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기와 장기 비용프런티어에 기초한 생산용량 효율측정: 한국 증권산업을 중심으로

        박은화 ( Eunwha Park ),강상목 ( Sangmok Kang ) 한국생산성학회 2017 生産性論集 Vol.31 No.1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measure cost-based capacity efficiencies under given existing outputs in Korean listed securities companies using short-run and long-run cost frontiers for 2010~2014. The reason why we selected Korean securities industry in the research is because, in the times which it was very difficult to increase profits due to restructuring and reduction of labor force for overcoming finance crisis since 2008, Korean securities industry had made effort to improve efficiency by reducing costs. But, as there has been many insistences that the performance of such efforts were slight in that profit did not much increase, and cost saving was also not enough, we thought that the cost reduction could be happened not only reduction of labor forces but also in use of capital facilities. Cost-based capacity efficiency in the study is defined as ratio of long-run cost efficiency over short-run cost efficiency. We measure how much observed cost is deviated from shortand long-run minimum costs through the concept of capacity efficiency. Specially, the capacity efficiency is measured in terms of cost when output produced is given. Expressing cost-based capacity in other words, the concept is defined as the gaps between short-run cost frontier and long-run cost frontier, and the gaps can be considered as gaps between the optimal fixed input and actual fixed input. If we do not use fixed input optimally, idle facilities may happen, and this brings additional costs, and another factor of inefficiency. The main point is to estimate the extent of unused capacities. That is, when the fixed inputs are not optimal in the short-run, additional cost occurs and the capacity inefficiency can exist. Empirical result reported that the fixed input was not used suitably in the most of Korean securities companies, and there existed the possibility to reduce cost a little more by adjusting the fixed inputs and output in the long-run.

      • KCI등재

        揚無咎의 <四梅圖>: 詞書畵一致의 文人 墨梅畵

        박은화(Eunwha Park)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1 美術史學 Vol.- No.41

