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빅데이터 시대의 문화콘텐츠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박정기(Jeong Kee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오늘날 증폭된 정보의 생성으로 인한 빅데이터(Big Data) 환경 변화에 주목하고, 그에 따른 문화콘텐츠 서비스 활성화에 대한 방안 도출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데이터 시각화에 대한 개념적 접근과 발달 과정에 관한 기본적 토대를 마련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형 변화로 인한 문화콘텐츠 분야는 어떠한 형태로 적용, 서비스 되고 있는 지에 대한 현황 조사와 소통 양상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이는 결국,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지형 변화의 맥락에 입각하여 소셜 분석과 데이터 마이닝에 따른 개인 맞춤형의 서비스 형태를 꾀하려 하고, 시각화 양상은 직관적인 형태의 인터랙션 맵핑 기술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이는 결국, 클라우딩을 포함한 IT융합기술 변혁으로 새로운 융합형 문화콘텐츠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을 가능케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결론적으로, 빅데이터 기반의 문화콘텐츠 서비스는 온디맨드의 단순함의 효용가치로 거듭나야 할 것이며, 원소스멀티유즈(OSMU)의 다양한 문화콘텐츠 서비스로의 성장 동력 창출과 데이터 개방으로 인한 기회확대 그리고 데이터 과학과 심미적 시각화가 동반된 인재양성의 측면에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nge in environment of big data from amplified creation of information, and how to figure out 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cultural contents service. So, we are preparing a basic foundation for conceptual approach of data visualization and its` basic development process, and researching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communication condition of change in topography in terms of cultural contents using big data, and how this is applied and serviced. Basically, from a personalized custom service based on the topography change in user service, a personalized custom made service noting social analysis and data mining, and we can notice that in terms of visualizing aspect, intuitive terms of interaction mapping technique is remarkable. Finally, we can notice that through the change of IT integrated technology including clouding, new integrated cultural contents business models are created. In conclusion, cultural contents service based on big data should be reinvented in to effective value of simple On-Demand, and through the various cultural contents service of OSMU, the creation of power for development and openness of data and expansion of opportunities through abovementioned activities, provide methods for activation in terms of data science and accompanying aesthetic visualization.

      • 사이버 공간디자인의 게슈탈트 심리 이론 적용 연구

        박정기(Jeong Kee Park) 한국디자인과학학회 2001 디자인과학연구 Vol.4 No.1

        오늘날, 인터넷 공간을 통한 인간의 활동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사이버공간에서의 대명사가 된 인터넷은 이제컴퓨터를 다루는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서 단순한 호기심의 대상을 벗어나 생활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이러한 인터넷 공간을 구축하고 디자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부분의 인터넷 사용자들은 개발자와 같이 시스템 전문가들이 아니며 시스템에 관한 다양한 수준의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개발하는 측면에서 다양한 수준의 사용자들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게슈탈트(Gestalt)형태인지 심리학을 바탕으로 시각적으로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최적의 상태로서의 인터넷 홈페이지 구현을 위해 시각적 공간의 흐름과 표현으로 연결되는 방법론적인 결론을 추출하여 보다 진일보한 웹 페이지로서의 디자인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Now day, the activity of human being increases rapodly through internet time and space. The internet has become more important part of life to all the people who operates the computer set than a simple target to be interested in. So, it is well-accepted for us to secure and design the internet spac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 programmer should consider a various level of user as the internet users are neither system specialist nor haying the same level of different information likely. Also, the programmer should understand the design factor systematically from the view point user`s recognized and emotional that the human based Interlace of user`s could be easy to get all necessary information in efficient and satisfaction by the minor trial of user whenever to be required. Finally, the study of Gestalt`s is devoted to more advanced design from not only the best conclusion on flew and expression of visual space as much as the one feels but also the most creative presentation of internet home-page based on the morphological-recognized-psychology.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프레임의 확장성에 관한 고찰

        박정기(Park, Jeong Kee),고재성(Ko Jae S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1 No.-

