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惠民署硏究 - 沿革 및 職制를 중심으로

        박인순(Park, In-Soon) 한국복지행정학회 2010 복지행정논총 Vol.20 No.1

        惠民署는 內醫院ㆍ典醫監과 함께 三醫司라고 불리우며, 朝鮮王朝의 保健醫療行政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 對民保健醫療기구이다. 內醫院과 典醫監이 왕실 및 조정신료들의 保健醫療를 위한 것인데 반하여 惠民署는 일반백성의 保健醫療를 위하여 설치하였다. 高麗王朝의 惠民局을 계승한 惠民署는 朝鮮後期까지 존속하면서 일반백성을 위한 救療활동과 醫藥을 제조판매하고 鄕藥의 수급에도 관여하는 등 對民醫療활동을 하였다. 三醫司 중에서 비록 그 위상이 낮기는 하였지만 惠民署와 같은 醫療기구가 마련된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이는 朝鮮정부가 對民醫療의 중요성을 인식한 결과였다. 지금까지 惠民署는 朝鮮王朝 保健醫療제도연구에서 內醫院이나 典醫監에 비해 그 비중이 낮았던 관계로 그 연구는 주로 『經國大典』 및 『朝鮮王朝實錄』의 기록을 중심으로 단편적이고 소략하게 이루어져 온 점이 없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經國大典』~『大典會通』 및 『朝鮮王朝實錄』과 함께 惠民署의 官署志인 『惠局志』의 기록을 중심으로 하여 惠民署의 연혁과 職制에 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ized history and office system of Hyeminseo(惠民署) in the Chosun Dynasty. In the Chosun Dynasty, public health and medicare administration was leading by the government centered on Sameuisa(三醫司), that is Naeuiwon (內醫院), Jeoneuigam(典醫監) and Hyeminseo(惠民署). Hyeminsae(惠民署) was, one of the Sameuisa(三醫司), established with the object of public health and medicare for the people. Hyeminseo(惠民署) was considered the sucessor to the Hyemingook(惠民局) of the Koryo Dynasty. Hyemingook(惠民局) of Chosun Dynasty united Chesaengwon(濟生院) in the 6th year of King Sejo(世祖), strengthened and expanded the organization & function. That is, educated medical students(Uinyo<醫女> and Uishang<醫生>), and cured common people s disease. The official system of Hyeminseo(惠民署) was reformed according to the new government organization in the 12th year of King Sejo(世祖). It was fixed on 『Kyongkukdaejeon』(經國大典) and continued to the end of Chosun Dynasty without any great change.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and Qing Invasion in Korea(丙子胡亂), Hyeminseo(惠民署) was merged into Jeoneuigam(典醫監) in the 15th year of King Injo(仁祖), but were separated soon. In the office system of Hyeminseo(惠民署), it is remakble increase military official posts(西班職)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More research is needed on military official posts(西班職) of Hyeminseo(惠民署).

