나 FAK의 활성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4. 출생 후 발육과정동안에 PYK2의 발현 및 활성도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FAK의 활성도는 성숙할수록 감소하였다. 5. 흰쥐 뇌에서 이들의 세포내 분포를 밀도차 원심분리법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Rac과 PYK2는 신경연접후 치밀질에 많이 분포하였으나 RhoA와 FAK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신경연접의 성숙 및 신경활성도 변화에 따른 신경연접의 기능변화에는 PYK2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Synaptic plasticity has been thought to be a mechanism of synaptic maturation, learning and memory. In this study, the possible involvement of Rac, RhoA, proline-rich tyrosine kinase 2 (PYK2) and focal adhesion kinase (FAK) in the synaptic plasticity was investigated using PC12 cells and rat brain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1. Depolarization induce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activation but did not activate Rac and RhoA in PC12 cells. 2. ERK activation and c-fos expression were observed after electroconvulsive shock (ECS) but the activity of Rac and RhoA was not changed following ECS. 3. PYK2 not FAK activation was observed after ECS. 4. The activity of PYK2 was increased with postnatal development but that of FAK was decreased with ages. 5. The expression of Rac and PYK2 was clearly observed in the postsynaptic density but that of RhoA and FAK was no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YK2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activity-dependent synaptic plasticity in vivo brain.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Immediate-early Genes by Light Stimuli in the Rat Suprachiasmatic Nucleus Using Differential Display

        박환태(Hwan Tae Park),김우일(Woo Il Kim),강은경(Eun Kyoung Kang),박중규(Joong Kyu Park),배기원(Kee Won Bae)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4

        포유동물의 시각교차위핵은 일주기성 리듬을 생성하는 circadian pacemaker이다. 동물의 행동리듬을 전위시키는 빛 자극에 의해 여러 유전자들의 발현이 시각교차위핵에서 유도되고, 이러한 유전자들의 발현이 행동리듬의 전위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differential display-polymerase chain reaction (DD-PCR)법을 이용하여 빛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유전자를 조사하고 그 발현을 검증하였다. 또한 신경세포의 흥분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Arc와 Rheb mRNA의 발현이 시각교차위핵에서 빛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지를 조사하였다. DD-PCR법을 이용하여 빛에 의해 시각교차위핵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25개의 clone을 얻었고, 그 중에서 하나의 clone (clone No. 18, human A6 kinase의 흰쥐 상동체)이 시각교차위핵에서 주관적인 밤주기동안 빛에 의해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clone 18이 빛에 의한 동물 행동리듬의 전위에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시각교차위핵에서 Arc와 Rheb mRNA의 발현은 빛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지 않았다. The hypothalamic suprachiasmatic nucleus (SCN) of the mammal is the circadian pacemaker responsible for generation of circadian rhythms. Several immediate-early genes are expressed in the SCN by light stimuli which induce phase shifts of animal activity rhythms. By using differential display-polymerase chain reaction, we investigated expression of several immediate-early genes in the light-stimulated SCN. In addition, we analyzed the light-induced expression changes of two known immediate-early genes, Arc and Rheb, in the SCN. We have screened and cloned 25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the SCN, and identified a gene, a rat homologue of A6 kinase, which expression was regulated by light stimuli. One hour light stimuli during the subjective night dramatically induced the gene expression in the SCN, whereas light stimuli during the subjective light phase did not. This finding implies that a rat homolgue of A6 kinase may be involved in the photic entrainment of the circadian clock. On the other hand, Arc and Rheb mRNA expressions were not increased in the SCN by light stimuli.

      • KCI등재

        일반노인 대상 회상치료 프로그램의 자아통합 및 우울, 죽음불안의 개선효과

        남향자(Nam, Hyang-Ja),박중규(Park, Joong-Kyu),김정모(Kim, Jung-Mo)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1

        본 연구는 회상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노인의 자아통합감 및 우울, 죽음불안의 개선 효과 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실험집단은 G시의 요양시설에 입소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15명이었고 이중 14명이 프로그램을 완수하였다. 실험집단과 배합표집된 D시의 재가거주 13명으로 통제집단이 구성되었 다. 실험집단에게 16주 동안 매주 1시간씩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각 회기는 생애발달단계를 유년기 및 청소 년기, 성인 초기-중기-후기, 노년기의 각 발달단계 별로 회상하는 것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사전 및 사후 시 점에서 두 집단을 대상으로 자아통합감 및 우울, 죽음불안에 대해 측정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아통합감의 증진을 보였고, 우울 및 죽음불안의 감소를 보였다. 본 프로그램은 노인의 보다 긍 정적인 적응증진을 위해 여러 현장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Group Reminiscence Counseling on ego integrity,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of the institutionalized compared to the home stay elderly. This study is conducted for 16 weeks from March 9, 2010 to June 22, 2010. The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4 elderly persons of G city. The control group consisted 13 who matched in D c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group 60 minutes session once a week during 16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scores than control in ego integrity.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lower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scores than control in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Based on the above results, elder's ego integrity was improved, elder's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were decreased after reminiscence counseling. it is expected that the group reminiscence counseling can be used as one program to improvemen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 KCI등재

        노인의 일상적응행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안지원(An, Ji Won),박중규(Park, Joong-Kyu) 한국재활심리학회 2021 재활심리연구 Vol.28 No.3

        노인 대상 연구에서 일상적응행동의 어려움과 삶의 만족도, 사회적 지지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노인의 일상적응행동의 어려움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내외적 요인으로 알려진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를 매개요인으로 설정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만 65세에서 80세의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판-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한 후 연령별 교육 범주 규준을 적용하여 정상 노인에 속한 223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일상적응행동은 삶의 만족도, 사회적 지지와 정적 영향이 있었으며, 우울과는 부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일상적응행동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에서 삶의 만족도의 부분 매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일상적응행동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 매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일상적응행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는 매개변인으로써 역할을 하며 삶의 만족도가 사회적 지지에 비해 높은 효과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의 일상적응행동의 악화로 인한 우울 경험을 이해할 때 삶의 만족도 및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유의함을 규명하였으며, 이는 개입 과정에서 이러한 변인을 다루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Difficulty in daily adjustment functioning,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have been known as main factors of depression. This study examined mediating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adjustment functioning and depress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223 participants aged of 65 to 80 years who met the K-MMSE educational criteria for the normal. The results included: (a) daily adjustment functioning had positive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but negative influence on depression: (b) life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path between daily adjustment functioning and depression: (c)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path between daily adjustment functioning and depression. and (d)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played significant roles in the path between daily adjustment functioning and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report higher levels of effectiveness than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