        본 논문은 미디어화 된 도시 공간 속 미디어 파사드영상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양상 및 인식 변화는 없는지에 대한 의문으로 디지털 매체 영상이 어떻게 건축 외벽이라는 사물 공간 프레임에 우리의 삶의 모습이 연출, 투사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19세기 산업 도시 풍경을 통해 근본적 시각적 인간임과 스펙터타클화된 도시 군중과 영상 매체와의 관계 그리고 건축외벽과의 융합 등 변모된 인식틀의 변화적 양상의 기술로 출발한다. 특히, 현대 미디어 파사드 영상 사례로 공간 아이덴티티 부여,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의 유형별로 각각 수집, 분류함으로 인해 그에 따른 유형별 구조적 특징과 장소성,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성 관련 내용을 짚어 볼 수 있었다. 결국, 도시와 건축이라는 사물 그리고 인간간의 기술화된 매체성의 프레임 확장성은 펼쳐져 온, 펼쳐진, 펼쳐질 도심 속 미디어 파사드의 시각 문화를 움직이는 원동력이었고, 무엇보다 매체 기술의 변혁으로 인한 인류의 지각 체계의 패턴은 복합적이고도 공감각적 능력의 재발견,인식 변화의 맥락에서 미디어 파사드 영상 디자이너의 창조적 에너지 발산과 그에 따른 사회적 책임과 의무감을 불러일으킨다고 말하고 있다. Stemming from the question about whether there is any change in the pattern and recognition of communication concerning a media facade image in an urban space that has been integrated into media, this study tried to discover how the digital media images in our lives are produced and projected on the object space frame, namely the facade of the architecture. It started from the fact of being a fundamentally visual huma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urban crowd becoming a spectacular and image media, and a technology of variable patterns of a transformed recognition frame through the scenery of a 19th century industrialized city. In particular, the study was able to confirm details regard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contemporary media facade images and their placeness as well as any interaction with viewers by collecting and classifying the cases of the construction of contemporary media facade images according to the allowance of a space identity and in terms of media communication. In conclusion, the expandability of a frame of media characteristics, which became a technical link between an object such as a city and architecture and people, was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visual culture of media facades in downtown areas that has been and will be developed. Above all, the pattern of a cognitive system of humankind owing to the drastic change of media technology arouses the rediscovery of a complicated synesthetic ability, emission of the creative energy of a media facade image designer in the context of recognition change, and subsequent social responsibility and sense of duty.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자인 교수 · 학습 전략 방안 -예비 초등 교사 대상 디자인 수업 활동 중심으로-

        박정기(Park, Jeong K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디자인의 개념 및 역할 변화와 가치지형의 변화 양상을 인류 보편적 가치 증진을 위한 교육적 차원의 환원 문제 사유로 실제 초등 예비 교사 대상의 수업 실행으로 인해 의미 있는 결과를 탐색하고 제안하는 내용을 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및 내용으로는 우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적, 조형적, 문화적 변화 양상을 디자인의 본질적 개념 아래 세 가지 영토의 변화 즉, 기계화, 예술화, 사회화의 범주화를 통해 추적하였다. 또한 시대적 변화 차원의 디자인 교육의 방향과 갈래를 보편적 디자인 교육의 증진과 사회적 참여로서의 구성주의 태도 그리고 통합적 문제해결의 차원의 융합 디자인 교육의 관점을 살펴보게 한다. 이는 결국, 예비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실제적인 디자인 교육의 실행으로 이어졌고, 수업 전략 계획과 방법 마련으로 첫째, 인공지능 기술로 인한 누구나 접근 가능한 보편적, 민주적 차원의 디자인 일상화를 꾀하였고 둘째, 디자이너의 주체와 예술적 가치를 존중한 예술지향적 작품제작에 염두에 두었으며 셋째, 동시대성의 반영으로서 각종 사회적 문제의식의 고취와 참여로서의 교육적 가변성을 열어 통합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과정으로 설계하였다. 결론적으로, 차세대 교육으로서 디자인은 기술적, 예술적, 사회적, 문화적 통합 환경변화에 대한 학습자 개개인이 교육 주체로서 문제해결을 위해 교사와의 소통과 동급 학습자간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스스로의 존재적 이유 발견은 물론, 공동체적 사회의 발전적 방향으로 내딛는 제재임이 디자인 교육에 있음을 알게 된다. In order to discuss the changes in the design field according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rom an educational level, this thesis analyzes and proposes the meaningful results of actual classes for pre-primary teachers. The research method and contents were first categorized into three changes under the concept of design: mechanization, artisticization, and socialization.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wa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gence education in terms of promotion of universal design education, a constructivist attitude as social participation, and integrative problem solving,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was prepared. This eventually led to the implementation of practical design education for pre-prim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 lesson strategy plan and method were prepared for this. First, we tried to make universal and democratic design everyday life accessible to anyone due to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Second, it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to create art-oriented works that respect the designer’s subjectivity and artistic value. Third, as a reflection of contemporaneity, it was designed as a process for integrated problem solving by raising awareness of various social problems and opening educational variability through participation. In conclusion, as a next-generation education, design is a technological, artistic, social, and cultural integration, in order to solve problems for each learner as an educational subject for environmental change, as well as discovering the reason for their own existence through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classmates. As a result, we learn that design education is a san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communal society.