      • KCI등재
      • KCI등재

        미군정기의 제주도 보건 의료 행정 실태

        박인순(In Soon Park) 제주학회 2001 濟州島硏究 Vol.19 No.-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realities of Health & Medicare Administration in Jeju-Do during the period of USAMGIK s Rule from 1945 to 1948. 1. Health & Medicare Administrative Agencies in Jeju-Do: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health & Medicare affairs, the USAMGIK had established the Department of Health & Welfare, later renamed the Bureau of Health & Welfare, within each Provincial Military Government including Jeju-Do Military Government, keeping pace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Bureau of Public Health, renamed later the Department of Public Health & Welfare in central government, that is, the USAMGIK. Accompaning with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administrative agencies, responsible for the health & medicare, the Position Classification System was also institutionalized and been made profesionalization of health & medicare personnel. According to newly adopted the system of the Position Classification aimed at replacing the Rank System, a various medical profesional officials of the Jeju-Do Military Government as well as the central USAMGIK were introduced, even though it was not fully effected in reality. 2, Health & Medicare Institutions and Medical Personnels: There were only not more than 20 hospitals, including publicly and privately established hospitals, serving the about 270 thousands inhabitants of the island of Jeju, and even those hospitals were maldistributed at Jeju towns, accordingly the islanders in mountain villages as well as poor persons were almostly leaving out of medical services. And also as much as the numbers of peoples per one medical doctor were over 10 thousands, medical personnels were extremely scarce. The Jeju-Do Provincial Hospital as the only public medical institution available for the Jeju-islanders was also in very poor conditions in the all aspects of installations, manpowers, medical equipments, medical instruments, etc.. Although it has clinic, opertion room and X-ray room, those installations were old enough and in very primative conditions. There were only nine in patients and dayly 2 to 3 out-patients. As medical personnels, there were only one regular doctor and seven nurses as of 1948. 3. The Diseases of the Jeju-islander: Generic epidemics in Jeju-Do. various types of epidemics were prevailing throughout the Jeju-island in those days. The generic epidemics were; tuberculosis, cold or influenza, measles, meningitis, bronchitis, typoid fever, chorela, et. Especially in 1946, nearly 400 persons lost their lives with chorela. The suffering numbers from the cholera epidemic in Jeju-Do as of 27 August 1946 were 708 persons and deaths were 369 persons. 4, Preventional Activities of Epidemics in Jeju-Do: To prevent epidemics, public health officials under took the various programs such as; the distribution of vaccine or preventive drugs, port quarantive and sanitation inspection, prevention training or publicity. 이 글은 1945년~1948년 사이의 제주도의 보건의료실태를 살펴 본 것이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미군정기의 제주도 보건의료행정기관: 미군정이 실시되면서 중앙의 주한미군정청에는 종래의 경무국 위생과를 국으로 승격시켜 군정장관밑에 위생국을 설치하고, 그 후 보건후생국으로, 다시 보건후생부로 개편함과 동시에, 제주도 군정청에서는 도지사밑에 보건후생부를 신설하고 그 후에 보건후생국으로 개편하여, 보건의료행정기구를 정비하였다. 2. 미군정기의 제주도 보건의료기관 및 의료인: 제주도 1읍 12면의 27만여명의 주민을 위한 보건의료기관은 공·사립 병의원을 합하여 약 20개정도의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고 이것도 주로 제주읍에 편재하여 질병치료를 위한 시설이 거의 없는 상태여서 벽촌의 농어민이나 일반빈민은 한지의생(限地醫生)이나 한방의의 원시적 치료에 의존하는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의사 1인당 주민이 10,000명을 초과할 정도로 의사의 수도 극히 적었다. 제주도 유일의 공공의료기관이며 규모가 큰 제주도립의원도 1948년초 현재 정규의사는 1명뿐이고, 병상이 36개이며, 1일 외래환자는 9명이고, 병원구조는 명목상 진찰실, 수술실 및 X-ray실로 되어 있으나 의료장비가 거의 없는 낙후된 시설이었다. 3. 미군정기의 제주도만의 질병실태: 제주도에는 당시 결핵, 감기, 마진, 뇌막염, 기관지염, 폐렴, 천식, 위장병, 신장염, 장질부사, 호열자 등의 질병이 만연하고, 특히 1946년에는 호열자가 창궐하여 근 400명이 사망하였다. 1947년의 경우 보건의료계의 관심을 끌었던 전염병은 호열자, 광견병, 나병, 장질부사 등의 만연이었다. 4. 미군정기의 제주도 방역활동: 제주도군정청은 질병예방을 위한 방역활동으로서, 예방주사 및 예방약 투약, 출입선박검역 및 위생검사, 방역교육 및 홍보활동을 전개하였다.

      • KCI등재

        일제통치기 제주도(濟州島) 공공보건의료행정의 전개과정 : 경찰의, 공의, 의생을 중심으로

        박인순(Park In-soon) 제주학회 2017 濟州島硏究 Vol.48 No.-

        전염병이 근대세계에 끼친 영향은 인구관리를 위해 국가주도 체계의 필요성을 인식시켰다는 점이다. 이것은 전염병에 대항할 강력한 방역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는 강력한 위생경찰체계 성립의 정당성을 강화시켜주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은 일제통치기에 통감부가 위생경찰의 기초를 마련한 뒤 조선총독부에서 위생경찰체계는 강화되어 일제 패망까지 수차례 개편하면서 식민통치의 첨병역할을 하였다. 일제통치기의 위생행정은 경무청(~경시청)→경무총감부→경무국으로 개편되며 경찰전일체계를 확립하였고, 일선 경찰서에서는 경찰과 함께 경찰의, 공의, 의생 등이 지방 보건의료행정의 보조기구로서 집행을 담당하였다. 제주도에도 경찰의가 배치되어 경찰에 대한 의료적 지원과 함께 종두여부, 전염병 관리 등의 위생사무를 담당하였다. 서귀포ㆍ성산포ㆍ한림에 배치된 공의들은 개업의로서 정부가 지정하는 책임구역내 위생관리 및 의무관련 업무를 담당하였다. 그리고 전국에 무의며(無醫面)이 없도록 하겠다는 조선총독부의 구상에 따라 1920년대부터는 제도권 의료에서 제외되었던 의생들도 공공 보건의료행정에 투입하여 벽지의 의료기간 부족을 메꾸고자 하였다. The irrpact of the epidemic on the modem world was that it recognized the need for a state-led system for population management. This raised the need for a strong anti-infectious system against the epidemic, which strengthened the legitimacy of establishing a strong sanitary police system. The sanitary police system in colonial Korea has been introduced by Japa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of sanitary police in the Residency-General, the system of sanitary police was strengthened in Chosun Government―General. In the colonical Korea administration of hygiene belonged police bureau and monopolized the health medical policy and execution. In the front line police, along with the police, the police doctors, the public medical practitioner, the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 were responsible for the enforcement of the law as a subsidiary body of the local health medical administration. In the Jeju police station, police doctor was stationed between 1909 and 1910 to provide medical assistance to the police, as well as sanitation affairs such as the presence of a pandemic. After 1914, public medical practitioner were placed in Seogwipo, Seongsanpo and Hanlim. They, as practitioners, were responsible for sanitation management and duties in the responsible areas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Since the 1920s, the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s, which were excluded from institutional medicine, were put into public health medical administration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proper medical facilities.

