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 일반교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재국(Park, Jae-Kook),김은라(Kim, Eun-Ra),강은옥(Kang, Eun-Ok)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수준을 일반교사와 비교하여 살피보자 하였다. 연구방법: 특수교사 100명, 일반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교직적응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 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만족과 정책적 지지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특수교사는 학교 유형, 일반교사는 학교급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행정가 지지에 대해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간 유의미한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특수교사의 경력, 일반교사의 학교급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셋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탐색된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교사와는 차별화되는 특수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특성에 적합한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compare the perception on the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 special teachers and seek support plans for them. Method: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00 teachers, including 1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00 general education teachers, on the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fter that,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et of research problem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of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as positiv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in domains such as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policy support. Second, the level of perception of the social support of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as confirmed to be positiv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the support of administrator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a support pla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aptability to teaching and social support differentiated from general education teachers was suggested.

      • KCI등재

        감각통합 훈련이 발달장애유아의 운동기획 및 공간지각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재국 ( Jae Kook Park ),류정숙 ( Jung Suk Ryu ),강대옥 ( Dae Ok Ka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유아의 운동기획 및 공간지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한 목적으로 만 5-7세 발달장애유아 3명을 대상으로 ABA 반전설계법을 설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유아의 운동기획능력에 미치는 효과에서 자세모방과 좌우동형의 운동조정영역에서 A, B, C 유아 모두에게 효과가 있었다. 둘째,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유아의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효과에서 공간위치와 공간표상 영역에서 A, B, C 유아 모두에게 효과가 있었다. 셋째, 감각통합훈련을 통해 연구대상 발달장애유아의 전반적 감각통합영역에서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운동기획능력에서는 자세모방과 좌우동형의 운동조정능력에 한정해서 측정하였으며, 공간지각력에서는 공간위치와 공간표상영역에 한정하여 측정하였으므로 추후 연구는 다른 영역에까지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감각통합훈련기간과 다양한 장애아동, 다른 발달영역 등의 확장을 통하여 감각통합훈련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approach to the effective and reasonable ways to improve sensory integration abilit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means of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program which can affect the motor plan and the space percep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3 children who are 5 to 7 years old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ho show problematic behaviors in the motor plan and the space perception, and who have problems with the vestibular sensation. In this study, ABA Reversal Design which uses baseline measurement and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and then baseline measurement again, was applied for the 3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reas of the Imitation of Postures and Bilateral Motor Coordination of SCSI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on motor pla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showed high effectiveness because all 3 children had acquired much higher scores that is more than ±2 standard deviation. Second, the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on space percep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as also effective because all 3 children had acquired scores much more than ±2 standard deviation in the areas of Position in Space and Space Visualization of SCSIT. Third, we compared the pretest result of SCSIT with the post-test result of SCSIT in order to see the change on the sensory integration abilit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In general, sensory integration abilities was showed positive change.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ICF-CY를 활용한 지체장애학생의 활동과 참여 기능 및 수준 분석