      • KCI등재

        미디어 융합 기반 문화 콘텐츠 시각 체계에 관한 고찰 -인터랙티브 웹툰 중심으로-

        박정기 ( Jeong Kee Park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5 No.-

        본 논문은 미디어 융합 기반의 문화콘텐츠 시각장치의 사회 역사적 등장에 주목하고, 그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전달과 수용함에 어떠한 새로움과 창조적 변화의가능성이 내포, 투사되고 있는가에 대한 시각체계성맥락으로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미디어 융합 체계의 특성과 연계하여 그에 따른 유형별 분류를 폴 비릴리오의 미디어론에 입각한서술을 통해 현대 문화콘텐츠를 바라보고 있다. 또한실증적 차원에서 인터랙티브 웹툰을 수집하여 위의 이론적 서술에 근거한 네 가지의 재매개화 중첩 유형,프로슈머 변형 유형, 시각극대화 유형, 공감각적 확장형으로 마련하여 현대 문화콘텐츠의 융합의 시각체계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미디어 융합과 문화콘텐츠의 수용관계는 미디어간 중첩과 콘텐츠 변형 그리고 인간 감각 확장으로 연관되어지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인터랙티브웹툰의 시각체계 유형사례는 긍정적인 차원의 대중의예술에 대한 주체적 참여와 소통관계 그리고 창조의도구로 그 지평을 넓혀야 한다는 문화 소비의 시대적소명을 주요 논점으로 귀결하고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emergence of media integrated cultural contents of visual regime in terms of socially and historically, and aims to consider the relay of communication and acceptance through something new and the possibility of creative change that is intended and projected in the visual regime context. Thus,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integrated system, the types are based on the media theory described by Paul Virilio, in viewing modern cultural contents. Also, in terms of objective terms interactive webtoons are collected to testify the integration of modern cultural contents of visual regime in four the four types known as remediation type, metamorphosis type, maximizing visual effects type and propagation type. In conclusion, the accommodating relationship between medial integration and cultural contents is connected to the reiteration between media and the change of contents and the expansion of human sense. And the specific interactive webtoons of visaul regime is a positive case study of public art, and that it must widen its` horizon into becoming an art of participation, communication and a tool for creation and fulfill its` duty in this day and age of culture consumerism.

      • KCI등재

        인공 지능 시대의 디자인 창작 문화 탐색

        박정기(Park, Jeong K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본 논문은 나날이 진화하고 있는 인공지능 시대의 디자인 창작기계 장치의 등장에 주목하고 그에 따른 인간-기계-디자인간 소통체계와 문화적 수용에 어떠한 새로운 변화의 가능성이 내포, 투영되고 있는가에 대한 맥락으로 디자인 창작 문화의 기술 발달적 탐색과 미적 실천 사유에 대한 고찰이 목적이다. 본론에는 과거 디자인 방법론에 대한 회의적 태도와 새로운 기술 변화적 특성과 연계한 기회로서 디자인 창작 자동화 기계의 진화과정을 살펴본다. 결국 자동화된 기계-디자인의 전개 양상 맥락에 따라 세 가지 1) 조형강화 유형 2) 소통증강 유형 3) 생성증식유형으로 범주화하고 각각의 대표 사례들을 수집, 분석하여 디자인 개념 및 방법 변화로서의 디자인 창작문화 탐색과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인공지능 시대 디자인은 과거 형태와 기능과의 관계, 소비 자본과의 주도권 쟁점을 넘어 디자인 스스로가 경계를 허물고 ‘모두를 위한 공공성 실천의 소통 확장’이라는 상생 개념으로서 긍정적 기회로 접근해야 할 것을 말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design creativity and aesthetic practices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creativity of the designer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new chang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human machine and the culture. As a matter of fact, we review the evolution process of design creativity as a new opportunity to link the design of the past with skepticism about the design methods of the past. In the end, it has been group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evolution of the automated mechanical design, 1) model reinforcement type 2) communication enhance type 3) generation multiplication type and each represents the discovery and practical alternatives to design creative cultures as a result of the transformation, analysis and design concepts and methods of changing design concepts. In conclusion, the desig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ge should go beyond the issue of the domination of capit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 and function in the past, and it should be approached as a positive opportunity of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of design itself and expanding the communication of public practice for all.