      • 惠民署의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朴仁純(Park, In-Soon) 한국복지행정학회 2011 복지행정논총 Vol.21 No.1

        朝鮮王朝에서 惠民署와 같은 對民醫療기구를 확대강화한 것은 일반 民庶로까지 保健醫療의 대상이 급속히 확대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爲民政治를 표방하는 儒敎이념의 영향으로 朝鮮王朝의 保健醫療가 특수성을 넘어 보편성을 띠게된 것이다. 이것은 醫療史的으로나 福祉的 측면에서 볼 때 적지 않은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그러나 朝鮮후기에 이르러 인구의 증가와 兩亂 이후 기근ㆍ역병의 창궐로 大衆保健醫療수요가 많아져서 惠民署가 담당해야 할 醫藥의 수요는 증가하였으나, 惠民署의 재원인 공납과 약전은 상대적으로 부실하여 對民保健醫療는 약화되었다. 여기에 더하여 양반관료를 위한 각 衙門의 약방이 확대되어 惠民署의 醫藥부족은 더욱 심화되면서 ‘惠民’의 이념을 제대로 실현하지 못하게 된다.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tate managed Hyeminseo(惠民署) by strenthening and widening. This mean that the target of medical has been expanded in order to meet the medical needs of common people. Chosun Dynasty tried to secure drug ingredients(약재) in a more stabilized way so that drug pieces could be maintained at a lower level and thereby medical treatment could be applied to a wide public. Also the state had developed the Hyangyak(鄕藥) throughout the country for medical services for commom people. This has considerable implications in terms of medical history or social welfare. However,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Hyeminseo(惠民署) has been badly managed by various factors, and curing common people(對民醫療) has been weakened. Facing population growth, the spread of infection, institution s pharmacy, bad tributary payment and Jongyakjeon(種藥田)of devastation, the operation of Hyeminseo(惠民署) was getting worse and worse. So Hyeminseo(惠民署) s the name and the actual has become different.

      • KCI등재

        일제통치기의 제주자혜의원(~전라남도립제주의원) 일고(一考)

        박인순(Park In-soon) 제주학회 2016 濟州島硏究 Vol.46 No.-

        한국의 보건의료분야에 있어서 일제통치기는 본격적으로 일본을 통한 서양의 보건의료제도와 의학이 도입되면서 기존의 제도들이 새로운 체계로 재편되는 괴정이었다. 조선총독부는 각 도의 주요지에 서양식 보건의료기관인 자혜의원을 설립하여 조선 지방민에게 무상 혹은 저가로 진료하는 시료정책을 펼쳤다. 자혜의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공공보건의료망이리는 의미를 갖는다. 제주도에는 1912년(大正원년) 관립제주자혜의원이 설립되었다. 창설 당시 진료과목은 내과, 외과였으며 협소한 면적에서 병원으로서의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1936년(昭和11년) 병원의 신축이 이루어지고 난 뒤 진료 과목도 내과, 외과 외에 산부인과, 치과, 소아과 안과, 이비인후과, 피부비뇨과로 늘어나면서 지역 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큰 역할을 하였다. 제주도 최초의 서양식 공공보건의료기관인 제주자혜의원은 전통의학과 원시적 민간요법 내지 미신에 의존해왔던 제주도민의 보건의료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또한 자혜의원을 통해 보건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증대되어 의료접근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자혜의원이 도립으로 전환된 이후에는 설립목적에서 벗어나 영리성이 강조되면서 공공보건의료기관으로서의 공공성이 훼손되어 소외계층의 의료접근성은 낮아졌다. During the reign of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rom 1910 to 1945,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xpanded korea s medical care services by sponsoring and open The hospital of Government-General of Korea(Chondokbu Uiwon) and Jahye hospitals(Jahye Uiwon, and later provincial hospitals, Dorip Uiwon). Jahye hospitals have the meaning of Korea s first western style public healthcare network. Jeju jahye hospital had been established in 1912. As a narrow area, the hospital functions did not work properly. After the expansion of the hospital, it increased the departments of the hospital. It was a great role as a regional base for public health. The Jahye hospital was the first western public health institutions in Jeju The hospital was to bring big changes in health of Jeju people ve relied on traditional medicine and superstition. Initially it increased the accessibility of medical treatment of Korean patients free of charge. After transforming to the provincial hospital, Dorip Uiwon emphasized the purpose of profit, it was damaged publicity as a public health institutions, and then decreased accessibility of health care.