        북송말에서 남송 초에 활동한 문인화가로 詞와 서예에도 뛰어났던 揚無咎(1097-1169)의 <四梅圖>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墨梅畵로 잘 알려져 있으며 未開, 欲開, 盛開, 將殘의 상태를 그린 매화 그림과 함께 작가가 직접 쓴 柳梢淸 詞牌를 사용한 自作의 題畵詞가 있어 한 작품에서 詞書畵一致를 보여주는 문인의 매화도로 현존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예이다. <四梅圖>는 1165년에 제작된 작품으로 북송 말에 문인들을 중심으로 그려지고 감상되기 시작한 묵매화가 남송대 詠梅詩詞와 題畵詩詞의 흥성 및 園藝, 造園, 飮茶, 書畵와 骨董의 감상과 수집 등을 포함하는 문인문화를 배경으로 문인화의 대표적인 화목으로 자리 잡으며 양식적 발전을 이루고 매화도에 관한 화론이 형성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 글에서는 기왕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四梅圖>의 제화사의 내용과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화가가 직접 쓴 自作의 詞와 그림의 관계 및 화면구성에 드러나는 화가의 제작 의도를 규명하고 매화를 그린 畵法과 글씨를 비교하여 양무구 묵매 화법의 양식적 특징이 어떻게 완성되었으며 문인들의 취향과 심미관에 부합하는 묵매화의 양식으로 인정받게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여섯 장의 종이를 연결해 그림과 題畵詞, 自題가 연속되는 구성은 매화 그림의 여운을 더해주는 詞와 사의 의미를 시각적으로 선명하게 드러내는 그림으로 이루어진 橫卷이 하나의 완정한 작품임을 보장하려는 작가의 의도를 반영한다. 네 수의 제화사는 양무구가 高潔한 人格의 자신을 풍설에 휩쓸려 떨어지는 매화에 투영하였고 매화를 대하는 문인의 입장에서 매화의 상징성을 보존하려는 의지를 강하게 표현하여 매화와 자신이 詞와 그림을 통해 일체가 되었음을 담담하게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양무구는 水墨으로 매화를 처음 그린 仲仁(약1051-1123)이 창시한 淡墨의 점으로 매화의 꽃잎은 그려내는 墨點渲染의 화법을 먹의 윤곽선으로 꽃잎을 묘사하는 墨線鉤勒의 기법으로 바꾸어 중인의 묵매 화법을 넘어서는 창신을 이루었고 매화의 생태적 특징을 서예의 필획으로 치환해 표현하는 기법을 완성해 書畵一致의 경지에 이르렀다. 그는 서예의 필법과 결구를 묵매의 화법에 적용해 간결하고 생동감 있는 표현과 서예적 양식화의 균형을 이루어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였고 <四梅圖>의 그림과 제화사는 매화의 가치와 의의를 강조하고 화가 내면의 정서를 표출했다는 점에서 매화도의 문인화적인 성격이 강조되었다. 나아가 양무구는 매화에 인격이 투영되어 상징적인 가치가 부여된 詠梅 문학의 전통과 畵意를 반영한 詞, 書法이 융합하여 필묵의 書寫性과 매화의 조형이 완미하게 조화를 이룬 묵매화 양식을 완성하여 문인적 미감과 취향에 적합한 표현양식으로 공감을 얻게 되었고 창작과 이론에서 묵매화의 전통을 새롭게 형성하였으며 이후 문인화훼화 발전의 기초를 마련하고 문인화의 영역을 확대하였다. 따라서 <四梅圖>의 구성, 그림, 제화사, 자제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어우러지며 묵매화 양식을 완성하고 문인화의 이상인 詞書畵一致의 경지에 이르렀는지를 규명하는 것은 양무구가 묵매화 전통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이유를 이해하고 후대의 묵매화 및 수묵화훼화의 양상을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Four Views of Flowering Plum by Yang Wujiu(1097-1169), an accomplished painter-poet-calligrapher, is the earliest extant ink plum painting dated to 1165 which comprises Yang’s painting, ci poetry and inscription written by the painter in Ouyang Xun’s(557-641) calligraphic style. The first view of flowering plum represents tight-shut buds; the second, buds just about to open; the third, full blossoms; and the fourth, blossoms about to wither and petals falling. Delicate, crisp brush lines and buoyant dots form the buds, flowers with sepals and stamens; strong, tensile lines are used to define the new twigs; and dry, textured feibai brushstrokes characterize old branches, all reflecting the formal similarities with the painter’s calligraphy. Serene and simple painting evokes out of visual images of plum blossoms a feeling of spring chill and subtle fragrance in nature. At the end of these four sections of plum painting, Yang wrote four ci songs which express his feelings and emotion by projecting himself into the various symbolic meanings of plum blossoms. Yang Wujiu was active during the early period of Southern Song when the literati culture inherited from the Northern Song began to flourish in spite of unstable political situations. He was famous for his ink plum during his life time, which followed painting style of the late Northern Song monk painter Zhongren(?-1123), known as the creator of ink plum, and developed his own distinctive method of describing plum blossoms by outlining the flower form as “circled petal.” This article examines how and why Yang’s plum painting style was widely appreciated by the literati and became significant within a variety of ink and brush expressions and included in the aesthetic mainstream of literati painting, by closely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ting, poetry and calligraphy with which Yang achieved the harmony of the three perfections, the ultimate ideal of literati painting. Yang’s style followed by many literati painters and became the inspirational source for plum painting and increased the importance of ink plum through the next three dynasties of Yuan, Ming, and Qing, therefore, in-depth study on the well preserved and securely dated Four Views of Flowering Plum would enables us to fully understand the significance and development of the literati ink plum painting genre and distinctive stylistic features of individual painters’ work in subsequent dynasties.