        박재국 ( Jae Kook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4

        지체장애학생의 중도·중복화 현상에 따라 이들 학생에 대한 교육과정의 적용 및 IEP 설정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주요한 기능을 평가하고 적절한 지원책을 검토하기 위해 개발된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의 18세이하 버전인 ICF-CY(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children & youth version, 2007)의 ‘활동과 참여’ 기능 영역을 개념적 틀로 적용하여, 이영역의 주요 하위문항 중에서 지체장애학생의 교육 및 지원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간주되는 학습 및 지식의 적용 기능, 의사소통 기능, 자조 기능에 대한 수준을, 그리고 일상생활 참여빈도 질문지(FPQ)를 사용하여 참여 수준을 평가하였다. 설문지 조사법에 따라 얻어진 유효한 특수학교 교사의 응답(N=112)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지체장애학생의 각 활동과 참여 영역에 대한 현재 기능 수준과 참여 빈도에 대한 실태를 지체장애학생의 배경변인별로 분석하였으며, 각 기능과 참여빈도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추론함으로써 지체장애학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보다 객관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함과 동시에 이에 근거한 IEP 적용의 타당성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Recently the problems of applying national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of planning IEP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ve come to the fore as condition of their disabilities become severe and multiple. For this reas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actual state of the major education and support areas such as application of learning and knowledge, communication, self-help skill and frequency of participating in daily routine by employing questionnaire. Questionnaire was formed considering activity and participation domain of WHO’s ICF-CY(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children & youth version) that was developed to evaluate major functio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vestigate appropriate supports as a conceptual framework. A total of 112 subjects who a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 According to variables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present function levels and relations on 4 areas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At the same time, validity of applying ICF-CY to IEP and issues on IEP and special education support system were discussed. The results which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need the more diversified and systematic supports for basic learning functions in the area of the learning and applying knowledge. Second, the results is suggested that ICF-CY plays an important role of evaluating the communication skills. Third, ICF-CY is the useful tool for evaluating the self-care. Forth, in the result of evaluating FPQ,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level of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very low, especially outdoor activities. Fifth,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level of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diversified to the disabilities level. Sixth, three sub-element of the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ICF-CY was high corelation to the frequency of the living participation level.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토지의 감정평가를 위한 GIS 공간분석 활용에 관한 연구

        박재국(Park Jae Kook),이인엽(Lee In Youp),오이균(Oh Yi Kyun) 한국지적학회 2006 한국지적학회지 Vol.22 No.2

          토지에 대한 감정평가는 현장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감정평사사의 지식ㆍ경험ㆍ판단력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다. 따라서 평가관련 자료의 효율적인 수집과 감정평가의 과학화 및 정보화를 통해 감정평가 업무의 신뢰성 향상과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여구에서는 평가관련 자료를 GIS 기능을 이용하여 수집하고 DB를 구축함으로써 현장 중심의 자료 수집을 최소화 하였으며, 감정평가 지원을 위한 GIS 공간분석 적용에 대한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공간정보와 공간분석을 통해 감정평가 업무의 난해하고 복잡한 공간문제를 해결하고 감정평가의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land valuation is done by the data collected from the field survey and is too much dependent on the appraiser"s knowledge, experience and judgmen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greatly improve the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valuation works through the effective collection of evaluation data and with high levels of scientific methods and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minimized the field survey by collecting the valuation data with means of GIS functions and by storing the database in the computer. And we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GIS-based spatial analysis to support the valuation work. Especially, through the spatial information and analysis, we provided the appraisers with options to solve the difficult and complicated spatial problems in valuation works and for their rapid and clear decision-making of valuation.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감각통합기능과 운동기술능력 비교