      • KCI등재

        식품분말 진동선별기 개선을 위한 구조물 효율 분석

        박인순 ( In Soon Park ),나은수 ( En Soo Na ),장동순 ( Dong Soon Jang ),백영수 ( Young Soo Paek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0 산업 식품공학 Vol.14 No.2

        식품 산업 가공 공정에 다양하게 적용되는 진동 선별기(twist screen)의 구조를 변경하고 그 효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료 공급 시 스크린 외곽의 프레임을 따라 선별되지 못하고 빠지는 입자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린 프레임에 dam을 설치하였으며, 스크린중앙에서 공급되는 시료가 진동에 의하여 중앙에서 외곽으로 빠르게 이동하며 입자층을 이루어 선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린에 나선형 구조물을 설치하였다. 진동 선별기는 직경 1,200 mm와 직경 1,500 mm를 사용하였으며 스크린은 mesh 24이고 선경 0.12mm인 표준망을 적용하였고 진동 모터는 60 Hz로 운전하였으며 자기진동 이송기는 주파수 게이지 8과 10으로 각각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진동 선별기 직경 1,200mm인 경우 일반형은 처리 용량 24 kg/hr, 처리 분율은 4.72%이었고 스크린 프레임에 dam을 설치하고 스크린에 나선형 구조물을 설치한 경우에는 처리용량이 22.8kg/hr, 처리 분율 8.05%이었다. 구조물의 설치로 처리 용량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처리 분율은 1.7배 증가하여 선별 효율이 상당히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진동 선별기 직경 1,500mm의 경우 일반형의 처리 용량은 43.32kg/hr으로 직경 1,200mm인 경우와 비교하여 처리용량은 1.8배 증가하였으나 처리 분율은 2.37%로 처리용량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처리 1의 입도를 분석한 결과 스크린에 의하여 선별될 세립의 입자가 비선별 처리물에서 발견되고 있다. 스크린의 직경이 넓어져서 처리 용량이 증가하였으나 공급 속도를 높여 공급량이 많아지므로 입자들의 망 접촉 시간이 감소하고 입자의 층 현상이 심화되어 처리 효율이 감소하고 세립의 입자 선별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선별기 직경 1,500mm에 screen frame dam을 설치한 경우 처리 용량 43.14kg/hr로 일반형과 비슷하며 처리 분율은 3.25%로 매우 증가되었다. 입자들의 층현상이 심화된 Φ1500에서 스크린의 프레임에 dam을 설치함으로써 스크린 프레임으로 빠져나가 망에 체류 시간이 단축되는 것이 방지되며 프레임을 따라 입자층이 형성되어 스크린과 접촉이 불가능하였던 입자들이 dam에 의하여 스크린 안쪽에서 이동되므로 거의 동일한 처리 용량에서도 처리 효율 증가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고 할 수 있다. Screen frame dam과 나선형 구조물을 모두 설치한 경우 처리 용량은 39.04kg/hr로 다소 감소되었으나 처리 분율은 6.77%로 직경 1,500mm의 진동 스크린에서 일반형 구조시보다 3배, frame dam만 설치된 경우보다 2배의 증가를 보였다. 비선별 처리물인 처리 1의 시료를 입도분석한 결과 선별 처리되지 못한 세립의 입자를 전혀 발견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frame dam을 설치하여도 입자들이 빠르게 휩쓸려 스크린의 외곽으로 이동하여 망과 접촉 시간이 단축되며 층을 이루어 입자간의 간섭에 의해 선별 효과가 감소되는 것을 나선형 구조물에 의하여 방지함으로써 체류시간을 증가시키고 입자층을 분산시켜 선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나선형 구조물 설치시 처리 용량은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나 처리 분율이 3배까지 차이를 나타나며 이는 공급 속도가 빠를수록 처리 용량이 많을수록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e food process, twist screen is widely used to divide particles on the basis of size. As screen equipped in the twist screen perfoms an important part 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chanism, the contact area of screen and particles, retention time of particles on the screen, mesh and string thickness of screen and the flow pattern of particles on the screen are major points of the separation efficiency. To improve the separation efficiency, increase the retention time and control the flow pattern of particles, screen frame dam and spiral blockage are installed on the sieve of twist screen Φ 1200 and Φ 1500. Twist screen Φ 1500 with frame dam treated similar separation capacity, 37% higher separation ratio and less non-separated particles of product output 1 than general twist screen. Twist screens with frame dam and spiral blockage showed less treatment capacity, three times higher division ratio and entire separation than general twist screen.