      • KCI등재

        明代 末期의 文人畵家 邵彌의 倣古山水畵

        박은화(Park, Eunwha)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5 美術史學 Vol.- No.30

        邵彌(약 1592-1642)는 명대 말기에 활동한 화가로 江蘇省 長州 출신이며 당시 江南지역의 화단을 대표하는 문인화가 중의 하나이다. 그는 董其昌을 중심으로 강남지역에서 활동한 아홉 명의 화가를 일컫는 “畵中九友”의 한 사람으로 전형적인 문인화가의 삶을 영위하였고 당시의 회화적 배경에서 중요한 회화양식으로 대두된 倣古山水畵를 통해 화단의 양상을 반영하면서 화가로서 개성적인 면모를 드러내었다. 이전의 유명한 화가의 화풍이나 특정한 작품을 모방하여 그리는 倣古畵는 회화의 창작에서 옛 화가의 화풍이나 중요한 양식의 계승을 중시하는 전통을 바탕으로 한 倣古論을 구체적인 문인화 이론으로 확립한 동기창의 영향으로 17세기에 성행하면서 하나의 회화형식으로 확립되었다. 이러한 방고화는 회화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던 명대 말기의 화가들에게 전통을 새롭게 해석한 필묵법과 구도에 기반을 둔 새로운 회화양식을 전개하는 동인이 되었고, 특히 방고산수화는 동기창의 문인화이론을 바탕으로 이전 시기의 다양한 산수화 전통이 방고화라는 형식의 문인산수화 양식으로 융합되고 정착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자연의 形似보다 筆墨의 묘미를 추구하는 산수화의 이상적인 표현방법을 모색하는 觀念山水畵를 확산시키며 청대 초기에 “四王”에의해 방고화가 더욱 성행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현존하는 소미의 작품에는 옛 화가들을 모방한 방고형식의 산수화가 많은 수를 차지하여 그가 명대 말에 크게 유행한 방고화를 즐겨 그렸음을 알 수 있다. 소미는 출신지인 소주의 지역적 전통인 吳派 화풍에서 시작해 송·원대의 화법을 섭렵하고 모방하면서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는 감각적인 필묵법을 터득하여 운용하였고 특히 작은 크기의 화첩에서 정련된 화면구성과 함께 옛 그림과 구별되는 자신의 면모를 표출하였다. 나아가 그는 방고화와 그림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드러낸 題跋文을 통해 스스로 문인화의 전통을 계승하였음을 피력하여 자신의 그림이 지닌 정체성과 繪畵史上의 위상을 확립하였다. 이러한 소미의 회화활동과 작품의 양상은 오파의 전통에서 벗어나 산수화의 새로운 표현양식과 이론적 근거를 모색하기 위해 노력한 명 말기 문인화가들의 회화에 대한 인식과 作畵 양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소미의 방고산수화에 대한 고찰은 소미라는 문인화가의 의식세계 및 산수화풍을 파악하고 명대 말기 강남 지역의 회화를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杜菫의 詩意人物畵 <古賢詩意圖> 硏究

        박은화(Park, Eunwha)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7 美術史學 Vol.- No.33