      • KCI등재

        AI기반 수업에 대한 예비초등교사들의 인식 연구 -미술과 영어를 중심으로-

        박정기(Park, Jeong Kee),윤택남(Yoon, Tec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등의 고도화된 지능정보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촉발된 4차 산업혁명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두 가지다. 새로운 사회 변화에의 적응, 즉 사회 수요에 적합한 경쟁력 있는 유능한 인재 양성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지능정보기술의 교육적 가능성 검토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능정보사회를 맞이한 우리나라 초등교육에서 실제 인공지능 활용 수업을 통해 이를 활용한 수업 설계, 미래의 교사 훈련 및 예비초등교사의 교육방향, 미래의 영어와 미술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제언을 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해당 교과에 필요한 AI 도구를 선정하여 실제 수업에 활용해 봄으로써 지능정보사회에 맞는 유의미한 교수방법 방향을 제시, 제언하고 있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인공지능 기반 수업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도(하위범주 3개: 이해도, 관심도, 만족도) 모두에서 유사한 평균값을 보였으며 두 집단 모두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공 별 인식도 조사 또한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으며, 성별에 따른 인식분석 결과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인공지능기반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시료적 성격의 사례연구로서 일반화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지만, 미래세대교육을 담당하는 예비초등교사들의 교육 및 교과운영에 있어 인공지능 기반 교수-학습 개발의 실질적 확대와 개선의 당위성을 담아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any possible pedagogical effects on AI-based instruction in a primary arts and English class. To answer these questions, a total 59 number of pre-service teachers from arts and English educ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The findings identified that the overall perceptions on AI-based instruction on both subjects was simila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based on each major.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the satisfaction of AI-based instruction and both gender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it. As this is a pilot study, it may be difficult to generalize the findings. Yet, it address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n how AI-based instruction needs to be implemented in teacher education as well as lesson design.

      • KCI등재

        빅데이터 기반 형태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디자인 융합적 사고의 전환-

        박정기(Park, Jeong Kee),김민정(Kim, Min Jung),고재성(Koh, Jae S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이 연구는 빅데이터 기반 디자인이 예술과 과학의 창조행위임을 형태 알고리즘으로 논술.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빅데이터 분석은 대상-a에 존재하는 다수의 기억 중에서 사회적 연결성이 높은 기호를 선택하는 과정이다. 둘째, 형태 알고리즘은 변증법적 합성함수이다. 변증법은 가시적 대상을 비가시적 대상으로 변환하는 예술적 차원이고, 합성함수는 변환의 법칙으로 과학적 차원이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디자인 창작을 위한 인공지능의 가능성에 관한 것이다. 디자인 사고와 교육의 변혁이 요구된다. This research essays that big data-based design is an act of art and science creation with a form algorithm. For the purpose of track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ig data analysis is the process of selecting a sign with high social connection among the many memories that exist in object-a. Second, the form algorithm is a dialectical composite function. The dialectic is an artistic dimension that transforms a visible object into an invisible object, and the composite function is a scientific dimension as the law of transforma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is about the potenti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design creation. A revolution in design thinking and education is required.

      • KCI등재

        긍정심리학 기반 학습지원대상 초등학생의 미술감상 교수․학습 방안

        박정기(Jeong Kee Park)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4

        본 연구는 학습지원대상 학생의 특성을 알아보고, 학습지원대상 초등학생의 말하기, 듣기, 쓰기 영역의 기초학력 향상과 심리 정서적 회복을 위해 긍정심리학에 근거하여 미술감상 학습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학습지원대상 학생의 이해로부터 출발하여 미술감상교육이 갖는 의미를 발견하였고 결국, Seligman의 긍정심리학의구성요소에 기반하여 자신의 생각과 느낀 점을 설명할 수 있는 감정카드를 활용한 미술감상 교수․학습 과정안을 설계하였다. 결론은 긍정심리학의 강점을 이용한 미술감상 학습은 교과지식의 성취 달성을 위한 것이 아닌 대상 학생들로 하여금 개별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을 권장하는 것에 의미가 있으며 또한 미술감상에서의 감정카드 활용은 기초적 의사소통의 기회 증진과 동시에 정서적 안녕, 행복 등의 심리·정서적 차원의 결손을 돕는 대안으로서 긍정적정서를 제공하는 미술감상교육 활동임에 의미가 있음을 알게 된다.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subject to learning support and to prepare an art appreciation learning plan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to improve basic education in the speaking, listening, and writing area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e found the meaning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starting with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subject to learning support, and eventually, based on Seligman's positive psychology, we designed an art appreci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using emotion cards that can explain his thoughts and feelings. In conclusion, art appreciation learning using the strengths of positive psychology is meaningful in encouraging individual and self-directed learning for students, and it is also meaningful in art appreciation education activities that provide positive emotions as an alternative to enhancing basic communication opport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