      • KCI등재

        지리를 통한 표현적 글쓰기 전략의 적용과 효과

        박인순 ( In Soon Park ),조철기 ( Chul Ki Cho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9 중등교육연구 Vol.57 No.3

        본 연구는 지리를 통한 글쓰기 발달과 글쓰기를 통한 지리 발달을 목적으로 글쓰기 프레임, 텍스트 관련 지시활동, 독자중심 글쓰기 등과 같은 전략을 사용하여, 총 10차시의 표현적 글쓰기 수업전략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현적 글쓰기 전략을 적용한 후 학생들은 글쓰기 과제가 제시한 문제를 인식하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이 정확해졌으며 지리용어의 개념 발달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사전 검사에서는 학생들이 정보를 단순히 나열하거나 지나치게 간결하게 표현한 반면, 사후검사에서는 글의 내용이 양적으로 매우 풍부해졌을 뿐만 아니라 글의 전체적인 구조와 조직이 더욱 짜임새 있게 변화되었다. 셋째,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한 결과, 지리수업에서의 글쓰기 활동은 글쓰기 능력 향상과 학습내용의 심화 및 체계적인 이해, 다양한 배경지식의 습득 등에서 유용하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idea that an expressive writing is a typical one which can function as a learning device to systemize learned knowledge in any subject and bring about the expansion of thinking power. The writing class model was designed for the improvement of writing through geography and the improvement of geography through writing. And 10-period writing lessons were given using the strategies such as writing frames, directed activities related to texts, and audience-centered writing in order to improve the expressive writing ability. The results show that positive changes are found in the abilities of recognizing the points of a task, expressing one`s thought clearly, and understanding the geography terminology. Moreover, they confirm not only the entire increment in the length of writings but the advancement of the structure and organization in writing. That is to say, the study demonstrates that a writing class based on the strategies helps enhance both the comprehensive ability in learning a subject and the writing ability, and that these two capabilities operate in a complementary way.

      • KCI등재

        관혈적 정복술이 시행된 하악골 골절환자에서 T-scan system을 이용한 교합분석에 관한 연구

        박인순(In Soon Park),김영균(Young Kyun Kim)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97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3 No.1

        During ideal physiologic occlusion in the intercuspal position, all molars are occluded simultaneously and each occlusal contact evenly transmits similar press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cclusion in the mandibular bone fracture patients treated by open reduction. This patien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1) complete dentition without any missing teeth, 2) relatively normal occlusion without original TMJ disorder. Occlusal analysis using T-scan system were performed in 22 patients and 20 normal subjects. Our results were followed: 1.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s and the magnitude or occlusal force were increased with time. (p<0.05). 2. In the unilateral mandibular fracture patients, occlusal force and occlusal contacts were increased with time on the both sides.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s and occlusal force between postoperative 1 month and normal group(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s and occlusal force between postoperative 6 month and normal group(p>0.05).

      • 여고생의 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명희(Myung-hee Park),공수자(Su-ja Gong),김창숙(Chang-sook Kim),김란(Ran Kim),김영재(Young-jae Kim),박인순(In-soon Park),정순아(Soon-ah Chung) 대한환경위생공학회 2009 대한환경위생공학회지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op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207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2 schools located at Province J.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2 to 24 in 2009, by self report questionnair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Dunca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13.0 program. Hop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differed by economic state and school record. Hop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positively correlated to task difficulty preference, self-regulatory efficacy, self-confidence, teacher support and peer support. Self-regulatory efficacy, peer support and self-confidence accounted for 34.7% of hop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showed that self-regulatory efficacy, peer support and self-confidence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a practical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increase hop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