        杜菫(1465-1509 활동)은 명대 중기에 南京을 중심으로 활동한 화가로 같은 시기에 활동한 沈周(1427-1509), 郭詡(1456-1528이후), 吳偉(1459-1508)와 함께 當代 최고의 화가로 거명되었으며 周臣(약 1460-1535), 唐寅(1470-1523), 仇英(약 1494-1552)과 더불어 명 중기의 四大人物畵家로 거론될 정도로 인물화에 뛰어났다. 杜菫은 江蘇省 鎭江의 丹徒에서 출생하여 한 때 北京으로 이주하였지만 남경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初姓은 陸이며 字는 懼男, 號는 檉居, 古狂이고 靑霞亭長이라는 自署를 사용하였다. 成化年間 초기인 1465년경 북경에서 과거에 응시했으나 급제하지 못하였고 이후 다시는 과거에 응시하지 않고 詩文과 書畵에 종사하며 직업적인 문인화가로 활동하였다. 그의 생몰년은 정확하지 않지만 현존하거나 기록에 남아있는 紀年作에 의해 추정되는 활동 시기는 1465년에서 1509년으로 成化·弘治年間(1465-1505)에 활동했음을 알 수 있고 충분한 문인적 소양과 기술적 재능을 지니고 문인화가나 직업화가들보다 폭넓은 사회계층의 수요에 부응하여 다양한 주제와 양식의 인물화를 제작하였다. 李白(701-762), 杜甫(712-770), 韓愈(768-824), 盧仝(?-835)과 북송대 黃庭堅(1045-1105)의 시 열한 수를 아홉 장면으로 그려낸 杜菫의 <古賢詩意圖>는 백묘법으로 묘사한 명대 詩意人物畵의 대표적인 예이며 당시 글씨로 유명했던 金琮(1448-1501)이 쓴 詩文이 같은 화면에 등장하여 書畵合璧으로 詩書畵一致의 경지를 추구한 작품으로 주목된다. 한 화면에서 詩書畵一致의 경지를 강조하는 이러한 시의도의 창작은 화가의 시에 대한 고도의 이해와 회화적 감수성 및 표현능력을 필수로 한다. 杜菫은 詩人의 意境과 시의 情趣를 공유하는 자신이 시를 대했을 때의 감흥까지도 화폭에 전달함으로 시의도의 의미를 증폭시켰으며 참신한 발상이 돋보이는 인물묘사와 화면구성으로 시의의 새로운 해석을 구현했다. 또한 시에 내재된 문학적 전통과 역사적 배경은 물론 詩, 書, 畵, 酒, 樂, 茶, 花卉 등 문인사회의 구성원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던 이상적인 생활이념을 통해 격조 높은 詩情과 韻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古賢詩意圖>를 통해 그동안 주로 산수화나 산수인물화에서 논의된 시화의 상관관계가 인물화에서도 긴밀하게 드러나며 제작시기의 정치, 사회, 문학적, 지역적 배경뿐 아니라 문인들의 다양한 문예활동의 양상이 시의도에 반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시의도는 문학과 회화전통의 토대에서 시의와 회화적 표현의 조화를 통해 제작자인 시인 및 화가와 감상자가 교감하며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정체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으며 문인문화를 대표하는 회화 형식으로 발전하였다. 따라서 시의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명대 중기 회화의 성격과 문인문화의 다양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데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Du Jin, native of Zhenjing, near Nanjing in Jiangsu Province, was active in the later fifteenth and early sixteen centuries. After failing the highest-level examination in the capital, he gave up the idea of an official career and turned to writing and painting to make a living as a professional literati painter. He was famous for figure painting in highly disciplines techniques as baimiao, the fine-line monochromatic manner of drawing used for figures. Surviving paintings reveal that Du Jin was primarily a figure painter, and that landscape motifs, trees, rocks generally functioned as background elements for his figural compositions. Du’s stylistic range in figure painting extends from the tautly controlled line-and-color approach to the freer, more relaxed renderings found in baimiao linear style. Du came to be regarded by some critics as the finest Ming practitioner of the baimiao style, and considered to stand at the head of the tradition of independent professional painting masters that continued to flourish well into the sixteenth century. Poems by Ancient Worthies, in the Palace Museum, Beijing contains nine illustrations that Du Jin painted to accompany eleven old poems inscribed by a comtemporary named Jin Cong(1449-1501), who was a well-known calligrapher, poet, and painter. Jin’s inscription at the end of the scroll identifies Du Jin as the artist and is dated 1500. It is painted in ink on paper, and consists of nine sections in handscroll format. Each sections consists of a poem written by Jin Cong, followed by an illustration of the poem by Du Jin. With its illustration of Du’s mastery of the baimiao technique, this handscrol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urviving works in his extant oeuvre. Each of Du’s paintings in this scroll depict scholars and poets in relatively simple settings. Figures are depicted with subtle, intelligent expressions, and painted in a refined baimiao technique. In contrast to the figures, the landscape elements are more freely painted in fast, cursory brushwork with strong contrasts in light and dark ink. The poems depicted on this handscroll are by the Tang and Song poets Li Bo(701-770), Du Fu(712-770), Han Yu(768-824), Lu Tong(d. 835) and Huang Tingjian(1045-1105). These poems suggest something of the range of earlier poetry admired by the men of Du’s circle. With Du Jin’s distinctive artistic interpretation of the poems, spontaneity and expressiveness of his brushwork, the poems and paintings become mutually complementary components adding extra dimensions to the total meaning of the work. Poems by Ancient Worthies also reflects multidimensional artistic milieu led by the Middle Ming literati class, which influenced florescence of various genres of paintings expressing poetic ideas, and provide insight in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ng painting.