        박재국 ( Jae Kook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감각통합 능력 및 운동기술 능력을 살펴보고, 감각통합과 운동기술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장애유아의 감각통합과 운동기술 능력 정도에 따른 조기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한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 지역 유아특수학교, 장애전담 어린이집, 일반유치원과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는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 주양육자(N=179)를 대상으로 감각통합장애 조기 선별척도와 K-SIB-R의 운동기술 척도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장애유아의 감각통합 능력은 전반적으로 `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특히 고유-전정감각과 청각-시각의 능력이 낮았다. 반면 비장애유아는 전반적으로 `정상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장애유아들이 비장애유아들보다 감각통합 능력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성별에 따라서는 남아가 여아보다 촉각 영역에서만 다소 낮은 결과를 보였으나 장애유무와 성별 간, 장애유무와 연령 간, 성과 연령 간, 그리고 장애유무와 성 및 연령 간에는 감각통합 능력에 있어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각통합 능력은 성이나 연령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중추신경계의 손상이 주요 요인임을 시사한다. 둘째, 장애유아의 운동기술 능력은 전반적으로 `낮음`에 속하였으며, 특히 대근육운동은 `평균 이하`, 소근육운동은 `매우 낮음`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장애유아는 대근육운동과 소근육운동 모두 `평균 이상`의 수준이었는데, 이는 장애유아들이 비장애유아들보다 운동기술 능력이 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장애유무를 제외한 성, 연령, 그들 간의 상호작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운동기술 능력은 유아의 성이나 연령의 영향보다 장애의 유무가 주된 영향 요인임을 시사한다. 셋째, 감각통합 능력과 운동기술 능력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감각통합장애의 위험이 높을수록 운동기술에 어려움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소근육운동 영역과의 상호 관련성이 매우 높았다. 한편 하위 영역들과의 상관에서는, 운동기술 영역들은 감각통합의 하위 영역들 중 고유-전정감각, 청각-시각, 회전-전정감각과의 관련성이 높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감각통합 능력이 운동기술 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향후 유아에게 필요한 학습관련 기술들, 즉 필기도구 조작하기. 글씨쓰기 등과 같은 운동기술들 및 일상생활 기술들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기에 감각통합프로그램을 개발·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abilities of sensory integration and movement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s well, the study analyzed the corelation between the ability of sensory integration and that of movement skills. Thus, the purposes of the study was to provide resources to develop and apply early intervention programs based on the abilities of sensory integration and movement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tudy included 179 main caregivers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who were enrolled in special schools, special daycares, integrated daycares and kindergarten in Busan and KyungNam. The study used the early screening scale of sensory integration disabilities and the movement skill scale from K-SIB-R. The results of the study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 sensory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belonged to the danger group. In particular, the abilities of proprioceptive sensibility and vision-hearing showed low. However,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as belonged to the normal group. This result showed that the ability of the sensory integr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lower than that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Second, the ability of the movement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wed low level. In special, gross-motor movement showed below average, and fine-motor movement skills showed very low. However, gross-motor and fine-motor movement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wed over average. This result meant that the ability of movement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lower than that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Finally, the relation between the abilities of sensory integration and movement skills showed more difficult sensory integration and more difficult movement skills. Especially, the correlation with fine-motor skills was very high.

      • KCI등재

        교사와 부모가 지각한 장애학생의 교수-학습활동에 관한 삶의 질 수준 분석

        박재국 ( Jae Kook Park ),황순영 ( Soon Young Hwang ),정대영 ( Dae Young Jung ),박영균 ( Young Jyoon Park ),김영미 ( Young Mi Kim ),김혜리 ( Hae Ri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교사와 부모가 지각한 장애학생의 교수-학습활동에 관한 삶의 질 구성요인을 추출하고, 확정된 요인과 문항을 사용하여 장애학생의 교수-학습활동에 관한 삶의 질을 분석함으로써, 삶의 질 향상에 기반을 둔 학교 교육과정 내 교수-학습활동 조직을 위한 지원 방안 및 전략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삶의 질 구성요인을 추출하기 위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N=38)를 실시하였으며, 인터뷰 분석결과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45개의 예비문항을 추출하였다. 개발된 45개 예비문항의 타당도와 구성요인 탐색을 위해 교사(n=129), 부모(n=62) 총 191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7개 하위요인(진로, 보조공학, 친구, 장애이해, 건강, 여가 및 취미, 장애이해, 자기결정력) 40개 문항이 개발되었으며, 문항의 전체 신뢰도는 .95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한편 개발된 삶의 질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장애학생의 교수-학습활동에 관한 삶의 질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n=258), 부모(n=124) 총 3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7개 영역 중 ``자기결정력``과 ``친구``의 순으로 삶의 질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급별에 있어서는 특수학교 초등부나 초등 특수학급 학생들이 특수학교 중등부 학생들보다 삶의 질 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7개 삶의 질 구성요소를 반영한 수정교육과정 혹은 대안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함과 동시에 특히 삶의 질 수준이 평균 이하였던 건강영역에 있어서의 삶의 질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 즉, 예체능 교과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개발과 체계적인 성교육의 필요성 또한 제기한다.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QOL)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QOL related factors from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 were surveyed and analyzed. Forty-five preliminary questionnaires on the factor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interview with the focus group (N=38) and the advanced researches.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s were examined through a survey with 191 persons, who were 129 teachers and 62 parents, and the final forty questionnaires on the major seven factors (career, assistive technology, friendship, health, understanding disailities, leisure and hobby, self-determination) could be develope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final) questionnaires was 0.95. The final survey with 382 people(258 teachers and 124 parents) shows that "self- determin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friendship". Furthermore, it reveals that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enjoy a better quality of life than the junior high youth group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