      • KCI등재

        南宋의 文人山水畵

        朴恩和(Park Eunwha) 한국미술사학회 2008 美術史學硏究 Vol.260 No.260

        북송이 멸망하고 남송이 건립되면서 회화의 중심지는 새로운 수도인 항주로 옮겨갔고 고종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강남지방의 회화가 크게 발전하였다. 북송 말부터 활동하던 화가들에 의해 북송의 산수화풍이 전해졌지만 웅장하고 강건한 북송의 大觀山水畵는 점차 강남의 자연경관에 기초한 남송산주화로 대체되었다. 남송대 산수화에 대한 기왕의 연구는 주로 화원화가를 중심으로 하는 직업화가의 작품에 집중되었고 문인산수화의 전통은 남송보다 금의 화가들에 의해 계승된 것으로 여겨졌다. 이 논문은 남송 산수화에 대한 최근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현존하는 작품의 분석과 관련된 문헌자료를 통해 북송 후기에 형성된 문인산수화의 이론과 화법이 남송대 사대부사회의 문인문화를 배경으로 어떻게 계승되어 전개되었는지, 나아가 원대의 문인산수화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고찰하였다. 남송 초를 대표하는 화가 米友仁은 수묵이 지닌 표현가능성을 극대화한 독특한 필묵형식으로 오랜 문학적 전통을 지닌 소상지역의 실경을 자신의 경험과 의식에서 재해석한 자연으로 그려내어 私的이면서 개성적인 산수화를 완성하였고 역사 소상지역과 관련된 舒城李生의 〈瀟湘臥遊圖〉를 비릇한 후대 문인산수화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인 장소를 묘사한 趙伯?의 〈萬松金闕圖〉와 李結의 〈西塞漁隱圖〉는 그림에 화가의 이념과 감정을 이입하고 화가와 정경이 합일되는 새로운 의미를 부여함으로 원대에 유행한 문인의 은거지, 사유지, 정원 등을 묘사한 실지명산수화의 선례가 되었다. 한편 〈西塞漁隱圖〉와 趙葵의 〈杜甫詩意圖〉는 唐代의 詩詞와 연결되면서 문인화가 추구한 詩畵一致의 경지를 보여준다. 남송대에 문인문화가 다양한 사회계층으로 확산되면서 문인들은 자신들의 가치관과 취향을 표현하기 위해 직업화가의 작품과 구별되는 주제와 양식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이 글에서 살펴본 여섯 점의 산수화는 남송의 문인화가들이 북송대 문인화의 전통을 이으면서 새로운 회화이념과 양식을 통해 李唐과 馬遠, 夏珪로 대표되는 당시 직업화가들의 작품과 완연하게 구분되는 문인산수화의 특징을 확립하였고 원대 문인산수화 발전의 기반을 마련하였음을 설명해준다. 이처럼 현존작품이 지니는 의미를 다원적이고 유기적으로 파악하는 연구는 남송대 산수화의 양상과 원대 이후 문인화의 전개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Southern Song court in 1127 after the collapse of the Northern Song, the center of cultural activities moved to the new capital, Hangzhou, and with the strong support of Emperor Gaozong, the Southern Song painting underwent significant development. The landscape style of Northern Song was transmitted to the Southern Song by the painters who had been active since the late Northern Song period, but the monumental landscape style was gradually replaced by the simplified, more intimate Southern Song style. Previous studies on Southern Song landscape painting mainly focused on the works produced by the professional court artists, and regarded the tradition of literati landscape painting was inherited by the painters of the Jin Dynasty rather than by those of the Southern Song. Based on the results of recent research on Southern Song landscape paintings, this article examines the extant works and relevant literary records in an effort to identify how painting theories and styles of literati landscape developed in the late Northern Song period were transmitted and evolved in the artistic milieu led by the Southern Song literati class, and how they influenced the florescence of literati landscape painting in the subsequent Yuan period. Mi Youren, the archetypal painter of the early Southern Song period, painted the natural scenery of the Xiao and Xiang region with his distinctive ink and brush technique, re-interpreting it on the basis of hi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In this way, he created his own mode of landscape which is highly individual and expressive. He also greatly influenced the later literati landscape paintings, including Master Li's Dream Journey over Xiao and Xiang, which is related to the Xiao and Xiang region. Zhao Bosu's Palace in the Pines and Li Jie's Fishing Society at Xisai Mountain, conveying the painters' individual ideas and emotions through the depicted scenes, ultimately became the inspiration for landscape paintings entitled with real-place names of the Yuan dynasty, which represented the hermitages, private residences and gardens of the literati, In the meantime. Fishing Society at Xisai Mountain and Zhao Kui's After a Poem by Du Fu were closely linked to the ci poetry and poem of the Tang Dynasty, constituting fine examples of the harmonious interaction of poetry and painting which literati painters sought to perfect. As the literati culture spread to the various social classes during the Southern Song period, the literati searched for painting themes and styles which differed from those of the professional painters, in an effort to express their own values and tastes. The six landscape paintings discussed in this article demonstrate that the Southern Song literati painters, who developed new painting concepts and styles on the basis of the Northern Song literati painting theory, established unique characteristics for their paintings distinct from the works of professional painters such as Li Tang, Ma Yuan and Xia Gui, and they also laid the fou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Yuan literati landscape painting. As more in-depth and multidimensional studies on the significance of the extant works are carried out, they would provide insight in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Southern Song literati landscape painting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the literati paintings of the Yuan and subsequent dynastie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대학의 미술사교육

        박은화(Park, Eunwha)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47 No.-

        우리나라 대학의 미술사교육은 미술사학의 발전과 더불어 1980년대 미술사관련 전공학과가 여러 대학에 설치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2013년 현재 6개 대학에 고고미술사학과, 2개 대학에 미술사학과, 9개 대학에 관련학과, 15개 대학원에 미술사학과, 13개 대학원에 미술사관련학과나 전공과정이 설치되어 미술사교육이 양적, 질적으로 크게 확대되었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의 미술사교육을 학부의 교양교육과 전공 교육, 대학원 교육으로 나누어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인문학의 한분야인 미술사 교육의 보다 이상적인 방향을 모색하였다. 주로 포괄적인 개론 성격의 강좌가 주를 이루는 교양과정의 미술사교육은 미술작품에 대한 단순한 감상을 넘어서서 각각의 다양한 작품을 역사적으로 탐구하는 인문학적인 고찰을 통해 이해하고 파악하는 식견을 지니게 이끄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연구와 강의경력이 풍부한 원로교수들이 강의하여 수업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여러 학문 분야의 전공자들이 함께 수업을 하는 공동수업(team teaching)을 통해 학생들이 역사상 면면히 이어진 미술의 실체를 파악하고 미술작품을 통해 인류문화에 대한 보다 다층적이고 폭넓은 사고를 펼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고미술사학과와 미술사학과, 그리고 문화재학과, 문화재보존학과, 문화재관리학과 등 미술작품을 포함한 문화재를 폭넓게 다루는 학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학부 과정의 미술사 전공교육은 개별 미술작품의 속성이나 특징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높이고 문화재를 역사적 안목으로 파악하며 미술작품의 내재적 가치를 역사적 맥락에서 고찰하는 훈련을 위한 교과과정과 함께 현장 답사나 실습을 통해 실제 작품을 직접 관찰하고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용이 필요하다. 우리 사회에서 미술문화에 대한 인식이 크게 확대되고 문화와 관련된 직종이 증가함에 따라 미술문화나 문화재와 관련된 대학원의 학과나 전공이 급증한 상황에서 이상적인 대학원 과정의 미술사 교육을 위해서는 학문 외적인 이유로 증가하는 대학원생의 수를 조절하고 취업만을 위한 교육, 자격증을 위한 학위 취득의 문제점을 직시하며 충실한 교육을 받아 자격요건을 갖추고 취업의 기회가 있을 때 자신 있게 나가 활동하는 것이 학생 자신이나 사회를 위해서 훨씬 이익이 되는 것임을 교수와 학생 모두가 주지해야 할 것이다. Art history education in Korea has begun in 1980s with the florescence of art history study and rapidly developed into one of the major academic programs in many universities. This article examines current states and problems of teaching art history in universities for general education, as undergraduate and graduate majors, and suggests the better ways to educate history of art as a humanistic discipline. Art history courses for general education mostly consist of survey courses and aims to provide students opportunity to appreciate major art works of the world and understand human history through art.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and team teaching courses taught by professors specialized in art, literature, and science would be effective art history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to offer students chances to obtain broader perspectives on art in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Curriculums for undergraduate art history major in universities are well established with various courses in different levels concentrated on Korean, asian, and western art with the aid of visual equipments, which train students to look into important subject matters, iconography, and distinctive stylistic features of art works and understand intrinsic value of individual art objects and cultural properties. Field trips to study art works closely in actual places are also included as a compulsory course in most art history departments. These art history curriculums would provide sufficient foundation for art history major students to study further in graduate school or pursue professional careers in art and culture related fields. With the increasing appreciation for art and social demand for visual art related professionals, graduate schools in art history and numerous departments offering degree programs oriented to practical affairs related to art and cultural properties have expanded in Korea in recent years. However, growing numbers of graduate students who are not equipped with undergraduate training in art history confront difficulties acquiring proper understanding in art objects along with the practical knowledge in curatorship, connoisseurship, art management, art conservation and so on within a two or three-years graduate level course of study. Therefore, substantial art history education with in-depth courses based on the appropriate methodology is greatly required to enhance academic standard of graduate programs and to produce well-trained, qualified specialists in art and culture related professions.

      • KCI등재
      • KCI등재

        2015개정 환경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주요 내용

        권영락(Youngrak Kwon),이재영(Jaeyoung Lee),김찬국(Chankook Kim),안재정(JaeJung Ahn),서은정(EunJung Seo),남윤희(Yunhee Nam),박은화(Eunwha Park),최소영(Soyoung Choi),안유민(Yumin Ah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6 環境 敎育 Vol.29 No.4

        이 연구는 2015 개정 환경 교육과정의 개정방향과 주요 내용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2015 개정 환경 교육과정은 기존의 환경 교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추구한 통합성의 강화와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내실화 기조를 유지하면서, 최근 강조되고 있는 교과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이를 위해 성취기준을 핵심개념과 교과역량이 결합된 형태로 진술하였다. 또한 학습량의 감축을 위해 학교급간 내용중복을 최소화하였으며, 학교급간 연계성과 위계성을 유지하기 위해 접근 방법의 차별화를 시도하고, 이를 위해 중 · 고등학교 내용 체계 간의 동일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한편, 학생의 흥미를 유도하고 재미있는 학습을 위해 이전 교육과정 문서 체제와 달리 영역별로 교수 · 학습 방법 및 평가가 신설되었는데, 이는 환경 과목뿐만 아니라, 모든 과목에 적용되었다. 앞으로 개정 환경 교육과정이 의도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 · 학습 방법의 사례개발 및 보급과 지역적 여건이나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학교 교육과정 실행 방안마련 등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to review the major changes in development of the 2015 revised Environment’ curriculum for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einforcement of integrative approaches and the highlights of substantiality have been pursued in this curriculum revision. A set of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Environment subject has been proposed in connection between key concepts and core subject competencies. To minimize duplication of content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s, it was attempted in the revision proc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o differentiate the approaches based on school levels while maintaining the linkage, hierarchy, and framework of contents as a subject. In middle school level, exploring local environment in schools or communities is highlighted as a meaningful teaching-learning approach. In high school level, constructive approaches such as project-based and issue-based inquiries and newly introduced event-based inquiry are incorporated for higher level compet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